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503A -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503A
KR20170060503A KR1020150165024A KR20150165024A KR20170060503A KR 20170060503 A KR20170060503 A KR 20170060503A KR 1020150165024 A KR1020150165024 A KR 1020150165024A KR 20150165024 A KR20150165024 A KR 20150165024A KR 20170060503 A KR20170060503 A KR 2017006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air
slud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993B1 (ko
Inventor
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to KR102015016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9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홀딩탱크, 생물 반응조, 응집반응을 겸비한 침전조, 살균을 위한 소독조의 정화과정을 통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질소, 유기물, 인 및 슬러지를 제거하고 살균한 후 선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해양환경 보호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며, 처리되는 슬러지를 상기 오수와 분리하여 저류하는 다기능 홀딩탱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구비하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오수를 공급받아 질소와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 반응조; 상기 생물 반응조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생물 반응조로부터 처리된 상기 오수에서 인을 분리하고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키는 침전조;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1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2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제2 에어리프트 라인에 분지되어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연결되는 중력침강 라인을 포함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제1 에어리프트 라인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고, 상기 제2 에어리프 라인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공급시 상기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에 공급하고, 공기 미공급시 상기 중력침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ADVANCED 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능 홀딩탱크, 생물 반응조, 응집반응을 겸비한 침전조, 살균을 위한 소독조의 정화과정을 통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질소, 유기물, 인 및 슬러지를 제거하고 살균한 후 선외로 배출시킴으로써, 해양환경 보호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 처리장치는 생활오수와 주방 및 화장실 오수를 정화배출시켜 오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오수 처리장치의 오수처리 방식은 자연 침강에 의해 슬러지를 침전시켜 오수를 걸러내는 기계적 방식, 앞서 서술한 기계적 방법을 유리하게 실시하기 위해 오수처리 과정에 응집제를 첨가하거나, 살균목적을 위해 염소 등의 소독제를 첨가하는 화학적 방식, 오수에 공기를 불어넣고 미생물을 번식시켜 생성되는 활성 슬러지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으로 분류된다.
한편, 선박에 적용되는 오수 처리방식은, 오염도가 낮은 주방 오수나 생활오수의 간단한 협잡물 처리를 거친 다음 그 여액은 운항 중에 바다로 배출시키고, 오수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은 분쇄 및 탈수처리를 거쳐 그 부피를 줄인 상태로 정장시키는 한편, 오염도가 심한 분뇨 등의 오수는 별도의 탱크에 저장시켰다가, 선박이 항구에 접안한 기간 동안 탱크로리 등을 셔틀 식으로 운행하면서 이를 육상 처리시설로 운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 각종 선박의 대형화 뿐만 아니라 여객수송의 증대에 의하여 크루즈선과 같은 대형 여객선이 건조되고 있으며, 탑승자들의 생활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방 오수나 생활오수 및 분뇨 등을 포함하는 선박 오수의 배출량 또한 이에 동반하여 증가되고 있으므로, 선박에서 발생한 오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데 많은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은 물론이고, 미처리된 선박 오수에 의한 해양오염이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에 의한 해양오염의 방지 및 그 배출규제에 대한 필요성이 국제해사기구(IMO)와 해양환경보호위원(MEPC)의 최근 오수 기준배출 변화와 현재 국내법의 기준을 표 1에 나타내었다.
