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743A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743A
KR20120028743A KR1020100090761A KR20100090761A KR20120028743A KR 20120028743 A KR20120028743 A KR 20120028743A KR 1020100090761 A KR1020100090761 A KR 1020100090761A KR 20100090761 A KR20100090761 A KR 20100090761A KR 20120028743 A KR20120028743 A KR 2012002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hand
pointer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696B1 (ko
Inventor
이진술
김동옥
김태윤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96B1/ko
Priority to US13/223,880 priority patent/US9513710B2/en
Priority to EP11007193.3A priority patent/EP2431851A3/en
Priority to CN201110279323.5A priority patent/CN102566747B/zh
Publication of KR2012002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이동시키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손의 움직임이나 손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화상처리 과정을 통해 결합하여 3D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경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생성하거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3D 입체 영상을 사용하여 메뉴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레이어에 아이콘 등을 배치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좌우 시각차와 깊이감으로 인하여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조작에 따라 편리하게 특정 객체를 선택하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3D 입체 포인터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입체 영상에서 사용자 손의 움직임이나 손 동작에 따라 조작가능한 3D 입체 포인터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하여 사용자 손의 움직임이나 손 동작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3D 입체 영상을 사용하는 경우,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여러 가지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검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의 초기 설정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가 변화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핸드 제스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는, 후술하는 3D 입체 모드에서 3D 입체 포인터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3 카메라(121c)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카메라(121b)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3 카메라(121c)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카메라(121c)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3 카메라(121c)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3 카메라(121c)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3 카메라(121c)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카메라(121c)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나 제2 카메라(121b)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3 카메라(121c)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배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과 같은 근접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근접물체를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의 동작과 연동시켜, 3D 입체 영상에 표시되는 특정 객체를 선택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3D 입체 영상(Stereoscopic 3D image)이란 모니터나 스크린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3D 입체 영상은,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이미지를 보고, 그 이미지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면,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대략 65㎜ 떨어져 있는 사람의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양안 시차는 모든 3차원 표시 장치가 기본적으로 만족시켜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3D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안경을 사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 (Stereoscopic)방식, 무안경 방식인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oscopic) 방식,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을 사용하는 프로젝션 방식 등이 있다.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은 가정용 TV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주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에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패럴랙스 일루미네이션(parallax illumination) 방식 등이 사용된다. 렌티큘러 방식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자 앞에 하나의 좌우 간격에 해당하는 반원통형 렌티큘러 시트를 부착하여 좌우 각각의 눈에 좌우에 해당하는 이미지만 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를 느끼게 한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은,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시차 장벽 뒤에 놓이게 함으로써 좌우에 각각 다른 이미지가 보이게 함으로서 입체를 느끼게 한다. 그리고, 패럴랙스 일루미네이션 방식은 후면에 조명라인이 놓이고 그 전면에 LCD가 놓여 조명라인을 통해 밝혀진 LCD 라인이 좌우에만 보이게 함으로써 입체를 구현한다. 이외에도, 인간에게 입체감을 제공하는 요소 중 몇 가지의 특성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3D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3D 입체 모드가 선택되면(S200), 제어부(180)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5).
3D 입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비주얼 데이터(visual data)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210), 제어부(180)는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pointer)를 표시한다(S215).
