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528B1 -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528B1
KR102018528B1 KR1020150161910A KR20150161910A KR102018528B1 KR 102018528 B1 KR102018528 B1 KR 102018528B1 KR 1020150161910 A KR1020150161910 A KR 1020150161910A KR 20150161910 A KR20150161910 A KR 20150161910A KR 102018528 B1 KR102018528 B1 KR 10201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antenna
liquid metal
variable
antenna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110A (ko
Inventor
박광문
노행숙
조상인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28B1/ko
Priority to US15/209,951 priority patent/US10044112B2/en
Publication of KR2017005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 H01Q3/2629Combination of a main antenna unit with an auxiliary antenna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 G01S3/46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using antennas spaced apart and measuring phase or time difference between signals therefrom, i.e. path-dif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01Q3/2611Means for null steering; Adaptive interference nulling
    • H01Q3/2629Combination of a main antenna unit with an auxiliary antenna unit
    • H01Q3/2635Combination of a main antenna unit with an auxiliary antenna unit the auxiliary unit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 H01Q9/145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by varying the electrical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와 다른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2 수신부,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길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는 동일한 하나의 층(bay)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Variable antenna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dio signal}
본 발명은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전파측정 및 방향탐지 시스템은 전파 특성상 동일한 길이의 안테나 소자와 반경을 갖는 어레이 안테나를 한 층에 모두 배치하는 경우 V/UHF(ultra-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과 같이 광대역의 전파를 측정하거나 방향을 탐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안테나 소자가 다이폴인 경우, 안테나 소자의 길이가 일정한 경우 특정 주파수를 초과하게 되면 안테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으며, 동일 층내에서 어레이 안테나 반경이 특정 거리보다 크게 되면 실제 신호와 시퓨리어스(spurious)를 구별할 수 없게 되고 공간 스펙트럼(spatial spectrum) 내 스퓨리어스가 증가되어 방향을 추정할 수 없었다. 또한, 어레이 안테나 간 층간 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으면, 다른 층에 위치한 이종 어레이 안테나간 상호 커플링에 의해 간섭이 증가하여 방향을 추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전파측정 및 방향탐지 시스템은 넓은 주파수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 소자 길이가 다른 이종의 어레이 안테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여러 층에 배치하였으나, 그로 인해 전파측정 및 방향탐지 시스템을 위해 일정 이상의 설치 공간이 마련되어야 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446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형 액체 금속 안테나를 이용하여 어레이 안테나의 반경이 다른 이종의 안테나 소자를 하나의 층(bay)에 배치함으로써 컴팩트하고 최적의 안테나 이득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와 다른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2 수신부,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길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는 동일한 하나의 층(bay)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득 제어부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고, 저주파 대역의 신호 수신 시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 보다 최대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의 다른 위치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신부의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2 수신부의 안테나 어레이 보다 반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득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안테나 이득에 따라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형상 및 안테나 어레이의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파신호 탐지 장치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와 다른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2 수신부가 동일한 하나의 층 상에 배치되어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길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가변형 안테나, 및 상기 가변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전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파 간 위상 차를 이용하여 해당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신호 탐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형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구성함으로써 어레이 안테나의 반경이 다른 이종의 안테나를 하나의 층(bay)에 배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컴팩트하고 최적의 안테나 이득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를 적용한 가변형 안테나를 통해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방향을 탐지함으로써 좁은 공간 상에서도 고성능의 전파측정 및 방향 탐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가변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가 적용된 전파신호 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는 모노폴(monopole), 다이폴(dipole), 루프(loop), 패치(patch) 등 다양한 안테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이폴(dipole) 안테나를 기준으로 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100)는 제1 수신부(110), 제2 수신부(130) 및 이득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수신부(110)는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는 이득 제어부(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신부(110)는 제2 수신부(130) 보다 반경이 큰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10)를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득 제어부(150)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여 제2 수신부(130)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득 제어부(150)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 또한 신호 이득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는 이득 제어부(150)에 의해 최소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의 최대 길이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최대 길이보다 긴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수신부(110)는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며,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들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주 상에 균등하게 수직 배열될 수 있으며, 일정 형상을 갖는 선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수직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수신부(130)는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는 이득 제어부(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신부(130)는 제1 수신부(110) 보다 반경이 작은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여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부(130)를 통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득 제어부(150)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여, 제1 수신부(110)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 경우, 이득 제어부(150)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 또한 신호 이득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는 이득 제어부(150)에 의해 최소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최대 길이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의 최대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수신부(130)는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수신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며,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들은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들과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 상에 균등하게 수직 배열될 수 있으며, 일정 형상을 갖는 선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수직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들은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들과 