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54B1 -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54B1
KR102018654B1 KR1020130065385A KR20130065385A KR102018654B1 KR 102018654 B1 KR102018654 B1 KR 102018654B1 KR 1020130065385 A KR1020130065385 A KR 1020130065385A KR 20130065385 A KR20130065385 A KR 20130065385A KR 102018654 B1 KR102018654 B1 KR 10201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bile terminal
signal
microphon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611A (ko
Inventor
이준호
문선국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어 마이크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이어 마이크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결정하는 음향 신호 분석부; 및 상기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HAVING AN EAR-MICROPHO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고, 또한 편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휴대폰 액세서리들이 지원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 액세서리들 중 하나인 이어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와, 상대방의 음성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의 음향 신호 등이 출력되는 스피커, 및 타 단말기로부터 착신된 통화를 개시 또는 종료하기 위한 통화/종료 버튼 등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이어 마이크를 연결하여, 전화가 걸려오면 이어 마이크를 통해 핸즈프리(hands-free) 상태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통화/종료 기능 외에,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needs)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어 마이크의 제어박스에 다양한 제어 버튼이 추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제어박스의 작은 크기로 인해, 이어 마이크에 다양한 제어 버튼을 추가하는 것은 물리적/공간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여러 개의 제어 버튼이 추가된다 하더라도,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어 마이크의 잭 플러그에 상기 추가된 제어 버튼의 개수에 상응하는 접촉 단자들이 추가되어야 하거나 혹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위한 별도의 플러그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타 기기와의 호환성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 버튼의 개수 및 타 기기와의 호환성에 문제가 없으면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어 마이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하는 사운드 생성부와, 상기 사운드 생성부에서 발생한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석하여 소정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이어 마이크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결정하는 음향 신호 분석부; 및 상기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는 송수신하는 연결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 마이크의 제어박스에 복수 개의 제어버튼을 추가할 필요없이, 인위적인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의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 마이크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생성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생성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light) 전원이 없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 전하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eletrostatic capacitive) 방식, 터치에 따른 전도체 저항막의 저항값 변화를 이용하는 저항막(resistive overlay) 방식, 적외선 감지(infrared beam) 방식,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integral strain gauge) 방식, 피에조 효과(Piezo electric) 방식 등 중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 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160)는 소정의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미리 분류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운드 패턴들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들에 대한 정보를 룩 업 테이블 등의 형태로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 마이크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인터페이스부(170)와 연결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서포트 벡터 머신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최근 패턴 분류에 있어서 각광을 받고 있는 SVM 알고리즘은, 1995년 Vladimir Naumovich Vapnik에 의해 개발된 통계적 학습 이론으로서, 학습 데이터와 범주 정보의 학습 진단을 대상으로 학습 과정에서 얻어진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의사결정함수를 추정한 후, 이 함수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를 이원 분류하는 것으로 VC 이론 (Vapnik-Chervonenkis theory)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SVM 알고리즘은, 명백한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므로 결과 해석이 용이하고, 실제 응용에 있어서 인공 신경망 수준의 높은 성과를 나타내며, 적은 학습 자료만으로 신속하게 분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초기에는 SVM 알고리즘이 이진 분류(binary classification)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현재에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음성 인식, 문자 인식, 필기 인식, 얼굴 및 물체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인위적인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류하기 위해, 이러한 SVM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마이크(22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군집(clustering) 및 훈련(training)을 수행하여 각각의 음향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학습 모델(즉, SVM 모델)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학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사운드의 특징들은, 12차 MFCC(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SPL(Sound Pressure Level), Peak detection 등과 같은 팩터들(factors)이 될 수 있다.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상기 학습된 SVM 모델을 통해 분류된 사운드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등에 미리 저장한다. 또한,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상기 학습된 SVM 모델을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결정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음향 신호 분석부(183)가 SV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운드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그 외 다른 알고리즘인 결정트리, 신경망 등을 이용하여 사운드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이어 마이크(20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고, 이어 마이크(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소정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 장착 시,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의 동작을 제한하고,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화 모드 시, 이어 마이크(200)에 구비된 버튼 부의 조작에 따라 통화를 개시하거나, 혹은 진행 중인 통화가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향 신호 분석부(183)로부터 제공받은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대한 정보와, 메모리(160)부터 제공받은 룩 업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어 마이크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어 마이크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메뉴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홈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상관없이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백 키로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취소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 작동하거나, 혹은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미도시)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5 및 제6 사용자 입력부(미도시)와, 리어 케이스(100-2)의 상면에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미도시)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미도시)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미도시)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다수의 접촉 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이어 마이크(200)가 삽입 연결되면, 다수의 접촉 단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어 마이크(200)의 연결 여부를 감지한다.
