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271B1 -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271B1
KR102280271B1 KR1020190172346A KR20190172346A KR102280271B1 KR 102280271 B1 KR102280271 B1 KR 102280271B1 KR 1020190172346 A KR1020190172346 A KR 1020190172346A KR 20190172346 A KR20190172346 A KR 20190172346A KR 102280271 B1 KR102280271 B1 KR 10228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radio
radio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008A (ko
Inventor
한성희
채성우
하재현
윤동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7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4Details
    • G01S3/06Means for increasing effective directivity, e.g. by combining signals having differently oriented directivity characteristics or by sharpening the envelope waveform of the signal derived from a rotating or oscillating beam anten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4Details
    • G01S3/046Displays or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14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deviation from predetermined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실시예의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는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제2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된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RECTION OF RADIO,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HE HOLDER DEVICE}
실시예는 불필요한 전파의 방향을 탐지하기 위한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기체계 비행시험에서는 통제, 통신, 계측 등의 목적을 위해 전파를 활용한 시험자원이 운용되고 있다. 시험 중 비인가 불요파(불필요한 전파)의 출현으로 인한 전파 간섭은 시험의 큰 장애요소이며 이에 대비하여 전파환경 측정 및 방향 탐지 장비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파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과 AOA(Angle of arrival) 방식이 적용된 장비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전방향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안테나 특성을 넘어서는 작은 신호와 높은 주파수에 대한 방탐 효율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안테나 이득 0 dBi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OA 방식의 방향탐지를 위해서는 각 수신기 간의 시간의 동조가 필수적이며, 3개 국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신호의 대역폭이 넓을수록 정확도가 향상되지만 반대로 협대역의 신호는 측정 신뢰도가 저하된다.
AOA 방식은 TDOA 방식과는 반대로 협대역의 신호는 비교적 방탐 효율이 우수하지만 넓은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는 측정 신뢰도가 저하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종래의 단점인 안제나 수신 성능과 신호의 대역폭과 무관하게 측정이 가능한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의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는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제2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된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안테나부 중 제1 기준 안테나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 안테나로부터 탐지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를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전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측정 주파수 범위는 1GHz 내지 25GHz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따른 전파방향 탐지방법은 제1 안테나부가,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와, 제2 안테나부가,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와,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된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대역 지향성 LP 안테나와 저잡음 증폭기를 활용하여 전파방향 탐지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신호분석기를 활용하여 협대역 및 광대역 신호에 대한 분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다중 안테나 스위칭기술 및 회전기 제어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광대역 신호, CW/Pulse 신호 등 다양한 전파에 대하여 전파방향 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파방향 탐지장치를 탐지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별 지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의 스위치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부에서 탐지된 전파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의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별 지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의 스위치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안테나부에서 탐지된 전파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장치는 안테나부(100), 신호 처리부(300), 제어부(400), 표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는 불요파(이하 '전파 신호'라 칭함)를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부(100)는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는 특정 방향의 전파 신호를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100)는 제1 안테나부(10)와 제2 안테나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부(10)는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안테나부(10)는 복수개의 제1 안테나(12,14,16,1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안테나들(12,14,16,18)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안테나들(12,14,16,18)은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안테나부(10)가 4개의 제1 안테나(12,14,16,18)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안테나부(20)는 특정 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20)는 전방향에서 수신되는 전파 신호 중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가지는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안테나부(20)는 복수개의 제2 안테나(22,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안테나(22,24)는 제1 안테나부(10) 중 제1 기준 안테나(12)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20)는 제1 기준 안테나(12)의 일측에 배치된 제2-1 안테나(22)와 제1 기준 안테나(12)의 타측에 배치된 제2-2 안테나(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안테나(22)는 제1 기준 안테나(12)로부터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2 안테나(24)는 제1 기준 안테나(12)로부터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준 안테나(12)와 제2-1 안테나(22)가 이루는 각도는 제1 기준 안테나(12)와 제2-2 안테나(24)가 이루는 각도와 대응될 수 있다.
