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449B1 - 기저막 전사장치 - Google Patents

기저막 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449B1
KR102020449B1 KR1020170176093A KR20170176093A KR102020449B1 KR 102020449 B1 KR102020449 B1 KR 102020449B1 KR 1020170176093 A KR1020170176093 A KR 1020170176093A KR 20170176093 A KR20170176093 A KR 20170176093A KR 102020449 B1 KR102020449 B1 KR 10202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supporter
rotating drum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612A (ko
Inventor
김동성
박상민
엄성수
고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4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233 priority patent/WO2019124969A1/ko
Publication of KR2019007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은 기저막을 형성하는 분사용액을 토출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멀티노즐부, 상기 멀티노즐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멀티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막 형태의 기저막으로 형성되면, 상기 기저막을 개방된 개구면 상으로 집적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는 상기 기저막 형성유닛 및 유체채널이 형성된 채널층이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채널층이 부착된 일면이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기저막에 대면하게 상기 회전드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터부를 상기 기저막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시키는 전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저막 전사장치{Basement membrane atta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저막 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물 스크리닝 및 동물 실험 대체 가능성을 가지는 장기칩(Organ on a chip) 개발에 있어 인공기저막의 역할은 인공 장기의 기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인체 내 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기저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나노섬유 인공기저막의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나노섬유 인공기저막의 경우 생산성이 좋지 않아 경제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개별적인 인공기저막의 형성 후에 장치집체 배치하기 위한 작업이 별도로 진행됨에 따라 복수의 장기칩 제조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막 형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출원 번호 제1995-092154호
본 발명은 기저막의 생산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저막 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산된 기저막을 용이하게 채널층에 전사시킬 수 있는 기저막 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은 기저막을 형성하는 분사용액을 토출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멀티노즐부, 상기 멀티노즐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멀티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막 형태의 기저막으로 형성되면, 상기 기저막을 개방된 개구면 상으로 집적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의 상기 회전드럼부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재 및 상기 멀티노즐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휠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휠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프레임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의 상기 바프레임은, 상기 휠프레임 에지 부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다른 연결바와의 사이에 상기 기저막이 밀착되어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는 상기 기저막 형성유닛 및 유체채널이 형성된 채널층이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채널층이 부착된 일면이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기저막에 대면하게 상기 회전드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터부를 상기 기저막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시키는 전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휠프레임은, 상기 채널층이 부착된 상기 서포터부의 채널부착판보다 큰 폭으로 제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막이 집적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채널부착판보다 작은 폭으로 제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연통홀은, 상기 삽입홀에서 상기 기저막이 집적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삽입홀은, 상기 휠프레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채널부착판의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그립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탭과 연계되어 상기 그립탭을 하방으로 당기게 구비되어, 상기 채널층과 상기 기저막을 밀착시키면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서포터부를 하방으로 이탈시키는 풀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풀링부는, 상기 그립탭이 걸리게 구비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채널부착판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구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터부가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하방 이탈되면 상기 채널부착판을 수용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판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립탭이 걸리게 구비되는 걸림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저막 전사장치는 기저막의 생산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기저막 전사장치는 생산된 기저막을 용이하게 채널층에 전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에서 기저막이 집적된 회전드럼부의 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에서 기저막이 집적된 회전드럼부의 프레임부재에 서포터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에서 기저막이 집적된 회전드럼부의 프레임부재에 십입된 서포터부를 이탈시키면서 채널층에 기저막을 전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에서 프레임부재의 휠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휠프레임의 연통홀 