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65B1 -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65B1
KR102019865B1 KR1020170183001A KR20170183001A KR102019865B1 KR 102019865 B1 KR102019865 B1 KR 102019865B1 KR 1020170183001 A KR1020170183001 A KR 1020170183001A KR 20170183001 A KR20170183001 A KR 20170183001A KR 102019865 B1 KR102019865 B1 KR 102019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ixing
rotating jig
b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511A (ko
Inventor
이대금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엠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엠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엠에프
Priority to KR102017018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8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반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거치대의 각 거치 공간의 바닥면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삽입시 그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양 측면과 맞닿아 회전되면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지지 고정하는 회동지그;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제작이 간단함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Diaphragm fixing device of diaphragm prop}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반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은 물, 가스, 증기 등의 유체를 노즐로 내뿜게 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 원동기로 유체의 종류에 따라 증기터빈, 가스터빈, 수력터빈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터빈은 고압, 중압, 저압의 삼압 차실로 구성되고, 발전기가 동일 축 선상에 유압커플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빈의 회전날개(bucket)의 사이에 장착되어 터빈 각단의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한 격판으로서, 상기 회전날개의 열과 함께 단을 형성하고, 각 단의 기밀을 유지하는 다이아프램이 구성된다.
이러한 다이아프램은 내,외부링 사이에 고정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한 열로 상,하부로 이루어진 2 분할된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다이아프램은 정비 공정인 분해, 조립 및 샌드 블라스팅, 비파괴 검사 등의 공정 시, 상기 다이아프램을 상,하부로 2 분할하여 이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정비 공정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하부 다이아프램은 분해상태, 즉 'U'자 형상 그대로 거치대에 내려놓아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한 정비 공정을 수행하며, 상부 다이아프램 또한 거치대에 올려놓고 상기한 정비 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이아프램 거치대는 대부분이 하나의 다아이프램을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정비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개를 동시에 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대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81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정비 점검시 다이아프램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게 상자형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 양측에 와이어로프 고정 플레이트와, 각각의 패드가 구비된 지지대와 좌대로 구성되는 증기터빈의 다이아프램 정비 작업대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868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을 분해 상태 그대로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사각 프레임과, 그 내부에 모서리에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다이아프램의 분할면에 결합 고정되는 체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터빈용 상부 다이아프램의 거치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89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의 형태나 크기에 맞추어 사전에 조절하여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고 거치시 중심이 맞지 않더라도 거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갖도록 고정프레임과, 가변 측방고정대, 가변 하부받침고정대, 수평연장고정부재, 측방아암부재, 외받침 및 양받침대를 포함하는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가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638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정밀한 크레인의 위치 선정 없이도 안착이 가능하며, 상부 다이아프램의 거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 가이드바, 스탠드블럭, 안내블럭 등을 포함하는 터빈용 상부 다이어프램 거치대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8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68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18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6381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에 있어,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을 거치시켜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짐은 물론 그로 인해 거치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반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다이아프램 거치시 그 다이아프램과 접촉되는 면에 스크레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의 높이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거치대를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동 후 정위치에 고정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각 다이이프램의 직경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바닥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의 세로대와 가로대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복수 개의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을 구획시켜 거치할 수 있는 각각의 거치 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대에서 상기 각 거치 공간으로는 거치되는 각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아이프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각 거치 공간의 바닥면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삽입시 그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양 측면과 맞닿아 회전되면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지지 고정하는 회동지그;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지그는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글 자음의 기억 자 또는 디귿 자 형태의 앵글 형태로, 내측면이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 2지점과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면에는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일단이 회동지그에, 타단은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회동지그의 절곡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을 회동지그로 삽입시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지그가 회전되도록 한 후,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을 회동지그로부터 분리시 상기 회동지그를 회전되기 이전의 상부 측을 향하도록 복원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의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산과 골 형태의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 공간의 바닥면 양측에는 그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구, 상기 받침구 상에 회전 가능한 나사 조절축, 및 상기 나사 조절축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 너트를 포함하는 각각의 높이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밑면 각 모서리에는 이동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각각의 롤러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에는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 고정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폭 조절부에 의해 좌우로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반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간단함은 물론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이아프램 거치시 그 다이아프램과 접촉되는 면에 스크레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높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의 높이 조절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적정 높이로의 고정 또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거치대를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동 후 정위치에 고정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운반수단 없이도 필요로 하는 장소나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각 다이이프램의 직경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 또한 뛰어남은 물론 사용상의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터빈에 마련되는 다이아프램은 내,외부링 사이에 고정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한 열로 상,하부의 상 다이아프램과 하 다이아프램인 2 분할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통상적인 다이아프램은 정비 공정인 분해, 조립 및 샌드 블라스팅, 비파괴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해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 정비 공정을 수행한다.