MEPC 2(6)
-1976년-
MEPC 159(55)
-2006년-
MEPC 227(64)
-2012년-
국내 해양법
-2015년 현재-
총 부유물질(TSS), mg/L 50 35 35 35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5),mg/L 50 25 25 25
화학적 산소요구량(COD),mg/L - 125 125 125
열저항성 대장균(cfu/100ml) 250(분변성) 100 100 100
잔류염소, mg/L - <0.5 <0.5 <0.5
산도 (pH) - 6~8.5 6~8.5 6~8.5
총 질소 (T-N) mg/L - - - 20
총 인 (T-P) mg/L - - - 1
한편,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선박용 오수 처리장치의 대부분은 그 승선인원이 최대 300명 미만이 되는 일반 선박용으로 국한되어 있으므로, 크루즈선과 같은 대형선박에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2012년부터 새로운 선박 오수 처리기준인 MEPC Res. 227(64)가 발효됨에 따라 강화된 배출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생물학적 정화성능 및 살균능력이 우수하고 효율적인 처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현재까지는 연안에서 12해리 밖에서는 해양투기가 가능하여 오수 처리과정에서 생성되는 슬러지 등의 2차 오염물에 대한 저류 혹은 처리에 대한 관심이 낮았으나 날로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따라 전면적인 해양투기가 금지되는 것에 대비하여 선박 내에서 오수 처리는 물론 2차 오염물질에 대한 저장과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적합한 처리장치 개발하면서, 선박의 다양한 운항 경로 및 운항기간에 따른 선박의 오수 부하변동을 포함하여, 외부의 물리적 환경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해야 함은 물론이고 선박의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한 장치와 배관시스템을 고려하여, 선박용 오수 처리장치는 그 설치와 제어 및 수리와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기능들이 요구되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039호(2012년 5월 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536호(2012년 12월 4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효율적인 오수 처리를 위하여 슬러지 저류조 역할과 유량 저장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홀딩탱크가 포함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외부로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배출라인과 배출펌프가 포함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 반응조를 통하여 유기물 성분과 질소 성분을 제거하고, 침전조를 통하여 인을 포함한 부유물질을 고액분리하여 제거하며, 소독조를 통하여 열저항성 대장균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며, 처리되는 슬러지를 상기 오수와 분리하여 저류하는 다기능 홀딩탱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구비하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오수를 공급받아 질소와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 반응조; 상기 생물 반응조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생물 반응조로부터 처리된 상기 오수에서 인을 분리하고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키는 침전조;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1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2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제2 에어리프트 라인에 분지되어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연결되는 중력침강 라인을 포함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제1 에어리프트 라인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고, 상기 제2 에어리프 라인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공급 시 상기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에 공급하고, 공기 미공급 시 상기 중력침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는, 상기 오수를 유입하도록 마련되는 오수 유입구와, 상기 오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를 선박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와,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에 수용되는 상기 오수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중력침강 라인의 끝단을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는 슬러지 격막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생물 반응조는, 내부에 탈질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상기 탈질 미생물을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과 질소성 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무산소조와, 내부에 호기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를 상기 호기성 미생물과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산화시키고,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상기 호기조와, 상기 무산소조와 상기 호기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되, 상기 호기조에 마련되는 상기 산기관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호기성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상기 무산소조에 마련되는 상기 산기관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탈질 미생물과 상기 오수의 혼합을 유도하며, 상기 제2 에어 리프트 라인에 공기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로 공급되는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침전조로부터 상기 슬러지가 제거된 상기 오수에 소독약을 혼합시키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소독약을 내부에 수용하는 약품탱크와, 상기 약품탱크로부터 상기 소독약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이송하는 약품펌프가 포함되는 소독조; 및 상기 소독조로부터 선외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출라인과,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제1 배출라인 상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출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소독조의 처리수 및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의 상기 슬러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소독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상기 수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로 차오르게 되면, 상기 배출펌프로 상기 배출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오수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무산소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1 다공판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오수가 상기 무산소조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상기 소독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2 다공판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오수가 상기 소독조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키도록 하며, 상기 침전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지그재그로 이송시켜 와류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와류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응집제와 상기 오수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상기 침전조는, 상기 생물 반응조로부터 질소와 유기물이 제거된 상기 오수에 응집제를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인을 응집시키고, 상기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상기 인과 서로 응집되는 고액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상기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켜 상기 오수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효율적인 오수 처리를 위하여 다기능 홀딩탱크가 포함됨으로써, 슬러지 저류조 역할과 유량 저장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배출라인과 배출펌프를 통하여, 선박 외부로 오수 및 슬러지를 배출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생물 반응조를 통하여 유기물 성분과 질소 성분을 제거하고, 침전조를 통하여 인을 포함한 부유물질을 고액분리하여 제거하며, 소독조를 통하여 열저항성 대장균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다기능 홀딩탱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침전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소독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계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다기능 홀딩탱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생물 반응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침전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소독조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는, 다기능 홀딩탱크(100), 생물 반응조(200), 침전조(300), 공급라인(410,420,430), 송풍기(500)를 포함한다.
다기능 홀딩탱크(100)는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며, 처리되는 슬러지를 상기 오수와 분리하여 저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홀딩탱크(100)는, 오수를 유입하도록 마련되는 오수 유입구(110)와, 오수 유입구(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오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20)과, 하부에 형성되며, 슬러지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130)와, 슬러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다기능 홀딩탱크(100)에 수용되는 오수와 혼합되지 않도록 중력침강 라인의 끝단을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는 슬러지 격막 구조물(140)을 포함한다.
