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274B1 -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274B1
KR102594274B1 KR1020220168501A KR20220168501A KR102594274B1 KR 102594274 B1 KR102594274 B1 KR 102594274B1 KR 1020220168501 A KR1020220168501 A KR 1020220168501A KR 20220168501 A KR20220168501 A KR 20220168501A KR 102594274 B1 KR102594274 B1 KR 10259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harcoal
treated water
filtration membrane
devic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이광현
주식회사 조은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주식회사 조은세상 filed Critical 이광현
Priority to KR102022016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는: 일측을 통해서 오폐수가 유입되고, 타측을 통해서는 오폐수가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장치 케이싱;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되며 오폐수의 식물성 기름성분과 고형 물질이 하부에 축적되도록 하는 침전분리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침전분리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분리조를 거친 처리수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유량조정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정조를 거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방식으로 처리하는 혐기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폭기조 유닛;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의 후단에 구비되어 처리수 속에 있는 미생물이 자립 되게 하는 자립무산소조; 및,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과 상기 자립무산소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기조 유닛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에 의해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참숯 여과막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오폐수를 정화 처리시 참숯을 이용해 미생물이 자립 및 배양되게 함으로써 총 인,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참숯으로 통 숯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참숯 여과 막조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되고 난 통 숯을 건조한 다음 고온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태우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apparatus for purifying sewage and waste water using charcoal filtration membrane tank}
본 발명은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정화 처리시 참숯을 이용해 미생물이 자립 및 배양되어 총 인,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참숯으로 통 숯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참숯 여과 막조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되고 난 통 숯을 건조한 다음 고온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태우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 하수 처리방법은 크게 호기성 및 혐기성 처리방법으로 나뉘며,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 하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다시 두 가지로 대별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부유성장 미생물을 이용하는 부유성장법으로서 폐수와 미생물을 반응조에서 혼합하고 반응조의 하부에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폐수와 미생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해주는 방법이다. 반응조 내의 미생물은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부유성장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활성슬러지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처리부하의 한계로 인해 우수한 처리수질을 얻기에는 부족하며, 미생물과 처리수를 분리하는 침전조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부지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반응조 내에 여재를 충진하고 여기에 미생물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이 방법은 상기 부유 성장법과는 달리 다량의 미생물을 성장시켜 고부하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수의 수질이 우수하고, 여재의 여과기능으로 인해 별도의 침전조가 필요 없어지게 되어 소요되는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활성 슬러지법과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이 각각 처리할 수 있는 폐수 중의 오염물질을 비교하여 보면, 기존의 활성 슬러지법은 주로 유기물을 제거하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일부를 질산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질산화 반응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거나 반응조의 용적이 커야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반응조 부피에 따른 제거효율이 상당히 낮아 즉, 같은 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보다 큰 용적의 반응조가 필요해지게 되어 용적부하가 상당히 낮아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은 반응조의 높이에 따라 유기물 제거 미생물과 질산화 미생물이 적절하게 분포하여 하나의 반응조 만으로도 유기물과 암모니아성 질소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폐수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유기물의 분해가 활발히 일어나며, 폐수의 흐름이 진행되면서 유기물의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질산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유기물 뿐만 아니라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된 방류수가 배출된다. 그러므로,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은 작아진 반응조 용적으로도 폐수 중의 유기물과 암모니아성 질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어 반응조의 용적부하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부지 소요면적은 적고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호기성 생물여과 시스템은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향류식과 하향류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향류식은 처리하고자하는 폐 하수와 공기가 동일하게 상향류로 공급되는 반면, 하향류식은 처리하고자 하는 폐 하수는 하향류로, 공기는 상향류로 공급된다. 유체의 공급방식은 유입폐수와 공기의 균등분배에 관한 기술적인 문제와 관련되며, 시스템 도입 초기에는 하향류식이 많이 적용되었으나 처리 유속이 증가하게 되면 여재의 상부층이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처리가능 유속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18225호(2018년02월21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 의하더라도 오폐수 중의 총 인과 총 질소의 제거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게 되어 정화 효율이 다소 떨어지게 될 수 있고, 정화 처리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차단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18225호(2018년02월21일자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를 정화 처리시 참숯을 이용해 미생물이 자립 및 배양되어 총 인,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참숯으로 통 숯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참숯 여과 막조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되고 난 통 숯을 건조한 다음 고온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태우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는: 일측을 통해서 오폐수가 유입되고, 타측을 통해서는 오폐수가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장치 케이싱;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 