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36B1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0536B1 KR101210536B1 KR1020100058692A KR20100058692A KR101210536B1 KR 101210536 B1 KR101210536 B1 KR 101210536B1 KR 1020100058692 A KR1020100058692 A KR 1020100058692A KR 20100058692 A KR20100058692 A KR 20100058692A KR 101210536 B1 KR101210536 B1 KR 101210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ozone
- treatment
- treated water
- aeration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서 발생되는 분뇨 및 오수를 선박 자체에서 슬러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 분해, 침전의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1차 정화처리하고, 이 1차 처리수 중의 미분해된 유기물질, 미세부유물질,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와 및 세균성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 위한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의 2차 고도오존처리과정을 거침으로써 선박 분뇨 및 오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높여 해양오염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서 발생되는 분뇨 및 오수를 선박 자체에서 슬러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산화 분해, 침전의 생물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1차 정화처리하고, 이 1차 처리수 중의 미분해된 유기물질, 미세부유물질,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와 및 세균성 미생물 등을 살균하기 위한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의 2차 고도오존처리과정을 거침으로써 선박 분뇨 및 오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높여 해양오염방지에 기여할 수 있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발생되는 분뇨 또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크게 여러 개의 분뇨 저장조를 만들어 저장하여 산화시키는 저장식 처리방법과, 선박의 분뇨, 오수가 유입된 반응조 내에 부유 성장상태의 미생물에 의해 기질분해와 세포합성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로 공기를 공입하여 처리하는 생물학적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오수처리방법과,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이 있다.
상기의 저장식 처리방법은 다량의 선박오수를 저장하여 산화 처리하므로 대용량의 탱크를 필요로 하며, 슬러지 생성량이 많아져서 슬러지 처리가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생물학적 활성슬러지에 의한 처리방법은, 완전한 처리를 위하여 처리장치가 커지므로 선박 등과 같이 작은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하는 곳에 설치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과 소독을 위하여 별도의 소독약품 저장조와 소독제 정량주입펌프의 설치 및 과량의 소독제 투입으로 인한 2차 오염 물질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은, 분뇨 등을 파쇄 시켜 이들을 서로 간격이 좁게 형성된 전극판 사이로 분뇨(오수)와 해수를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에 의해 유기물질의 분해산화가 일어나도록 하여야 하나, 파쇄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해수를 전기분해할 때 생성된 차아염소산(HClO3)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며, 처리수가 과다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게 되어 2차 오염원이 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등록일자:2001년01월30일)에서 제안된 선박오수처리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가 마련된 중공형의 오수탱크 내부에 요철형상의 접촉여재를 고정시켜 상기 접촉여재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하고, 오수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폭기조와 처리수조를 설치하며, 상기 폭기조의 하측에 산기관과 안내판을 설치하여 나선형으로 폭기시키며 미생물에 의한 오수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조 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에 의하여 저수된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며,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조내에 설치된 수위감지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출펌프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자외선램프에 의하여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으나, 선박의 분뇨, 오수는 그 혼탁도가 매우 높아 자외선의 침투가 어렵고, 자외선램프 보호관 외벽이 오탁물질이 부착되는 등의 이유로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박의 분뇨, 오수를 접촉여재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한 후, 배출펌프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바다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접촉여재에서 과잉 증식으로 탈리된 미생물에 의해 부유고형물(SS)의 배출허용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 미분해된 유기물질의 미생물이 바다에 그대로 배출되며, 별도의 소독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해양오염방지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선박오수 