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043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043B1
KR102058043B1 KR1020120149316A KR20120149316A KR102058043B1 KR 102058043 B1 KR102058043 B1 KR 102058043B1 KR 1020120149316 A KR1020120149316 A KR 1020120149316A KR 20120149316 A KR20120149316 A KR 20120149316A KR 102058043 B1 KR102058043 B1 KR 10205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display
mobile terminal
cha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007A (ko
Inventor
최권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043B1/ko
Priority to US14/109,443 priority patent/US9813364B2/en
Publication of KR2014008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대화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대화창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 중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메시지 송수신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대화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대화창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대화창을 표시하고,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대화창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표시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어느 방향 및 어느 거리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테두리 두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거나, 대화창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크기, 기울임꼴,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변화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사용자 별 위치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직관적으로, 해당 사용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 정보에 대한 기준 변경 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변경된 기준을 중심으로, 변경된 위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 사이에서 대화창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일예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10d는 도 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이동 단말기, TV,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 사이에서 대화창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 각각에, 대화창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 사용자들은, 문자 입력 등을 통해, 대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영상표시장치는, 이동 단말기(100a)로서, 대화창(101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2 영상표시장치는, TV(100b) 또는 모니터로서, 대화창(101b)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3 영상표시장치는, 이동 단말기(100c)로서, 대화창(101c)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화창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어느 방향 및 어느 거리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테두리 두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되거나, 대화창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크기, 기울임꼴,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업데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 변화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사용자 별 위치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직관적으로, 해당 사용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 정보에 대한 기준 변경 입력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변경된 기준을 중심으로, 변경된 위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영상표시장치는, 이동 단말기(100)를 예시한다.
특히, 도 1의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610)와,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아이콘 리스트(620)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리스트는, 이미지 리스트, 동영상 리스트, 웹 리스트, 방송 리스트, 텍스트 리스트, 음악 리스트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이 중 이미지 리스트(610)를 예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리스트 표시시, 도면과 같은 아이콘 리스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 리스트(620)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콘 리스트(620) 중 어느 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기준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가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사용자가, 아이콘 리스트(620) 중 상기 선택된 아이콘과 동일한 아이콘을 드래그(drag)하여, 컨텐츠 리스트 내의 소정 컨텐츠에 드랍(drop)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해, 드래그된 아이콘과 관련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콘 리스트(6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드래그 앤 드랍되는 경우, 그 동작을 구분하여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컨텐츠 리스트(6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아이콘 리스트(620) 중 소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기준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610)가 정렬되어 표시되며, 소정 아이콘이 드래그되어, 컨텐츠 리스트(610) 내의 소정 컨텐츠 내에 드랍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해, 드랍된 아이콘과 관련된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메뉴 표시 없이, 아이콘 리스트(620)가 표시된 상태에서, 정렬 동작 및 다양한 동작 실행을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동작 수행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610) 내의 소정 컨텐츠 선택을 위한 별도의 선택창 등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 리스트(620)는, 예를 들어, 달력 아이콘, 위치 아이콘, 즐겨찾기 아이콘, 검색 아이콘, 말풍선 아이콘, 필기 아이콘, 메일 아이콘, 제1 SNS 아이콘, 제2 SNS 아이콘, 제3 SNS 아이콘, 클라우드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일예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도 10d는 도 5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d에 대한 설명은, 영상표시장치 중 이동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표시한다(S510). 이러한 대화창은, 대화 모드로 진입시, 표시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대화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대화창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100)는,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한다(S520).