KR102021669B1 - Lamin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Lamin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669B1
KR102021669B1 KR1020170161884A KR20170161884A KR102021669B1 KR 102021669 B1 KR102021669 B1 KR 102021669B1 KR 1020170161884 A KR1020170161884 A KR 1020170161884A KR 20170161884 A KR20170161884 A KR 20170161884A KR 102021669 B1 KR102021669 B1 KR 10202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latform
film
sheet
film lay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3074A (en
Inventor
첸잉슈
웬추안 후앙
Original Assignee
우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순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7016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6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6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는 가요성 워크 플랫폼과, 필름 부재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의 상부면상에 장착된 점착성 필름층과,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 아래에 형성된 작업 공간부, 및 상기 점착성 필름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부재가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베이스 유닛; 및 작업 공간부에 위치하고, 상기 워크 플랫폼과 상기 점착성 필름층을 더 밀도록 상기 작업 공간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기구에 의해서 구동되는 푸싱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필름 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게 하는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하며, 점착성 필름층은 복잡한 진공 흡입이나 정렬 절차없이 모든 사이즈의 필름 부재의 위치 결정을 이루고, 시트 부재와 필름 부재가 신속하게 라미네이팅되게 한다.The lamin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work platform, an adhesive film laye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work platform for positioning of the film member, a work space portion formed below the flexible work platform, and the adhesiveness. A base unit positioned above the film layer and configured to move the sheet member to cause the film member to be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And a pushing member positioned in the work space and driven by a drive mechanism to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the work space to push the work platform and the adhesive film layer further, wherein the film member is on the sheet member. And a processing unit to allow lamination, the adhesive film layer makes positioning of film members of all sizes without complicated vacuum suction or alignment procedures, and allows sheet members and film members to be quickly laminated.

Description

라미네이팅 장치{LAMINATING MACHINE}Laminating Device {LAMINATING MACHINE}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진공 챔버의 설치없이 여러 사이즈의 시트 부재 및 여러 사이즈의 필름 부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minator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inating apparatus for quickly and efficiently laminating sheet members of various sizes and film members of various sizes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vacuum chamber.

오늘날, 제조 산업은 노동력의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직면하고 있으며, 그리고 제조 산업은 환경을 쉽게 오염시키고 있다. 한경 관심이 높고, 종래의 공정 및 제조 작동 모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노동력과 작동 비용 측면에서, 제조 산업은 노동 집약 산업에서 기술 집약 공정 산업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제조자들은 그들의 공장을 해외로 이주시키든지 높아지는 생산 비용의 압력에 맞추어 외국 노동자를 채용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어떤 제조자들은 작동 시스템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을 감소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 생산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 생산 라인 및 모드를 도입하고 있다. Today,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facing serious labor shortages,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easily polluting the environment. It is of great interest and has a major impact on conventional process and manufacturing operating modes. In terms of labor and operating costs,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faced with the pressure to change from a labor intensive industry to a technology intensive process industry. Therefore, many manufacturers have a policy of relocating their factories overseas or hiring foreign workers to meet the increasing pressures of production costs. Some manufacturers are introducing automated production lines and modes to upgrade operating systems, reduce manufacturing costs, reduce manpower,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평면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세대의 생산품은 소비자에게 보다 정교한 전자 및 전기 제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볍고, 얇고, 플렉스블하고 굴절된 표면 특징을 향하여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패널 상의 편광 플레이트, 반사 방지막, 광학 필름, 터치 필름 또는 상부 필름, 바닥 필름, 기능성 필름, 패키지 필름, 보호 필름 및 가요성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flexible AMOLED) 구조의 지지 필름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구성의 여러 가지 필름은 더 가벼운 특징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가볍고 얇은 필름을 기판 상에 라미네이팅할 때 거품 또는 접착 자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렬시키는 것이 더 어려운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planar display technology, a new generation of products is evolving towards lighter, thinner, flexible and refracted surface features to provide more sophisticated electronic and electrical products to consumers. Therefore, a display such as a polarizing plate, an antireflection film, an optical film, a touch film or a top film, a bottom film, a functional film, a package film, a protective film, and a support film of a flexible AMOLED structure on a liquid crystal panel can be used. The various films of the composition have lighter features. As a result, it is more difficult to align such light and thin film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adhesive marks when laminating onto a substrate.

