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230B1 - 세포 배양 웰 툴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 웰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230B1
KR102021230B1 KR1020180027688A KR20180027688A KR102021230B1 KR 102021230 B1 KR102021230 B1 KR 102021230B1 KR 1020180027688 A KR1020180027688 A KR 1020180027688A KR 20180027688 A KR20180027688 A KR 20180027688A KR 102021230 B1 KR102021230 B1 KR 10202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ell
support
plate
cel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경
정지헌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1Drops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세포수용부(20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삽입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외부굴절판(330)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로를 조절함으로써, 현적 배양(hanging drop)의 크기 및 지름을 조절하는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 배양 웰 툴{Cell culture well tool}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세포수용부(20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삽입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외부굴절판(330)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로를 조절함으로써, 현적 배양(hanging drop)의 크기 및 지름을 조절하는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우리몸의 체내 세포 및 조직은 복잡한 3차원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우리의 체내로 점염병을 유발하는 생물병원체들도 복잡한 3차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질병 등을 연구하는데 이용되는 세포 배양 방법은 전통적으로 2차원으로 된 평평한 폴리스티렌 또는 유리 같은 평평한 표면 위에서 배양한 결과, 세포는 단일 층 2차원 세포면 형태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2차원 세포 배양 및 모델링이 세포 운동 및 전염과 질병의 메커니즘에 대한 주요한 통찰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주고는 있지만, 이들 2차원 세포 배양은 우리 체내 세포 환경 조건을 제대로 모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2차원 세포 배양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생체 내와 기능을 갖는 3차원 세포 조직인 스페로이드(spheroid)의 배양이 주목하고 있다.
암을 모사하기 위한 세포 응집(cell aggregetion)을 유도하기도 하고, 당뇨 치료를 위한 인슐린의 정상분비를 유도하기 위해서 췌도 세포를 이식함에 있어 응집된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등이 쓰이고 있어 스페로이드의 대량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줄기 세포 연구가 성숙됨에 따라 배아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각종 분화 기전의 연구에 응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종래의 3차원 세포 배양 방법으로는 현적배양법(hanging-drop method), 회전식배양법, 원심분리법, 마이크로 몰딩(micromolding)법 등이 있으며, 관련 특허로는 예를 들어, 바닥면이 깔대기 형상인 웰에 복수의 단일세포를 씨딩하고, 바닥면에서 이 단일세포를 응집 및 분열시켜서 스페로이드를 형성한다.
이때, 현적배양법을 이용하여 스페로이드를 배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웰 플레이트를 대부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내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웰은 1판에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여러 형태로 실험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웰 플레이트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웰판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지만 실험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각기 다른 형태의 웰 플레이트를 사용해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종래의 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13-0033938호 3차원 세포 배양 용구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3차원 배양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나노 입자가 포함된 배양액에서 세포를 기초 배양하여, 자성 나노 입자를 세포 내 또는 세포막에 도입시키고, 상기 자성 나노 입자가 도입된 세포에 자성을 인가하여 별도의 표면 처리 없이, 배양액 내의 부유 상태에서 스페로이드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복수 개의 세포 배양 웰을 이용하여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종래의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1199호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판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스페로이드 배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양판 몸체; 및 상기 배양판 몸체에 다수의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세포 스페로이드가 배양되는 배양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양홈은, 하부를 향하여 폭이 좁하지는 제1 배양홈; 및 상기 제1 배양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배양홈을 제작을 위해 미세 기계가공을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쉽게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세포 배양 기공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종래의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763호 세포 배양용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성체 줄기세포를 점착하여 줄기 세포를 증식 및 분화시키기 위한 세포 배양면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용기에 있어서, 세포 배양용 용기는 복수의 기둥 또는 기공을 포함하고, 기둥 또는 기공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위의 기술들은 세포를 배양하도록 구성되지만 세포 배양 웰 형태 및 구조가 상이하며, 웰 내부에 삽입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현적배양을 통해 배양용액의 방울 형태를 모두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상이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938호(2014.06.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1199호(2015.05.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763호(2013.10.16.)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세포수용부(20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삽입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외부굴절판(330)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로를 조절함으로써, 현적 배양(hanging drop)의 크기 및 지름을 조절하는 세포 배양 웰 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포 배양 웰 툴에 있어서, 플레이트부(100)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연통관 형태로 연장되는 세포수용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 일측면에 세포배출구(210)가 형성 되되, 상기 세포배출구(210)는 수용부(200) 보다 좁은 구 형태로 내부가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세포배출구(210) 방향으로 수용부(2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결합된다.