다이아프램을 거치하기 위한 통상적인 거치대(100)는 바닥면(112)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복수의 세로대와 가로대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복수 개의 상 다이아프램(D) 또는 하 다이아프램을 구획시켜 거치할 수 있는 각각의 거치 공간(12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에는 거치되는 각 상,하 다이아프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구비되는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각 상,하 다이아프램을 거치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거치대에 거치되는 다이아프램을 반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유동성 없이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 다이아프램 중 분할면이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상 다이이프램을 적용한 일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장치(1)는 각 거치 공간(120)의 바닥면(112)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10); 및 상기 고정 프레임(10) 상에 통상적인 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 다이아프램(D)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통상적인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30)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기 상 다이아프램(D)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삽입시 그 상 다이아프램(D)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양 측면과 맞닿아 회전되면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상 다이아프램(D)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지지 고정하는 회동지그(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지그를 탄성체에 의해 상 다이아프램이 삽입되기 전에는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 다이아프램을 삽입함으로써, 회동지그가 회전됨과 동시에 그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지지 고정한다.
즉, 회동지그는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상 다이아프램을 삽입과 동시에 그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지지 고정한다.
그로 인해 상 다이아프램을 거치 후 그 상 다이아프램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거치와 동시에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동지그는 고정 프레임 상에 탄성체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반자동방식에 의해 거치와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회동지그(20)는 상 다이아프램(D)의 원주면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글 자음의 기억 자 또는 디귿 자 형태의 앵글 형태로, 내측면이 상기 상 다이아프램(D)의 원주면 2지점과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면(22)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면(22)에는 상 다이아프램(D)의 원주 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부재(25)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회동지그를 앵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상 다이아프램을 거치와 동시에 고정한 상태에서 그 고정된 방향의 전후로 움직임 또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절곡면(22) 또한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 2지점을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동지그가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상 다이아프램을 삽입함에 따라 회동지그의 절곡면 내측에 상 다이아프램이 접촉됨과 동시에 회동지그는 축 핀을 기준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회동지그의 절곡며녀 외측이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면을 감싸면서 지지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면(22)에는 상 다이아프램이 원주 면에 스크레치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부재(25)가 마련된바, 상기 완충부재(25)는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의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통상적인 점 접촉방식에 의해 맞닿도록 산과 골 형태의 요철부(25A)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완충부재가 접촉시 평면상으로 접촉되는 것에 비하여 산과 골 형태의 요철부로 인해 더욱더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를 발포성 수지 패드를 사용시에는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더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발포성 수지 패드는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상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접촉시 압착으로 인해 더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체(30)는 일단이 회동지그(20)에, 타단은 고정 프레임(10)에 통상적인 고리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회동지그(20)의 절곡면(22)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상 다이아프램(D)을 회동지그(20)로 삽입시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지그(20)가 회전되도록 한 후, 상기 상 다이아프램(D)을 회동지그(20)로부터 분리시 상기 회동지그(20)를 회전되기 이전의 상부 측을 향하도록 복원한다.