도 7은 필름 부재를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종래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라미네이팅 장치는 내부에 진공 챔버(A0)가 형성된 진공 박스(A), 진공 챔버(A0)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라미네이팅 휠(A1), 진공 챔버(A0)의 상부면에 구비된 흡입 구역(A2), 흡입 구역(A2) 둘레에 있으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로 밀봉된 비흡입 구역(A3), 필름 부재(B)를 체결하도록 흡입 구역(A2)에 장착된 스크린형 흡입 플랫폼(A21), 시트 부재(C1)를 흡입하도록 진공 박스(A) 상부에 위치한 흡입기 플랫폼(C)으로 구성된다. 라미네이팅시 진공 박스(A)의 진공 챔버(A0)에 진공을 생성한다. 그러나, 진공 챔버(A0)에서 진공을 생성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진공 박스(A)의 비흡입 구역(A3)은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되어야 하며, 라미네이팅 작업을 복잡하게 하며 많은 시간과 노동을 요구하게 된다. 라미네이팅 작업 시, 라미네이팅 휠(A1)은 진공 챔버(A0)에서 상승되어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필름 부재(B)를 시트형 작업물(C1) 상에 라미네이팅한다. 필름 부재(B)가 얇고 부드러워서, 라미네이팅 휠(A1)이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을 시트형 작업물(C1)상으로 올려서 필름 부재(B)와 맞닿을 때,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의 스크린 자국이 시트형 작업물(C1) 또는 필름 부재(B) 상으로 전사될 수 있고, 시트형 작업물(C1)을 불완전하게 만든다. 7 shows a conventional laminating apparatus for laminating a film member on a sheet member. As shown, the laminating apparatus is provided on a vacuum box A having a vacuum chamber A0 formed therein, a laminating wheel A1 movably mounted in the vacuum chamber A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A0. Suction zone A2, non-suction zone A3 sealed around the suction zone A2 and sealed with adhesive or adhesive tape to prevent leakage, and mounted to the suction zone A2 to engage the film member B It consists of a screened suction platform (A21), an inhaler platform (C) located above the vacuum box (A) to suck the seat member (C1). During lamination a vacuum is created in the vacuum chamber A0 of the vacuum box A. However, creating a vacuum in the vacuum chamber A0 takes a lot of time, and the non-suction zone A3 of the vacuum box A must be sealed to prevent air leakage, complicating the laminating operation and taking a lot of time. And labor. In the laminating operation, the laminating wheel A1 is raised in the vacuum chamber A0 to abut the suction platform A21 in the form of a screen, thereby laminating the film member B onto the sheet-like workpiece C1. . The film member B is thin and soft, so that when the laminating wheel A1 raises the screen-like suction platform A21 onto the sheet-like workpiece C1 and contacts the film member B, the screen-shaped suction platform A21 Screen marks) can be transferred onto the sheet-like workpiece C1 or the film member B, making the sheet-like workpiece C1 incomplete.

도 8은 다른 종래의 진공 라미네이팅 작업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설계에 따르면, 가요성 멤브레인(A01)은 진공 박스(A)의 진공 챔버(A0)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라미네이팅 휠(A1)은 가요성 멤브레인(A01) 아래에 위치하고; 흡입 구역(A2)은 진공 챔버(A0)의 대향 상부면에 한정되며; 비흡입 구역(A3)은 흡입 구역(A2) 둘레 진공 챔버(A0)의 상부면에 한정되고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되며;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은 라미네이팅을 위하여 필름 부재(B)를 지지하도록 흡입 구역(A2)에 장착되며; 흡입기 플랫폼(C)은 시트형 작업물(C1)을 이동하도록 진공 박스(A) 위에 위치한다. 라미네이팅 휠(A1)이 진공 박스(A) 외부에 위치하므로, 진공 박스(A)의 사이즈는 최소화될 수 있고, 진공 챔버(A0)에서 진공을 생성하는 시간을 단축한다. 라미네이팅 작업 동안, 라미네이팅 휠(A1)은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에 대해서 가요성 멤브레인(A01)을 상승시키도록 작동되어 필름 부재(B)를 시트형 작업물(C1) 상에 라미네이팅시킨다. 그러나, 가요성 멤브레인(A01)에 상방 압력을 주기 위하여 라미네이팅 휠(A1)을 계속 상승시키는 것은 가요성 멤브레인(A01)을 쉽게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멤브레인(A01)를 자주 교환하여야 한다. 더욱이,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로 진공 챔버(A0)를 유지하도록 진공 박스(A)에 주의를 계속 기울여야 한다. 더욱이,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의 스크린 자국은 필름 부재(B) 또는 시트형 작업물(C1)의 표면 상에 전사되어 시트형 작업물(C1)이 불완전하게 된다.8 shows another conventional vacuum laminating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is design, the flexible membrane A0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A0 of the vacuum box A; The laminating wheel A1 is located below the flexible membrane A01; The suction zone A2 is defined at the opposite upper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A0; The non-suction zone A3 is def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A0 around the suction zone A2 and sealed to prevent air leakage; The suction platform A21 in the form of a screen is mounted to the suction zone A2 to support the film member B for laminating; The inhaler platform C is located above the vacuum box A to move the sheet-like workpiece C1. Since the laminating wheel A1 is located outside the vacuum box A, the size of the vacuum box A can be minimized, which shortens the time for generating a vacuum in the vacuum chamber A0. During the laminating operation, the laminating wheel A1 is operated to raise the flexible membrane A01 relative to the suction platform A21 in the form of a screen to laminate the film member B on the sheet-like workpiece C1. However, continuing to raise the laminating wheel A1 to apply an upward pressure on the flexible membrane A01 can easily damage the flexible membrane A01. Therefore, the flexible membrane A01 must be replaced frequently. Moreover,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vacuum box A to keep the vacuum chamber A0 in a vacuum state to prevent air leakage. Moreover, the screen marks of the suction platform A21 in the form of a screen are transferred onto the surface of the film member B or the sheet-like workpiece C1, so that the sheet-like workpiece C1 is incomplete.