이때, 3D 입체 포인터는 카메라(121)를 획득한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 등과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화살표 형태나 기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입체 포인터의 색상이나 투명도 등도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의 이동이 감지되면(S220),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S220).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일정한 높이에서 상하나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3D 입체 포인터를 일정한 깊이로 상하나 좌우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사용자의 손이 카메라(121)에 가까이 지거나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를 달리하여 표시한다. 3D 입체 포인터의 이동시, 현재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릭에 대응하는 명령으로 미리 설정된 입력이 있는 경우(S230), 제어부(180)는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35). 이때,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의 예로는, 하이퍼링크(Hyperlink) 개체, 소프트 키, 메뉴 아이콘 등이 있다.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에 의해 선택되거나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는 다른 객체들과 상이한 색이나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릭에 대응하는 명령으로는, 미리 설정된 손 동작, 즉 핸드 제스쳐 (hand gesture) 입력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검지 손가락을 두 번 폈다 접는 손동작이나 주먹을 쥐는 손 동작에 의해, 마우스 클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 따라서는, 3D 입체 포인터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시간 경과에 따라 마우스 클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마우스 클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인지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결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3D 입체 포인터의 이동이나 클릭에 대응하는 명령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손동작이나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S240), 제어부(180)는 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245). 예컨대, 손가락을 모두 핀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드래그 입력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손가락을 한 번 접었다 피면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중지 손가락을 접었다 피면 마우스 우 클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동작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25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3D 입체 영상에서 사용자 손의 움직임 손동작에 의해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는 사용자의 손을 검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0-1)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300)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300)은 제1 카메라(121a)나 제2 카메라(121a, 121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획득한 비주얼(visual)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통해 획득하는 손 이미지의 위치 변화 및 크기 변화나 촛점 거리의 변화에 의해 사용자의 손(300)이 이동하였는지 여부와,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로 근접하는지 혹은 멀어지는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손가락을 접거나 피는 것과 같은 손동작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카메라(121a)만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손(300)을 검출하거나 손의 움직임이나 손동작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즉, 한 개의 카메라만을 구비한 기기에서도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이나 손동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통해 획득한 영상의 시각차를 이용하여 3D 입체 포인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카메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획득한 영상에 대응하는 3D 입체 영상이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획득한 영상에 대응하는 3D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사용자 손의 움직임이나 손동작을 검출하는 카메라로 후면에 배치되는 제3 카메라(121c)나 혹은 3D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제3 카메라(121c)에 인접 배치되는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의 초기 설정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입체 영상(400)에 3D 포인터 크기의 초기화를 위해서 박스(403)나 기타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여,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획득한 영상에 의해 생성한 손 모양의 3D 입체 포인터(405)를 박스(403)안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손 모양의 3D 입체 포인터(405)가 박스(403)안에 들어가도록 사용자가 손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추가하여, 3D 입체 영상에서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공간 위치를 사용자 손의 이동에 대응시켜 교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3D 입체 포인터(405)가 박스(403)안으로 들어가도록 이동이 완료되면,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 사용자의 손 움직임에 따라 3D 포인터의 공간 위치도 이동하게 된다.
3D 입체 포인터(405)의 이동시,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아이콘은 움직이지 않고, 3D 입체 포인터(403)가 그 아이콘을 통과하도록 표시하거나, 3D 입체 포인터(405)의 이동에 따라 그 아이콘이 옆으로 비켜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입체 포인터(405)의 투명도나 형태는 별도의 투명도 조절 메뉴나 포인터 형태 설정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투명도나 형태로 설정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가 변화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에서 멀어짐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433, 435, 437)의 깊이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깊이가 낮은 레이어에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도 9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로 점차 근접함에 따라, 3D 입체 포인터(443, 445, 437)의 깊이가 점차적 커져서, 깊이가 깊은 레이어에 배치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3D 입체 아이콘이 깊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 경로상에 있는 아이콘은 옆으로 비켜나가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손동작, 즉 핸드 제스쳐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 제스쳐 입력에 의해 마우스 클릭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검지 손가락을 한 번 폈다가 다시 접는 동작시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검지 손가락 두 번 접었다 피면 마우스 클릭 동작, 중지 손가락을 한 번 접었다 피면 마우스 우 클릭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약지 손가락을 한번 접었다 피면 다음 화면 표시, 모든 손가락 폈다가 접으면 현재 창 닫기, 세 손가락 폈다 접으면 현재 3D 입체 포인터와 동일 깊이의 레이어에 있는 아이콘만 보여 주는 동작, 두 손가락을 폈다 접으면 현재 레이어에서 한 층 내려가거나 혹은 올라가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손동작에 특정 기능을 매칭시켜, 손동작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메뉴를 제공하여, 특정 손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입체 영상 화면(500)에서 3D 입체 포인터(503)를 이동하면, 현재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를 수치(507)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3D 입체 포인터(503)와 같은 깊이의 레이어(layer) 있는 아이콘(509)은 다른 아이콘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배경색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그림자 