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851B1 -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851B1
KR102018851B1 KR1020170099122A KR20170099122A KR102018851B1 KR 102018851 B1 KR102018851 B1 KR 102018851B1 KR 1020170099122 A KR1020170099122 A KR 1020170099122A KR 20170099122 A KR20170099122 A KR 20170099122A KR 102018851 B1 KR102018851 B1 KR 10201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coating
weight
pesticid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948A (ko
Inventor
이준석
어현주
김지연
이상석
장일
명광진
박윤주
전경진
정유진
권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한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한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한농
Priority to KR102017009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5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C05G3/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01N43/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 A01N43/2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wo hetero atoms in positions 1,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C05G3/0029
    • C05G3/0035
    • C05G3/0041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7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a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30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 C05G5/38Layered or coated, e.g. dust-preventing coatings layered or coated with wax or resin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Fertiliz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피복재 및 농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상기 비료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Mixture of fertilizer agrichemical and use thereof}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고 피복재 및 농약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상기 비료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이 제공된다.
비료 및 합성농약의 사용을 근간으로 하는 집약농업은 식량의 증산에는 공헌하였다. 그러나 농업인구의 감소 및 농업인력의 고령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비료와 농약의 사용에 노동력 절감이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 비료의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 기계화를 통한 시비, 농약의 사용량 절감, 효율적인 시비기술 등의 요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최근 코팅기술의 발달로 비료와 농약을 코팅기술을 활용한 생력화 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 되고 있다, 그러나 비료와 농약을 각각 사용함으로써 노동력이 배로 소요되고 시비를 위한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가에서는 비료와 농약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료와 농약이 반응을 하여 작물에 해를 일으키거나 사용시 문제점들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료와 농약이 하나의 제형으로 만들어 간소화시켜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작물재배 기술을 확립함으로써 노동력 저투입 및 안전한 사용기술을 확보, 친환경적인 작물재배 기술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 예는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식물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는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은 코어부와 코팅층을 포함하는 캡슐 형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코팅층으로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가 혼합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단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1)은,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층은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ii) 피복제가 혼합된 코팅 조성물로 1-단계 (One-step)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2)은,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2-1)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살충제/살균제 코팅층;
(2-2) 상기 살충제/살균제 코팅층 외부를 코팅하는 피복제 코팅층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층 (2-1) 및 (2-2)는 2-단계(two-step)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3)은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2-1)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살균제 코팅층;
(2-2) 상기 살균제 코팅층 외부의 살충제 코팅층; 및
(2-3) 상기 코어부와 살균제 코팅층 사이, 살균제 코팅층과 살충제 코팅층 사이, 및 살충제 코팅층 외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존재하는 피복제 코팅층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임의로, 상기 살균제 코팅층 및 살충제 코팅층 중 하나 이상은 피복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살균제 및 피복제 혼합 코팅층 및/또는 살충제 및 피복제 혼합 코팅층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층은 적어도 3단계 코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층의 코팅층 (살균제 코팅층, 살충제 코팅층, 및 피복제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3)의 경우, 살균, 살충제의 용출 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3-단계 코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코팅 과정이 복잡하고, 이러한 다단계 코팅이 원제 손실 및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바깥쪽에 살충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 취급시에 살충제가 인체에 묻어서 유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층의 코팅층 (살충제/살균제 코팅층 및 피복제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2)의 경우, 2-단계 코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3-단계 코팅과 비교하여 코팅 단계가 간소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 역시 다단계 코팅에 따른 원가 상승이 수반될 수 있으며, 살균제와 살충제를 동시에 코팅하기 때문에 두 원제가 용출되어야 할 시기 및 함량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 및 피복제가 혼합된 혼합물로 형성된 단일 코팅층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제형 1)의 경우의 경우,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를 피복제와 함께 한번에 코팅 (One-pot 코팅)함으로써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가 