상술한 종래의 진공 라미네이팅 작업 모드에 따르면,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로 진공 박스(A)의 진공 챔버(A0)를 유지하도록 흡입 구역(A2) 둘레에 비흡입 구역(A3)의 밀봉 상태를 살펴야 한다. 진공 박스(A)의 진공 챔버(A0) 외부 또는 내부에 있는 라미네이팅 휠(A1),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 및 가요성 멤브레인(A01)은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스크린 형태의 흡입 플랫폼(A21)의 스크린 자국은 필름 부재(B) 또는 시트형 작업물(C1)의 표면 상에 전사되어 시트형 작업물(C1)이 불완전하게 된다. 더욱이, 시트형 작업물(C1)의 사이즈가 변경될 때, 이 때, 흡입 구역(A2)의 사이즈 및 비흡입 구역(A3)의 사이즈는 상대적으로 변경되어야만 하고, 공기 누설에 대한 진공 챔버(A0)를 보호하도록 비흡입 구역(A3)의 밀봉 작업을 복잡하게 하여, 라미네이팅 작업의 준비가 번잡하고 불편하게 된다. 종래의 진공 라미네이팅 작업의 실시에 있어서, 개선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acuum laminating working mode described above, the sealed state of the non-suction zone A3 around the suction zone A2 to keep the vacuum chamber A0 of the vacuum box A in a vacuum state to prevent air leakage. Should take a look. The laminating wheel A1, the suction platform A21 in the form of a screen and the flexible membrane A01 outside or inside the vacuum chamber A0 of the vacuum box A can be easily damaged and the suction platform in the form of a screen ( The screen marks of A21 are transferred onto the surface of the film member B or the sheet-like workpiece C1 so that the sheet-like workpiece C1 is incomplete. Moreover, when the size of the sheet-like workpiece C1 is change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uction zone A2 and the size of the non-suction zone A3 must be changed relatively, and the vacuum chamber A0 for air leakage Complicating the sealing operation of the non-suction zone A3 to protect the, the preparation of the laminating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In the practice of conventional vacuum laminating operations,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need to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여러 사이즈의 시트 부재 및 시트형 작업물을 라미네이팅할 때 기계 부품을 리셋할 필요가 없고 스크린 마크의 전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screen mark transfer without resetting mechanical parts when laminating sheet members and sheet-shaped workpieces of various siz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챔버의 설치없이 여러 사이즈의 시트 부재와 여러 사이즈의 필름 부재를 라미네이팅하기에 적합한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ing apparatus suitable for laminating sheet members of various sizes and film members of various sizes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vacuum chamber.

본 발명의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일예로서, 베이스 유닛과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유닛은 가요성 워크 플랫폼, 필름 부재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의 상부면상에 장착된 점착성 필름층과,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 아래에 형성된 작업 공간부, 및 상기 점착성 필름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부재가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As an example of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a base unit and a processing unit. The base unit has a flexible work platform, an adhesive film lay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work platform for positioning of the film member, a work space formed under the flexible work platform, and an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film layer. And a conveyor for moving the sheet member so as to cause the film member to be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프로세싱 유닛은 베이스 유닛 아래 작업 공간부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워크 플랫폼과 점착성 필름층을 더 밀도록 작업 공간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서 구동되는 푸싱 부재로 구성되어, 필름 부재가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게 한다. The processing unit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below the base unit and consists of a drive mechanism and a pushing member driven by the drive mechanism to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the work space to push the work platform and the adhesive film layer further, Allow the film member to be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바람직하기로는, 가요성 워크 플랫폼은 얇은 스틸 시트 또는 얇은 금속 시트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점착성 필름층은 실리콘 필름 또는 점착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위치결정 플랫폼은 흡입기 또는 고정 멤브레인 중 어느 하나이며; 시트 부재는 거울, 유리 기판, LCD 패널, 터치 패널, 아크릴 패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가요성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이다.Preferably, the flexible work platform is made of one of a thin steel sheet or a thin metal sheet, and the adhesive film layer is made of either a silicon film or an adhesive film; The positioning platform is either an inhaler or a fixed membrane; The sheet member is any one of a mirror, a glass substrate, an LCD panel, a touch panel, an acrylic panel, a stainless steel panel, a flexible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바람직하기로는, 프로세싱 유닛은 구동 기구를 지지하도록 워크 플랫폼 아래 작업 공간부의 바닥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구동 기구는 슬라이드 캐리어 상에 장착되며 슬라이드 캐리어를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며, 구동 기구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푸싱 부재를 지지하며 그리고 워크 플랫폼에 대해서 푸싱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립 구동 로드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lide carrier moun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under the work platform to support the drive mechanism; The drive mechanism is mounted on the slide carrier and is movable horizontally along the slide carrier, the drive mechanism being comprised of an upright drive rod that is movable up and down, supports the pushing member and moves the pushing member up and down relative to the work platform. .