이러한, 탄성체는 회동지그에 상 다이아프램을 삽입하지 않을 경우 상부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 다이아프램을 삽입시에는 팽창된 후 다시 상 다이아프램을 회동지그로부터 분리시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시킴에 따라 상 다이아프램의 고정작업이 반자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로 인해 상 다이아프램의 거치 및 고정작업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을 거치와 고정을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회동지그와 탄성체에 의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반자동방식을 적용하여 거치와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 및 고정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고정시에도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다이아프램을 거치하여 고정시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높이로 거치시켜 고정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거치 공간(120)의 바닥면(112) 양측에는 그 바닥면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나사 결합 또는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구(42)와, 상기 받침구(42) 상에 통상적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한 나사 조절축(44), 및 상기 나사 조절축(44)에 통상적인 이중너트와 같은 형태의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 너트(46)를 포함하는 각각의 높이 조절부(40)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 높이 조절부는 고정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상 다이아프램의 경우 분할면이 바닥면에 직접 놓일 수 있는 관계로, 이를 방지함과 아울러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높이 조절부에 의해 거치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받침구에 나사 조절축을 한 쌍의 조절 너트를 사용하여 상 다이아프램의 분할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상 다이아프램의 분할면에는 상기 나사 조절축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 다이아프램을 거치와 함께 고정시 필요로 하는 높이로의 거치셔켜 고정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거치대는 무거운 중량의 가지는 복수의 다이아프램이 거치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를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거치대 자체가 이동성을 가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의 밑면 각 모서리에는 이동 가능하게 통상적인 회전 가능한 롤러(52)를 포함하는 각각의 롤러 하우징(50)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50)에는 롤러(5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통상적인 스토퍼(55)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스토퍼(55)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사 방식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축(55A) 상에 상기 롤러(52)와 접촉할 수 있는 스토퍼 패드(55B)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거치대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스토퍼의 스토퍼 패드를 롤러로부터 이격시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후 원하는 위치나 장소에서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를 잡고 축을 회전시켜 스토퍼 패드가 롤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롤러가 이동성을 상실되도록 한다.
그로 인해 거치대 자체를 별도의 운반수단 등이 없이도 필요로 하는 장소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거치되어 고정되는 각 다이아프램은 터빈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가짐에 따라 거치대에 마련되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 또한 거치시켜 고정하고자 하는 다이아프램에 적정하게 폭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각 고정 프레임(1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통상적인 폭 조절부(60)에 의해 좌우로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폭 조절부(60)는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112) 폭 방향으로 복수의 체결공(6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밑면에 형성된 플랜지를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공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폭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폭 조절부(60)는 상기 바닥면에 통상적인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밑면에 상기 슬라이딩 홈과 대응되는 슬라이드 블록을 형성한 후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에 따라 고정 프레임이 좌우로의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지그의 사이도 조절됨에 따라 거치 후 고정하고자 하는 각 다이아프램의 직경에 따라 높은 호환성도 가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거치대 상에 다양 직경을 가지는 다이아프램을 거치 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사용범위를 더욱더 확대시킬 수 있어, 활용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1 : 고정장치
10 : 고정 프레임 20 : 회동지그
22 : 절곡면 25 : 완충부재
25A : 요철부 30 : 탄성체
40 : 높이 조절부 42 : 받침구
44 : 나사 조절축 46 : 조절 너트
50 : 롤러 하우징 52 : 롤러
55 : 스토퍼 55A : 축
55B : 스토퍼 패드 60 : 폭 조절부
62 : 체결공
100 : 거치대
110 : 베이스 프레임 112 : 바닥면
120 : 거치 공간

Claims (7)