피복제 (수지) 내에 포함되므로 유실이 거의 없고, 취급시 인체에 묻을 위험이 없으며,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의 용출 조절 및 함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은,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제형 1)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를 포함하는 단일 코팅층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은,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살충제 및 피복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살충제 코팅층 함유 비료 및 농약 혼합제; 및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살균제 및 피복제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살균제 코팅층 함유 비료 및 농약 혼합제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은 코팅층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비료 및/또는 농약의 용출률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식물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비료는 질소, 인산 (P2O5), 칼륨 (K2O), 및 마그네슘 (Mg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든 천연 비료 및 합성 비료 (예컨대, 요소 및/또는 복합 비료)들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료는 코팅층 형성이 용이하도록 입상의 성상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료가 입상인 경우, 평균 지름이 약 1 내지 약 5mm, 약 1 내지 약 4mm, 약 2 내지 약 5mm, 또는 약 2 내지 약 4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상기 비료는 질소, 인산, 및 칼륨을 예컨대 30:6:6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농약은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1종 이상의 살충제 및 1종 이상의 살균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살충제는 적용 작물의 목적하는 병충해를 방제할 수 있는 모든 살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살균제는 적용 작물의 목적하는 병원균을 방제할 수 있는 모든 살균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는 적용 작물 종류, 방제하고자 하는 병충해 및/또는 병원균 종류, 용출 양상 (lag time 및 release time에서의 용출도), 수용해도, 토양 반감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벼에 적용하기 위한 경우, 상기 살충제는 카보설판,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카보퓨란, 벤퓨라카브, 티아메톡삼, 티아클로프리드, 디노테퓨란,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이미다클로프리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카보설판,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및 카보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살균제는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아이소프로티올레인, 아시벤졸라-에스-메틸 등을 포함하는 도열병균 살균제, 티플루자마이드 등을 포함하는 잎집무늬마름병균 살균제, 오리사스트로빈, 아족시스트로빈 등을 포함하는 도열병균 및 잎집무늬마름병균의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프로베나졸, 오리사스트로빈, 티아디닐, 및 아족시스트로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피복제는 비료의 피복에 사용되는 모든 피복 고분자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피복제는 올레핀계 수지일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예컨대,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 내지 25중량% 또는 15 내지 20중량%),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 등으로 이루어진 올레핀계 폴리머 및 올레핀계 블록공중합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서, 상기 피복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폴리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올레핀계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복제는, 피복 고분자 이외에, 유기물 및 무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생분해 가능한 모든 생분해성 천연 또는 합성 유기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PLA(poly lactic acid), PHA(polyhydroxyalkanotate), PBS(poly(butylene succinate), PCL(polycaprolactone), 전분, 및 자연 분해유도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물은 수불용성 무기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활석, 벤토나이트, 황토, 규조토 및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복제는 올레핀계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예컨대, 30 내지 70 중량부, 30 내지 6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40 내지 70 중량부, 40 내지 60 중량부, 30 내지 55 중량부, 또는 40 내지 55 중량부); 생분해성 유기물 1 내지 30 중량부 (예컨대, 1 내지 25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5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 및 수불용성 무기물은 10 내지 70 중량부 (예컨대, 10 내지 6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45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20 내지 70 중량부, 20 내지 60 중량부, 20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45 중량부, 20 내지 40 중량부, 30 내지 70 중량부, 30 내지 60 중량부, 30 내지 50 중량부, 30 내지 45 중량부, 30 내지 40 중량부, 또는 3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 (또는 코팅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예컨대, 30 내지 70 중량부, 30 내지 6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40 내지 70 중량부, 40 내지 60 중량부, 30 내지 55 중량부, 또는 40 내지 55 중량부); 생분해성 유기물 1 내지 30 중량부 (예컨대, 1 내지 25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5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5 내지 15 중량부); 수불용성 무기물은 10 내지 70 중량부 (예컨대, 10 내지 6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45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20 내지 70 중량부, 20 내지 60 중량부, 20 내지 50 중량부, 20 내지 45 중량부, 20 내지 40 중량부, 30 내지 70 중량부, 30 내지 60 중량부, 30 내지 50 중량부, 30 내지 45 중량부, 30 내지 40 중량부, 또는 35 내지 40 중량부); 및 살충제 및 살균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0.1 내지 30 중량부 (예컨대, 0.1 내지 25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0.5 내지 30 중량부, 0.5 내지 25 중량부, 0.5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25 중량부, 또는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중량부'는 각 성분의 함량을 성분 간의 중량 비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서, 상기 코팅층 (또는 코팅 조성물)은,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 내지 20 중량%;
올레핀계 수지 40 내지 55 중량%;