더욱이, 구동 기구와 슬라이드 캐리어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은 레일 및 레일홈, 도브테일형 블록 및 도브테일형 홈, 또는 풀리 및 풀리 레일 사이에서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구동 기구가 슬라이드 캐리어를 따라서 수평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푸싱 부재는 가요성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휠형 또는 원추형 중에서 선택되며, 구동 기구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리프트,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이다.Moreover, sliding engagement between the drive mechanism and the slide carrier can be achieved by engagement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groove, the dovetail block and the dovetail groove, or the pulley and the pulley rail, and the drive mechanism slides horizontally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e carrier. Let's do it. Preferably, the pushing member is selected from wheels or cones made of flexible plastic, rubber or silicone rubber, and the drive mechanism is any one of a hydraul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an electric lift,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과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되고, 푸싱 부재는 가요성 워크 플랫폼에 대해서 맞닿도록 상승될 수 있고, 가요성 워크 플랫폼과 점착성 필름층를 가요성있게 굴곡시키도록 수평하게 이동되고, 필름 부재를 시트 부재 상에 라미네이팅시키므로, 라미네이팅 장치의 베이스 유닛과 프로세싱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는 진공 장치의 설치없이 매우 심플하다. 더욱이, 점착성 필름층은 큰 필름 부재의 부착을 위하여 실질적이여서 점착성 필름층의 작동 환경 또는 주변 장비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시트 부재의 동일 사이즈가 비용 절감과 라인에서의 경제적 이익으로 필름 부재와 본딩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ng apparatus consisting of a base unit and a processing unit, wherein the pushing member can be raised to abut against a flexible work platform, and moved horizontally to flexibly flex the flexible work platform and the adhesive film layer. Since the film member is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ase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of the laminating apparatus is very simple without the installation of the vacuum apparatus. Moreover, the adhesive film layer is substantially for the attachment of the large film member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operating environment or the peripheral equipment of the adhesive film layer, and the same size of the sheet member is bonded with the film member for cost reduction and economic benefit in lin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I)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라미네이팅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II)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라미네이팅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III)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라미네이팅 공정도
도 6은 라미네이팅 공정의 완성 후의 본 발명의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성 측면도
도 8은 다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구성 측면도
1 is a plan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aminating process diagram of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
Figure 4 is a laminating process diagram of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I)
5 is a laminating process diagram of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II)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mpletion of the laminating process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a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8 is a sid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상부 및 측면이 도시된다. 라미네이팅 장치는 베이스 유닛(1) 및 프로세싱 유닛(2)으로 구성된다.1 and 2, a top and side view of a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The laminat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base unit 1 and a processing unit 2.

베이스 유닛(1)은 지지 프레임(11), 지지 프레임(11) 상에 지지된 가요성 플랫폼인 워크 플랫폼(12), 워크 플랫폼(12) 아래 지지 프레임(11)에 의해서 둘러싸인 작업 공간부(120), 필름 부재(14)를 점착하도록 워크 플랫폼(12)의 상부면상에 장착된 점착성 필름층(13), 및 워크 플랫폼(12) 및 점착성 필름층(13) 상부로 이격되고 시트 부재(16)를 체결하거나 흡입하도록 워크 플랫폼(12)을 향하여 마주보는 위치결정 플랫폼(151)으로 구성된 컨베이어(15)로 구성된다. The base unit 1 is a work space 120 surrounded by a support frame 11, a work platform 12 which is a flexible platform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1, and a support frame 11 under the work platform 12. ), An adhesive film layer 13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o adhere the film member 14, and spaced above the work platform 12 and the adhesive film layer 13 and the sheet member 16. It consists of a conveyor 15 consisting of a positioning platform 151 facing toward the work platform 12 to fasten or suck.

프로세싱 유닛(2)은 슬라이드 캐리어(21), 및 슬라이드 캐리어(21) 상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캐리어(21)에 대해서 전후로 수평 슬라이딩가능한 구동 기구(22)로 구성된다. 구동 기구(22)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직립 구동 로드(221), 및 직립 구동 로드(221) 상에 장착된 푸싱 부재(23)로 구성된다.The processing unit 2 is composed of a slide carrier 21 and a drive mechanism 22 mounted on the slide carrier 21 and horizontally sliding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lide carrier 21. The drive mechanism 22 consists of an upright drive rod 221 movable up and down, and a pushing member 23 mounted on the upright drive rod 221.

