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195B1 -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195B1
KR102019195B1 KR1020180060979A KR20180060979A KR102019195B1 KR 102019195 B1 KR102019195 B1 KR 102019195B1 KR 1020180060979 A KR1020180060979 A KR 1020180060979A KR 20180060979 A KR20180060979 A KR 20180060979A KR 102019195 B1 KR102019195 B1 KR 10201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lter
present
pip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배 박
Original Assignee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오물탱크(sewage tank)부; 및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필터탱크(filter tank)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는,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1관체; 상기 제1관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지지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체는, 블로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터부를 통한 분뇨처리 장치의 경우,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선박 등과 같은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Apparatus for on-site treating night soil in vessels}
본 발명은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등과 같은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분뇨처리 효율이 우수한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발생되는 분뇨 또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크게 여러 개의 분뇨 저장조를 만들어 저장하여 산화시키는 저장식 처리방법과, 선박의 분뇨, 오수가 유입된 탱크(반응조)내에 부유 성장상태의 미생물에 의해 기질분해와 세포합성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로 공기를 유입하여 처리하는 생물학적 활성 슬러지에 의한 오수처리방법과,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이 있다.
상기의 저장식 처리방법은 다량의 선박오수를 저장하여 산화 처리하므로 대용량의 탱크를 필요로 하며, 슬러지 생성량이 많아져서 슬러지 처리가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생물학적 활성오니에 의한 처리방법은, 처리과정 중에 섬유성 미생물이 생성되어 슬러지 팽화현상(sludge bulking)이 생기며, 과다한 슬러지 생성으로 슬러지를 처리하는 데에 문제를 일으키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전한 처리를 위하여 처리장치가 커지므로 선박 등과 같이 작은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하는 곳에 설치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은, 분뇨 등을 파쇄시켜 이들을 서로 간격이 좁게 형성된 전극판 사이로 분뇨(오수)와 해수를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에 의해 유기물질의 분해산화가 일어나도록 하여야 하나, 파쇄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해수를 전기분해할 때 생성된 차아염소산(HClO3)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며, 처리수가 과다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게 되어 2차 오염원이 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에서 제안된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맞도록 콤팩트하고 소형의 구조를 갖추며, 오수의 처리능력이 양호하고, 좁은 공간에서 설치가 용이하며, 분뇨, 오수의 부하변동이나 온도변화에 잘 적응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적은 양의 잉여 슬러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오수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즉, 종래 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의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가 마련된 중공형의 오수탱크(12) 내부에 요철형상의 접촉여재(13)를 고정시켜 상기 접촉여재(13)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하고, 오수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폭기조(14)와 처리수조(15)를 설치하며, 상기 폭기조(14)의 하측에 산기관(16)과 안내판을 설치하여 나선형으로 폭기시키며 미생물에 의한 오수분해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조(15) 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17)에 의하여 저수된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며,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조(15) 내에 설치된 수위감지기(18)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출펌프(19)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자외선램프(17)에 의하여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으나, 선박의 분뇨, 오수는 그 혼탁도가 매우 높아 자외선의 침투가 어려워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박의 분뇨, 오수를 접촉여재(13)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한 후, 배출펌프(19)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바다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접촉여재(13)에서 과잉 증식으로 탈리된 미생물에 의해 부유고형물(SS)의 배출 허용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 미 분해된 유기물질의 미생물이 바다에 그대로 배출되며, 별도의 소독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해양오염방지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선박 분뇨, 오수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생물막 여재를 사용하였으나, 처리수 중의 슬러지는 침전조에서 중력침강에 의해 농축됨에 따라 침전조의 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 등과 같은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분뇨처리 효율이 우수한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오물탱크(sewage tank)부; 및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필터탱크(filter tank)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는,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1관체; 상기 제1관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지지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체는, 블로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는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필터체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는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필터체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공극의 크기가 약 0.04마이크로미터인 미세한 중공사막을 통하여 오수중의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를 통한 분뇨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선박 등과 같은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오수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는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6b는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는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 및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는 제1격벽(123)에 의해 구분되는 제1오물탱크(sewage tank)부(120a) 및 제2오물탱크(sewage tank)부(1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분뇨 또는 오물 유입부(121)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부(121)의 일정 영역에는 스크린(122)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로 분뇨 또는 오물이 떨어지는 경우, 낙차에 의해 상기 분뇨 또는 오물을 분쇄시키거나, 또는 분쇄되지 않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상기 스크린(122)을 통해 유입된 분뇨 또는 오물는 제1오물탱크(sewage tank)부(120a)를 거쳐 제2오물탱크(sewage tank)부(120b)로 유입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중량의 분뇨 또는 오물은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의 하측에 누적되게 된다.