따라서 단순하게 오수 농축조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닌, 일정하고 균일하게 오수를 공급하여 안정적인 오수정화 처리과정을 유지할 수 있는 유량조정조의 역할과, 침전조(300)에서 잉여 슬러지가 과잉 축적되지 않도록 침전조(300)의 슬러지를 전달받아 내부로 저장하는 슬러지 저류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효율적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의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생물 반응조(200)는 다기능 홀딩탱크(100)의 상측에 마련되며, 무산소조(210) 및 호기조(220)를 구비하여 다기능 홀딩탱크(100)로부터 오수를 공급받아 질소와 유기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산소조(210)와 호기조(220)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230)을 포함하며, 송풍기(500)는 산기관(23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송풍기(500)의 역할은 산기관(2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고, 오수 정화과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무산소조(210)에는 내부에 탈질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무산소조(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산소조 유입구(211)를 통하여 다기능 홀딩탱크(10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알칼리도와 유기물을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알칼리도와 유기물은 탈질과정 중간에 제거되며, 또한 대기 중으로 질소가스가 방출되어 오수 중의 질소성 물질이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발생하는 N2는 무산소조(210) 상부를 통하여 유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산소조(210)의 내부에는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1 다공판 격막 구조물(212)이 설치되어, 오수가 무산소조(210)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서, 유기물 및 질소성 물질의 제거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다공판 격막 구조물(212)은 무산소조 유입구(211)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하도록 한다.
호기조(220)는 내부에 호기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무산소조(210)와 호기조(220)를 분리하는 격벽 상부의 배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질 및 질소성 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호기성 미생물과 혼합한 후에, 유입구의 반대측 면에 형성되는 호기조 배출구(221)를 통해 침전조(300)로 오수를 공급한다. 이때, 산기관(230)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질산화 미생물은 오수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산화시키고, 잔존 유기물을 제거한다. 이때 호기조(220)에 설치되는 산기관(230)은 질산화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고효율 산기관을 설치하도록 한다.
침전조(300)는 생물 반응조(200)의 측면에 마련되며, 호기조(20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침전조 유입구(310)에서 공급받아 인을 분리하고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생물 반응조(200)로부터 유기물이 제거 및 질산과 과정을 거친 오수를, 외측에 설치되어 응집제를 수용하는 응집제 탱크(320)로부터 응집제 펌프(330)를 통하여 침전조(3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제와 혼합하여 오수에 포함되는 인을 응집시키고,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인과 서로 응집되는 고액분리 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켜 오수로부터 제거하고 침전조 배출구(340)를 통하여 소독조로 오수를 공급한다.
이때, 침전조(300)의 내부에는 오수를 지그재그로 이송시켜 와류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와류 격막 구조물(350)이 설치되는데, 오수가 구조물을 따라 이송되면서 응집제와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고액분리가 일어나 인이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액 분리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침전조(300)의 내부에 경사판(360)과 월류 웨어(370)를 설치하여 침전조(300)의 상부로 유출되는 부유물질의 양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특히 월류 웨어(370)는 부유물질이 침전조 배출구(340)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침전조 배출구(340)로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침전조(300)의 하부는 호퍼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분리된 슬러지의 침전율을 높일 수 있으며, 침전조(300) 하단의 중심부분에는 슬러지를 무산소조(210) 또는 다기능 홀딩탱크(100)로 이송시키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380)가 설치되어 침전조(300)로부터 슬러지가 과잉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급라인(410,420,430)은 다기능 홀딩탱크(100)로부터 무산소조(210)에 연결되는 제1 에어리프트 라인(410)과, 침전조(300)의 하부에서 무산소조(210)에 연결되는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과,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에 분지되어 다기능 홀딩탱크(100)로 연결되는 중력침강 라인(430)을 포함하며, 오수 정화과정에서 오수와 슬러지의 공급과 분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송풍기(500)는 제1 에어리프트 라인(410)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고,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공급 시에는 슬러지를 무산소조(210)에 공급하고, 공기 미공급 시에는 중력침강 라인(430)을 통하여 슬러지를 다기능 홀딩탱크(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송풍기(500)가 제1 에어리프트 라인(410)의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다기능 홀딩탱크(100) 내부의 오수가 공기와 혼합되어 제1 에어리프트 라인(410)으로 유입되며, 공기가 공급되는 반대 방향을 따라 무산소조(200)로 이송되게 되고, 송풍기(500)가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의 하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침전조(300)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가 공기와 혼합되어 슬러지 배출구(380)를 통과하여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으로 유입되며, 공기가 공급되는 반대 방향을 따라 무산소조(210)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며, 송풍기(500)가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의 하부에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슬러지가 중력에 의하여, 슬러지 배출구(380)로부터 제2 에어리프트 라인(420)과 중력침강 라인(430)을 통과하여 다기능 홀딩탱크(100)까지 침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송풍기(500)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0)를 더 포함하여, 호기조(220)에 마련되는 산기관(230)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호기성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무산소조(220)에 마련되는 산기관(230)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탈질 미생물과 오수의 혼합을 유도하며, 제2 에어 리프트 라인(420)에 공기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무산소조(210)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무산소조(210)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소독조(700)는 침전조(300)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를 소독조 유입구(710)로 공급받아, 소독약과 혼합시켜 열 저항성 대장균 등을 제거하는 마지막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소독조(700)의 내부에는 혼합 및 살균과정을 수행할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수용공간 내부로 소독약을 주입하기 위하여, 소독조(700)의 외측으로 소독약을 내부에 수용하는 약품탱크(720)와, 약품탱크로부터 소독약을 수용공간의 내부로 이송하는 약품펌프(730)가 포함되는데, 여기서 유의할 점은 배출기준의 잔류 염소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약품탱크(720)에서 소독조(700)로 적절한 소독제 양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한다.