설치 시에, 미리 설정된 간격이 프로세싱 유닛(2)의 슬라이드 캐리어(21)와 베이스 유닛(1)의 지지 프레임(11) 사이에 한정되도록 지지 프레임(11)을 향하여 슬라이드 캐리어(21)와 마주보도록 베이스 유닛(1)의 워크 플랫폼(12) 아래에 작업 공간부(120)에서 프로세싱 유닛(2)을 장착하여, 구동 기구(22)는 작업 공간부(120)에서 슬라이드 캐리어(21)를 따라 수평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구동 기구(22)의 직립 구동 로드(221)는 제어되어 작업 공간부(120)에서 수직으로 푸싱 부재(23)를 움직여서 워크 플랫폼(12)의 대향 바닥면에 대해서 맞닿게 하고,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캐리어(21)와 수평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설치 후에, 베이스 유닛(1) 및 프로세싱 유닛(2)은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구성한다.At the time of installation, the slide carrier 21 faces the support frame 11 toward the support frame 11 such th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defined between the slide carrier 21 of the processing unit 2 and the support frame 11 of the base unit 1. By mounting the processing unit 2 in the work space 120 under the work platform 12 of the base unit 1, the drive mechanism 22 is horizontal along the slide carrier 21 in the work space 120. Can be moved, and the upright drive rod 221 of the drive mechanism 22 is controlled to fit against the opposing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by moving the pushing member 23 vertically in the work space 120. And move horizontally with the slide carrier 21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After installation, the base unit 1 and the processing unit 2 constitute the lamin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설치 후에, 프로세싱 유닛(2)은 베이스 유닛(1)의 워크 플랫폼(12) 아래 작업 공간부(120)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미리 설정된 간격은 프로세싱 유닛(2)의 슬라이드 캐리어(21)와 베이스 유닛(1)의 지지 프레임(11) 사이에 한정된다. 더욱이, 구동 기구(22)와 슬라이드 캐리어(21) 사이의 슬라이딩 결합은 레일 및 레일홈, 도브테일형 블록 및 도브테일형 홈, 또는 풀리 및 풀리 레일 사이에서 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구동 기구(22)가 슬라이드 캐리어(21)를 따라서 수평 전후로 슬라이딩하게 한다. 더욱이, 구동 기구(22)의 직립 구동 로드(221)는 작업 공간부(120)에서 푸싱 부재(23)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제어가능하고, 푸싱 부재(23)는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에 대해 맞닿도록 이동되어,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드 캐리어(21)에 대해서 구동 기구(22)와 함께 수평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베이스 유닛(1)과 프로세싱 유닛(2)은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를 구성한다. After installation of the lamin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unit 2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20 under the work platform 12 of the base unit 1, and the preset interval is a slide of the processing unit 2. It is defined between the carrier 21 and the support frame 11 of the base unit 1. Moreover, sliding engagement between the drive mechanism 22 and the slide carrier 21 can be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rail and rail grooves, the dovetail block and the dovetail grooves, or the pulley and the pulley rail, and the drive mechanism 22 ) Slides horizontally back and forth along the slide carrier 21. Moreover, the upright drive rod 221 of the drive mechanism 22 is controllable to move the pushing member 23 up and down in the work space 120, and the pushing member 23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And move horizontally with the drive mechanism 22 relative to the slide carrier 21 so as to slid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hus, the base unit 1 and the processing unit 2 constitute the lamin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더욱이, 상부에서 지지 프레임(11) 상에 지지된 베이스 유닛(1)의 워크 플랫폼(12)은 얇은 스틸 시트, 얇은 금속 시트 또는 다른 거칠고 가요성 있는 시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성 필름층(13)은 워크 플랫폼(12)의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점착성 필름층(13)은 실리콘 필름 또는 점착 필름일 수 있다. 컨베이어(15)의 위치결정 플랫폼(151)은 거울, 유리 기판, LCD 패널, 터치 패널, 아크릴 패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가요성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일 수 있는 시트 부재(16)를 체결하기 위한 흡입기 또는 고정 멤브레인일 수 있다. Furthermore, the work platform 12 of the base unit 1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1 at the top may be made of a thin steel sheet, a thin metal sheet or other rough and flexible sheet member. The adhesive film layer 13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he adhesive film layer 13 may be a silicone film or an adhesive film. The positioning platform 151 of the conveyor 15 is a sheet member 16 which can be a mirror, glass substrate, LCD panel, touch panel, acrylic panel, stainless steel panel, flexible display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It may be an inhaler or a fixed membrane for fastening.