상기 중량의 분뇨 또는 오물은 분뇨배출라인(124a, 124b)과 연결되는 제1펌프(1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뇨배출라인(124a, 124b)은 제1밸브와 연결되어, 각각 제1분뇨배출라인(124a) 및 제2분뇨배출라인(124b)을 구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와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는 제2격벽(124)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에 누적되는 분뇨 및 오수는 상기 제2격벽(124)의 높이만큼 쌓이는 경우,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로 유입이 되게 된다.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는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필터부(132)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13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31a, 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필터부(132)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2)는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1관체(132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132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관체(132a)는 상기 제1관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개구(22) 및 상기 제1관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1폐구(23)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관체(132b)는 상기 제2관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32) 및 상기 제2관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폐구(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관체(132a)는 상기 제1관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홀(21)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관체(132b)는 상기 제2관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홀(3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2)는,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132c)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체(132c)는 중공사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체(132c)는 미세공극(1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미세공극(10)을 통해 상기 필터체(132c)의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부유성 고형물(SS) 및 영양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MBR(Membrane Bio Reactor) 공법이란, 미세공극의 크기가 약 0.04마이크로미터인 미세한 중공사막을 통하여 오수중의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처리효율 향상 및 부지 집약화가 가능한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사막을 이용한 MBR(Membrane Bio Reactor) 공법을 분뇨처리 장치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로 유입되는 분뇨 및 오수가 상기 필터체(132c), 즉, 중공사막의 미세공극(10)을 통해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부유성 고형물(SS) 및 영양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1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관체(133)를 도입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133)를 통해 상기 필터체(132c)를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체(1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는 동일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133)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133)는 블로어(13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관체(133)는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공급라인(135)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라인(135)은 블로어(134)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관체(133)는 블로어(134)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132c), 즉, 중공사막의 미세공극(10)을 통해 박테리아를 제거하고 부유성 고형물(SS) 및 영양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미세공극은 마이크로단위의 공극이기 때문에, 상기 미세공극이 막히는 경우, 정화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132c)의 미세공극(10)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지지관체(133)를 블로어(134)와 연결시키고, 상기 블로어(134)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미세공극(10)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체(133)는, 몸체부(133a); 상기 몸체부(133a)의 일측에 위치하는 개구(133b); 상기 몸체부(133a)의 타측에 위치하는 폐구(133c) 및 상기 몸체부(133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홀(1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133b)는 상술한 에어공급라인(135)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135)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개구(133b)를 통해, 상기 몸체부(133a)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홀(133d)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홀(133d)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132c)의 미세공극(10)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관체(132a); 상기 제1관체(132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132b);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132c);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체(132c)를 지지하는 지지관체(133)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133)는, 블로어(13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133)의 상기 복수개의 홀(133d)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132c)의 미세공극(10)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는 동일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133)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2)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133)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133)가 상기 필터체(132c)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132c)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2)는, 제1관체(232a) 및 상기 제1관체(232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232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2)는,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232c)를 포함한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2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관체(233a)를 도입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233a)를 통해 상기 필터체(232c)를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체(2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233a)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233a)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233a)의 상기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2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2)는, 상기 지지관체(233a)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폭기관(233b)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폭기관(233b)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기관(233b)은 상술한 도 4의 지지관체(233a)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폭기관(233b)은, 몸체부(미도시); 상기 몸체부(미도시))의 일측에 위치하는 개구(미도시); 상기 몸체부(미도시)의 타측에 위치하는 폐구(미도시) 및 상기 몸체부(미도시)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는 에어공급라인(135)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135)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23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233a)의 