동일한 패턴으로 다른 위치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전혀 다른 패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수신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과 제2 수신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은 동일한 하나의 층(bay) 상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과 제2 수신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하나의 안테나 암(arm)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안테나 암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신부(11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과 제2 수신부(13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들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서로 다른 길이로 구현된 안테나 암 상에 안테나 암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들과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들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신호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득 제어부(150)는 수신 주파수에 따라 제1 수신부(110) 및/또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득 제어부(150)는 제1 수신부(110) 및/또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득 제어부(150)는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해당 안테나 소자가 최소 길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득 제어부(150)는 안테나 이득에 따라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안테나 소자가 일정 길이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이득 제어부(150)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해당 안테나 소자가 최소 길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득 제어부(150)는 안테나 이득에 따라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안테나 소자가 일정 길이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신호의 주파수, 안테나 이득에 따라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안테나 소자의 형상 및 어레이 안테나의 반경 또한 가변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가변형 안테나가 안테나 소자의 길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수신부, 예를 들어,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또 다른 안테나 어레이를 구현하는 경우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부, 예를 들어, 제3 수신부, 제4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에 대한 가변 제어 동작을 설명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a는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를 가변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는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로,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 보다 최대 길이가 길게 구현되었다.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에 의해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의 이득 제어부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해당 안테나 소자가 최소 길이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2b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를 가변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에서,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로,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보다 최대 길이가 짧게 구현되었다.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에 의해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의 이득 제어부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내의 액체 금속을 전기적으로 조정하여 해당 안테나 소자가 최소 길이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가변형 안테나의 경우, 동일한 축 상에서 한 층(bay)에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를 배치한 것이다.
도 3에서 중심축에는 안테나 어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마스트(50)가 고정되고, 마스트(50)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안테나 암(arm)(1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안테나 암(10)은 일측이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스트(50)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된 복수 개의 안테나 암(10)은 타측이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안테나 암(10)은 벌룬(balun)과 같은 매칭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안테나 암(10)에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가 모두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암(10)의 타측 끝부분에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안테나 암(10) 상에서 마스트(50)와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사이의 일 지점에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 보다 최대 길이가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변형 안테나는 액체 금속을 이용하여 안테나 소자의 길이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안테나 암(10)에 길이가 다른 이종의 안테나 소자를 배치하더라고 안테나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안테나와 형태는 유사하지만,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의 배치 위치가 다르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트(50)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길이를 갖는 안테나 암(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신부(110)의 안테나 소자는 긴 길이를 갖는 안테나 암(10)의 타측 끝부분에 수직하게 고정되고,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는 짧은 길이를 갖는 안테나 암(10)의 타측 끝부분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 외에도, 가변형 안테나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들이 원형 패턴을 갖도록 안테나 어레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안테나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제1 수신부(110) 및 제2 수신부(130)의 안테나 소자들이 선형 패턴을 갖도록 안테나 어레이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변형 안테나의 이종 안테나 소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갖는 어레이를 하나의 층 상에 구현할 수 있으며, 그 패턴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가변형 안테나를 모노폴 또는 루프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마스트(50)와 같이 안테나 소자를 지지하는 구조물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100)는 전파신호를 수신하여 방향을 탐지하는 전파신호 탐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가변형 안테나(100)가 적용된 전파신호 탐지 장치는 도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가 적용된 전파신호 탐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파신호 탐지 장치는 가변형 안테나(100) 및 신호 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가변형 안테나(100)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언급된 가변형 안테나(100)에 해당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신호 탐지부(200)는 서로 다른 길이로 구현된 안테나 소자에 의해 수신된 전파신호의 위상을 측정하고, 각 전파신호 간의 위상 차를 이용하여 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파신호 탐지 장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파신호 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 및 스토리지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안테나 암 50: 마스트
100: 가변형 안테나 110: 제1 수신부
130: 제2 수신부 150: 이득 제어부
200: 신호 탐지부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와 다른 길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로 구성된 제2 수신부; 및
    수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길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안테나 어레이는 동일한 하나의 층(bay)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부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고, 저주파 대역의 신호 수신 시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 보다 최대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의 다른 위치 상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의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2 수신부의 안테나 어레이 보다 반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의 안테나 이득에 따라 액체 금속 안테나 소자들의 형상 및 안테나 어레이의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안테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변형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전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파 간 위상 차를 이용하여 해당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전파신호 탐지 장치.