상기 각도조절웰(300)은 세포배출구(210)의 일측면에 맞닿는 중공형관(310);
상기 중공형관(310)은 상측면 외주연에 링형태로 결합되는 고무링(311);
상기 중공형관(310)은 고무링(311)이 형성되는 상측면으로부터 관통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탱의 경사부(312); 및 상기 중공형관(310)은, 중심이 관통된 관통관의 내주연이 변형이 이루어지는 내측벽(3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형관(310)은 고무링(311)과 인접한 경사부(312)의 상측면에 결합고정대(320)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세포수용부(200)의 내측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돌출된 판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서로 마주하는 경사부(312)의 상측면에 2개가 1쌍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외부 굴절판(330)이 굴절되는 일측과 인접한 결합고정대(320)의 일면에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의 내부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지지대(33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31)는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31)와 대응되는 결합고정대(320)의 상측면에 수축지지대(340)가 결합되고, 상기 수축지지대(340)로부터 지지대(331) 및 내측벽(313)의 일면까지 연장되는 외부 굴절판(3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축지지대(340)는 결합고정대(32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부 굴절판(33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층의 상측면에는 돌출결합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단층의 저면에는 상측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결합홈(341)이 형성된다.
상기 단층은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단층과 단층이 결합되되, 상기 단층의 상측면에 결합된 돌출결합부(342)는 상기 단층보다 위에 있는 단층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41)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331)는 결합고정대(320)로부터 외부 굴절판(330) 사이에 힌지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내측벽(313)의 내측면으로부터 지지대(331)까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단층이 1단씩 결합됨에 따라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록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측벽(313)과 맞닿는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이 내측벽(313)을 가압하여 내측벽(313)의 지름을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세포수용부(20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삽입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외부굴절판(330)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로를 조절함으로써, 현적 배양(hanging drop)의 크기 및 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포 배양 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포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세포수용부가 모두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3의 세포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세포 배양 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세포수용부에 각도조절웰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지지대가 결합고정대의 일면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중공형관에 있어서, 경사부의 일면으로부터 중공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외부 굴절판홈이 형성되는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각도조절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수축지지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a는 수축지지대가 수축되기 전의 각도조절웰이며, b는 수축지지대가 수축함에 따라 각도조절웰 출구가 좁아지는 세포배양 각도조절웰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중공형관의 변형되는 실시형태의 a, b, c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수축지지대가 굴절각도에 따라 세포배양용액의 크기가 달라지는 a, b 및 c 형태의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세포수용부(20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삽입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외부굴절판(330)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로를 조절함으로써, 현적 배양(hanging drop)의 크기 및 지름을 조절하는 세포 배양 웰 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세포 배양 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포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세포수용부가 모두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3의 세포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세포 배양 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세포수용부에 각도조절웰이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지지대가 결합고정대의 일면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중공형관에 있어서, 경사부의 일면으로부터 중공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외부 굴절판홈이 형성되는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각도조절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수축지지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a는 수축지지대가 수축되기 전의 각도조절웰이며, b는 수축지지대가 수축함에 따라 각도조절웰 출구가 좁아지는 세포배양 각도조절웰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중공형관의 변형되는 실시형태의 a, b, c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에서, 수축지지대가 굴절각도에 따라 세포배양용액의 크기가 달라지는 a, b 및 c 형태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웰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세포 배양 웰플레이트(10)는, 일면으로부터 반대 일면까지 연장되는 웰(20)이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웰(20)은 8×8 형태 또는 8×16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웰(20)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웰(20)의 내측면에는 웰내측면(11)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웰내측면(11)은 도 1과 같이 웰(20)의 내부 길이방향으로 관통관이 형성되다 일정 부분에서 경사진 형태를 갖게된다. 이후, 상기 웰(20)의 일측 보다 좁은 관통관을 갖게된다.