수불용성 무기물 30 내지 45 중량% 또는 35 내지 40 중량%; 및
생분해성 유기물 1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에서 내부의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고형분)의 함량 (피복률)은, 전체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5 중량%, 1 내지 20 중량%, 3 내지 30 중량%, 3 내지 25 중량%, 3 내지 20 중량%,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9 내지 30 중량%, 9 내지 25 중량%, 또는 9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에 포함된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1 중량%, 또는 0.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적용 가능한 식물은 건식 환경 (예컨대, 밭, 정원, 화분 등)에서 재배되는 식물 (예컨대, 원예 식물, 밭 재배 식물 등), 침수 또는 담수 재배 작물 (예컨대, 벼 등의 논 재배 작물), 수경 재배 작물, 및 수생 식물로 이루어진 모든 단자엽 및 쌍자엽 식물, 또는 모든 초본 및 목본 식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식물은 벼, 밀, 보리, 옥수수, 대두, 감자, 밀, 팥, 귀리 및 수수를 포함하는 식량 작물류; 애기장대, 배추, 무,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및 당근을 포함하는 채소 작물류; 인삼, 담배, 목화, 마초, 목초,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 잔디 및 피마자를 포함하는 특용 작물류;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및 바나나를 포함하는 과수류; 소나무, 팜오일 및 유칼립투스를 포함하는 목본류; 장미,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카네이션, 국화, 백합 및 튤립을 포함하는 화훼류; 및 라이그라스, 레드클로버, 오차드그라스, 알팔파, 톨페스큐 및 페레니얼라이그라스를 포함하는 사료 작물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 예로, 상기 식물은 애기장대, 감자, 가지, 담배, 고추, 토마토, 우엉, 쑥갓, 상추, 도라지, 시금치, 근대, 고구마, 샐러리, 당근, 미나리, 파슬리, 배추, 양배추, 갓무, 수박, 참외, 오이, 호박, 박, 딸기, 대두, 녹두, 강낭콩, 또는 완두 등의 쌍자엽 식물; 및 밀, 보리, 옥수수, 수수 등의 단자엽 식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의 식물 적용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벼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벼 파종시 파종상자에 처리하거나, 자동파종기를 활용하여 파종상에 시비한 후 벼를 파종하고 육묘하여 본답에 이앙하거나, 벼 육묘용 모판에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묘의 이식 직전에 밭작물의 육묘 포트에 처리하거나, 벼 또는 밭작물 파종시 묘판이나 포트에서 시비하여 육묘한 후 이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가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 및 피복제가 혼합된 혼합물로 코팅된 캡슐 형태의 비료-농약 혼합제는, 제조 공정 중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의 유실이 거의 없고, 취급시 인체에 묻을 위험이 없으며, 살충제 및/또는 살균제의 용출 조절 및 함량 조절을 용이할 뿐 아니라, 식물에 비료와 농약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비료/농약 혼합제 조성물의 코팅 컨셉을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비료/농약 혼합제 조성물 내의 농약 함유량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살충제 원제 후보 물질 함유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에 따른 수중 용출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제 원제 후보 물질 함유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에 따른 수중 용출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의 비료/농약합제(살균제+살충제) 혼합 코팅 제형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농약합제 혼합 코팅 제형을 처리한 추청 품종 벼의 파종 25일 후의 생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료/농약합제 혼합 코팅 제형을 처리한 추청벼 모판의 파종 15일 후의 매트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 제형의 살충제/살균제 조성에 따른 애멸구에 대한 약효 (방제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은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 제형의 살충제/살균제 조성에 따른 애멸구에 대한 약효 (방제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료/농약 혼합제에 사용하기 적합한 농약(살균제/살충제)의 선정
살충, 살균제의 경우, 육묘상 처리 시 처리 방법 및 약해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기존 육묘상 처리농약 시판되고 있는 원제 중 수용해도, 토양반감기, 대상 병해충 방제 스펙트럼 등을 토대로, 비료 및 농약의 혼합제에 사용하기 위한 살균제 및 살충제로서, 최종적으로 살충제 3종 및 살균제 4종의 총 7종을 후보 원제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원제의 수용해도가 400 ppm보다 높은 원제는 파종상으로 사용할 경우 수상에서 burst한 용출 trigger로 작용하여 피복의 구성성분으로 적용 시 비료 성분의 용출 제어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육묘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수용해도가 400 ppm 이하인 원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수도작 작기가 120일 수준이고, 제형의 컨셉이 용출 지연형이므로, 토양 내 원제의 안정성 및 약효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양 반감기가 적어도 30일 이상인 원제를 선택하였다. 예외적으로, 티아디닐(Tiadinil)은 반감기가 3~5일로 매우 짧으나, 시판 육묘상 처리제의 경우 원제 투입량이 높고 비교적 저가이므로 후보 원제에 포함시켰고,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역시 반감기가 2주 정도로 짧지만 도열병과 잎집무늬마름병에 동시방제 가능하므로 후보 원제에 포함시켰다.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최종적으로 3종의 살충제, 즉, 카보설판(Carbosulfan), 피프로닐(Fipronil), 및 클로티아니딘(Clothianidin), 및 4종의 살균제, 즉, 아족시스트로빈, 프로베나졸(Probenazole), 티아디닐, 및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의 총 7가지 원제를 선정하여 하기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선정된 약제의 특성을 표 1에 정리하였다:
대상 병해충 약제명 수용해도 토양 반감기
 살충제
 물바구미
저온성해충
카보설판 3ppm  3~30일(in soil)
피프로닐  2ppm -
클로티아니딘 300ppm 148~1,155일
(Soil aerobic)
 살균제 도열병  프로베나졸 150ppm 24h (in soil)
티아디닐 13ppm 3~5일 (in paddy)
도열병/잎집무늬
마름병
오리사스트로빈 81ppm 51~58일(Field)
365일 이상(Lab)
아족시스트로빈 6ppm 14일(Field)
실시예 2: 후보 원제에 따른 One-pot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및 코팅 후 원제 수율 측정
비료/농약 혼합제를 코팅하기 위한 One-pot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의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약 (살충제 또는 살균제) 원제 및 코팅 원료를 정량한 후, heating plate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을 휘발 특성에 맞게 30~100℃에서 가열하여 용해 및 분산시켜, 각 처방 별로 7종의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료 (질소-인산-칼륨: 30-6-6)를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된 각각의 코팅 조성물로 한 번에(one-pot) 피막 코팅하여, 내부에 비료를 포함하고, 이를 농약 (살충제 또는 살균제)와 피막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한 피막 구조를 갖는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제조하였다.