KR1020150161910A 2015-11-18 2015-11-18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KR10201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10A KR102018528B1 (ko) 2015-11-18 2015-11-18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US15/209,951 US10044112B2 (en) 2015-11-18 2016-07-14 Variable antenna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di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910A KR102018528B1 (ko) 2015-11-18 2015-11-18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110A KR20170058110A (ko) 2017-05-26
KR102018528B1 true KR102018528B1 (ko) 2019-09-05

Family

ID=5869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910A KR102018528B1 (ko) 2015-11-18 2015-11-18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44112B2 (ko)
KR (1) KR102018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5962A3 (en) 2018-10-29 2023-09-27 BAE SYSTEMS plc Conductive liquid antenna
GB2578467B (en) * 2018-10-29 2023-01-04 Bae Systems Plc Conductive liquid antenna
CN111106433B (zh) * 2018-10-29 2022-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率可重构天线、控制方法及通讯装置
US11079465B2 (en) 2018-10-30 2021-08-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cation of signal source
US10819539B2 (en) 2018-12-05 2020-10-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ignal source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11509050B2 (en) 2019-05-17 2022-1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bay antenna apparatus and its operation method
CN114552180B (zh) * 2021-12-29 2024-01-09 浙江清华柔性电子技术研究院 天线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636A (ja) 2003-09-19 2005-04-28 Ngk Insulators Ltd 導電性流体使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677B1 (ko) 2003-12-26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객체 추적 장치및 그 방법
KR100771819B1 (ko) * 2006-03-03 2007-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액체 안테나
KR100867128B1 (ko) * 2007-01-04 2008-11-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이중 대역 안테나
JP4784651B2 (ja) * 2009-01-08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位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97221B2 (en) 2011-12-07 2014-08-05 Utah State University Reconfigurable antennas utilizing liquid metal elements
US9304182B2 (en) 2012-02-15 2016-04-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direction identif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17664A (ko) * 2012-04-17 2013-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 송신원의 방향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8864B1 (ko) * 2012-09-17 2019-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체 금속을 이용한 안테나 장치 및 그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US9024825B2 (en) * 2012-11-23 2015-05-05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s with conductive liquid antennas and related methods
KR20150029411A (ko) 2013-09-10 2015-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 채널 멀티플렉스를 이용한 전파측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636A (ja) 2003-09-19 2005-04-28 Ngk Insulators Ltd 導電性流体使用デバイス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y M.Morishita 외 3인, 'A Liquid-Metal Monopole Array With Tunable Frequency, Gain, and Beam Steering', IEEE ANTENNAS AND WIRELESS PROPAGATION LETTERS, VOL.12, 2013. 페이지1388 내지 13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1482A1 (en) 2017-05-18
KR20170058110A (ko) 2017-05-26
US10044112B2 (en)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528B1 (ko)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US7385563B2 (en) Multiple antenna array with high isolation
US10158178B2 (en) Low profile, antenna array for an RFID read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20505808A5 (ko)
US9509060B2 (en) Open waveguide beamforming antenna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US10116425B2 (en) Diplexed antenna with semi-independent tilt
KR101616377B1 (ko) 방향탐지 정확도가 향상된 e.s.m. 위상 인터페로미터 방향탐지 시스템
US10847897B2 (en) Direction finder antenna system
KR20160029616A (ko) 두 개의 베이스라인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방향탐지 장치 및 방법
US20160112070A1 (en) Antenna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69214B1 (en) Constrained diameter phased array antenna system and methods
KR102465297B1 (ko)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KR102066936B1 (ko) 레이더 시스템
US8487824B1 (en) Zero degree grid antenna
US99395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ding hybrid direction using two baselines
US7652626B1 (en) Co-linear antenna for direction finding
Hu et al. One-and two-dimensional antenna arrays for microwave wireless power transfer (MWPT) systems
KR100822705B1 (ko) 위상비교 방식의 방향 탐지 안테나
KR101882676B1 (ko) 재밍 신호 방향 탐지 안테나, 장치 및 시스템
Henault et al. Effects of mutual coupling on the accuracy of adcock direction finding systems
JP2006242761A (ja) 電波到来方位測定装置
KR102280271B1 (ko)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1177338A (ja) 移動体識別装置および移動体識別システム
KR101952370B1 (ko) 안테나 어레이의 배열 간격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140049428A1 (en) Directional radio signal detection apparatus using a sense and loop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