처리장치는 선박 분뇨, 오수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생물막 여재를 사용하였으나, 처리수 중의 슬러지는 침전조에서 중력침강에 의해 농축됨에 따라 침전조의 체적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비롯한 각종 오수를 활성 슬러지에 의한 산화 분해의 1차 생물학적 처리 과정과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에 의한 미분해 유기물질, 미세부유물질,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 및 세균성 미생물의 살균 소독의 2차 고도오존처리과정을 통하여 정화함으로 기존의 생물학적 오수처리장치 보다 오수의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오수의 부하변동이나 운전조건의 변화에 잘 적응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생 슬러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는,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오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를 물리적으로 걸러주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하측에 활성슬러지 속의 미생물에 의해 오수를 산화 분해 처리하도록 하며,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폭기조 산기관이 설치된 1차 폭기처리조와,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1차 폭기처리조를 통과한 처리수가 1차 폭기조 월류관을 통하여 유입되며,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2차 폭기조 산기관이 설치된 2차 폭기처리조와, 2차 폭기처리조을 통과한 처리수가 2차 폭기조 월류관을 통하여 유입되며, 부유물 또는 활성슬러지을 침전시켜 1차 처리수와 침전슬러지로 분리시켜 주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1차 처리수가 침전조 월류관을 통하여 유입되며, 소독방류조의 일측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가압 순환 이송하기 위한 가압순환펌프가 설치되고 오존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오존가스를 가압순환수 중에 혼합 주입하기 위한 에젝터를 통하여 유입된 오존가스와 처리수의 혼합체는 가압순환수 공급관를 통하여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되어 가압용해 및 부상분리처리된 후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순환수 공급관을 통하여 소독방류조로 일정시간 순환 공급되도록 하여 1차 처리수 중의 미세부유물 또는 미처리된 유기물,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와 및 세균성 미생물 등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독 방류조와, 상기 1차 폭기조 산기관과 2차 폭기조 산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소독방류조에서 일정시간 처리된 2차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 하부의 침전된 슬러지를 1차 폭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슬러지반송관과 침전조 상부의 부상된 부유물을 1차 폭기조로 반송하기 위한 부유물반송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반송관과 부유물반송관는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에어리프트펌프방식을 이용하여 슬러지 및 부유물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순환펌프와 에젝터로부터 연결된 가압순환수 공급관이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의 원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처리수가 내부에서 가압상태하에서 선회류를 일으키면서 하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처리수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오존의 용해 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기체와 부상분리물질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반응조에서 오존의 가압용해와 부산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의 상부에는 에어벤트밸브가 설치되어 가압상태하에서 기체와 부상분리된 거품만이 배출되고 처리수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응축수 배출관에 U트랩을 설치하여 배출된 거품이 응축된 액체상의 응축수만 배출되고, 기체는 배오존분해기를 통하여 외기 또는 배기구로 배출되며,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 및 침천조 부유물 반송관을 거쳐 1차 폭기조로 반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방류조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감지에 의해 일정체류시간 1차 처리수를 가압순환시키는 가압순환수 펌프와 내부의 2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비롯한 각종 오수를 활성 슬러지에 의한 산화, 분해의 1차 생물학적 처리 과정과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에 의한 미분해 유기물질, 미세부유물질,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 및 세균성 미생물의 살균 소독의 2차 고도오존처리과정을 연계하여 정화처리함으로 기존의 생물학적 오수처리장치 보다 오수의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오수의 부하변동이나 운전조건의 변화에 잘 대응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생 슬러지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선박의 오수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오수처리장치의 처리 과정 및 계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오수처리장치(100)의 처리 과정 및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처리장치(100)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 및 오수를 1차 폭기처리, 2차 폭기처리, 침전의 1차 