효과 등과 같은 화면 효과를 부여하여 다른 레이어에 있는 아이콘과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같은 레이어 있는 아이콘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3D 입체 포인터(503)가 근접하거나 선택한 아이콘도 다른 아이콘과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3D 입체 포인터(503)의 깊이 정보는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3D 입체 포인터(503)의 이동시에만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 깊이 정보(527)를 표시하여 현재 3D 입체 포인터(525)의 깊이를 표시하는 3D 입체 영상(52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입체 포인터(525)의 깊이 정보는 수치 외에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3D 입체 포인터(525)는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레이터로 이동하는 경우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입체 영상 화면(530)을 깊이에 따라 몇 개의 레이어로 나누어, 각 레이어별로 아이콘 등을 배치하고, 3D 입체 포인터(535)가 새로운 레이어에 도달할 때마다 진동과 같은 피드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 신호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3D 입체 포인터(535%가 어느 레이어에 위치하는지 촉각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 변화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주는 방법으로, 3D 입체 포인터의 그림자, 3차원 좌표계를 이용한 좌표값 표시, 3D 입체 포인터 자체의 색상 변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0)

  1.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기설정된 제1 손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손의 이동이 없는 경우, 상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일정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기설정된 제2 손동작이 검출된 후, 상기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드래그 입력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영상에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와 동일한 깊이의 레이어에 위치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 변화에 대응하는 피드백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에 대응하는 깊이정보를 상기 3D 입체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는, 수치, 그래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형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영상에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공간 위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손 동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5. 카메라;
    우안 이미지와 좌안 이미지의 시차를 이용하는 3D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하는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영상에 3D 입체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손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손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공간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기설정된 제1 손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주얼 데이터의 분석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손의 이동이 없는 경우, 상기 3D 입체 포인터가 지시하는 객체에 대응하여 동작을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정보를 상기 3D 입체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입체 영상에서 상기 3D 입체 포인터와 동일한 깊이의 레이어에 위치하는 객체를 다른 객체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입체 포인터의 깊이 변화에 대응하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상기 햅틱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00090761A 2010-09-15 2010-09-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61A KR101708696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3/223,880 US9513710B2 (en) 2010-09-15 2011-09-01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using a stereoscopic 3D pointer on a stereoscopic 3D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007193.3A EP2431851A3 (en) 2010-09-15 2011-09-0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N201110279323.5A CN102566747B (zh) 2010-09-15 2011-09-15 移动终端和用于控制移动终端的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61A KR101708696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43A true KR20120028743A (ko) 2012-03-23
KR101708696B1 KR101708696B1 (ko) 2017-02-21

Family

ID=4467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61A KR101708696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13710B2 (ko)
EP (1) EP2431851A3 (ko)
KR (1) KR101708696B1 (ko)
CN (1) CN102566747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02A1 (en) * 2012-08-21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KR101502085B1 (ko) * 2013-10-04 2015-03-12 주식회사 매크론 안경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인식 입력방법
KR101535738B1 (ko) * 2013-10-28 2015-07-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제어 방법
KR101597628B1 (ko) *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60133296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1201645A1 (ko) * 2020-04-02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비접촉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020B1 (en) 2010-06-16 2014-01-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subjects from a depth map
US11048333B2 (en) 2011-06-23 2021-06-2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JP6074170B2 (ja) 2011-06-23 2017-02-01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近距離動作のトラッキ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41644B1 (ko) * 2011-07-19 2019-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63336A1 (en) * 2011-09-08 2013-03-14 Honda Motor Co., Ltd. Vehicle user interface system
JP2013125247A (ja) * 2011-12-16 2013-06-24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情報表示装置
US11493998B2 (en) 2012-01-17 2022-11-08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9223404B1 (en) * 2012-01-27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Separat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objects in captured images
CN102662577B (zh) * 2012-03-29 2016-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基于三维显示的光标操作方法及移动终端
US20130265296A1 (en) * 2012-04-05 2013-10-10 Wing-Shun Chan Motion Activated Three Dimensional Effect
US9477303B2 (en) 2012-04-09 2016-10-2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three-dimensional tracking with a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a user interface
US9390032B1 (en) * 2012-06-27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Gesture camera configurations
CN104321730B (zh) * 2012-06-30 2019-02-19 英特尔公司 3d图形用户接口
US10048779B2 (en) * 2012-06-30 2018-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rtual hand based on combined data