또한, 소독조(700)에는 내부에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2 다공판 격막 구조물(740)이 설치되어, 오수가 소독조(700)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켜 소독약을 통한 살균과정을 보다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독조(700)는 내부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센서(750)를 포함하며, 컨트롤러(600)는 수위센서(750)로부터 수위신호를 수신하여 오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로 차오르게 되면, 후술하게 될 배출펌프(800)로 배출신호를 송신하여 오수 정화과정을 끝마친 처리수를 소독조 배출구(760)를 통하여 선외로 배출시키는 마지막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펌프(800)는 소독조(700)로부터 선외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출라인(810)과, 다기능 홀딩탱크(100)로부터 상기 제1 배출라인(810) 상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출라인(820)을 포함하며, 제1 배출라인(810)을 통하여 오수 정화과정을 거친 처리수를 선외를 통해 바다로 배출하며, 제2 배출라인(820)을 통해 다기능 홀딩탱크(100) 내부에 축적된 잉여 슬러지를 선외로 배출하여 육상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다기능 홀딩탱크(100), 무산소조(210), 호기조(220), 침전조(300), 소독조(700)의 상부에는 오수의 정화과정 중에 발생되는 화학반응으로 인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가스로 인해 내부의 습도 또는 온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에어벤트(900)를 설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써 첨부된 도면에는 다기능 홀딩탱크(100), 무산소조(210), 호기조(220), 침전조(300), 소독조(700)가 공간 활용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어느 특정한 형상의 외형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기능 홀딩탱크
110 : 오수 유입구
120 : 스크린
130 : 배출구
140 : 슬러지 격막 구조물
200 : 생물 반응조
210 : 무산소조
211 : 무산소조 유입구
212 : 제1 다공판 격막 구조물
220 : 호기조
221 : 호기조 배출구
230 : 산기관
300 : 침전조
310 : 침전조 유입구
320 : 응집제 탱크
330 : 응집제 펌프
340 : 침전조 배출구
350 : 와류 격막 구조물
360 : 경사판
370 : 월류 웨어
380 : 슬러지 배출구
410 : 제1 에어리프트 라인
420 : 제2 에어리프트 라인
430 : 중력침강 라인
500 : 송풍기
600 : 컨트롤러
700 : 소독조
710 : 소독조 유입구
720 : 약품탱크
730 : 약품펌프
740 : 제2 다공판 격막 구조물
750 : 수위센서
760 : 소독조 배출구
800 : 배출펌프
810 : 제1 배출라인
820 : 제2 배출라인
900 : 에어벤트

Claims (8)

  1. 선박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저장하며, 처리되는 슬러지를 상기 오수와 분리하여 저류하는 다기능 홀딩탱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의 상측에 마련되며, 무산소조 및 호기조를 구비하여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오수를 공급받아 질소와 유기물을 제거하는 생물 반응조;
    상기 생물 반응조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생물 반응조로부터 처리된 상기 오수에서 인을 분리하고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키는 침전조;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1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무산소조에 연결되는 제2 에어리프트 라인과, 상기 제2 에어리프트 라인에 분지되어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연결되는 중력침강 라인을 포함하는 공급라인; 및
    상기 제1 에어리프트 라인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고, 상기 제2 에어리프트 라인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공급시 상기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에 공급하고, 공기 미공급시 상기 중력침강 라인을 통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기;
    를 포함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는,
    상기 오수를 유입하도록 마련되는 오수 유입구와,
    상기 오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를 선박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와,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에 수용되는 상기 오수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중력침강 라인의 끝단을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는 슬러지 격막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반응조는,
    내부에 탈질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상기 탈질 미생물을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과 질소성 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무산소조와,
    내부에 호기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체가 수용되며,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를 상기 호기성 미생물과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암모니아를 질산으로 산화시키고, 잔존 유기물을 제거하는 상기 호기조와,
    상기 무산소조와 상기 호기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되, 상기 호기조에 마련되는 상기 산기관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호기성 미생물을 증식시키고, 상기 무산소조에 마련되는 상기 산기관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탈질 미생물과 상기 오수의 혼합을 유도하며, 상기 제2 에어 리프트 라인에 공기 공급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무산소조로 공급되는 상기 슬러지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무산소조의 미생물 농도를 유지시키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상기 슬러지가 제거된 상기 오수에 소독약을 혼합시키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소독약을 내부에 수용하는 약품탱크와, 상기 약품탱크로부터 상기 소독약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이송하는 약품펌프가 포함되는 소독조; 및