이어 마이크(200)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삽입 장착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와의 연결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가 입출력된다. 이러한 이어 마이크(200)는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는 연결부(또는 잭 플러그, 210)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박스(220), 및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스피커(230)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및 이어 마이크(200)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200)는 연결부(210), 제어박스(220), 스피커(230) 및 케이블(240)을 포함한다.
이어 마이크(200)의 연결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단자를 구비하며,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70)에 삽입 장착되거나, 혹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10)의 접촉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의 접촉 단자와 연결되어, 이어 마이크(200)와 이동 단말기(100) 사이에 소정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이어 마이크(200)의 스피커(23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 마이크(200)의 스피커(230)를 통해, 통화 중인 상대방의 음성 신호 또는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의 음향 신호 등을 청취할 수 있다.
이어 마이크(200)의 제어박스(22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박스(220)는, 마이크(221), 사운드 생성부(223) 및 버튼 부(225)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박스(220)는 이어 마이크의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21)는 제어박스(220)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 또는 사운드 생성부(223)로부터 입력된 음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가령,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인 경우,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이어 마이크(200)의 연결부(2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입력된 후,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된다.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비 통화 모드인 경우,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이어 마이크(200)의 연결부(2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 후, 음향 신호 분석부(183)를 통해 사운드 패턴이 분석되어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박스(220)의 일 면의 중앙에 한 개의 마이크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제어박스(220)에 형성된 사운드 생성부(223)의 구성에 따라, 마이크의 개수 및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버튼 부(225)는, 제어박스(220)의 일 면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키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버튼 부(225)는 푸시 버튼이나 혹은 터치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인 경우, 버튼 부(225)는,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를 개시 또는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비 통화 모드인 경우, 버튼 부(225)는,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활성화하기 위한 키 입력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가 비 통화 모드인 경우,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향 신호를 항상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사운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버튼 부(225)를 조작한 경우에만, 이어 마이크(200)를 활성화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비 통화 모드인 경우, 이어 마이크(200)의 버튼 부(225)가 조작되면, 외부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만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시간 동안, 마이크(221)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가 기 설정된 음향 신호(즉, 기 설정된 사운드 패턴을 갖는 음향 신호)인 경우, 사용자의 연속적인 입력에 대비하여, 상기 마이크(221)의 활성화 시간을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연장할 수 있다.
사운드 생성부(223)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여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운드 생성부(223)는, 제어박스(220)의 적어도 일 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 패턴의 음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마이크(200)의 사운드 생성부(223)는 제어박스(200)의 일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한 복수의 영역들(223_A ~ 223_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다른 소재(또는 재질)와, 서로 다른 패턴의 홈/돌기 등을 이용하여, 상이하게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운드 생성부(223)는,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4개의 영역(223_A, 223_B, 223_C, 224_D)을 모두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영역에 동일한 패턴의 홈 또는 돌기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운드 생성부(223)의 각 영역을 형성하는 소재는,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고무, 종이 등 다양한 재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생성부(223)의 각 영역은, 홈 또는 돌기 등을 구비하지 않고, 서로 다른 소재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문지르거나, 혹은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가로질러 문지르는 경우, 서로 다른 마찰음(즉, 인위적인 음향 신호)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된 영역들을 가볍게 두드리거나 비트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음향 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운드 생성부(223)는, 4개의 영역 모두를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의 크기, 모양, 돌기 간의 간격 및 배열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생성부(223)의 제1 영역(223_A)에 제1 크기 및 제1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고, 제2 영역(223_B)에 제1 크기 및 제2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고, 제3 영역(223_C)에 제2 크기 및 제1 간격의 돌기를 형성하고, 제4 영역(223_D)에 제2 크기 및 제2 간격의 돌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기의 크기는 제2 크기보다 제1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하고, 돌기 간의 간격은 제2 간격보다 제1 간격을 더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문지르거나, 혹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가로질러 문지르는 경우에, 서로 다른 마찰음이 발생한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사운드 생성부(223)는, 4개의 영역을 모두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홈의 크기, 모양, 홈 간의 간격 및 배열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생성부(223)의 제1 영역(223_A)에 제1 크기 및 제1 간격의 홈을 형성하고, B 영역(223_B)에 제1 크기 및 제2 간격의 홈을 형성하고, C 영역(223_C)에 제2 크기 및 제1 간격의 홈을 형성하고, D 영역(223_D)에 제2 크기 및 제2 간격의 홈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홈의 크기는 제2 크기보다 제1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하고, 홈 간의 간격은 제2 간격보다 제1 간격을 더 크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문지르거나 혹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가로질러 문지르는 경우에, 서로 다른 마찰음이 발생한다.