한편, 상기 웰(20)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스포이드 또는 피펫을 삽입하여 세포배양 용액을 웰(20)의 내부에 인입시키면 웰내측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포배양용액이 이동하게된다. 이후, 상기 웰내측면(11)과 인접한 저면에 세포배양 용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된다.
즉, 웰(20) 하부에 맺힌 세포배양 용액은, 도 1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웰(20) 모두에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 경사를 갖는 웰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포 배양 웰플레이트(10)는, 일면으로부터 반대 일면까지 연장되는 웰(20)이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웰(20)은 8×8 형태 또는 8×16 형태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웰(20)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웰(20)은, 일측이 넓은 관통관으로 형성되다 일정한 부분으로 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웰경사부(1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웰경사부(12)는, 경사가 끝나는 일측면에 세포배양 용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된다. 이때, 세포배양 용액은 웰경사부(12)와 인접한 부분이 중심방향으로 곡선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 개의 웰(20)에 형성되는 웰경사부(12)는 도 3과 같이 모두 다른 각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웰경사부(12)와 인접한 세포배양 용액의 지름이 모두 다른 지름을 갖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3. 세포 배양 웰 툴
도 5 내지 도 6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웰 툴은 플레이트부(100), 세포수용부(200) 및 세포배양 각도조절웰(30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00)는 도 5과 같이 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세포수용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세포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으로부터 반대 일측면까지 관통된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100)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세포배출구(210)를 갖는다.
따라서, 세포배출구(210)는 플레이트부(100)와 결합되는 세포수용부(200)의 관통구 보다 좁은 관통구를 가지며, 이러한 세포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00)에 복수 개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세포수용부(200)의 내부에 결합되는 세포배양 각도조절웰(300)은 도 6 내지 11를 참조하여 서술하며,
상기 각도조절웰(300)은, 중공형관(310), 결합고정대(320), 외부 굴절판(330) 및 수축지지대(340)를 포함하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관(310)은 도 12과 같이 실시 형태에 따라 변형 될 수 있다.
a, b 및 c 형태의 중공형관(310)은 외부는 세포배출구(2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중공형관(310)의 예시 형태로 a는 사각형으로 중공형관(31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사각형 형태의 관통관이 형성되며, 중공형관(310)의 b의 예시 형태는 내부가 세포배출구(210)와 인접한 일측으로부터 반대 일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관통구를 형성된다. 그리고 중공형관(310)의 c 예시 형태는 세포배출구(210)와 인접한 선상의 일측면으로부터 반대 일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도시에는 기재되어있지 않지만 기본 형태로는 중공관(31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동일한 넓이로 관통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중공형관(310)은 세포배출구(210)와 맞닿는 상측면 외주연에 고무링(311)이 형성된다. 상기 세포수용부(200) 내부에 세포 배양용액을 인입하게 되면중공형관(310)과 세포배출구(210) 사이로 세포 용액이 세어나올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 또는 고무형태의 링이 형성됨으로서 중공형관(310)과 세포배출구(210) 사이틈을 막도록 구성된다.
이때, 중공형관(310)과 세포배출구(210)이 고무링(311)에 의해 서로 맞닿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중공형관(310)을 인위적으로 세포수용부(200)의 외부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중공형관(310)과 세포수용부(200)를 억지끼움 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세포수용부(200)에 삽입한 배양용액이 중공형관(310)의 관통구 방향으로 잘 흐를 수 있도록 고무링(311)과 인접한 중공형관(310)의 상측면에 경사부(312)가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312)는 중공형관(310)의 중심인 중공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부(312)의 상측면에는 외부 굴절판홈(314)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굴절판홈(314)은, 상기 경사부(312)의 상측면 중 후술될 결합고정대(320)와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 굴절판홈(314)은 상기 중공형관(310)의 중심과 인접한 경사부(312)의 상측면으로부터 중공형관(310)의 저면까지 관통된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외부 굴절판홈(314)은, 2개의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굴절판홈(314)의 길이 방향으로 외부 굴절판(330)이 결합되어진다.
한편, 중공형관(310)은 관통구와 인접한 내측면이 후술될 외부 굴절판(330)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내측벽(3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중공형관(310)은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등으로 구성됨에 따라 탄성을 가지며 모양이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벽(313)과 외부 굴절판(330)은 후술하도록 한다.