프로세싱 유닛(2)의 슬라이드 캐리어(21)는 구동 기구(22)를 이동하도록 워크 플랫폼(12)의 작업 공간부(120)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구동 기구(22)가 그 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더욱이, 구동 기구(22)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리프트, 또는 이들의 결합일 수 있다. 더욱이, 구동 기구(22)의 직립 구동 로드(221)의 상부면에 장착된 푸싱 부재(23)는 소프트한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휠형 또는 원추형일 수 있고, 직립 구동 로드(221)에 의해서 이동가능하여 작업 공간부(120) 내에서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에 대해 맞닿게 된다. The slide carrier 21 of the processing unit 2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20 of the work platform 12 to move the drive mechanism 22, and causes the drive mechanism 22 to slide thereon. Moreover, the drive mechanism 22 can be a hydraulic cylinder, pneumatic cylinder, electric lift,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more, the pushing member 23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right drive rod 221 of the drive mechanism 22 may be wheeled or conical made of soft plastic, rubber or silicone rubber, and is mounted on the upright drive rod 221. Moveable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in the work space 120.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라미네이팅 장치의 적용에서, 베이스 유닛(1)의 워크 플랫폼(12)의 상부면에서 점착성 필름층(13) 상에 필름 부재(14)를 위치시키고, 컨베이어(15)의 위치결정 플랫폼(151)을 작동시켜 시트 부재(16)를 점착성 필름층(13) 상부 우측 위치로 옮기고, 그런 다음 프로세싱 유닛(2)의 구동 기구(22)를 워크 플랫폼(12)의 작업 공간부(120)의 바닥면에 있는 슬라이드 캐리어(21)를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직립 구동 로드(221)의 상부면에 있는 푸싱 부재(23)가 필름 부재(14)의 일측면에 정렬되는 위치로 오게 되고, 그런 다음 구동 기구(22)의 직립 구동 로드(221)를 작동시켜 작업 공간부(120)에 있는 푸싱 부재(23)를 올려서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에 대해서 맞닿게 되어 워크 플랫폼(12)을 상방으로 굴곡되게 하고, 점착성 필름층(13)이 필름 부재(14)의 각각의 측면이 시트 부재(16)의 각각의 측면과 접착되게 한다. 그런 다음, 구동 기구(22)는 슬라이드 캐리어(21)를 따라서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직립 구동 로드(221)가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을 따라서 수평하게 푸싱 부재(23)를 옮기도록 한다. 이 때, 워크 플랫폼(12) 및 점착성 필름층(13)은 역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속 굴곡되고, 필름 부재(14)가 시트 부재(16)의 표면상에서 자연스럽게 라미네이팅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직립 구동 로드(221)는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푸싱 부재(23)를 하강시키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시트 부재(16)와 필름 부재(14) 사이의 라미네이팅이 완성된다.3 to 6, in the application of the laminating apparatus, the film member 14 is placed on the tacky film layer 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of the base unit 1, and the conveyor 15 The positioning platform 151 to move the sheet member 16 to the upper right position above the tacky film layer 13, and then the drive mechanism 22 of the processing unit 2 to the work of the work platform 12. The slide carrier 2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part 120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pushing member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right driving rod 221 is aligned with one side of the film member 14. To the position, and then actuates the upright drive rod 221 of the drive mechanism 22 to raise the pushing member 23 in the work space 120 to abut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he work platform 12 is bent upward, and the adhesive film layer 13 is formed of the film member 14. Each side is made to adhere to each side of the sheet member 16. Then, the drive mechanism 22 is controll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slide carrier 21, so that the upright drive rod 221 moves the pushing member 23 horizontally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do. At this time, the work platform 12 and the adhesive film layer 13 are continuously bent upward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ilm member 14 is naturally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16. The upright drive rod 221 is then controlled to lower the pushing member 23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hus, laminating between the sheet member 16 and the film member 14 is completed.

본 발명의 라미네이팅 장치의 베이스 유닛(1)과 프로세싱 유닛(2)의 전체 구조는 진공 기구의 설치없이 심플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베이스 유닛(1)의 워크 플랫폼(12)의 상부면에서 점착성 필름층(13)은 큰 필름 부재(14)의 부착을 위하여 실질적이여서 점착성 필름층(13)의 작동 환경 또는 주변 장비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시트 부재(16)의 동일 사이즈가 비용 절감과 라인에서의 경제적 이익으로 필름 부재(14)와 본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베이스 유닛(1)의 지지 프레임(11) 상에 지지된 워크 플랫폼(12)은 터프하고 가요성있는 얇은 스틸 시트 또는 얇은 금속 시트이고, 프로세싱 유닛(2)의 푸싱 부재(23)의 압력으로부터 해제된 후에 평탄한 상태로 빨리 회복될 수 있다. 워크 플랫폼(12)이 평탄한 상태로 회복된 후에, 점착성 필름층(13)은 워크 플랫폼(12)과 함께 이동되어 평탄함을 유지하고, 그리고 필름 부재(14)는 점착성 필름층(13)과 함께 이동되어 굴곡이나 변형없이 평탄함을 유지하고, 따라서, 필름 부재(14)는 시트 부재(16)의 표면상에 자연스럽게 라미네이팅될 수 있고, 라미네이팅의 정밀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거품이나 주름 발생이 없게 된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ase unit 1 and the processing unit 2 of the lamin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imple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vacuum mechanism. Moreover, the adhesive film layer 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of the base unit 1 is substantially for the attachment of the large film member 14 to adjust the operating environment or peripheral equipment of the adhesive film layer 13. There is no need, and the same size of the sheet member 16 is bonded with the film member 14 for cost reduction and economic benefit in line. As described above, the work platform 12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1 of the base unit 1 is a tough and flexible thin steel sheet or thin metal sheet, and the pushing member 23 of the processing unit 2. Can be quickly recovered to a flat state after releasing from the pressure. After the work platform 12 is restored to a flat state, the adhesive film layer 13 moves with the work platform 12 to maintain flatness, and the film member 14 moves with the adhesive film layer 13. The film member 14 can be naturally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16,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precision of the lamination and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bubbles or wrinkles.