부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저막 전사장치에서 풀링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저막 형성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저막(m)의 생산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 생산된 기저막(m)을 용이하게 채널층(c)에 전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는 실제 인체 내 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콜라겐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박막 형태의 기저막(m)과 같이, 여러 조직 간의 물질 이동을 원활히 하면서 다종의 세포가 분리 될 수 있는 물리적 장벽 역할 또한 수행하는 과정을 모사하는 인공기저막(m)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섬유 인공기저막(m)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기저막 형성유닛(100)은 멀티노즐부(110), 회전드럼부(1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멀티노즐부(110)는 여러 개의 분사노즐(111)에서 동시에 고분자 용액을 토출시키며, 상기 회전드럼부(120)는 다수의 바프레임(124)이 휠프레임(123)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드럼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재(122)를 회전구동부재(121)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프레임부재(122)의 회전에 의해서 연속적인 기저막(m)의 집적을 가능하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에서 기저막(m)이 집적된 회전드럼부(120)의 프레임부재(12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100)은 기저막(m)을 형성하는 분사용액을 토출하는 복수의 분사노즐(111)이 구비되는 멀티노즐부(110), 상기 멀티노즐부(110)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멀티노즐부(110)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막 형태의 기저막(m)으로 형성되면, 상기 기저막(m)을 개방된 개구면 상으로 집적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노즐부(110)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111)에서 기저막(m)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용액 등의 분사용액을 분사하게 구성하여, 복수의 상기 분사노즐(111)의 배치 폭에 대응하는 폭의 기저막(m)을 형성하면서 분사용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드럼부(120)는 상기 멀티노즐부(110)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에 의해서 기저막(m)이 형성되면, 이를 회전하면서 외면에 부착하여 집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막 형태의 상기 기저막(m)이 상기 회전드럼부(12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드럼부(120)에 집적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드럼부(120)는 회전구동부재(121), 프레임부재(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100)의 상기 회전드럼부(120)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재(121) 및 상기 멀티노즐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재(121)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휠프레임(123)과, 한 쌍의 상기 휠프레임(123)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프레임(124)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재(121)는 상기 프레임부재(122)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구동부재(121)는 회전모터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휠프레임(123) 등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22)는 상기 회전구동부재(1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재(122)에는 상기 멀티노즐부(110)에서 분사된 분사용액에 의해서 형성되는 기저막(m)이 집적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프레임부재(122)는 휠프레임(123), 바프레임(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휠프레임(123)은 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프레임(124)은 상기 휠프레임(123)에 결합되는 바 형태의 구성으로, 상기 휠프레임(123)의 외측의 외주 부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휠프레임(123)은 상기 바프레임(124)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이 구성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부재(122)는 상기 휠프레임(123), 바프레임(124)에 의해서 개구된 개방면이 형성된 다각기둥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형성유닛(100)의 상기 바프레임(124)은, 상기 휠프레임(123) 에지 부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다른 연결바와의 사이에 상기 기저막(m)이 밀착되어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휠프레임(123)과 상기 바프레임(124)은 다각기둥의 뼈대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프레임부재(122)의 뼈대 외측에 상기 기저막(m)이 집적되면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휠프레임(123)에 상기 바프레임(124)이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휠프레임(123)에는 바결합홀(12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결합홀(123c)은 상기 바프레임(124)을 상기 휠프레임(123)의 에지 부분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휠프레임(123)의 에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저막(m)은 반투명 막으로 형성되므로 내측의 뼈대인 상기 바프레임(124)이 비쳐서 일부 형태가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에서 기저막(m)이 집적된 회전드럼부(120)의 프레임부재(122)에 서포터부(210)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에서 기저막(m)이 집적된 회전드럼부(120)의 프레임부재(122)에 십입된 서포터부(210)를 이탈시키면서 채널층(c)에 기저막(m)을 전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는 상기 기저막 형성유닛(100) 및 유체채널이 형성된 채널층(c)이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채널층(c)이 부착된 일면이 상기 회전드럼부(120)에 형성된 기저막(m)에 대면하게 상기 회전드럼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기저막(m)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회전드럼부(120)에 형성된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시키는 전사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사유닛(200)은 상기 채널층(c)에 상기 기저막(m)을 전사하기 위해서, 상기 채널층(c)이 부착된 서포터부(210)를 상기 기저막(m)이 집적된 상기 회전드럼부(120)의 프레임부재(122) 내측으로 삽입하고, 이를 다시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형성된 개구면 상으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기저면을 상기 채널층(c)에 밀착되게 찢으면서 이탈시키게 된다.