코팅 조건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열풍량: 8~9m/초
열풍온도: 60~70℃
비료입자: 2~4㎜
비료 투입량: 1.5㎏
코팅 조성물 농도: 고형분 5~20 중량%
코팅 조성물 공급량: 1~5g/분
코팅시간: 17~68분
코팅율: 5~20 중량%
각 처방별 제조된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 내 원제 함량 분석은 신규 비료/농약 혼합제 중의 원제(농약) 함량 분석법인 THF (tetrahydrofuran) 추출법을 이용하여 피막 내 원제를 추출하고 이를 HPLC 분석을 통하여 원제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THF 추출법을 포함한 HPLC 분석의 전처리 과정을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HPLC 분석은 다음의 표 2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구분 분석 조건
Column Capcellpack MG-II C18 (25 cm X 4.6 mm, 5 ㎛)
Mobile phase Acetonitrile : D.W = 50 : 50, (pH 3 by H3PO4)
Flow rate 1.0 ml/min
Wavelength 254 nm
Column Temp. 40 ℃
Injection volume 10.0 ㎕
Internal
standard
Dimethyl Phtalate (DMP)/Acetonitrile (ACN)
= 5 g/1 L
Run time 15 min
클로티아니딘 또는 오리사스트로빈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반복 분석을 통하여, 상기 도 2 및 표 2의 분석 방법을 검증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오리사스트로빈 클로티아니딘
코팅 시 투입된 원제 함량 (중량%) 1.033 2.750
분석된 원제 함량 (중량%) 1.013 2.729
코팅 후 원제 수율 (중량%) 98.1 99.2%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팅 후 원제 수율이 약 98% 이상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비료농약 혼합제의 원제 분석법을 최종 확정지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도 2 및 표 2의 원제 함량 분석 방법이 피복 내 원제 함량을 정확하게 분석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원제 함량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7종의 코팅 조성물로 One-pot 코팅 시의 코팅 수율 및 원제 함량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7종의 코팅 조성물의 조성 및 원제 코팅 수율 및 원제 함량
원제 종류 투입량 기준 코팅 원료 비율 (중량%) 원제 코팅 수율
(중량%)
원제 함량
(중량%)
고분자 A 고분자 B 무기물 유기물 해당 원제
살충제 카보설판 18.0 27.0 37.9 3.0 14.1 96.7 2.405
피프로닐 22.8 22.8 38.3 12.8 3.3 82.9 0.423
클로티아니딘 22.9 22.9 38.5 12.8 2.8 88.3 0.376
살균제 프로베나졸 32.5 11.4 36.9 11.4 7.8 85.5 0.928
오리사스트로빈 32.5 11.4 36.9 11.4 7.8 98.1 1.013
아족시스트로빈 32.5 11.4 36.9 11.4 7.8 94.9 1.030
티아디닐 29.7 10.4 33.7 10.4 15.7 93.3 2.202
(고분자 A: 폴리에틸렌,
고분자 B: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무기물: 활석,
유기물: 전분;
원제 코팅 수율 (%) = 원제 함량/원제 투입량 x 100)
살충제 함유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경우, 해충이 발생되는 이앙 후 약 60일경까지 약효가 발효되어야 하고 파종상 비료 육묘 기간인 20일 전/후 까지는 비료 용출이 5중량% 미만인 것이 좋다. 따라서, 원제 용출을 60일까지 제어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을 12중량% 이상 함유하고 고분자 A와 B의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1:1 비율인 코팅 조성을 선정하여 코팅 진행하였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프로닐과 클로티아니딘의 경우 코팅 원제 수율은 각각 82.9%, 88.3%였으나, 카보설판의 경우는 96.7%로 높은 코팅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카보설판 원제가 점도가 강한 액상이나 코팅액 용매에 완전 용해되고 원제 점착성에 의해 코팅 시 비료 표면에 잘 점착되는 결과로 사료된다.