생물학적 처리와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에 의한 산화 분해, 부상분리, 살균 소독의 2차 고도오존처리 과정을 통해 정화하도록 하고 있으며, 각각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1차 폭기조(10), 2차 폭기조(20), 침전조(40), 소독방류조(50), 오존발생기(60),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조(65)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첨부된 도면에는 1차 폭기조(10), 1차 폭기조(20) 침전조(40), 소독방류조(50), 오존발생기(60),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조(65)가 일렬상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어느 특정한 형상의 배열과 외형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미생물 분해 방식으로 1차적으로 오수를 처리하는 1차폭기조(10)에는 상측으로 1차 폭기조조(10)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유입구(11) 하측으로는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물리적으로 걸러주는 스크린(12)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12)을 통해 걸러진 오수는 스크린(12) 하측에 있는 활성슬러지 속의 미생물에 의해 오수를 산화 분해 처리하도록 하며, 이때 미생물 분해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1차 폭기조(10) 및 2차 폭기조(20) 내부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1차 폭기조 산기관(13)과 2차 폭기조 산기관(21)이 설치되어 후술 될 송풍기(30)로부터 폭기조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2차 폭기조(20) 상측으로 미생물 분해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23), 내부 청소작업을 위한 맨홀이 각각의 처리조에 형성되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2차 폭기조(20)에 유입된 오수를 미생물 분해과정을 거쳐 처리된 1차 처리수는 침전조(40)로 유입되며, 침전조(40)로 유입된 폭기 처리수는 약 3시간가량의 침전시간을 거쳐 상등수(1차 처리수)와 침전물로 분리된다. 즉, 활성슬러지는 침전물로써 침전조(40)의 하측으로 모이게 되고 침전조(40) 상부에 부상한 부유물은 상부에 뜨게 되며, 상부의 상등수(1차 처리수)는 침전조 월규관(43)을 거쳐 2차 처리단계를 수행하는 소독방류조(5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40) 하부에 누적된 침전슬러지와 상부의 부유물을 별도의 슬러지펌프를 이용하여 슬러지 저장탱크로 이송할 수도 있으나 오수처리에 따른 발생슬러지의 최소화를 위해서 상기 침전슬러지와 부유물를 1차 폭기조(10)로 전량 반송하여 미생물을 이용한 재분해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침전조(40) 상부 및 하부로부터 1차 폭기조(10)로 부유물반송관(42)과 슬러지반송관(41)을 설치하여 연결하게 되며 송풍기(30)로부터 부유물반송관(42)과 슬러지반송관(41) 내부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여 침전조(40) 상부의 부유물과 하부의 침전슬러지가 반송되도록 하는 에어리프트펌프(Air Lift Pump) 방식을 이용하여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리프트펌프을 이용함으로 별도 동력장치의 추가 필요 없이 부유물반송관(42)과 슬러지반송관(41)의 설치 및 부유물 및 침전슬러지의 반송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 분해를 위한 공기공급까지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침전조(40)를 거친 1차 처리수는 침전조 월류관(43)을 통하여 소독방류조(50)로 유입되며, 소독방류조(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가압 순환 이송하기 위한 가압순환펌프(61)에 의해 가압된 처리수는 오존발생기(60)에서 발생시킨 오존가스를 가압순환수 중에 혼합 주입하기 위한 에젝터(64)를 통하여 유입된 오존가스와 처리수가 혼합되어 가압순환수 공급관(62)를 통하여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압용해 및 부상분리처리된 후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순환수 공급관(66)을 통하여 소독방류조(50)로 일정시간 순환공급 되도록 하여 1차 처리수 중의 미세부유물 또는 생물학적 처리로서는 제거가 어려운 미처리된 유기물, 색도성분, 악취성분 등의 제거와 및 세균성 미생물 등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 양호한 수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1차 폭기조 산기관(13)과 2차 폭기조 산기관(21)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와 소독방류조(50)에서 일정시간 처리된 2차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펌프(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순환펌프(61)와 에젝터(64)로부터 연결된 가압순환수 공급관(62)이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원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처리수가 내부에서 가압상태하에서 선회류를 일으키면서 하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처리수의 체류시간의 연장을 통하여 오존의 용해 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기체와 부상분리물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도록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상부에는 에어벤트밸브(67)가 설치되어 가압상태하에서 기체와 부상분리된 거품상의 물질이 배출되도록 하고 처리수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응축수 배출관(69)에 U트랩(68)을 설치하여 액체상의 응축수만 배출되도록 하고, 기체는 배오존분해기(70)를 통하여 외기 또는 배기구로 배출되도록 하며,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69) 및 침천조 부유물 반송관(42)을 거쳐 1차 폭기조(10)로 반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소독방류조(5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위센서(51)를 설치하여 소독처리된 2차 처리수가 설정된 수위에 이르렀을 때 이를 감지한 수위센서(51)로부터 신호를 받아 소독방류조(50) 내부의 2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펌프(80)를 설치함으로 보다 용이하게 처리수의 배출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 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 장치는 상선, 어선, 여객선 등의 선박에 설치되어 선박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비롯한 각종 오수를 분해 처리하여 선외로 배출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오존처리과정에 과산수소수 등의 주입이나 자외선램프의 장착하는 등의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10: 1차 폭기조