상술한 바와같이, 가요성 워크 플랫폼(12)은 베이스 유닛(1)의 지지 프레임(11)상에 지지되고; 점착성 필름층(13)은 필름 부재(14)를 제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체결하도록 워크 플랫폼(12)의 상부면상에 장착되고; 컨베이어(15)는 시트 부재(16)를 체결하도록 워크 플랫폼(12)과 점착성 필름층(13) 상부에 위치하고; 프로세싱 유닛(2)은 워크 플랫폼(12) 아래 작업 공간부(120)의 바닥면에서 위치하고; 프로세싱 유닛(2)의 구동 기구(22)는 슬라이드 캐리어(21)에 장착되어 함께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구동 기구(22)의 직립 구동 로드(221)는 점착성 필름층(13)을 탄성적으로 굴곡하도록 워크 플랫폼(12)의 바닥면에 대해서 밀기 위하여 푸싱 부재(23)를 수직하게 상하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필름 부재(14)를 시트 부재(16)에 접착하게 한다. 따라서, 필름 부재(14)와 시트 부재(16) 사이의 라미네이팅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작업 효율성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더욱이, 워크 플랫폼(12)은 가요성이 있어서 점착성 필름층(13)은 새로운 세팅이나 정렬 절차없이 어떤 사이즈의 필름 부재(14)의 부착도 가능하게 하여, 어떤 사이즈의 시트 부재(16)의 라미네이팅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work platform 12 is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11 of the base unit 1; The adhesive film layer 13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o temporarily fasten the film member 14 in place; The conveyor 15 is located above the work platform 12 and the adhesive film layer 13 to fasten the sheet member 16; The processing unit 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ork space 120 below the work platform 12; The drive mechanism 22 of the processing unit 2 is mounted to the slide carrier 21 and is movable horizontally together; The upright drive rod 221 of the drive mechanism 22 controls the pushing member 23 to move vertically vertically to push the adhesive film layer 13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platform 12 to elastically bend. The film member 14 is then adhered to the sheet member 16. Thus, lamination between the film member 14 and the sheet member 16 can be easily accomplishe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Moreover, the work platform 12 is flexible so that the adhesive film layer 13 enables the attachment of the film member 14 of any size without new setting or alignment procedure, thereby laminating the sheet member 16 of any size. This becomes possible.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과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한다. 베이스 유닛은 작업 공간부가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지지된 워크 플랫폼, 필름 부재를 일시적으로 체결하도록 가요성 워크 플랫폼의 상부면상에 장착된 점착성 필름층, 및 흡입력으로 시트 부재를 이동하도록 워크 플랫폼과 점착성 필름층 상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은 워크 플랫폼 아래 작업 공간부의 바닥면에 위치한 슬라이드 캐리어, 및 슬라이드 캐리어 상에 장착되고 슬라이드 캐리어를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구동 기구로 구성된다. 구동 기구는 직립 구동 로드, 및 직립 구동 로드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푸싱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푸싱 부재는 가요성 워크 플랫폼에 대해서 맞닿도록 상승될 수 있고, 가요성 워크 플랫폼과 점착성 필름층를 가요성있게 굴곡시키도록 수평하게 이동되고, 필름 부재를 시트 부재 상에 라미네이팅시킨다. 라미네이팅 장치의 베이스 유닛과 프로세싱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는 진공 장치의 설치없이 매우 심플하다. 더욱이, 점착성 필름층은 큰 필름 부재의 부착을 위하여 실질적이여서 점착성 필름층의 작동 환경 또는 주변 장비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시트 부재의 동일 사이즈가 비용 절감과 라인에서의 경제적 이익으로 필름 부재와 본딩된다. In conclu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ing apparatus composed of a base unit and a processing unit. The base unit includes a support frame on which a working space is formed, a work platform supported on the support frame, an adhesive film lay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work platform to temporarily fasten the film member, and a sheet member to move the sheet member by suction force. It consists of a work platform and a conveyor located on top of the adhesive film layer. The processing unit consists of a slide carrier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below the work platform and a drive mechanism mounted on the slide carrier and movable horizontally along the slide carrier. The drive mechanism is composed of an upright drive rod and a pushing member movable up and down by the upright drive rod. Thus, the pushing member can be raised to abut against the flexible work platform, moved horizontally to flex flexibly the flexible work platform and the tacky film layer, and laminate the film member on the sheet memb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laminating device base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is very simple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 vacuum device. Moreover, the adhesive film layer is substantially for the attachment of the large film member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operating environment or the peripheral equipment of the adhesive film layer, and the same size of the sheet member is bonded with the film member for cost reduction and economic benefit in line. .