이는 도 3, 4를 참조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기저막(m)이 집적된 상기 프레임부재(122) 내측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삽입된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형성된 개구면 상으로 이탈시켜 전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부(210)가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휠프레임(123)에 형성된 삽입홀(123a)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바프레임(124) 사이의 개구면 방향으로 이탈되게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서포터부(210)는 상기 채널층(c)이 부착되는 채널부착판(211)과 이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그립탭(212)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서포터부(210)는, 상기 채널부착판(211)의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123b)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그립탭(2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그립탭(212)의 폭을 상기 채널부착판(211)보다 더 좁게 형성한 것은, 상기 휠프레임(123)에 형성된 연통홀(123b)을 통하여 상기 채널부착판(211)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상기 그립탭(212)은 통과하게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서포터부(210)는 상기 채널부착판(211)이 상기 삽입홀(123a)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22)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야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채널부착판(211)은 상기 연통홀(123b)보다 폭이 넓어서 상기 연통홀(123b)을 통하여 이탈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되지도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채널부착판(211)이 상기 프레임부재(122)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연통홀(123b)에 상기 그립탭(212)이 배치되면, 상기 그립탭(212)은 상기 연통홀(123b)을 통하여 이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그립탭(212)은 상기 연통홀(123b)로 이탈되고, 상기 채널부착판(211)은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삽입하고 이탈시켜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풀링부(220)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풀링부(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저막 형성유닛(100)에서 프레임부재(122)의 휠프레임(123)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휠프레임(123)은, 상기 채널층(c)이 부착된 상기 서포터부(210)의 채널부착판(211)보다 큰 폭으로 제공되는 삽입홀(123a)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막(m)이 집적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삽입홀(123a)과 연결되며 상기 채널부착판(211)보다 작은 폭으로 제공되는 연통홀(12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부착판(211)이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123a)과 연통홀(123b)의 폭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상기 채널부착판(211)에 부착된 채널층(c)의 전체에 상기 기저막(m)이 전사된 상태로 부착되는 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삽입홀(123a)은, 상기 휠프레임(123)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홀(123a)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기저막(m)이 집적된 개구면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2)는 다각 기둥 형태로써, 각각의 평행 면을 형성하는 측면에는 각각 서포터부(210)가 삽입되어 각각의 측면에 집적된 기저막(m)에 밀착되면서 이탈(즉, 상기 기저막(m)을 찢으면서 이탈됨)되어 기저막(m)이 상기 서포터부(210)에 부착된 채널층(c)에 전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포터부(210)에 기저막(m)을 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저막(m)의 생산 및 전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에서 휠프레임(123)의 연통홀(123b) 부분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연통홀(123b)은, 상기 삽입홀(123a)에서 상기 기저막(m)이 집적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통홀(123b)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되면, 상기 삽입홀(123a)에서 상기 연통홀(123b)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탈하는 상기 서포터부(210)의 그립탭(212)이 상기 연통홀(123b)에 의해서 이탈 방향이 가이드되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포터부(210)에 부착된 채널층(c)에 상기 기저막(m)을 안정적으로 전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저막 전사장치에서 풀링부(2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전사유닛(200)은,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탭(212)과 연계되어 상기 그립탭(212)을 하방으로 당기게 구비되어, 상기 채널층(c)과 상기 기저막(m)을 밀착시키면서 상기 연통홀(123b)을 통하여 상기 서포터부(210)를 하방으로 이탈시키는 풀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삽입된 상기 서포터부(210)를 이탈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풀링부(220)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삽입된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풀링부(220)가 아래로 잡아당기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서포터부(210)에 상기 기저막(m)을 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풀링부(220)는, 후크부재(221), 상하구동부재(2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풀링부(220)는, 