살균제 함유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경우, 병이 발생되는 이앙 후 약 50~90일경에 원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도열병의 경우 이앙 후 50~75일경, 잎집무늬마름병의 경우 이앙 후 70~90일경). 그러므로 원제 용출 기간을 이앙 시기부터 벼 생육 전반에 걸쳐 제어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은 12중량% 미만으로 함유하고, 고분자 A와 B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1 비율을 갖도록 코팅 조성물을 디자인하였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리사스트로빈, 아족시스트로빈, 티아디닐의 경우 원제 코팅 수율이 각각 98.1%, 94.9%, 93.3%의 높은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오리사스트로빈, 아족시스트로빈, 티아디닐의 경우 코팅 용매에 분산 및 용해도가 높아 원제 코팅 수율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프로베나졸의 경우 원제 코팅 수율은 85.5%로 상기 3종의 후보 살균제 보다 낮았다. 프로베나졸의 경우 상기 3종 코팅 용매에 대한 분산도 및 원제의 점착성이 낮아 수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지만, 코팅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원제에 포함되기에 부족하지 않다.
실시예 3.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비료/농약 용출도 분석
후보 원제 7종 (3종의 살충제: 카보설판,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4종의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오리사스트로빈)에 대한 One-pot 코팅을 진행하여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제조한 후, 수중 비료 용출도를 분석하였다. 상기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은 30-6-6(질소-인산-칼륨 성분비) 비료를 표 4의 조성을 갖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준비하였다.
각 조성별로 제조된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은 25℃ 항온기에서 수중 용출 시험을 진행하였고, 10일 단위로 샘플을 채취하여 켈달 분석기 (Foss, Kjeltec Auto 8400 Analyzer)를 통해 질소 분석을 실시하여 비료 용출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3 (살충제 함유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혼합 코팅 제형의 결과) 및 도 4 (살균제 함유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혼합 코팅 제형의 결과)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보설판 함유 제형의 경우 lag time 용출도가 약 9.2%로 육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5% 이하 수준의 용출제어가 되지 않았으며, release time의 용출도 역시 100일에 65% 수준으로 벼 생육기간 동안 비료가 필요한 기간 동안의 비료 용출률이 다소 낮을 수 있다.
피프로닐 함유 제형의 경우, lag time의 용출도는 약 5% 수준으로 육묘 안정성은 기대할 수 있으며, release time의 비료 용출도가 약 75% 수준으로 나타났다.
클로티아니딘 함유 제형의 경우, lag time의 용출도가 2.7% 수준으로 육묘기간 동안 안정도가 매우 높으며, release time의 비료 용출도 역시 90일에 85% 이상으로 벼 생육 기간 동안 비료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종의 살균제, 티아디닐, 오리사스트로빈, 및 프로베나졸의 경우 lag time의 용출도가 5% 미만으로 육묘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며, release time의 용출도 역시 90일에 85% 수준으로 벼 생육기간 동안 비료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족시스트로빈의 경우 lag time의 용출도가 14.8% 수준으로 다소 높아서 육묘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비료/농약 혼합제의 조합 선정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원제 7종 (3종의 살충제: 카보설판,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4종의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오리사스트로빈)을 각각 One-pot 컨셉으로 코팅하여 얻어진 코팅 제형을 표 5의 농약 (살충제+살균제) 조합으로 혼합하여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료/농약 혼합제 코팅 제형 조합
후보 조성 (12종) 비료 성분
(N-P-K)
처리량
(g/모판)
원제 함량 (중량%)
살충제 살균제
피프로닐+아족시스트로빈 30-6-6 600  0.05 0.29
피프로닐+오리사스트로빈 0.05 0.29
피프로닐+프로베나졸 0.05 0.30
피프로닐+티아디닐 0.05 0.50
카보설판+아족시스트로빈 0.29 0.29
카보설판+오리사스트로빈 0.29 0.29
카보설판+프로베나졸 0.29 0.30
카보설판+티아디닐 0.29 0.50
클로티아니딘+아족시스트로빈 0.04 0.29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 0.04 0.29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 0.04 0.30
클로티아니딘+티아디닐 0.04 0.50
(원제 함량은 전체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총 중량 기준임)