제2-1 안테나(22)와 제2-1 안테나(24)는 제1 기준 안테나(12)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부(10)와 제2 안테나부(10)의 안테나들은 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다. 이러한 지향성 안테나들의 측정 주파수 범위는 1GHz 내지 25GHz 일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신호 처리부(300)는 제1 안테나부(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00)는 제2 안테나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세기를 계측하고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300)는 제1 기준 안테나(12) 및 제2 안테나부(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분석하여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0)는 신호 분석기 또는 스펙트럼 애널라이저를 활용할 수 있으며, CW 신호, 레이더 신호, 각종 통신신호 등을 RBW, SPAN, Trace Average, 트리거, 채널파워 측정 기능을 활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안테나부(100), 신호 처리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안테나부(10)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제2 안테나부(20)를 전파 신호가 가장 센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2 안테나부(20)는 전파 신호가 가장 센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에는 스위치부(20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200)는 각각의 안테나들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부(200)는 제1 스위치(210)와, 제2 스위치(210)와, 제3 스위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2000)는 증폭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요파가 감지되면 제1 스위치(210)를 이용하여 안테나부(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제1 안테나부(10) 및 제2 안테나부(20) 각각의 안테나들이 동작되도록 스위칭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치(210)는 제1 안테나부(10)가 동작할 시 복수의 제1 안테나들(12,14,16,18)을 동작시키도록 스위칭할 수 있으며, 제2 안테나부(20)를 동작시킬 시에는 제1 기준 안테나(12)와 복수의 제2 안테나들(22,24)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220)는 옴니(omni) 안테나와 안테나부(100) 사이를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옴니 안테나는 무지향성 특성을 가지며 수평으로는 방향성이 없으나, 수직 방향으로 매우 약하게 송신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3 스위치(230)는 제2 스위치(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230)는 증폭기(240)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230)는 전파 신호가 기준값 보다 크면 전파 신호를 바이패스 시키도록 스위칭되며, 전파 신호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증폭기(240)를 통과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안테나부(100)에는 안테나부(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부(500)와 구동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500)는 안테나부(1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500)는 안테나부(100)를 중심점을 기준으로 36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으며, 로터리 조인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600)는 제어부(400)로부터 회전 동작 신호(RF 신호)가 수신되면 회전부(500)에 동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부(20)에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보면, 제1 기준 안테나(12)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는 전방향의 전파 세기 중 가장 큰 세기를 가질 수 있다. 제2-1 안테나(22)와 제2-2 안테나(24)의 신호 세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안테나(12)로부터 수신되는 전파 세기가 가장 크지 않거나, 제2-1 안테나(22)와 제2-2 안테나(24)의 신호 세기가 동일하지 않으면 제1 방향은 전파 신호가 가장 큰 방향이 아닐 수 있다. 이에 제어부(400)는 제2 안테나부(20)가 제1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표시부(700)는 전파 스펙트럼 측정 결과, 회전부 정보, 방향탐지 결과 표시, 측정결과 자료의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는 광대역 지향성 LP 안테나와 저잡음 증폭기를 활용하여 전파방향 탐지성능을 높이고 신호분석기를 활용하여 협대역 및 광대역 신호에 대한 분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중 안테나 스위칭기술 및 회전기 제어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협대역/광대역 신호, CW/Pulse 신호 등 다양한 전파에 대하여 전파방향 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파방향 탐지방법은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와, 상기 전파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와, 상기 전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S300)와,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제2 안테나부를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는 제1 안테나부가 수행할 수 있다. 전방향의 전파 신호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는 제2 안테나부가 수행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부는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전파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제2 안테나부를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1 기준 안테나가 전방향의 전파 세기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며, 제2 안테나의 전파 세기가 동일한 세기를 가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S300)는 신호 처리부가 수행할 수 있다.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S300)는 제1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전파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신호의 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S400)는 표시부가 수행할 수 있다.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S400)는 전파 스펙트럼 측정 결과, 회전부 정보, 방향탐지 결과 표시, 측정결과 자료의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방향 탐지장치의 구성들에 대한 GPS 정보에 따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S10). 이어서, 옴니 안테나를 측정하여 관심 주파수를 선정할 수 있다.(S12)
불요 전파가 출현하면 제1 안테나부를 이용하여 신호의 주파수, BW, 출력 등의 형태를 측정할 수 있다(S12). 이어서, 전파 세기가 가장 큰 위치를 확인하고(S16), 제2 안테나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기준 안테나 제2-1 안테나, 제2-2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파를 정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18).
제1 기준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가장 큰 값을 가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 제1 기준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가장 큰 신호가 아니라면, 전파 신호가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방향을 확인하고(S22), 제2-1 안테나 또는 제2-2 안테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S24).