여기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herein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la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this, anyon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 : 베이스 유닛 2 : 프로세싱 유닛
11 : 지지 프레임 12 : 워크 플랫폼
13 : 점착성 필름층 14 : 필름 부재
15 : 컨베이어 16 : 시트 부재
21 : 슬라이드 캐리어 22 : 구동 기구
23 : 푸싱 부재 120 : 작업 공간부
151 : 위치결정 플랫폼 221 : 직립 구동 로드
1: base unit 2: processing unit
11: support frame 12: work platform
13: adhesive film layer 14: film member
15 conveyor 16 sheet member
21: slide carrier 22: drive mechanism
23: pushing member 120: working space portion
151: positioning platform 221: upright drive rod

Claims (5)

지지 프레임 상에서 지지되며 얇은 스틸 시트 또는 얇은 금속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가요성 워크 플랫폼과, 필름 부재의 위치결정을 위하여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의 상부면상에 장착되며 실리콘 필름 또는 점착 필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점착성 필름층과, 상기 가요성 워크 플랫폼 아래에 형성된 작업 공간부, 및 상기 점착성 필름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 부재가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작업 공간부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상기 워크 플랫폼과 상기 점착성 필름층을 더 밀도록 상기 작업 공간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기구 및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서 구동되는 푸싱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필름 부재가 상기 시트 부재상에 라미네이팅되게 하는 프로세싱 유닛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A flexible work platform supported on a supporting frame and made of either a thin steel sheet or a thin metal sheet,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work platform for positioning of the film member and made of either a silicone film or an adhesive film A base unit consisting of a film layer, a working space portion formed below the flexible work platform, and a conveyor positioned above the tacky film layer and moving the sheet member to cause the film member to be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and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of the base unit; A driving mechanism and a pushing member driven by the driving mechanism to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the work space to further push the work platform and the adhesive film layer so that the film member is laminated on the sheet member. Processing unit
Lamin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시트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위치결정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결정 플랫폼은 흡입기 또는 고정 멤브레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시트 부재는 거울, 유리 기판, LCD 패널, 터치 패널, 아크릴 패널, 스테인레스 스틸 패널, 가요성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or consists of a positioning platform for fastening a sheet member, the positioning platform being either an inhaler or a fixed membrane, and the sheet member is a mirror, glass substrate, LCD panel, touch panel, acrylic panel, stainless steel Lamin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panel, a flexible display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구동 기구를 지지하도록 상기 워크 플랫폼 아래 상기 작업 공간부의 바닥면에 장착된 슬라이드 캐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를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구동 기구는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푸싱 부재를 지지하며 그리고 상기 워크 플랫폼에 대해서 상기 푸싱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직립 구동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푸싱 부재는 가요성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휠형 또는 원추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lide carrier moun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portion below the work platform to support the drive mechanism, the drive mechanism mounted on the slide carrier and movable horizontally along the slide carrier. And the drive mechanism is comprised of an upright drive rod movable up and down and supporting the pushing member and moving the pushing member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work platform, the pushing member being a flexible plastic, rubber or silicone rubber. Lamin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among the wheel or con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리프트, 또는 이들의 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drive mechanism is any one of a hydraulic cylinder, a pneumatic cylinder, an electric lift, or a combination thereof.

KR1020170161884A 2017-11-29 2017-11-29 Laminating machine KR102021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84A KR102021669B1 (en) 2017-11-29 2017-11-29 Lamin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884A KR102021669B1 (en) 2017-11-29 2017-11-29 Lamina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74A KR20190063074A (en) 2019-06-07
KR102021669B1 true KR102021669B1 (en) 2019-09-16

Family

ID=6685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884A KR102021669B1 (en) 2017-11-29 2017-11-29 Lamin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6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617A (en) 2007-08-06 2009-02-26 Kuraimu Prod Kk Method and apparatus for sticking plate glass
KR101259424B1 (en) 2011-06-14 2013-04-30 (주)이노웍스 Method and apparatus of laminating sheets
KR101285316B1 (en) 2011-11-11 2013-07-11 (주)스마트에이스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1664B2 (en) * 2012-01-26 2015-11-24 旭硝子株式会社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KR102247443B1 (en) * 2014-05-19 2021-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attaching the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617A (en) 2007-08-06 2009-02-26 Kuraimu Prod Kk Method and apparatus for sticking plate glass
KR101259424B1 (en) 2011-06-14 2013-04-30 (주)이노웍스 Method and apparatus of laminating sheets
KR101285316B1 (en) 2011-11-11 2013-07-11 (주)스마트에이스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74A (en)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0430B1 (en) Film deposition device
KR102186380B1 (en) Curved surface l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5095876B2 (en) Bon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83554B (en) Soft suction fit platform
US10913252B2 (en) Bonding device for flexible panel and method for bonding flexible panel
CN103192557A (en) Membrane adhering device
KR101631028B1 (en) Bonding apparatus for display
JP2019008258A (en) Holding device, positioning device, and pasting device
JP2018167537A (en) Lamination device
KR102330225B1 (en) Vacuum bonding apparatus of bonding device
KR102065847B1 (en) Panel member holding device
KR102021669B1 (en) Laminating machine
KR101689057B1 (en) Atta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03395B1 (en) Vacuum laminator
CN109264123B (en) Holding device for sheet material
KR20140114768A (en) Sheet adhering device and adhering method
JP2015187648A (en) Bonding method and bonding device
CN107219649B (en) Direct jointing machine
JP2017069338A (en) Support device and support method
JP2019186509A (en) Substrate sucking apparatus
KR20130070203A (en)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and method thereof
KR102353207B1 (en) Scribing apparatus
KR20140036910A (en) Film attaching apparatus and film atta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1940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Substrate, Apparatus for Separating Carrie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Device
JP2007256444A (en) Laminated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