상기 표 5와 같이 비료 (30-6-6)을 사용하여 각 후보 조합별로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준비하였으며, 파종상으로 모판 당 600 g 시비 시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육묘상 및 파종상 처리 살균/살충제 입제 제품 (콤비네 (팜한농), 한소네 (성보화학㈜) 등)과 동일한 농약 성분이 함유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각 조합별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 비료의 모습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경우 조합된 원제 본래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 며, 평균 입경 1 내지 5 mm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비료/농약 혼합제의 육모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12종의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육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기 조건으로 파종 및 육묘 시험을 진행하였다:
- 품종: 추청
- 종자량: 200g/모판
- 상토: 밑 상토/윗 상토 모두 ㈜ 팜한농 슈퍼 준중량 상토 사용
- 시비량: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 600g/모판 (원제 함량은 표 5 참조)
- 상자 쌓기: 30 ℃ 항온/항습기 내 3일간 상자 쌓기 진행
- 육묘 장소 및 치상 방법: 유리 온실 내 시험 베드 치상
- 물 관리: 3 회/일 이상 충분히 관수
- 생육조사: 파종 후 10일, 20일, 및 25일 초장, 엽색도 (엽록소 함량값; SPAD-520plus, KONICA MINOLTA) 측정-
            15일 매트 조사 (육안 관찰)
상기의 파종 및 육묘 시험 조건에서 시험을 진행하며, 매일 육안 관찰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6 및 도 6 (25DAS)의 생장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군 10 DAS 20 DAS
초장(cm) 초장(cm) 엽색도
관행 14.5 ab 17.6 b 25.9 b
파종상 13.2 b 21.5 ab 28.5 ab
카보설판+아족시스트로빈 14.0 ab 비해 비해
카보설판+오리사스트로빈 15.2 a 비해 비해
카보설판+프로베나졸 15.3 a 비해 비해
카보설판+티아디닐 14.5 ab 비해 비해
클로티아니딘+아족시스트로빈 14.3 ab 비해 비해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 14.0 ab 22.3 ab 30.1 a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 14.7 ab 22.7 ab 27.2 ab
클로티아니딘+티아디닐 14.8 ab 22.7 ab 29.7 a
카보설판+아족시스트로빈 14.0 ab 비해 비해
카보설판+오리사스트로빈 15.3 a 23.7 a 28.8 ab
카보설판+프로베나졸 15.5 a 약하게 비해 약하게 비해
카보설판+티아디닐 15.2 a 22.3 ab 29.6 a
표 6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묘안정성 시험 결과, 파종후 10일(10 DAS)까지는 12종 제형 처리군 모두에서 정상 생육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0 DAS부터는 lag time의 비료 용출도가 빠른 카보설판과 아족시스트로빈 함유 제형에서 비해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카보설판 함유군의 경우 육안관찰 결과 약 18 DAS부터 모판의 중간 부분에 비해 증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반면, 카보설판과 아족시스트로빈 미함유 군의 경우 대부분 육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살충제인 카보설판의 경우, 제제화시에 원제 수율이 82% 수준으로 비교적 낮고 수용해도 역시 2 ppm으로 비교적 낮다는 단점을 가지며, 살균제인 티아디닐의 경우에는, 제제화시의 투입량이 다른 살균제에 비해 약 2배 수준의 비교적 고함량이므로, 코팅 시 노즐 막힘, 조업시간 증가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파종상 및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경우, 뿌리 하단에 비료가 위치하기 때문에, 20 DAS에서 일반 관행 육묘에 비해 초장의 경우 3~5 cm 가량 크며, SPAD 값의 경우 3~4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25 DAS의 경우, 카보설판과 아족시스트로빈 처리군, 특히, 카보설판+아족시스트로빈 처리군의 경우 모판의 고사 비율이 높아서 비료 용출도가 육묘 안정성의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원제에 따른 비해 증상의 원인은,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피복 구성물 중의 하나로 농약 원제가 함유되어, 이로 인해 원제가 가지는 물리, 화학적 성질, 예를 들어 수중 용해도, 물성(액상, 분말상), 코팅 시 코팅 효율 등에 기인하여 육묘기간 중의 비료 성분의 용출이 제어되지 못하여 오는 비해로 생각된다. 그 증거로, 원제 함유 제형의 육묘기간의 용출도가 빠른 제형의 경우 비해 증상이 나타남을 들 수 있다.
매트상태의 경우, 15 DAS에서, 육안으로 확인 시, 시험군 모두 매트형성이 관행 대비 동등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도 7의 매트 단면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은 뿌리 층에 위치하지만, 시그모이드(sigmoid)의 특수 비료 용출 패턴으로 인하여 안전하게 육묘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12종의 후보 제형 중 비료 용출도와 육묘 안정성이 확보되며, 제제 시 코팅 수율이 높고 원제 투입량이 적은 것으로,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과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을 포함하는 2종을 최종 제형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6.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원제 함량 선정
상기 실시예 5에서 선정된 2종의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적절한 원제 함량 결정을 위해, 방제가 포트 시험을 실시하였다.