먼저 결합고정대(320)는, 고무링(311)과 인접한 경사부(312)의 상측면 2개가 결합되어 진다. 이때, 결합고정대(320)는 결합고정대(320)의 일측에 토션스프링의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다른 단부도 중공형관(310)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은, 고무링(311)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서로 마주하는 동일한 선상에 결합되며, 세포수용부(200)의 내부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돌출되되,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고정대(320)는, 경사부(312)와 인접한 일측면으로부터 반대 일측면까지 관통된 관통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321)은, 도 6과 같이 1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에 원형 또는 타원 형태로 관통된 홈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홈(321)은, 세포수용부(200)에 각도조절웰(300)이 결합되게 되면, 세포배양 용액이 결합고정대(320)에 의해 중공형관(300)의 관통관 방향으로 움직이기 힘들기 때문에 관통홈(321)을 통해 중공형관(300)의 관통관 방향으로 원할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홈(321)에 지지대(331)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고정대(320)는, 고무링(311)과 인접한 반대 일측면에 수축지지대(340) 및 지지대(331)가 결합되며 상기 수축지지대와 지지대(331)의 상측면에 외부 굴절판(330)이 결합되어진다.
먼저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은, 내측벽(313)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후술될 지지대(331)까지 연장되되,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지지대(331)로부터 후술될 수축지지대(34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는 판 형태를 갖는다.
즉, 외부 굴절판(330)은 도 7과 같이 지지대(331)와 맞닿는 부분으로부터 내측벽(313)이 맞닿는 부분까지 소정의 각도로 굴절되어진다.
상기 지지대(331)는 도 9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하면,
상기 지지대(331)는 경사부(312)와 인접한 일측면이 결합고정대(32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31)의 반대 일측면에는 외부 굴절판(330)과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지지대(331)는 힌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31)는, 결합고정대(320)에 형성되는 관통홈(321) 또는 후술될 외부 굴절판(330)이 굴절되는 부분과 인접한 결합고정대(320)의 일면에 관통된 홈을 형성하여 지지대(331)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321)과 상기 외부 굴절판(330)이 굴절되는 부분과 맞닿는 결합고정대(320)의 일면은 동일한 관통홈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시 형태에 따라 둘중 어느 하나에 지지대(33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관통홈(321)을 통해 지지대(331)를 서술하도록 하면,
상기 관통홈(321)에 지지대(331)가 결합될 경우, 상기 지지대(331)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32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지지대(331)가 축을 이동하여 결합되어진다. 이후, 상기 지지대(331)는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31)는 후술될 외부 굴절판(330)과 맞닿아 구동될 수 있도록 관통홈(321) 보다 넓은 직경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고정대(32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지대(331)로부터 반대 일측에 수축지지대(340)가 결합되고, 상기 수축지지대(340)는, 결합고정대(320)의 일측면으로부터 외부 굴절판(330)까지 연장되는 자바라 형태 또는, 힘을 가하면 변형이 이루어지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축지지대(340)는 지지대의 외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단층이 형성되며, 상기 단층은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단층은 도 10에서 본 측면에서는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되지만 실시 형태는 저면이 넓은 면으로 구성되고 상측면은 저면보다 좁은 면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단층의 상측면에는 돌출결합부(342)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결합부(342)는 단층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후술될 결합홈(341)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결합홈(341)은, 단층의 저면에 일정한 홈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홈(341)은 돌출결합부(342)의 길이와 동일한 형태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41)와 돌출결합부(342)는, 수축지지대(340)가 일방향으로 수축되면 단층과 단층이 서로 맞닿으며 돌출결합부(342)가 결합홈(341)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돌출결합부(342)와 결합홈(341)의 결합은, 후술될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이 내측벽(313)의 일면을 가압할 경우, 상기 내측벽(313)의 탄성에 의해 외부 굴절판(330)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돌출결합부(342)와 결합홈(341)이 완전히 결합되어야 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중공형관(310)의 중심에 관통된 관통관의 지름이 좁아지는 것을 서술하도록 하면,
상기 중공형관(310)의 관통관 부분은, 중공형관(310)의 외부에 돌출되어진 외부 굴절판(330)의 일면을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수축지지대(340)의 단층이 일방향으로 결합되게된다. 이때, 수축지지대(340)에 형성되는 단층이 1단씩 결합되면 외부 굴절판(330)은 지지대(331)에 의해 내측벽(313)과 인접한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은 내측벽(313)의 일측만 가압하도록 구성되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외부 굴절판(330)과 내측벽(313) 사이에 내측벽(313)을 감싸는 판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판은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이 판을 가압함으로써, 내측벽(313) 전면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굴절판(330)의 굴절부위의 각도에 따라 수축지지대(340)에 결합된 단층을 모두 결합하거나 또는 단층 모두를 결합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내측벽(313)과 인접한 일단이 내측벽(313)과 맞닿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축지지대(340)는 실시 형태에 따라 단층 모두가 결합되지 않고 몇개의 단층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축지지대(340)의 단층이 모두 결합되면, 외부 굴절판(330)이 파손되거나 또는, 외부 굴절판(330)이 내측벽(313)의 상측 부분을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수축지지대(340)의 단층은 모두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축지지대(340)의 각도를 달리하게 되면 외부 굴절판(330)이 파손되지 않고 수축지지대(340)에 결합된 단층 모두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축지지대(340)의 굴절되는 단층이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a, b 및 c 실시예를 도 13을 참조하여 서술 하도록 하면,