또한, 도 4의 (d)를 참조하면, 사운드 생성부(223)는, 제1 및 제2 영역(223_A, 223_B)을 제1 소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생성부(223)는 제3 및 제4 영역(223_C, 223_D)을 상기 제1 소재와 다른 제2 소재로 구성하고, 각각의 영역에 서로 다른 패턴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문지르거나 혹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가로질러 문지르는 경우에, 서로 다른 마찰음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사운드 생성부(223)의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소재 및 서로 다른 패턴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사운드 생성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생성부(223)의 각 영역이 서로 떨어져 구성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연결된 사운드 생성부(223)의 모양은, 도 5에 도시된 모양(즉, 사각형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다른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이 제어박스(220)의 일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십자(+)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을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상기 복수의 영역들을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기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이 제어박스(2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박스(200)의 일 면뿐만 아니라 다른 면에도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들(E 영역, F 영역, G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종류의 마찰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복수의 영역에 서로 다른 소재 및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생성부(223)를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즉,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규칙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운드 생성부(223)에 채용될 수 있다.
가령, 제어박스(220)의 일 면에 복수의 버튼 부를 구성하여, 그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각 버튼 부 내부에 형성된 물리적 접점의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음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버튼 부는 이어 마이크(200)의 연결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이 아닌, 인위적인 소리를 생성하기 위한 물리적/구조적 형태의 버튼이다.
상술한 사운드 생성부(223)를 통해 발생하는 여러 음향 신호들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 신호는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통해 입력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신호 분석부(183)로 제공된다.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음향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동작 입력을 통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인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는, 작은 크기의 제어박스에 전기적 제어버튼들을 추가할 필요없이, 사운드 생성부를 통해 발생한 음향 신호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이어 마이크(200)가 장착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어 마이크(2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한다(S610). 이때,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153) 및 마이크(123)의 동작을 제한하고,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가 입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결 상태에서, 이어 마이크(200)의 버튼 부(225)가 조작되면,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이어 마이크(200)의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615). 이러한 키 입력 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상기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통화 모드가 통화 수신 모드인지, 아니면 통화 중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25).
상기 625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의 통화 모드가 통화 수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로부터 수신된 키 입력 신호를 통화 연결 신호로 인식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S630).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625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의 통화 모드가 통화 중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로부터 수신된 키 입력 신호를 통화 종료 신호로 인식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연결된 통화를 종료한다(S635).
한편, 상술한 62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통화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소정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이어 마이크(200)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한다(S640).
상기 활성화 기간 동안,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200)의 사운드 생성부(223)를 통해 인위적인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음향 신호를 이어 마이크(200)의 마이크(221)를 통해 수신한 다음,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신호 분석부(183)로 제공한다(S645).
제어부(180)는, 음향 신호 분석부(183)를 제어하여,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외부 음향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외부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분석하도록 한다(S650). 이때, 상기 음향 신호 분석부(183)는 상술한 SVM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외부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을 결정한다.