    상기 소독조로부터 선외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출라인과,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로부터 상기 제1 배출라인 상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출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소독조의 처리수 및 상기 다기능 홀딩탱크의 상기 슬러지를 선외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상기 수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수가 미리 설정된 수위로 차오르게 되면, 상기 배출펌프로 상기 배출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오수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1 다공판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오수가 상기 무산소조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상기 소독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침강하도록 하는 제2 다공판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오수가 상기 소독조의 내부에서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시키도록 하며,
    상기 침전조는,
    내부에 상기 오수를 지그재그로 이송시켜 와류현상을 일으키도록 하는 와류 격막 구조물이 설치되어, 상기 응집제와 상기 오수의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생물 반응조로부터 질소와 유기물이 제거된 상기 오수에 응집제를 혼합하여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인을 응집시키고, 상기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이 상기 인과 서로 응집되는 고액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상기 고액과정에 의하여 생성되는 슬러지를 하부로 침강시켜 상기 오수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KR1020150165024A 2015-11-24 2015-11-24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KR101799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24A KR101799993B1 (ko) 2015-11-24 2015-11-24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24A KR101799993B1 (ko) 2015-11-24 2015-11-24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503A true KR20170060503A (ko) 2017-06-01
KR101799993B1 KR101799993B1 (ko) 2017-12-20

Family

ID=592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024A KR101799993B1 (ko) 2015-11-24 2015-11-24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95B1 (ko) * 2018-05-29 2019-09-06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2026130B1 (ko) * 2018-11-08 2019-09-27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RU2747414C1 (ru) * 2020-07-03 2021-05-04 Кононов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Биореактор модульны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195B1 (ko) * 2018-05-29 2019-09-06 창원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KR102026130B1 (ko) * 2018-11-08 2019-09-27 주식회사 호두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RU2747414C1 (ru) * 2020-07-03 2021-05-04 Кононов Владимир Николаевич Биореактор модульны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993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633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design
US7153423B2 (en) Wastewater treatment
US20050274669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20150085990A (ko)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030201225A1 (en) Organic slurry treatment process
KR101138003B1 (ko) 선박용 복합식 오폐수 처리장치
KR20090105113A (ko)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KR100917839B1 (ko) 양성반응조 및 분리막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공법
KR20180041805A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799993B1 (ko) 선박용 오수 고도처리장치
KR20090100962A (ko) 축산폐수 처리장치
KR101190472B1 (ko) 순환교반기를 가진 무 배관 막 여과 생물반응조
KR101210536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278475B1 (ko)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KR100403864B1 (ko) 유기물의 부식화에 의한 폐수의 처리방법
KR101634296B1 (ko) 토양미생물 이용을 통한 하폐수 무취화 기능을 겸비한 sbr 수처리시스템
KR100869304B1 (ko)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KR20150016775A (ko) 농축 슬러지 처리 효율이 개선된 고도처리시스템
KR20150142665A (ko) 총인 제거효율이 향상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5314788B (zh) 综合多区废水处理系统和方法
CN203269737U (zh) 一种焦化废水的回用处理设备
KR100469641B1 (ko) 침지식 막분리 고도처리장치
KR101399402B1 (ko) 와류형 폭기장치를 이용한 frp 오폐수 처리시설
KR20180094176A (ko)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95072B1 (ko) 가축분뇨를 포함하는 고농도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