상기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2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폭기관(233b)의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2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32)는, 제1관체(332a) 및 상기 제1관체(332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332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32)는,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332c)를 포함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3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관체(333)를 도입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333)를 통해 상기 필터체(332c)를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체(3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333)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333)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333)의 상기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332)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서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는 동일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133)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2)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는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133)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133)가 상기 필터체(132c)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132c)는 "V"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서는 상기 제1관체(332a) 및 상기 제2관체(332b)는 동일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333)는 상기 제1관체(332a) 및 상기 제2관체(3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332)는, 상기 제1관체(332a) 및 상기 제2관체(332b)는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333)는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333)가 상기 필터체(332c)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332c)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위치에 따른 상기 필터체의 배치 형태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고, 도 6b는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는, 오니와 같은 이물질(40)이 필터체(132c)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쌓이게 되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체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는, 오니와 같은 이물질(40)이 필터체(132c)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쌓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332c)가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2)는, 제1관체(432a) 및 상기 제1관체(432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432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2)는,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432c)를 포함한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체(4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관체(433a)를 도입할 수 있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433a)를 통해 상기 필터체(432c)를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필터체(432c)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433a)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관체(433a)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433a)의 상기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4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서는 상기 제1관체(432a) 및 상기 제2관체(432b)는 동일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433a)는 상기 제1관체(432a) 및 상기 제2관체(432b)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고, 이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2)는, 상기 제1관체(432a) 및 상기 제2관체(432b)는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433a)는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관체(433a)가 상기 필터체(432c)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432c)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내용은 상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2)는, 상기 지지관체(433a)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폭기관(433b)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폭기관(433b)는 블로어(미도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폭기관과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32)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체(433a)의 상기 복수개의 홀(미도시)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4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폭기관(433b)의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통해, 상기 필터체(432c)의 미세공극(미도시)을 차단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 장치는 상기 제1관체(132a) 및 상기 제2관체(132b)와 연결되는 정수배출라인(136a)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배출라인(136a)을 통해 정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분뇨 처리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방류탱크(effluent tank)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배출라인(136a)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방류탱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정수는 상기 방류탱크부에 저장되지 않고 곧바로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류탱크부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방류탱크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방류탱크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정수배출라인(136a)과 연결되는 제2펌프(13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펌프(137)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정수배출라인(136a)을 통해 유입된 정수는 상기 방류탱크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의 유입은 제2밸브(138)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밸브(138)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류탱크부(140)에 저장된 정수는 제3펌프(160)를 통해 최종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의 최종 배출은 제3밸브(161)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밸브(161)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 장치는 복수개의 레벨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 장치는,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레벨센서(153a) 내지 제4레벨센서(153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류탱크부(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5레벨센서(154a) 내지 제7레벨센서(15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벨센서(153a) 내지 상기 제7레벨센서(154c)를 제어하기 위한 레벨센서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 장치의 작동 및 이들 레벨센서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뇨처리 장치는 분뇨 및 오수의 유입으로부터 처리수, 즉, 정수의 배출에 이르기까기 자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먼저,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에 유입된 분뇨와 오수는 자연흐름에 의해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120)에 위치하는 격벽을 통해 균등처리되어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에 유입된 오수는 조내 수위가 L3(153c)에 도달하면 수위감지기에 의해 제2펌프(137), 즉 흡입펌프가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필터부(132)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깨끗한 상질의 처리수로 여과됨과 동시에 방류탱크부(140)로 이송된다.