a 형태는 좌측과 우측에 놓인 수축지지대(340)를 끝까지 눌러 단이 모두 접히도록 구성되고, b의 형태는 좌측 수축지지대(340)는 반만 누른 상태이고 우축 수축지지대는 누르지 않은 상태로 구성되며, c의 형태는 좌측 수축지지대(340)를 끝까지 누른 상태이고 우측 수축지지대(340)는 누르지 않은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a 형태는 수축지지대(340)가 완전히 접힘에 따라 내측벽(313)의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내측벽(313)의 하부 외주면과 인접한 세포배양 용액의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b 형태는 수축지지대(340)가 4/2 정도만 접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내측벽(313)의 하부 외주면과 인접한 세포배양 용액의 지름이 a 형태 물방울 지름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며, c 형태는, 2개의 수축지지대(340) 중 1개의 수축지지대(340)만 완전히 접히도록 구성됨에 따라 b 형태의 물방울 지름에 비해 작은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수축지지대(340)의 단층을 접을 수록 물방울의 지름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도조절웰(300)을 세포수용부(200)의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원하는 세포수용부(200)를 선택하거나 또는 모든 세포수용부(200)의 세포배양 용액의 지름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100 : 플레이트부
200 : 세포수용부
210 : 세포배출구
300 : 각도조절웰
310 : 중공형관
311 : 고무링
312 : 경사부
313 : 내측벽
314 : 외부 굴저판홈
320 : 결합고정대
321 : 관통홈
330 : 외부 굴절판
331 : 지지대
340 : 수축지지대
341 : 결합홈
342 : 돌출결합부

Claims (9)

  1. 세포 배양 웰 툴에 있어서,
    플레이트부(100)는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까지 연통관 형태로 연장되는 세포세포수용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수용부(200)는,
    플레이트부(10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 일측면에 세포배출구(210)가 형성 되되,
    상기 세포배출구(210)는, 세포수용부(200) 보다 좁은 구 형태로 내부가 관통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세포배출구(210) 방향으로 세포수용부(200) 내부에 각도조절웰(300)이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웰(300)은,
    세포배출구(210)의 일측면에 맞닿는 중공형관(310);
    상기 중공형관(310)은, 상측면 외주연에 링형태로 결합되는 고무링(311);
    상기 중공형관(310)은, 고무링(311)이 형성되는 상측면으로부터 관통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탱의 경사부(312); 및
    상기 중공형관(310)은, 중심이 관통된 관통관의 내주연이 변형이 이루어지는 내측벽(3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관(310)은,
    고무링(311)과 인접한 경사부(312)의 상측면에 결합고정대(320)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세포수용부(200)의 내측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돌출된 판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서로 마주하는 경사부(312)의 상측면에 2개가 1쌍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대(320)는,
    외부 굴절판(330)이 굴절되는 일측과 인접한 결합고정대(320)의 일면에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의 내부 양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지지대(33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31)는 가이드 홈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31)와 대응되는 결합고정대(320)의 상측면에 수축지지대(340)가 결합되고,
    상기 수축지지대(340)로부터 지지대(331) 및 내측벽(313)의 일면까지 연장되는 외부 굴절판(33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고정대(320)의 일측에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중공형관(3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고무링(311)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축지지대(340)는,
    결합고정대(320)의 일측면으로 부터 외부 굴절판(330)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는 지지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외주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층이 형성되고, 상기 단층의 상측면에는 돌출결합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단층의 저면에는 상측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결합홈(3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층은,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단층과 단층이 결합되되, 상기 단층의 상측면에 결합된 돌출결합부(342)는 상기 단층보다 위에 있는 단층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34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31)는,
    결합고정대(320)로부터 외부 굴절판(330) 사이에 힌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내측벽(313)의 내측면으로부터 지지대(331)까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굴절판(330)은 단층이 1단씩 결합됨에 따라 결합고정대(320)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록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측벽(313)과 맞닿는 외부 굴절판(330)의 일단이 내측벽(313)을 가압하여 내측벽(313)의 지름을 점점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웰 툴.