11: 오수 유입구 12: 스크린
13: 1차 폭기조 산기관 14: 1차 포기조 월류관
20: 2차 폭기조 21: 2차 폭기조 산기관
22: 2차 폭기조 월류관 30: 송풍기
31: 폭기조 공기공급관 32: 슬러지반송공기공급밸브
33: 부유물반송공기공급밸브 40: 침전조
41: 슬러지반송관 42: 부유물반송관
43: 침전조 월류관 50: 소독방류조
51: 수위센서 60: 오존발생기
61: 가압순환펌프 62: 가압순환수 공급관
63: 오존가스공급관 64: 에젝터
65: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 66: 순환수 공급관
67: 에어벤트밸브 68: U트랩
69: 응축수 배출관 70: 배오존분해기
71: 2차 처리수 배출관
11: 오수 유입구 12: 스크린
13: 1차 폭기조 산기관 14: 1차 포기조 월류관
20: 2차 폭기조 21: 2차 폭기조 산기관
22: 2차 폭기조 월류관 30: 송풍기
31: 폭기조 공기공급관 32: 슬러지반송공기공급밸브
33: 부유물반송공기공급밸브 40: 침전조
41: 슬러지반송관 42: 부유물반송관
43: 침전조 월류관 50: 소독방류조
51: 수위센서 60: 오존발생기
61: 가압순환펌프 62: 가압순환수 공급관
63: 오존가스공급관 64: 에젝터
65: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 66: 순환수 공급관
67: 에어벤트밸브 68: U트랩
69: 응축수 배출관 70: 배오존분해기
71: 2차 처리수 배출관
Claims (6)
-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처리기술을 이용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오수 유입구(11)가 형성되며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를 물리적으로 걸러주는 스크린(12)과, 상기 스크린(12) 하측에 활성슬러지 속의 미생물에 의해 오수를 산화 분해 처리하도록 하며,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1차 폭기조 산기관(13)이 설치된 1차 폭기처리조(10)와;
배기구(23)가 형성되고, 상기 1차 폭기처리조(10)를 통과한 처리수가 1차 폭기조 월류관(14)을 통하여 유입되며,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2차 폭기조 산기관(21)이 설치된 2차 폭기처리조(20)와;
2차 폭기처리조(20)을 통과한 처리수가 2차 폭기조 월류관(22)을 통하여 유입되며, 부유물 또는 활성슬러지을 침전시켜 1차 처리수와 침전슬러지로 분리시켜 주는 침전조(40)와;
상기 침전조(40)를 통과한 1차 처리수가 침전조 월류관(43)을 통하여 유입되며, 소독방류조(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처리수를 가압 순환 이송하기 위한 가압순환펌프(61)가 설치되고 오존발생기(60)에서 발생시킨 오존가스를 가압순환수 중에 혼합 주입하기 위한 에젝터(64)를 통하여 유입된 오존가스와 처리수의 혼합체는 가압순환수 공급관(62)를 통하여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되어 가압용해 및 부상분리처리된 후 가압오존용해부상분리조(65)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순환수 공급관(66)을 통하여 소독방류조(50)로 일정시간 순환 공급되도록 하여 1차 처리수 중의 미세부유물 또는 미처리된 유기물, 색도성분, 악취성분의 제거와 및 세균성 미생물 등을 살균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독 방류조(50)와;
상기 1차 폭기조 산기관(13)과 2차 폭기조 산기관(21)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와;
소독방류조(50)에서 일정시간 처리된 2차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펌프(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40) 하부의 침전된 슬러지를 1차 폭기조(10)로 반송하기 위한 슬러지반송관(41)과 침전조(40) 상부의 부상된 부유물을 1차 폭기조(10)로 반송하기 위한 부유물반송관(4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반송관(41)과 부유물반송관(42)은 상기 송풍기(3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에어리프트펌프방식을 이용하여 슬러지 및 부유물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순환펌프(61)와 에젝터(64)로부터 연결된 가압순환수 공급관(62)이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원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처리수가 내부에서 가압상태하에서 선회류를 일으키면서 하향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처리수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오존의 용해 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기체와 부상분리물질의 분리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반응조에서 오존의 가압용해와 부산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존가압용해부상분리조(65)의 상부에는 에어벤트밸브(67)가 설치되어 가압상태하에서 기체와 부상분리된 거품만이 배출되고 처리수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응축수 배출관(69)에 U트랩(68)을 설치하여 배출된 거품이 응축된 액체상의 응축수만 배출되고, 기체는 배오존분해기(70)를 통하여 외기 또는 배기구로 배출되며,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관(69) 및 침천조 부유물 반송관(42)을 거쳐 1차 폭기조(10)로 반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방류조(50)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51)와, 상기 수위센서(51)의 수위감지에 의해 일정체류시간 1차 처리수를 가압순환시키는 가압순환수 펌프(61)와 내부의 2차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8692A KR101210536B1 (ko) | 2010-06-21 | 2010-06-21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8692A KR101210536B1 (ko) | 2010-06-21 | 2010-06-21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8668A KR20110138668A (ko) | 2011-12-28 |