상기 그립탭(212)이 걸리게 구비되는 후크부재(221) 및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재(221)와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재(2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221)는 상기 그립탭(212)과 연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상하구동부재(222)는 상기 후크부재(221)가 상기 그립탭(212)에 연결되면, 상기 후크부재(221)를 아래로 잡아당겨서 상기 서포터부(210)를 상기 프레임부재(122)에서 이탈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재(221)가 상기 그립탭(212)과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후크부재(221)는 걸림탭(22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부(210)가 상기 프레임부재(122)에서 이탈되면 이탈된 상기 서포터부(210)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후크부재(221)는 수용판(221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막 전사장치의 상기 후크부재(221)는, 상기 채널부착판(21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구동부재(222)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터부(210)가 상기 연통홀(123b)을 통하여 하방 이탈되면 상기 채널부착판(211)을 수용하는 수용판(221a) 및 상기 수용판(221a)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립탭(212)이 걸리게 구비되는 걸림탭(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탭(221b)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프레임부재(122)에 삽입된 상기 서포터부(210)의 그립탭(212)이 상기 걸림탭(221b)의 상하부의 돌출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탭(212)의 위치 변경은 상기 회전구동부재(121)가 상기 프레임부재(122)를 휠프레임(123)을 회전함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용판(221a)은 상기 걸림탭(221b)에 걸려진 상기 그립탭(212)이 상기 상하구동부재(222)에 의해서 아래 방향으로 당겨져서 상기 서포터부(210)가 상기 프레임부재(122)에서 이탈되면, 이러한 서포터부(21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용판(221a)의 양단부에 상기 걸림탭(221b)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판(221a)은 판재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구동부재(222)는 상기 후크부재(2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후크부재(221)에 상기 그립탭(212)이 걸려지면 상기 후크부재(221)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상기 그립탭(212) 및 이와 연결된 채널부착판(211)을 상기 프레임부재(122)의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면에 집적된 기저막(m)이 상기 채널부착판(211)에 부착된 채널층(c) 상에 전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하구동부재(222)의 구성은 상기 후크부재(22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상하구동부재(222)가 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재(221)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홀과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봉이 회전하게 결합되는 회전모터 및 상기 후크부재(22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23)는 상기 후크부재(221)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가이드하고, 상기 후크부재(221)의 회전 이동은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후크부재(221)의 외측 에지 부분과 연계되는 상하 긴 홀이 형성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기저막 형성유닛 110: 멀티노즐부
111: 분사노즐 120: 회전드럼부
121: 회전구동부재 122: 프레임부재
123: 휠프레임 124: 바프레임
200: 전사유닛 210: 서포터부
211: 채널부착판 212: 그립탭
220: 풀링부 221: 후크부재
222: 상하구동부재 223: 가이드부재

Claims (11)

  1. 기저막을 형성하는 분사용액을 토출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멀티노즐부; 상기 멀티노즐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멀티노즐부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막 형태의 기저막으로 형성되면, 상기 기저막을 개방된 개구면 상으로 집적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부;를 포함하는 기저막 형성유닛; 및
    유체채널이 형성된 채널층이 일면에 부착되며, 상기 채널층이 부착된 일면이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기저막에 대면하게 상기 회전드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포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포터부를 상기 기저막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회전드럼부에 형성된 개구면을 통하여 이탈시키는 전사유닛;
    을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부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재; 및
    상기 멀티노즐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구동부재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휠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휠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바프레임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재;
    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프레임은, 상기 휠프레임 에지 부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다른 연결바와의 사이에 상기 기저막이 밀착되어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프레임은, 상기 채널층이 부착된 상기 서포터부의 채널부착판보다 큰 폭으로 제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저막이 집적된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채널부착판보다 작은 폭으로 제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삽입홀에서 상기 기저막이 집적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휠프레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상기 채널부착판의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그립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탭과 연계되어 상기 그립탭을 하방으로 당기게 구비되어, 상기 채널층과 상기 기저막을 밀착시키면서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서포터부를 하방으로 이탈시키는 풀링부;