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에 의한 대화 내용을, 대화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일단 대화 모드 진입시, 대화 모드 진입 신호를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대화 모드 진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내용을 대화창에 표시하거나, 이동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외부의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내용을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a는, 이동 단말기에 대화창(600)이 표시되고, 대화창 내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그 외의 외부의 다른 사용자 2명이, 서로 대화하고 있는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의 대화 내용(612,614), 제1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20), 제2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30), 제1 외부 사용자의 대화 내용(622), 제2 외부 사용자의 대화 내용(632)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제1 영상표시장치(100a)는, 도 6a의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제2 영상표시장치(100b)는, 도 6a의 제2 외부 사용자가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제3 영상표시장치(100c)는, 도 6a의 제3 외부 사용자가 사용하는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100)는, 대화창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520).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창을 통한 채팅이 수행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외부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제1 외부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외부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제1 외부 사용자로부터의 위치 정보와, 제2 외부 사용자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위치 정보를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제1 외부 사용자에 비해, 북동 방향에 위치하며, 그 거리가 가까운 경우, 제1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20)의 두께를 두껍게 표시하면서, 북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1)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북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1)로, 화살표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6a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제2 외부 사용자에 비해, 남동 방향에 위치하며, 그 거리가 먼 경우, 제2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30)의 두께를 얇게 표시하면서, 남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31)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남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31)로, 화살표를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1, 631)의 크기가 달라짐으로 인해, 거리 정보도 아울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어느 방향 및 어느 거리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업데이트되는 대화 내용, 및, 업데이트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기존의 대화 내용 외에, 추가로, 제2 외부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대화 내용(624)이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업데이트되는 대화 내용, 및, 업데이트되는 다른 사용자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되는 다른 사용자 위치 정보가, 그 전 보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지에 더 가까워지는 경우,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도 6b는, 제1 외부 사용자로부터의 대화 내용(624) 외에, 제1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20)의 두께를 더 두껍게 표시하면서, 북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3)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a와 비교하여, 북동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3)의 크기가, 오브젝트(621)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대화 내용과 동일하게, 실제 위치가, 사용자 바로 근방인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지도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도 6c와 같이, 지도 이미지(640)가 표시되면서, 제1 외부 사용자, 제2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20,630)이 각각, 지도 이미지(640)와 함께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지동 이미지(640) 상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610)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 한번 더,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도 표시 입력은, 방향 오브젝트들(621,631)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일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지도 표시 입력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a를 살펴보면, 방향 오브젝트(621,631)의 방향이, 다른 사용자를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방향을 나타내나, 그 역이 경우도 가능하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a의 방향 오브젝트(621,631)의 표시는, 다른 외부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6a의 방향 오브젝트(621,631)의 표시는, 대화창(600)에 표시되는 용어 중, 특정 용어가 사용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대화 내용 중 "도착", "어디서" 등과 같이, 약속 장소를 정하기 위한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도 6a와 같은 방향 오브젝트들(621,631)이, 대화창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대화창에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른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위치와 가까울수록, 해당하는 사용자로부터의 대화 내용 크기를 더 크게, 대화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외부 사용자의 대화 내용(722)의 크기가, 방향 오브젝트(621)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게 표시되며, 제2 외부 사용자의 대화 내용(732)의 크기가, 방향 오브젝트(631)의 크기에 대응하여, 작게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거리 등을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외에,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에 따라,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테두리 두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대화창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기울임꼴,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방향에 대응하여, 텍스트의 기울임꼴이 방향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다른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오브젝트의 투명도가 높아지거나, 텍스트의 투명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8은, 각 사용자 별 위치 정보에 따라, 대화창 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가 다른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북동쪽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북서쪽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820)와 해당하는 방향 오브젝트(821)를 대화창의 오른쪽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와 해당하는 방향 오브젝트는, 대화창의 왼쪽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특정 지역에 대한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a와 유사하게, 대화 내용, 및 제1 및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620,630), 제1 및 제2 사용자의 거리, 방향을 나타내는 오브젝트(621,631)이 표시되는 것과 함께, 제1 및 제2 사용자의, 특정 지역에 대한 예상 도착 시간 정보(921,931)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약속 장소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과 같이, "도보 1분"(921), "차량 60분"(931)과 같은,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도착 시간 등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대화창과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예시한다.