US20140037135A1 (en) * 2012-07-31 2014-02-06 Omek Interactive, Ltd. Context-driven adjustment of camera parameters
CN102819400A (zh) * 2012-08-14 2012-12-12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的桌面系统及界面交互方法、装置
JP6012068B2 (ja) * 2012-08-28 2016-10-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51418B1 (ko) * 2012-09-28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CN103777748A (zh) * 2012-10-26 201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体感输入方法及装置
NO339902B1 (no) * 2012-11-02 2017-02-13 Rolls Royce Marine As System for å regulere av- eller pålessing av en kabel eller lignende på en trommel
CN103838360B (zh) * 2012-11-26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操作指令的识别方法和设备
CN103870146B (zh) * 2012-12-17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241639B2 (en) 2013-01-15 2019-03-26 Leap Motion, Inc. Dynamic user interactions for display control and manipulation of display objects
USD753658S1 (en) 2013-01-29 2016-04-12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USD753657S1 (en) 2013-01-29 2016-04-12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USD753656S1 (en) 2013-01-29 2016-04-12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USD752585S1 (en) 2013-01-29 2016-03-29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USD753655S1 (en) 2013-01-29 2016-04-12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USD752048S1 (en) 2013-01-29 2016-03-22 Aquifi, Inc. Display device with cameras
WO2014131197A1 (en) * 2013-03-01 2014-09-04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creation using body gestures
US8818716B1 (en) 2013-03-15 2014-08-2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point of interest search
US10620709B2 (en) 2013-04-05 2020-04-14 Ultrahaptics IP Two Limited Customized gesture interpretation
KR20130088104A (ko) * 2013-04-09 201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 장치 및 방법
KR102148809B1 (ko) * 2013-04-22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A2850738A1 (en) * 2013-05-01 2014-11-01 Fei Ju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presents selectable items in a user-traversable passageway
JP6245840B2 (ja) * 2013-05-14 2017-12-13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US10620775B2 (en) * 2013-05-17 2020-04-14 Ultrahaptics IP Two Limited Dynamic interactive objects
US9747696B2 (en) 2013-05-17 2017-08-29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rmalized parameters of motions of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US9436288B2 (en) 2013-05-17 2016-09-06 Leap Motion, Inc. Cursor mode switching
US9507429B1 (en) * 2013-09-26 2016-11-29 Amazon Technologies, Inc. Obscure cameras as input
US10152136B2 (en) * 2013-10-16 2018-12-11 Leap Motion, Inc. Velocity field interaction for free space gesture interface and control
US9891712B2 (en) 2013-12-16 2018-02-13 Leap Motion, Inc. User-defined virtual interaction space and manipulation of virtual cameras with vectors
US10108270B2 (en) 2014-01-05 2018-10-23 Manomotion Ab Real-time 3D gesture recognition and track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KR20160113592A (ko) * 2014-01-27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경형 단말기와 그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DE102014207637A1 (de) * 2014-04-23 2015-10-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steninteraktion mit einem Fahrerinformationssystem eines Fahrzeuges
JP2015230496A (ja) * 2014-06-03 201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035774A (zh) * 2014-06-11 2014-09-10 广州市久邦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桌面元素布局系统及其方法
US10936050B2 (en) 2014-06-16 2021-03-02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dication recognition
US10015402B2 (en) 2014-09-08 2018-07-03 Nintendo Co., Ltd. Electronic apparatus
JP6684042B2 (ja) * 2014-09-08 2020-04-22 任天堂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248404B1 (ko) 2014-11-17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분석 방법 및 움직임 분석 장치
US10452195B2 (en) 2014-12-30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gesture calibr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729785B2 (en) * 2015-01-19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files identifying camera capabilities that are usable concurrently
US9811165B2 (en) * 2015-03-11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gesture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642349B2 (en) * 2015-05-21 2020-05-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379881B2 (en) * 2016-11-16 2019-08-13 Citrix Systems, Inc. Delivering an immersive remote desktop
US10624175B2 (en) * 2017-09-15 2020-04-14 Ledvance Llc Lamp with power supply containing gyroscopic sensor used for light management operations
KR102041965B1 (ko) * 2017-12-26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US11875012B2 (en) 2018-05-25 2024-01-16 Ultrahaptics IP Two Limited Throwabl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10809760B1 (en) * 2018-10-29 2020-10-20 Facebook, Inc. Headset clock synchronization
CN117784927A (zh) * 2019-08-19 2024-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隔空手势的交互方法及电子设备
US11144194B2 (en) * 2019-09-19 2021-10-12 Lixel Inc. Interactive stereoscopic display and interactive sensing method for the same
US11340707B2 (en) * 2020-05-29 2022-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and gesture-based emojis
US11249556B1 (en) * 2020-11-30 2022-0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ngle-handed microgesture inputs
CN115480643A (zh) * 2021-06-17 2022-12-16 深圳市瑞立视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基于ue4全息沙盘的交互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1773B1 (en) * 1995-04-28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rface apparatus
US20050166163A1 (en) * 2004-01-23 2005-07-28 Chang Nelson L.A. Systems and methods of interfacing with a machine
US20090217209A1 (en) * 2008-02-21 2009-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cursor in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environment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979A (en) * 1987-04-02 1989-02-28 Tektronix, Inc. Cursor for use in 3-D imaging systems