이때, 조내 수위가 L2(153b)에 도달하면, 흡입펌프의 작동은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수위가 L1(153a)까지 내려가면 수위감지기는 필터부의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밸브를 작동시켜, 청수가 L2(153b)의 수위까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청수를 유입하기 위한 별도의 청수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위가 고수위부인 L4(153d)까지 도달하면, 고수위 경보가 울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이상의 분뇨 및 오수의 유입을 중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130)를 거친 정수는 방류탱크부(140)로 이송되며, 상기 방류탱크부(140)에 유입된 정수는 방류탱크부(140)에 배치된 레벨센서에 의해 제3펌프(160), 즉 배출펌프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펌프는 레벨센서 L5(154a) ~ 레벨센서 L6(154b)까지의 수위를 감지하여 자동 작동, 자동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방류탱크부(140)의 수위가 고수위부인 L7(154c)까지 도달하면, 고수위 경보가 울릴 수 있으며, 이 경우, 더이상의 정수의 유입을 중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발생되는 분뇨 또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크게 여러 개의 분뇨 저장조를 만들어 저장하여 산화시키는 저장식 처리방법과, 선박의 분뇨, 오수가 유입된 탱크(반응조)내에 부유 성장상태의 미생물에 의해 기질분해와 세포합성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로 공기를 유입하여 처리하는 생물학적 활성 슬러지에 의한 오수처리방법과,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의 경우, 선박 등과 같이 작은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하는 곳에 설치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부유고형물(SS)의 배출 허용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 미 분해된 유기물질의 미생물이 바다에 그대로 배출되며, 별도의 소독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해양오염방지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미세공극의 크기가 약 0.04마이크로미터인 미세한 중공사막을 통하여 오수중의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를 통한 분뇨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선박 등과 같은 공간이 협소한 곳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오물탱크(sewage tank)부; 및
    상기 오물탱크(sewage tank)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필터탱크(filter tank)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는, 상기 필터탱크(filter tank)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제1관체; 상기 제1관체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관체; 일측은 상기 제1관체의 제1홀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관체의 제2홀과 연결되는 필터체;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지지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체는, 블로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관체 및 상기 제2관체는 하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관체는 상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필터체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필터체는 "∧" 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60979A 2018-05-29 2018-05-29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201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79A KR102019195B1 (ko) 2018-05-29 2018-05-29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79A KR102019195B1 (ko) 2018-05-29 2018-05-29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195B1 true KR102019195B1 (ko) 2019-09-06

Family

ID=6794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79A KR102019195B1 (ko) 2018-05-29 2018-05-29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19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592A (ja) * 1984-03-14 1985-10-02 Kubota Ltd 水処理用曝気装置
JPH09328093A (ja) * 1996-06-10 1997-12-22 Gokou Seisakusho:Kk 船舶などの生活用雑廃水処理装置
KR100219789B1 (ko) 1996-05-27 1999-09-01 와다 아끼히로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20110072643A (ko) *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용 정화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203696B1 (ko) * 2012-07-25 2012-11-21 국진산업개발(주) 패각을 이용한 수처리용 세라믹 여재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수처리 장치
KR101638970B1 (ko) * 2014-12-18 2016-07-12 주식회사 일승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671199B1 (ko) * 2015-10-12 2016-11-03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20170060503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KR20180041805A (ko) * 2016-10-14 2018-04-25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3592A (ja) * 1984-03-14 1985-10-02 Kubota Ltd 水処理用曝気装置
KR100219789B1 (ko) 1996-05-27 1999-09-01 와다 아끼히로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JPH09328093A (ja) * 1996-06-10 1997-12-22 Gokou Seisakusho:Kk 船舶などの生活用雑廃水処理装置
KR20110072643A (ko) * 2009-12-23 2011-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박용 정화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203696B1 (ko) * 2012-07-25 2012-11-21 국진산업개발(주) 패각을 이용한 수처리용 세라믹 여재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하폐수의 수처리 장치
KR101638970B1 (ko) * 2014-12-18 2016-07-12 주식회사 일승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671199B1 (ko) * 2015-10-12 2016-11-03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20170060503A (ko) * 2015-11-24 2017-06-01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KR20180041805A (ko) * 2016-10-14 2018-04-25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303525B1 (ko)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축산폐수 처리시스템
US20130153493A1 (en) Moving bed membrane bioreactor
KR100938463B1 (ko)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BG109181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дълбоко биологично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ни води
KR100784509B1 (ko) 광 촉매 수처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기체 혼화형 수처리장치
KR101027047B1 (ko) 이엠을 이용한 초기우수 및 비점오염원 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847079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0989414B1 (ko) 정화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210536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671199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2019195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20100089637A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100745974B1 (ko) 선박의 분뇨 및 오수처리장치
KR20160093875A (ko) 유출수 재이용이 가능한 에너지 저감형 정화조
KR102019198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200219789Y1 (ko) 선박오수처리장치
RU70512U1 (ru) Компактная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сточных вод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ембранной фильтрации
US200902558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ite treatment of waste water
KR20030013491A (ko) 바이오 볼 및 바이오 탱크와 락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KR200293979Y1 (ko) 오폐수의 정수처리기
KR102594274B1 (ko)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KR200435028Y1 (ko) 오폐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