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128B1 - 이중 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중 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28B1
KR100867128B1 KR1020070000826A KR20070000826A KR100867128B1 KR 100867128 B1 KR100867128 B1 KR 100867128B1 KR 1020070000826 A KR1020070000826 A KR 1020070000826A KR 20070000826 A KR20070000826 A KR 20070000826A KR 100867128 B1 KR100867128 B1 KR 10086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tenna
resonant frequency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215A (ko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김정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to KR102007000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28B1/ko
Priority to PCT/KR2007/006810 priority patent/WO2008082132A1/en
Publication of KR2008006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광대역 및 이중 대역 특성을 갖는 소형의 이중 대역 안테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되는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고, 제 1 공진 주파수, 제 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 3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그에 따라 제 1 공진 주파수와 제 2 공진 주파수를 근접하게 하여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제 3 공진 주파수에 의해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UHF 대역 및 L 대역의 신호 송수신에 적용할 수 있다.
광대역, 이중 대역, 모노폴 안테나, 주파수 조정

Description

이중 대역 안테나{DUAL BAND ANTENNA}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대역 안테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대역 안테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방사체의 길이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방사체의 길이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방사체의 폭과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체 간의 이격 거리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스터브의 폭과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정재파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방사체 12 : 스터브
20 : 제 2 방사체 30 : 급전 소자
40 : 접지면
본 발명은 이중 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45 ~ 1.48 GHz 의 L 대역 (L-BAND) 및 470 ~ 740 MHz 의 UHF (Ultra High Freqeuncy)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이중 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중에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다양한 표준이 발표되어 있다. 이들 표준들은 대체로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하던 표준도 호환성을 고려하여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DVB-H 표준은 174 ~ 230 MHz 의 VHF-Ⅲ 대역, 470 ~ 830 MHz 의 UHF-Ⅳ/Ⅴ 대역 및 1.452 ~ 1.492 GHz 의 L 대역을 사용하는 한편, T-DMB 표준은 주로 VHF 대역을 사용하였으나 DVB-H 와의 호환을 위해 L 대역의 사용도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방송 표준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에 따라 안테나 설계에도 다양한 과제가 주어지고 있다. 먼저, 상대적으로 주파수가 낮은 VHF 및 UH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널리 이용되는 모노폴 (monopole) 안테나는 그 길이가 파장의 1/4 로 정해지므로 VHF 및 UHF 대역과 같이 저주파 신호에 대해서는 그 크기가 매우 커진다. 이는 모노폴 안테나의 변형인 헬리컬 (helical) 안테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200 MHz 의 주파수에 대해 모노폴 안테나를 제조하는 경우 그 길이는 30 cm 이상이 되어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UHF 대역의 경우 그 대역폭이 매우 넓다. 예를 들어, UHF-Ⅳ/Ⅴ 대역의 경우 그 대역폭은 약 56% 로서 약 7% 에 불과한 PCS 대역폭 (1.75 ~ 1.87 GHz) 에 비해 현저히 크다. 특히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이러한 광대역 특성을 만족시키기는 것은 안테나 소형화에 큰 제약이 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표준이 서로 크게 이격되어 있는 UHF 대역과 L 대역을 모두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들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이중 대역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저주파 및 광대역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약 1 GHz 나 이격되어 있는 L 대역을 커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인식한 것으로, UHF 대역과 L 대역을 동시에 커버하면서도 그 크기가 소형화된 이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대역의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용이하게 튜닝이 가능한 이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된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방사체는 및 상기 제 2 방사체는 상이한 공진 주파수에 대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방사체의 길이 변화 및 상기 제 2 방사체의 길이 변화는 상이한 공진 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방사체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2 방사체의 폭보다 작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방사체의 상기 일단에 양쪽으로 돌출된 스터브가 형성되고, 상기 스터브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되는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고, 제 1 공진 주파수, 제 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의 체배 주파수인 제 3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사체는 및 상기 제 2 방사체는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 대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방사체의 길이 변화 및 상기 제 2 방사체의 길이 변화는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는 UHF (Ultra High Freqeuncy) 대역에 존재하고, 상기 제 3 공진 주파수는 L 대역에 존재하며, 상기 이격 거리는 6 mm 이상이고 10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사체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2 방사체의 폭보다 작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방사체의 상기 일단에 양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3 공진 주파수부근에서의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스터브가 형성되고, 상기 스터브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중 대역 안테나" 라 함은 특정한 2 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임을 의미하는 것이고, 안테나가 2 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중 대역 안테나" 라고 설명되었더라도 3 이상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며, UHF 대역, L 대역 등 구체적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안테나라도 