    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부는,
    상기 그립탭이 걸리게 구비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채널부착판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상하구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서포터부가 상기 연통홀을 통하여 하방 이탈되면 상기 채널부착판을 수용하는 수용판; 및
    상기 수용판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립탭이 걸리게 구비되는 걸림탭;
    을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KR1020170176093A 2017-12-20 2017-12-20 기저막 전사장치 KR10202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93A KR102020449B1 (ko) 2017-12-20 2017-12-20 기저막 전사장치
PCT/KR2018/016233 WO2019124969A1 (ko) 2017-12-20 2018-12-19 기저막 형성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저막 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093A KR102020449B1 (ko) 2017-12-20 2017-12-20 기저막 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12A KR20190074612A (ko) 2019-06-28
KR102020449B1 true KR102020449B1 (ko) 2019-09-10

Family

ID=6699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093A KR102020449B1 (ko) 2017-12-20 2017-12-20 기저막 전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0449B1 (ko)
WO (1) WO2019124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1144A (zh) * 2020-08-15 2020-11-13 哈尔滨学院 一种基于bim的消防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59B1 (ko) * 2011-10-11 2013-05-06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방사 장치, 전기방사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정렬된 나노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154A (ja) 1993-09-24 1995-04-07 Shimadzu Corp 農産物中のグリホサート分析方法
GB0026950D0 (en) * 2000-11-03 2000-12-20 Eastman Kodak Co Processing photographic material
KR101165721B1 (ko) * 2010-05-10 2012-07-18 아주하이텍(주) 드럼 외주면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노광장치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101357483B1 (ko) * 2012-03-20 2014-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방사 및 정전기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한 혼합 코팅 장치
KR101555887B1 (ko) * 2013-04-22 2015-09-30 엠투테크 주식회사 경사형 멤브레인 제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59B1 (ko) * 2011-10-11 2013-05-06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방사 장치, 전기방사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정렬된 나노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969A1 (ko) 2019-06-27
KR20190074612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392995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olieren Glassubstrats
KR102020449B1 (ko) 기저막 전사장치
DE50313356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hlfaser-Spinndüse
US20170172353A1 (en) Positioning system for seat of a bathing chair
EP2545837A1 (de) Reinigungssystem mit Schleuderkorb
CN105278047B (zh) 光纤连接器
EP2653303A1 (de) Schutzfolie zum Aufbringen auf ein Display und Set zum Aufbringen einer Schutzfolie auf ein Display
CN100421814C (zh) 淋浴喷头卷拉装置
DE102016115731A1 (de) Saugvorrichtung zum Einsaugen eines Fadenendes eines auf einer Auflaufspule aufgespulten Fadens und Verfahren zum sensorischen Überwachen eines Saugkanalabschnitts der Saugvorrichtung
CN208072012U (zh) 一种洗衣筒可拆卸滚筒洗衣机
JP2014051837A (ja) ケーシングチャック機構
CN205821307U (zh) 一种振荡培养箱
CN214398906U (zh) 一种液晶屏清洗机用物料驱动装置
DE102018112081A1 (de)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axialen Position eines Rotorantriebs, Rotorspinnvorrichtung, Spinnmaschine sowie Einstelllehre und Sensor
CN212226303U (zh) 一种临床用手术设备进水接头
CN204151548U (zh) 纺织用固定装置
CN107591094B (zh) 一种led显示屏套件
DE102020200926A1 (de) Sensormodul und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mit diesem
KR101511000B1 (ko) 중공원사 제조장치
KR200401997Y1 (ko) 비닐하우스용 약액호스 안내로울러
JP5408755B2 (ja) 農薬散布用ホース案内具
CN218140038U (zh) 一种棉花纺织压棉装置
KR200465297Y1 (ko) 방충망 보수재
DE60310110T2 (de) Kassette für scheibenförmige optische aufzeichnungsmedien
CN206427849U (zh) 一种纤丝过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