제어부(180)는 음향 신호 분석부(183)로부터 제공받은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대한 정보와, 메모리(160)부터 제공받은 룩 업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660). 이때, 메모리부(160)는 SVM 학습 모델을 통해 분류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운드 패턴들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들에 대한 정보를 아래 표 1과 같은 룩 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사운드 패턴
제어 명령
방송 시청
애플리케이션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제1 사운드 패턴(A영역 -> B영역) 볼륨 업 볼륨 업
제2 사운드 패턴(B영역 -> A영역) 볼륨 다운 볼륨 다운
제3 사운드 패턴(C영역 -> D영역) 녹화 재생 시작
제4 사운드 패턴(D영역 -> C영역) 취침 예약 일시 정지
제5 사운드 패턴(A영역) 다음 채널 이동 다음 재생 목록 이동
제6 사운드 패턴(B영역) 이전 채널 이동 이전 재생 목록 이동
제7 사운드 패턴(C영역) 채널 보기 빨리 감기
제8 사운드 패턴(D영역) 화면 캡쳐 되감기
표 1은, 이동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모드인 경우,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들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동 단말기가 방송 시청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1 사운드 패턴(즉, A 영역에서 B 영역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2 사운드 패턴(즉, B 영역에서 A 영역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1 또는 제2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반복하여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횟수만큼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3 사운드 패턴(즉, C 영역에서 D 영역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녹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4 사운드 패턴(즉, D 영역에서 C 영역 방향으로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에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취침 예약'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가 제5 사운드 패턴(즉, A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다음 채널 이동'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6 사운드 패턴(즉, B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에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이전 채널 이동'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가 제7 사운드 패턴(즉, C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채널 보기'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된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이 제8 사운드 패턴(즉, D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인 경우에는, 해당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인 '화면 캡쳐'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표 1에서는, 8개의 사운드 패턴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8개의 사운드 패턴들 외에 추가적인 사운드 패턴들 및 그에 대응하는 제어명령들을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각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경우, 제어부는, 이어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따라, '볼륨 업', '볼륨 다운', '재생 시작', '일시 중지', '다음 재생 목록 이동', '이전 재생 목록 이동', '빨리 감기' 또는 '되감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은, 이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인위적인 음향 신호의 사운드 패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에 구비된 사운드 생성부와 동일한 구성을 이동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100-1) 또는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운드 생성부는 이동 단말기의 마이크(123)와 인접한 영역(또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이어 마이크(2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운드 생성부에 대한 입력을 통해서도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200 : 이어 마이크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3 : 음향 신호 분석부

Claims (8)

  1. 소리가 입력되는 이어 마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이어 마이크와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이어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특징을 확인하는 음향 신호 분석부; 및
    상기 확인된 소리의 특징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 분석부는, 서포트 벡터 머신 (Support Vector Machine, SVM)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VM 모델을 통해 기 분류된 소리의 특징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소리의 특징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제어 명령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리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박스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생성하는 사운드 생성부; 및
    상기 사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소리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소리가 입력되는 동작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 마이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생성부는, 상기 제어박스의 적어도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생성부는, 서로 다른 소재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이하게 구분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마이크.
KR1020130065385A 2013-06-07 2013-06-07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85A KR102018654B1 (ko) 2013-06-07 2013-06-07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385A KR102018654B1 (ko) 2013-06-07 2013-06-07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11A KR20140143611A (ko) 2014-12-17
KR102018654B1 true KR102018654B1 (ko) 2019-09-05

Family

ID=5267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385A KR102018654B1 (ko) 2013-06-07 2013-06-07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63B1 (ko) * 2017-01-02 2018-09-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를 이용하는 휴대 기기의 확장 입력 장치 및 확장 입력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347A (ja) 2000-06-23 2002-03-22 Yoshimitsu Sud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ーンマイ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5709B2 (ja) * 2009-12-11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4347A (ja) 2000-06-23 2002-03-22 Yoshimitsu Sud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ーンマイ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611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78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722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5804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874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206071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572369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1353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25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91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8654B1 (ko) 이어 마이크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031467A1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70074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53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073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875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3868B1 (ko) 외부 장치의 av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11713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2755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682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971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922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