제1 기준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가장 큰 신호이면, 제2-1 안테나와 제2-2 안테나에 수신되는 값을 비교할 수 있다(S26). 제2-1 안테나와 제2-2 안테나에 수신되는 값이 동일하면 제1 방향의 위치를 분석하고(S30), 이를 표시할 수 있다(S34).
반면, 제2-1 안테나의 값이 제2-2 안테나의 값보다 크면, 제2 안테나부를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38). 제2-1 안테나의 값이 제2-2 안테나의 값보다 작으면, 제2 안테나부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40).
제2-1 안테나의 값과 제2-2 안테나의 값이 동일하면 제1 방향의 위치를 분석하고(S30), 그 결과를 표시하여 동작을 마칠 수 있다(S34).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메모리(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어부가 직접, 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제1 안테나부가,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안테나부가, 상기 전파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전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와, 표시부가,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1 안테나부가,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안테나부가, 상기 전파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제1 방향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전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와, 표시부가,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테나부
200: 스위치부
300: 신호 처리부
400: 제어부
500: 회전부
600: 구동부
700: 표시부

Claims (13)

  1.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부;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제2 안테나부;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상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가지는 제1 기준 안테나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1 안테나 및 제2-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1 안테나의 전파 세기 및 상기 제2-2 안테나의 전파 세기가 상기 제1 기준 안테나의 전파 세기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제2-1 안테나 및 상기 제2-2 안테나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와 상기 제2 안테나부의 동작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되는 전파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전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10. 제1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부의 측정 주파수 범위는 1GHz 내지 25GHz를 포함하는 전파방향 탐지장치.
  11. 제1 안테나부가, 전방향의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
    제2 안테나부가,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탐지하는 단계;
    신호 처리부가, 상기 제2 안테나부로부터 탐지된 전파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는 단계; 및
    표시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탐지된 상기 전파 신호의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전파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2 안테나부를 상기 전방향의 전파 신호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방향을 향해 회전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안테나부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1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 중 상기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전파 신호를 가지는 제1 기준 안테나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제2-1 안테나 및 제2-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1 안테나의 전파 세기 및 상기 제2-2 안테나의 전파 세기가 상기 제1 기준 안테나의 전파 세기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제2-1 안테나 및 상기 제2-2 안테나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전파방향 탐지방법.
  12.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72346A 2019-12-20 2019-12-20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8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46A KR102280271B1 (ko) 2019-12-20 2019-12-20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346A KR102280271B1 (ko) 2019-12-20 2019-12-20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08A KR20210080008A (ko) 2021-06-30
KR102280271B1 true KR102280271B1 (ko) 2021-07-21

Family

ID=7660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46A KR102280271B1 (ko) 2019-12-20 2019-12-20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1245B (zh) * 2023-11-28 2024-02-20 成都大公博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升空式频谱监测设备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6067A (ko) * 2013-08-02 2015-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향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180082889A (ko) *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휴라 신호원의 방향추정장치 및 이의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008A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4272B2 (en) In-field millimeter-wave phased array radiation pattern estimation and validation
US10075249B2 (en) Massive-MIMO antenna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directivity thereof
TWI407132B (zh) 定位方法及無線通訊系統
EP2564229B2 (en) Rfid tag location systems
US20190310358A1 (en) Radar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therefor
US8730111B2 (en) Antenna evaluation apparatus for evaluating multiple wave of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scatterer antennas with function of calibration for the same apparatus
US11796662B2 (en) Radar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therefor
US2016010319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stimating direction of arrival of a signal incident on at least one antenna array
CN112601281B (zh) 定位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10044112B2 (en) Variable antenna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dio signal
US11070397B2 (en) Adaptive OTA leakage cancellation for mmWave radar
EP27504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device under test
KR102280271B1 (ko) 전파방향 탐지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945142B2 (en) Wireless channel sounder with fast measurement speed and wide dynamic range
JP2021118469A (ja) 電波監視装置および電波監視方法
US11044027B2 (en) Wireless transmission performance tes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9721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measuring wireless signal
US20190288758A1 (en) Different sector rotation speeds for post-amble processing of a beam forming packet
US20140162691A1 (en) Position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3471700B (zh) 天线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20069860A1 (en) Static target detection for rf sensing in full-duplex communication systems
CN106604293B (zh) 具有无线千兆比特能力的设备配置
Jean et al. Millimeter-wave software-defined radio testbed with programmable directionality
JP2982751B2 (ja) 位置標定方法及び装置
US2023041786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