  1. 바닥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복수의 세로대와 가로대에 의해 사각 틀 형태로 복수 개의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을 구획시켜 거치할 수 있는 각각의 거치 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대에서 상기 각 거치 공간으로는 거치되는 각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아이프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각 거치 공간의 바닥면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과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탄성체에 의해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고 있다가 상기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삽입시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양 측면과 맞닿아 회전되면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상 다이아프램 또는 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을 지지 고정하는 회동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지그는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글 자음의 기억 자 또는 디귿 자 형태의 앵글 형태로, 내측면이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 2지점과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면에는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 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단이 회동지그에, 타단은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어 평상시 상기 회동지그의 절곡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수축되어 있다가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을 회동지그로 삽입시 팽창되면서 상기 회동지그가 회전되도록 한 후, 상기 상,하 다이아프램을 회동지그로부터 분리시 상기 회동지그를 회전되기 이전의 상부 측을 향하도록 복원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합성수지계열의 패드 또는 발포성 수지 패드의 상,하 다이아프램의 원주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산과 골 형태의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공간의 바닥면 양측에는 그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구, 상기 받침구 상에 회전 가능한 나사 조절축, 및 상기 나사 조절축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조절 너트를 포함하는 각각의 높이 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밑면 각 모서리에는 이동 가능하게 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는 각각의 롤러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롤러 하우징에는 롤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7.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폭 조절부에 의해 좌우로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KR1020170183001A 2017-12-28 2017-12-28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KR102019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01A KR102019865B1 (ko) 2017-12-28 2017-12-28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001A KR102019865B1 (ko) 2017-12-28 2017-12-28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11A KR20190080511A (ko) 2019-07-08
KR102019865B1 true KR102019865B1 (ko) 2019-09-10

Family

ID=6725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001A KR102019865B1 (ko) 2017-12-28 2017-12-28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701B2 (ja) * 1999-02-19 2009-04-08 株式会社サトー ロール物の支持装置
KR101511897B1 (ko) * 2014-01-06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812Y1 (ko) 2004-02-23 2004-08-11 김도균 증기터빈의 다이아프렘 정비 작업대
KR20070066597A (ko) *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높이조절다리
KR100988439B1 (ko) 2008-06-05 2010-10-18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터빈용 상부 다이아프램의 거치장치
KR101576381B1 (ko) 2014-07-22 2015-12-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터빈용 상부 다이어프램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701B2 (ja) * 1999-02-19 2009-04-08 株式会社サトー ロール物の支持装置
KR101511897B1 (ko) * 2014-01-06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11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7228B (zh) 脚架及无人飞行器
JP5670760B2 (ja) 空気ばね
CN107329225A (zh) 侧立镜组及其安装方法
KR102019865B1 (ko) 다이아프램 거치대의 다이아프램 고정장치
JP5342116B2 (ja) 工作物端面の研磨装置
CN105509186A (zh) 一种空调室外机
CN209707118U (zh) 一种汽车方向盘振动试验固定装置
CN109238103A (zh) 电机轴承间隙测试平台
CN104162797A (zh) 旋转固定夹具
CN207494989U (zh) 一种飞机圆弧形舱门部件加工支撑装置
KR101698976B1 (ko)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CN106393033A (zh) 一种电工户外用多功能工具箱
CN206907750U (zh) 固定环结构及共晶机
CN209601241U (zh) 一种大臂管输送支撑保护组件
CN203223515U (zh) 一种减振器充气装置
CN102720934A (zh) 显示装置支架
KR101511897B1 (ko) 하단 다이아프램 거치대
CN206536999U (zh) 弹性印章卡具和印章机
CN221028367U (zh) 一种调平装置、夹具及基因测序仪
CN109822456A (zh) 一种旋转张紧气动三爪卡盘夹具
CN110238803A (zh) 一种多孔大台面折叠工作台
CN114162341B (zh) 一种可调式无人机摄影测量安装平台
CN210684993U (zh) 一种可活动式铸钢支座
CN219635276U (zh) 一种水泵叶轮生产转运车
CN218965172U (zh) 光学镜片装卡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