KR101210536B1 true KR101210536B1 (ko) | 2012-12-10 |
Family
ID=4550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8692A KR101210536B1 (ko) | 2010-06-21 | 2010-06-21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05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7338A (ko) | 2017-12-07 | 2019-06-17 | 주식회사 호두 |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
KR20190084602A (ko) | 2018-01-09 | 2019-07-17 | 주식회사 호두 | 선박용 엠비비알 오폐수 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83453A (zh) * | 2013-03-30 | 2013-07-03 | 合肥宏士达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 粪污水生化处理装置 |
CN105936565A (zh) * | 2015-12-30 | 2016-09-14 | 深圳市锦润防务科技有限公司 | 舰船用灰水处理及中水回用系统 |
CN117510001B (zh) * | 2024-01-08 | 2024-04-02 | 烟台云沣生态环境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 一种污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9950B1 (ko) | 2002-11-21 | 2004-12-03 | 황규대 | 질산화조가 분리된 변형 연속회분식 하폐수 처리장치 및그 방법 |
JP2006212492A (ja) | 2005-02-01 | 2006-08-17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及びバラスト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 |
JP2006305546A (ja) | 2005-03-29 | 2006-11-09 | Yaskawa Electric Corp | 汚水処理装置 |
-
2010
- 2010-06-21 KR KR1020100058692A patent/KR1012105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9950B1 (ko) | 2002-11-21 | 2004-12-03 | 황규대 | 질산화조가 분리된 변형 연속회분식 하폐수 처리장치 및그 방법 |
JP2006212492A (ja) | 2005-02-01 | 2006-08-17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及びバラスト水中の残留オゾン除去方法 |
JP2006305546A (ja) | 2005-03-29 | 2006-11-09 | Yaskawa Electric Corp | 汚水処理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7338A (ko) | 2017-12-07 | 2019-06-17 | 주식회사 호두 | 오폐수 처리장치의 침전조폭기장치 |
KR20190084602A (ko) | 2018-01-09 | 2019-07-17 | 주식회사 호두 | 선박용 엠비비알 오폐수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8668A (ko) | 2011-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8463B1 (ko) |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 |
US7704390B2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US7691268B2 (en) | Waste gas/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of treating waste gas/wastewater | |
KR101342678B1 (ko) | 2단 혐기성 반응조와 질소제거 공정을 결합한 폐수 처리 시스템 | |
KR101226547B1 (ko)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
CN105693014A (zh) | 一种污水处理系统及污水处理方法 | |
KR101638970B1 (ko) |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 |
KR101210536B1 (ko)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
JP6750930B2 (ja) | 汚排水浄化システム | |
JP2009254967A (ja) | 水処理システム | |
KR20140114586A (ko) | 고농도 오·폐수 처리용 처리조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 | |
CN106430835A (zh) | 一种嵌入式臭氧mbr装置及处理方法 | |
KR100847079B1 (ko) | 하수 처리 장치 | |
KR100992827B1 (ko) |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 |
JP2010046602A (ja) | 含油廃水処理方法 | |
KR20180041805A (ko)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 |
JP2006289153A (ja) |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 |
JP2005169304A (ja) | 高濃度着色有機排水の処理方法 | |
KR101799993B1 (ko) |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 |
WO2005061396A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671199B1 (ko) |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 |
KR200219789Y1 (ko) | 선박오수처리장치 | |
KR101054494B1 (ko) | 고농도 오·폐수와 축산폐수를 정수하여 재활용하는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CN205528260U (zh) | 一种污水处理系统 | |
KR20130026715A (ko) | 오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오수 처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