하기의 표 7의 조성으로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형 농약 조성
(%: 중량%)
비료 성분
(N-P-K)
처리량
(g/모판)
원제 함량 (중량%)
살충제 살균제
제형 1 클로티아니딘 (0.024%)+
오리사스트로빈 (0.174%)
30-6-6 600  0.024 0.174
클로티아니딘 (0.032%)+
오리사스트로빈 (0.232%)
0.032 0.232
클로티아니딘 (0.041%)+
오리사스트로빈 (0.29%)
0.041 0.29
제형 2 클로티아니딘 (0.024%)+
프로베나졸 (0.18%)
0.024 0.18
클로티아니딘 (0.032%)+
프로베나졸 (0.24%)
0.032 0.24
클로티아니딘 (0.041%)+
프로베나졸 (0.30%)
0.041 0.30
(원제 함량은 전체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의 총 중량 기준임)
추정벼를 사용하여, 파종상(무방제군) 및 각 원제 함량별 비료/농약 혼합 코팅 제형을 600g/모판 양으로 시비한 후, 종자는 200g/모판 양으로 시비하여 파종을 진행하고 항온/항습기에서 3일 모판쌓기 후 육묘를 진행하였다. 육묘시험이 진행된 모판은 파종 후 20일 차에 포트에 6주씩 이앙 후 온실에서 벼 재배를 진행하였다.
이앙 후 30일 차에, 각 포트에 원통형 유리 케이스를 장치하고 애멸구 50 마리 이상을 접종한 후, 1, 4, 6 일 차에 생충수를 측정하였다.
제형 1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의 애멸구를 대상으로 한 약효 평가 결과(방제가; 살충률)를 표 8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제형 1 (클로티아니딘+오리사스트로빈) 애멸구 방제가 결과
시험군 방제가(%)
1 DAT 4 DAT 6 DAT
파종상 (무방제) [106.4]* [119.0]* [143.2]*
클로티아니딘 (0.024%)+
오리사스트로빈 (0.174%)
9.1 b 35.8 b 63.0 b
클로티아니딘 (0.032%)+
오리사스트로빈 (0.232%)
15.8 ab 53.6 a 89.8 a
클로티아니딘 (0.041%)+
오리사스트로빈 (0.29%)
18.7 a 58.8 a 90.9 a
(DAT: Day after Transplanting;
*: 방제가가 아닌 생충률 (접종 후 조사시기에 살아있는 충의 비율))
표 8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티아니딘 (0.024%(중량기준, 이하 동일))+오리사스트로빈 (0.174%) 제형 처리군의 경우 60%의 비교적 낮은 방제가를 보인 반면, 클로티아니딘 (0.032%)+오리사스트로빈 (0.232%) 제형 처리군과 클로티아니딘 (0.041%)+오리사스트로빈 (0.29%) 제형 처리군 모두 애멸구 접종 후 6일 차에 약 90% 수준의 높은 방제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클로티아니딘 (0.032%)+오리사스트로빈 (0.232%) 제형의 경우, 원제 함량이 더 높고 모판 시비량 대비 시판 제품과 동일 원제 함량을 가지는 클로티아니딘 (0.041%)+오리사스트로빈 (0.29%) 제형과 거의 유사한 방제가를 보이므로, 원제 함량 절감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제형 1의 경우, 최종적으로 클로티아니딘 함량을 0.032중량%, 오리사스트로빈 함량을 0.232중량%로 각각 결정하였다.
제형 2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의 애멸구를 대상으로 한 약효 평가 시험 결과를 표 9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제형 2 (클로티아니딘+프로베나졸) 애멸구 방제가 결과
시험군 방제가(%)
1 DAT 4 DAT 6 DAT
파종상 (무방제) [107.2]* [124.0]* [161.2]*
클로티아니딘 (0.024%)+
프로베나졸 (0.18%)
3.1 b 26.3 c 57.4 c
클로티아니딘 (0.032%)+
오리사스트로빈 (0.24%)
15.2 ab 45.1 b 82.9 b
클로티아니딘 (0.041%)+
오리사스트로빈 (0.30%)
21.0 a 60.2 a 91.4 a
(DAT: Day after Transplanting;
*: 방제가가 아닌 생충률 (접종 후 조사시기에 살아있는 충의 비율))
표 9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로티아니딘 (0.024%)+프로베나졸 (0.18%) 제형 처리군의 경우 60% 이하의 비교적 낮은 방제가를 보인 반면, 클로티아니딘 (0.032%)+프로베나졸 (0.24%) 제형 처리군의 경우 애멸구 접종 후 6일 차에 약 83% 이상, 클로티아니딘 (0.041%)+프로베나졸 (0.3%) 제형 처리군의 경우 애멸구 접종 후 6일 차에 약 90% 이상의 높은 방제가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클로티아니딘 (0.041%)+프로베나졸 (0.3%) 제형 처리군의 경우 살충제 등록 기준인 방제가 90% 이상의 수준을 만족하므로, 제형 2의 경우 최종적으로 클로티아니딘 함량을 0.041중량%, 프로베나졸 함량을 0.3중량%로 결정하였다.