US5162779A (en) * 1991-07-22 1992-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int addressable cursor for stereo raster display
US6144366A (en) * 1996-10-18 2000-11-07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input using reflected light image of target object
EP0905644A3 (en) * 1997-09-26 2004-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and gesture recognizing device
US6064354A (en) 1998-07-01 2000-05-16 Deluca; Michael Joseph Stereoscopic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6204852B1 (en) * 1998-12-09 2001-03-20 Lucent Technologies Inc. Video hand image three-dimensional computer interface
US6624833B1 (en) * 2000-04-17 2003-09-23 Lucent Technologies Inc. Gesture-based input interface system with shadow detection
KR100832355B1 (ko) 2004-10-12 2008-05-26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3차원 포인팅 방법, 3차원 표시제어방법, 3차원 포인팅장치, 3차원 표시 제어장치, 3차원 포인팅 프로그램, 및3차원 표시제어 프로그램
US8018579B1 (en) * 2005-10-21 2011-09-13 Apple Inc.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display system
KR100735566B1 (ko) * 2006-04-17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인터로 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971156B2 (en) * 2007-01-12 2011-06-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resource access based on user gesturing in a 3D captured image stream of the user
JP5430572B2 (ja) * 2007-09-14 2014-03-05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 67 エルエルシー ジェスチャベースの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の処理
WO2009042792A1 (en) 2007-09-25 2009-04-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ackplane structures for solution processed electronic devices
US8007110B2 (en) * 2007-12-28 2011-08-30 Motorola Mobility, Inc. Projector system employing depth perception to detect speaker position and gestures
CN101587386B (zh) 2008-05-21 2011-02-02 华为终端有限公司 光标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4318056B1 (ja) * 2008-06-03 2009-08-19 島根県 画像認識装置および操作判定方法
US8514251B2 (en) 2008-06-23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haracter input using recognized gestures
CN101478605B (zh) * 2009-01-13 2015-05-06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显示立体菜单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US8253746B2 (en) * 2009-05-01 2012-08-28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e intended motions
JP5497758B2 (ja) * 2009-06-26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視画像表示装置
US8400398B2 (en) * 2009-08-27 2013-03-1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Visualization controls
US20110107216A1 (en) * 2009-11-03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20110109617A1 (en) * 2009-11-12 2011-05-12 Microsoft Corporation Visualizing Depth
EP2369443B1 (en) * 2010-03-25 2017-01-11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and feedback
US20110289455A1 (en) * 2010-05-18 2011-11-24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s And Gesture Recognition For Manipulating A User-Interface
US8416187B2 (en) * 2010-06-22 2013-04-09 Microsoft Corporation Item navigation using motion-capture data
US20120056982A1 (en) * 2010-09-08 2012-03-08 Microsoft Corporation Depth camera based on structured light and stereo vision
US8385596B2 (en) * 2010-12-21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First person shooter control with virtual skelet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1773B1 (en) * 1995-04-28 2001-0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terface apparatus
US20050166163A1 (en) * 2004-01-23 2005-07-28 Chang Nelson L.A. Systems and methods of interfacing with a machine
US20090217209A1 (en) * 2008-02-21 2009-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a cursor in a three-dimensional graphical environment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902A1 (en) * 2012-08-21 201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US9448620B2 (en) 2012-08-21 2016-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for mapping segments of a hand to a plurality of keys
KR101502085B1 (ko) * 2013-10-04 2015-03-12 주식회사 매크론 안경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인식 입력방법
WO2015050322A1 (ko) * 2013-10-04 2015-04-09 주식회사 매크론 안경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인식 입력방법
KR101535738B1 (ko) * 2013-10-28 2015-07-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동작 제어 방법
KR101597628B1 (ko) *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60133296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21201645A1 (ko) * 2020-04-02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비접촉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6747A (zh) 2012-07-11
US9513710B2 (en) 2016-12-06
CN102566747B (zh) 2015-09-02
EP2431851A2 (en) 2012-03-21
KR101708696B1 (ko) 2017-02-21
US20120062558A1 (en) 2012-03-15
EP2431851A3 (en)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02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949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2902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2521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941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357238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48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3180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09388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55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076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3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073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1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1925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195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11713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33244A (ko) 원격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6633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4839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98999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1865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