케이싱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되며 오폐수의 식물성 기름성분과 고형 물질이 하부에 축적되도록 하는 침전분리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침전분리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분리조를 거친 처리수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유량조정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정조를 거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방식으로 처리하는 혐기조;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폭기조 유닛;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의 후단에 구비되어 처리수 속에 있는 미생물이 자립 되게 하는 자립무산소조; 및,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과 상기 자립무산소조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기조 유닛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에 의해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참숯 여과막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참숯 여과막조 유닛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폭기조 유닛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1 참숯 여과막조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를 거친 처리수가 참숯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2 참숯 여과막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기조 유닛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혐기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에 의해 1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1 폭기조와, 상기 장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폭기조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폭기조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에 의해 2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2 폭기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폐수를 정화 처리시 참숯을 이용해 미생물이 자립 및 배양되게 함으로써 총 인,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참숯으로 통 숯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참숯 여과 막조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되고 난 통 숯을 건조한 다음 고온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태우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의 측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정조의 계량조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참숯 여과막조와 제2 참숯 여과막조에서 사용되는 참숯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통해서 오폐수가 유입되고 타측을 통해서는 오폐수가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장치 케이싱(100)과,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장치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되며 오폐수의 식물성 기름성분과 고형 물질이 하부에 축적되도록 하는 침전분리조(20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침전분리조(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전분리조(200)를 거친 처리수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30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유량조정조(3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유량조정조(300)를 거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방식으로 처리하는 혐기조(40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혐기조(400)의 후단에 구비되어 혐기조(40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폭기조 유닛(500)과,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폭기조 유닛(5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처리수 속에 있는 미생물이 자립 되게 하는 자립무산소조(60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폭기조 유닛(500) 및 자립무산소조(600)의 사이에 구비되어 폭기조 유닛(500)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오폐수를 정화 처리시 참숯(701)을 이용해 미생물이 자립 및 배양되게 함으로써 총 인,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환경 오염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고, 참숯(701)으로 통 숯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참숯 여과 막조의 기능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되고 난 통 숯을 건조한 다음 고온에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태우면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 케이싱(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외관을 형성하며, 오폐수가 유입되는 일측에는 유입구(110)가 구비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고, 오폐수가 처리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타측에는 배출구(120)가 구비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정화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장치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맨홀(101)이 구비되어 장치 내의 점검이나 청소, 수리 등이 이뤄지도록 하고, 장치 케이싱(100)의 상부에서 유량조정조(3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장치 케이싱(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로 순환될 수 있도록 환기구(103)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는 침전분리조(200), 유량조정조(300), 혐기조(400), 폭기조 유닛(500), 자립무산소조(600),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가 각각 구획 형성되도록 구획 벽이 구비되고, 이들 구획 벽에는 각각 하부로 처리수가 유입되고 상부로 처리수가 다음 처리 과정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유출관(130)이 구비되며, 하부는 후술할 침전조(800)의 바닥으로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고 상부는 침전분리조(200)의 상부로 수평 연장되어 침전조(800)에서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으로 처리되지 못한 오폐수가 다시 침전분리조(200)로 회수되어 재처리되도록 하는 제1 침전 회수관(140)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측 공간을 통해 관통 구비되고, 하부는 후술할 침전방류조(900)의 바닥으로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고 상부는 침전분리조(200)의 상부로 제1 침전 회수관(140)과 함께 나란히 수평 연장되어 침전방류조(900)에서 정화수로 배출되지 못하고 하부에 침전된 오폐수가 다시 침전분리조(200)로 회수되어 처음부터 재처리되도록 하는 제2 침전 회수관(150)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측 공간을 통해 관통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처리수 유출관(130)에 의해 침전분리조(200)에서 유량조정조(300), 유량조정조(300)에서 혐기조(400), 혐기조(400)에서 폭기조 유닛(500), 폭기조 유닛(500)에서 침전조(800), 침전조(800)에서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에서 자립무산소조(600)로 분리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원활하게 각각의 다음 처리 과정으로 넘어가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맨홀(101)에는 장치 케이싱(100)의 바닥에 인접한 부분까지 하부가 연장되는 공기 주입부(160)의 상부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맨홀(101)을 통해 외부 공기가 공기 주입부(160)로 공급되며 BOD, SS 조건에 맞도록 호기성 세균이 원활히 산화되게 할 수 있다.
침전분리조(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싱(100)의 유입구(110)가 구비된 일측에 구비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며 오수나 하수 중의 식물성 기름성분과 고형 물질이 분리되며 하부에 축적되도록 구비된다.