KR1020180027688A 2018-03-08 2018-03-08 세포 배양 웰 툴 KR10202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88A KR102021230B1 (ko) 2018-03-08 2018-03-08 세포 배양 웰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88A KR102021230B1 (ko) 2018-03-08 2018-03-08 세포 배양 웰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230B1 true KR102021230B1 (ko) 2019-11-04

Family

ID=6857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88A KR102021230B1 (ko) 2018-03-08 2018-03-08 세포 배양 웰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938A (ko) 2011-09-27 2013-04-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세포 배양 용구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3차원 배양 방법
KR20130113763A (ko) 2012-04-06 2013-10-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배양용 용기
KR20150051199A (ko) 2015-04-15 2015-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판
US20170253844A1 (en) * 2016-03-04 2017-09-07 Corning Incorporated Bowl shaped microwe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938A (ko) 2011-09-27 2013-04-0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세포 배양 용구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3차원 배양 방법
KR20130113763A (ko) 2012-04-06 2013-10-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배양용 용기
KR20150051199A (ko) 2015-04-15 2015-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판
US20170253844A1 (en) * 2016-03-04 2017-09-07 Corning Incorporated Bowl shaped microw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26B1 (ko) 표면장력을 이용한 반구형 마이크로웰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집합체의 형성
KR102353140B1 (ko) 배양용기
KR101718920B1 (ko) 다각형 마이크로 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집합체의 배양방법
US20140093953A1 (en) Non-adherent cell support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50284668A1 (en) Cyclic Microfluidic Chi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08834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a material
CN101827931A (zh) 用于可准确控制的细胞培养的微流体芯片
KR102237426B1 (ko) 표준형 오가노이드 제조방법
US10106768B2 (en) Micro cell culturing device
CN104073436A (zh) 细胞培养装置、细胞培养系统以及细胞培养方法
CN104114692A (zh) 形成物体的多层聚集体的方法
KR101201939B1 (ko) 마이크로유체 어레이 플랫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095526A1 (en) Production of cellular spheroids
KR102021230B1 (ko) 세포 배양 웰 툴
JP2021506319A (ja) ヒドロゲル型の生体機能チップ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
KR101287690B1 (ko) 미세유체 소자를 이용한 세포손상 모델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손상 모델링 방법
KR100936276B1 (ko) 미세유체제어기술 기반으로 난관의 물리적 특징 및 생물적특징을 모방한 수정란 및 난자 배양 시스템
US1149913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ell culture
TW201718846A (zh) 單細胞擷取與培養之裝置與方法,及從該裝置轉移並釋放細胞群落之方法
KR101471928B1 (ko) 세포 배양용 용기
EP2811013A1 (en) Hanging network plate
JP2023538208A (ja) 標準型オルガノイドの作製方法
CN209120772U (zh) 用于花盆的防溢水装置
JP2020014456A (ja) 培養膜及び培養皿
KR101401781B1 (ko) 세포 배양 및 응용연구를 위한 미세 관류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