먼저, 도 10a는, 대화창(1000)에,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외부의 다른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들(1020,1030)도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b는, 제1 및 제2 사용자를 나타내는 이미지들(1020,1030) 외에, 제1 및 제2 사용자위 위치, 방향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021,1031)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제1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위치,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대화창(1000)에 표시되는 용어 중, 특정 용어(예를 들어, "어디서")가 사용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위치, 방향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021,1031)이, 대화창 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다른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 표시되는 오브젝트들(1021,1031)의 방향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0b는 복수의 사용자가 채팅을 통해, 약속 장소를 정하는 내용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c는, 현재 위치 기준으로 방향 오브젝트의 방향이 정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4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준 변경 입력이 있는 경우, 도면과 같이, 위치 정보 기준을 변경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050)가, 대화창(10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변경 항목(1052)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d와 같이, 약속 장소 기준으로 방향 오브젝트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외부 사용자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오브젝트(1021)의 방향이, 도 10c와 비교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약속 장소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위치, 방향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의 예상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051,1061)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약속 장소를 정할때, 방향, 이동 거리, 도착 예상 시간 등을 고려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대화창을 표시하고, 상기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대화창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채팅창에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와 제1 외부 사용자 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장소에 대한 상기 제1 외부 사용자의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팅창에 상기 지도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고 상기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외부 사용자와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외부 사용자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두께 오브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오브젝트의 화살표 오브젝트 및 두께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외부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1 이미지를 둘러싸고, 상기 예상 도착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제2 오브젝트는 상기 제1 오브젝트의 하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정보 또는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길이, 테두리 두께,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상기 대화창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크기, 기울임꼴,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업데이트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대화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지도 이미지와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창에 특정 용어가 사용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사용자 별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화창 내에 표시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가 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삭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에 대한 기준 변경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한, 상기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방향 정보와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20149316A 2012-12-20 2012-12-20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5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16A KR102058043B1 (ko) 2012-12-20 2012-12-20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4/109,443 US9813364B2 (en) 2012-12-20 2013-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16A KR102058043B1 (ko) 2012-12-20 2012-12-20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07A KR20140080007A (ko) 2014-06-30
KR102058043B1 true KR102058043B1 (ko) 2019-12-20

Family

ID=5097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16A KR102058043B1 (ko) 2012-12-20 2012-12-20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3364B2 (ko)
KR (1) KR102058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3333B (zh) * 2014-03-17 2017-0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位置共享的数据处理方法和装置
JP2016024555A (ja) * 2014-07-17 2016-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の交換を行うプログラ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6024556A (ja) * 2014-07-17 2016-0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の交換を行うプログラム、方法、及び電子機器
GB201413581D0 (en) * 2014-07-31 2014-09-17 Microsoft Corp Instant messaging
US10146748B1 (en) * 2014-09-10 2018-12-04 Google Llc Embedd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media collaboration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O2019117361A1 (ko) * 2017-12-14 2019-06-2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인터랙션 방법 및 시스템
KR102582745B1 (ko) * 2018-02-08 2023-09-2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대화방을 3차원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D959459S1 (en) * 2018-02-21 2022-08-02 Early Warning Services, Llc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7059721B2 (ja) * 2018-03-16 2022-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
US11061552B1 (en) * 2018-06-28 2021-07-13 Atlassian Pty Ltd. Accessing shared folders with commands in a chat interface
US20200037104A1 (en) * 2018-07-24 2020-01-30 Life on Quee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chat communications
CN109168149B (zh) * 2018-08-10 2021-05-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20220393896A1 (en) * 2021-06-08 2022-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user camera switch icon during video ca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5284A1 (en) * 2009-08-06 2011-02-10 Mehran Moshfeghi Location-aware content and location-based advertising with a mobile device
JP2011118783A (ja) * 2009-12-04 2011-06-16 Sony Corp 表示画面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970A (ja) * 2003-10-17 2005-05-12 Vodafone Kk プレゼンス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ー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US20130226453A1 (en) * 2005-02-08 2013-08-29 Bryan Gardner Trussel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integration
US20060227047A1 (en) * 2005-12-13 2006-10-12 Outland Research Meeting locator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70233635A1 (en) * 2006-04-04 2007-10-04 Craig Burfeind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an event and tracking attendance status
EP2098010A1 (en) * 2006-11-30 2009-09-09 WANLESS, James Andrew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real-time contact information
US8838477B2 (en) * 2011-06-09 2014-09-16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location of a mobile device for hands-free payment
US9961535B2 (en) * 2007-01-31 2018-05-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instant location service
AU2008236660A1 (en) * 2007-04-03 2008-10-16 Human Network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local position and overlaying information
US8386620B2 (en) * 2009-12-15 2013-02-26 Apple Inc. Ad hoc networking based on content and location
US20120165035A1 (en) * 2010-12-22 2012-06-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Facilitating ad hoc congregation over an instant messaging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5284A1 (en) * 2009-08-06 2011-02-10 Mehran Moshfeghi Location-aware content and location-based advertising with a mobile device
JP2011118783A (ja) * 2009-12-04 2011-06-16 Sony Corp 表示画面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1698A1 (en) 2014-06-26
KR20140080007A (ko) 2014-06-30
US9813364B2 (en)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04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25628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6558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474312B2 (en) Operation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2012000085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68175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2014007323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263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6955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0147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9742B1 (ko)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86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0073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117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75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21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865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98999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355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8103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4953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180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409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