유량조정조(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분리조(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침전분리조(200)를 거쳐 처리수 유출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량이 조정되며 혐기조(400)로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300)와 혐기조(400)의 사이에 구비되는 처리수 유출관(130)의 상부가 걸쳐지게 되는 구획 벽의 상단에는 정밀한 유량 조정을 위하여 계량조(3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조(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수위조절판(311)과, 수위조절판(311)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위어(weir)(31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계량조(310)에 의해 유량조정조(300)에서 처리수의 유량이 정밀하게 조정되어 혐기조(4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혐기조(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300)의 후단에서 유량조정조(300)를 거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방식으로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폭기조 유닛(5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혐기조(400)의 후단에 구비되어 혐기조(40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HBC ring)에 의해 1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1 폭기조(51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제1 폭기조(5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 폭기조(51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에 의해 2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2 폭기조(5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폭기조(510) 및 제2 폭기조(520)에서 바이오 링을 통해 단계적으로 폭기 처리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와 SS(부유물질량)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폭기조(510)와 제2 폭기조(520)는 각각의 내부에 바이오 링이 8 ~ 10 cm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폭기조(510)와 제2 폭기조(520)의 관리가 편리해지고 BOD와 SS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이오 링의 간격이 8 cm 미만이면 제1 폭기조(510) 및 제2 폭기조(520)의 관리가 다소 불편해질 수 있고, 바이오 링의 간격이 10 cm 초과면 BOD 및 SS의 제거 효율이 다소 저하될 수도 있다.
자립무산소조(6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마지막으로 질소와 인이 제거되어 침전방류조(900)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자립무산소조(600)의 내부에도 바이오 링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립무산소조(600)에는 초기 미생물이 활성화가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폭기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폭기조 유닛(500)의 후단에 구비되어 폭기조 유닛(500)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제1 참숯 여과막조(7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제1 참숯 여과막조(710)를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2 참숯 여과막조(7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참숯 여과막조(710) 및 제2 참숯 여과막조(720)에서 참숯(701)을 통해 단계적으로 여과와 미생물 배양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총 인과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악취도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숯(701)으로는 통 숯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참숯(701)은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제2 참숯 여과막조(720)의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분포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숯(701)은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제2 참숯 여과막조(720)의 내부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서로 가장 가까운 참숯(701) 간의 간격은 참숯(701) 전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장변 길이의 1/17 ~ 1/10의 비율이 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제2 참숯 여과막조(720)의 내부에서 참숯(701)들이 최적의 간격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여과 효율과 미생물 배양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참숯(701) 간의 간격이 1/17 미만이면 참숯(701)들이 너무 촘촘하게 배치되어 처리수의 유동과 여과 효율이 다소 저하될 수 있고, 참숯(701) 간의 간격이 1/10을 초과하게 되면 참숯(701)들이 서로 멀어지게 배치되어 총 인과 총 질소의 제거 효율이 다소 저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폭기조(520)와 제1 참숯 여과막조(710)의 사이에는 제2 폭기조(520)를 거치며 BOD와 SS가 제거된 처리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처리수 중 부유물질은 침하 되도록 하며 침하 된 부유물질은 제1 침전 회수관(140)을 통해 침전분리조(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침전조(8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침전 회수관(140)은 맨홀(101) 방향으로도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부유물질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자립무산소조(600)의 후단에는 배출구(120)가 연통 되어 정화 처리가 완료된 정화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침전방류조(90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침전방류조(900)의 내부에는 자립무산소조(600)에 연결되어 자립무산소조(6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며 유입되는 처리수에서 이물질이 한번 더 걸러지도록 하는 정류통(9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장치 케이싱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처리수 유출관
140 : 제1 침전 회수관 150 : 제2 침전 회수관
200 : 침전분리조 300 : 유량조정조
310 : 계량조 400 : 혐기조
500 : 폭기조 유닛 510 : 제1 폭기조
520 : 제2 폭기조 600 : 자립무산소조
700 : 참숯 여과막조 유닛 701 : 참숯
710 : 제1 참숯 여과막조 720 : 제2 참숯 여과막조
800 : 침전조 900 : 침전방류조

Claims (3)

  1. 일측을 통해서 오폐수가 유입되고, 타측을 통해서는 오폐수가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며,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장치 케이싱(100);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비중 차에 의해 분리되며 오폐수의 식물성 기름성분과 고형 물질이 하부에 축적되도록 하는 침전분리조(200);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침전분리조(2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분리조(200)를 거친 처리수의 유량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량조정조(300);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유량조정조(3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량조정조(300)를 거친 처리수를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방식으로 처리하는 혐기조(400);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혐기조(4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40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폭기조 유닛(500);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5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처리수 속에 있는 미생물이 자립 되게 하는 자립무산소조(600); 및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500)과 상기 자립무산소조(6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폭기조 유닛(500)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