Claims (8)

  1. (1) 비료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2) 상기 코어부를 코팅하는, (i)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ii) 피복제를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1-단계 코팅에 의하여 형성된 단일 코팅층이고,
    상기 살충제는 피프로닐 및 클로티아니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살균제는 프로베나졸, 티아디닐, 및 오리사스트로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는 평균지름이 1 내지 5mm의 입상 형태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는 클로티아니딘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는 프로베나졸 및 오리사스트로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는 올레핀계 수지, 생분해성 유기물, 및 수불용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것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는 올레핀계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생분해성 유기물 1~30 중량부; 및 수불용성 무기물은 10~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살충제 및 살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1 내지 20 중량%;
    올레핀계 수지 40 내지 55 중량%;
    수불용성 무기물 30 내지 45 중량%; 및
    생분해성 유기물 1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인,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을 식물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
KR1020170099122A 2017-08-04 2017-08-04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01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22A KR102018851B1 (ko) 2017-08-04 2017-08-04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22A KR102018851B1 (ko) 2017-08-04 2017-08-04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8A KR20190014948A (ko) 2019-02-13
KR102018851B1 true KR102018851B1 (ko) 2019-09-05

Family

ID=6536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22A KR102018851B1 (ko) 2017-08-04 2017-08-04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1915B2 (ja) * 2018-04-19 2022-05-02 京セラインダストリアルツールズ株式会社 丸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1915B2 (ja) * 1989-01-24 1995-07-05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農材多重被覆粒状肥料
KR101179469B1 (ko) * 2009-12-16 2012-09-07 동부팜한농 주식회사 용출제어형 입상배합 타입의 피복비료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20150099627A1 (en) * 2013-10-04 2015-04-09 Fmc Corporation Co-Formulations of Bifenthrin with Encapsulated Crop Protection Agents For Use with Liquid Fertiliz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1915B2 (ja) * 2018-04-19 2022-05-02 京セラインダストリアルツールズ株式会社 丸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8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7045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роизводные антрахинона, в качестве стимуляторов роста и противогрибковых агентов
KR101441614B1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US9295190B2 (en) Seed treatment composition
CN105705555B (zh) 用于茎段处理的藻酸盐涂层
EA017238B1 (ru) Пестицидные комбинации
JP2014503498A (ja) 植物成長増強混合物及び該混合物の適用方法
Adamczewska-Sowinska et al. Effects of plastic and biodegradable mulch films in field tomato cultivation
KR102018851B1 (ko)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018850B1 (ko) 비료 및 농약 혼합제 제조 방법
CN105431044A (zh) 微生物农业
AU2020251027A1 (en) Super absorbent polymer and a method of increasing sugar content in plants
McLeod et al. Laboratory toxicity profile of an organic formulation of spinosad against the eggplant flea beetle, Epitrix Fuscula Crotch
Aryal et al. Efficacy of commercial insecticides for cowpea pod borer (Maruca vitrata f.) management in Pokhara, Nepal.
Markuszewski et al. Transformations of chemical compounds during apple storage.
KR102331449B1 (ko)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Rahman et al. Herbicide efficacy on three annual grass weeds in soils with different cropping histories
Eagle Agrochemical Damage to Crop Plants
James et al. Efficacy of preemergence herbicides on three annual grass weeds in different soils
Arini et al. Effect of type and time of fertilizer application in foliar fertilization on production and seed quality of cayenne (Capsicum frutescens L. var. Bonita)
KR20170111224A (ko) 타감작용을 이용한 마늘을 주재로 한 비료의 제조방법
CA3219534A1 (en) Use of quassia-extract for a seed treatment as insecticide
Abraham et al. Competition of Mikania with common crops of Kerala
WO2015115476A1 (ja) 害虫の防除方法及び防除剤
CN113907081A (zh) 一种含吡噻菌胺和肟菌酯的杀菌组合物
WO2023058054A1 (en) Compositions and a method of improving plant health and controlling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