    을 포함하고,
    상기 참숯 여과막조 유닛(700)은,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폭기조 유닛(5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폭기조 유닛(500)을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7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710)를 거친 처리수가 참숯(701)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되며 미생물이 배양되게 하는 제2 참숯 여과막조(720)를 포함하며,
    상기 폭기조 유닛(500)은,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혐기조(4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40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에 의해 1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1 폭기조(510)와,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폭기조(51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폭기조(510)를 거친 처리수 속에 있는 호기성 미생물이 바이오 링에 의해 2차적으로 배양되게 하는 제2 폭기조(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폭기조(510)와 제2 폭기조(520)는 각각의 내부에 바이오 링이 8 ~ 10 cm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참숯(701)은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710)와 상기 제2 참숯 여과막조(720)의 내부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서로 가장 가까운 참숯(701) 간의 간격은 참숯(701) 전체가 구비되는 공간의 장변 길이의 1/17 ~ 1/10의 비율이 되게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폭기조(520)와 상기 제1 참숯 여과막조(710)의 사이에는 상기 제2 폭기조(520)를 거치며 BOD와 SS가 제거된 처리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처리수 중 부유물질은 침하 되도록 하며 침하 된 부유물질은 제1 침전 회수관(140)을 통해 상기 침전분리조(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침전조(8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침전 회수관(140)은 맨홀(101) 방향으로도 상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상기 장치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자립무산소조(600)의 후단에는 배출구(120)가 연통 되어 정화 처리가 완료된 정화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침전방류조(900)가 구비되고,
    상기 침전방류조(900)의 내부에는 상기 자립무산소조(600)에 연결되어 상기 자립무산소조(6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며 유입되는 처리수에서 이물질이 한번 더 걸러지도록 하는 정류통(9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68501A 2022-12-06 2022-12-06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KR10259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01A KR102594274B1 (ko) 2022-12-06 2022-12-06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01A KR102594274B1 (ko) 2022-12-06 2022-12-06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274B1 true KR102594274B1 (ko) 2023-10-26

Family

ID=8850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501A KR102594274B1 (ko) 2022-12-06 2022-12-06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037A (ko) * 2001-01-12 2002-07-22 (주)유정 오수처리시설
KR101126424B1 (ko) * 2011-10-10 2012-03-27 이대진 참숯을 이용하여 후단에 설치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20180018225A (ko) 2016-08-12 2018-02-21 우수지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102008798B1 (ko) * 2018-08-06 2019-08-07 주식회사 조은세상 바이오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총인 총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오·폐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037A (ko) * 2001-01-12 2002-07-22 (주)유정 오수처리시설
KR101126424B1 (ko) * 2011-10-10 2012-03-27 이대진 참숯을 이용하여 후단에 설치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20180018225A (ko) 2016-08-12 2018-02-21 우수지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102008798B1 (ko) * 2018-08-06 2019-08-07 주식회사 조은세상 바이오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총인 총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오·폐수 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1606B2 (en) Batch Styl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logical Filtering Proces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US6811700B2 (en) Integrated hydroponic and fixed-film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5651384B2 (ja) 汚水処理設備、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設備の改築方法
KR20110002832A (ko)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86484B1 (ko) 하수 처리방법
CN101746931A (zh) 一种脱氮除磷生物处理与过滤一体化的污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CA2052152C (en) Denit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209065698U (zh) 一种鲁奇炉煤气化污水处理系统
CN105110556A (zh) 一体化脱氮脱碳曝气生物滤池及其处理系统
CA2300719A1 (en) Membrane supported biofilm process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2594274B1 (ko)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CN109292980A (zh) 一种级数可调的多级ao-mbbr工艺污水处理装置及方法
KR101048516B1 (ko) 혐기발효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축산폐수 액비화 및 정화 설비
JP5822260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の立上げ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CN205313183U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CA3163327C (en) Bioreactor system and method for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JP2611148B2 (ja) 2系統並列式酸化処理施設
KR200202247Y1 (ko)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인 동시 제거장치
KR100460942B1 (ko) 소화조와 연속 회분식 반응조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및장치
CN108394996B (zh)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100879788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오폐수 처리장치, 그 방법, 및 시스템
JP2006218435A (ja) 活性汚泥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