단일 대역 또는 3 이상의 대역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접속"이라는 용어는 두 구성 요소가 전자 소통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전자 소통 경로가 형성된다면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대역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이중 대역 안테나는 급전 소자 (30) 에 접속된 제 1 방사체 (10) 및 접지면 (40) 에 접속된 제 2 방사체 (20) 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방사체 (10) 와 제 2 방사체 (20) 는 이격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평 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 1 방사체 (10) 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되고, 제 2 방사체 (20) 는 제 1 방사체 (10) 와의 전자기적 결합에 의해 커플링 급전되어 역시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각 방사체의 길이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노폴 안테나와 달리 2 개의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길이는 파장의 1/4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방사체 (10, 20) 간의 이격 거리 (D) 는 방사체 (10, 20) 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동시에 그들 간의 결합 정도를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이격 거리 (D) 가 너무 짧은 경우에는 이들 간의 전자기적 결합이 너무 강해지므로 제 2 방사체 (20) 가 독립적으로 방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이중 대역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반면 이격 거리 (D) 가 너무 긴 경우에는 전자기적 결합이 약화되어 제 2 방사체 (20) 가 유효하게 급전될 수 없으므로 역시 이중 대역 및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격 거리 (D) 는 방사체 (10, 20) 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독립적인 방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거리 (D) 의 정량적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2 개의 방사체 (10, 20) 가 독립적으로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함으로써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대역 안테나의 정면도이다. 제 1 방사체 (10) 는 실질적으로 띠 형태로 연장하며, 길이 L1 을 갖는다. 제 2 방사체 (20) 역시 실질적으로 띠 형태로 연장하며, 길이 L2 를 갖는다. L1 과 L2 는 안테나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주파수에 따라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L1 이 L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방사체 (10) 가 직접 급전되어 실질적으로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므로, 체배 주파수에서의 공진도 발생시킨다. 따라서, L1 을 L2 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 1 방사체 (10) 에 의한 제 1 공진 주파수, 제 2 방사체 (20) 에 의한 제 2 공진 주파수, 및 제 1 공진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 3 공진 주파수가 이 크기 순서로 얻어질 수 있으며 다중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진 주파수와 제 2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작게 함으로써 2 개의 공진 주파수에 의한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제 1 방사체 (10) 의 폭 W1 은 제 2 방사체 (20) 폭에 비해 작도록 정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방사체 (10) 와 제 2 방사체 (20) 가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면서도 전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대역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방사체 (10) 의 일단에는 양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터브 (12) 가 형성될 수 있다. 스터브 (12) 는 제 1 방사체 (10) 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부가된 구성요소이다. 동시에, 스터브 (12) 는 제 1 방사체 (10) 의 제 3 주파수 (체배 주파수) 에서의 공진 특성에 영향을 준다. 스터브 (12) 의 크기 L3 가 증가할수록 제 1 방사체 (10) 의 전기적 길이가 증가하여 제 3 주파수에서의 공진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스터브 (12) 의 크기 L3 가 증가할수록 제 2 방사체 (20) 와의 전자기적 결합이 증가하여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특성을 악화시키므로, 역시 임계적인 크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를 실제로 구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길이는 mm 단위이다.
도 3 은 본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방사체의 길이 L1 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현예의 안테나는 500 MHz 부근의 제 1 공진 주파수, 700 MHz 부근의 제 2 공진 주파수 및 1.5 GHz 부근의 제 3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의 길이 L1 을 증가시킬수록 공진 주파수가 저주파 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는 제 1 방사체가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 1 방사체의 길이 L1 의 변화는 주로 제 1 및 제 3 공진 주파수를 크게 변화시켰으며, 제 2 공진 주파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접 급전되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 1 방사체는 주로 제 1 공진 주파수 및 그의 체배 공진 주파수인 제 3 공진 주파수의 방사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도 4 는 본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방사체의 길이 L2 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사체의 길이 L2 의 변화는 주로 제 2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고, 제 1 및 제 3 공진 주파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커플링 급전되는 제 2 방사체가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여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이 3 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구현예의 안테나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공진 주파수는 제 1 방사체의 길이 L1 에 의하여, 제 2 공진 주파수는 제 2 방사체의 길이 L2 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이들 공 진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5 는 본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방사체의 폭 W1 과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사체의 폭 W1 이 증가할수록 700 MHz 부근의 반사계수가 증가하여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 특성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술한 대로 폭 W1 이 증가할수록 제 1 방사체와 제 2 방사체의 전자기적 결합이 증가하여 제 2 방사체의 독립적 방사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테나의 제조 여건과 요구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을 결정하여야 한다.
도 6,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체 간의 이격 거리 D 와 반사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거리 D 가 6 mm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계수가 증가하여 다중 대역 및 광대역 특성이 약화되었다. 한편, 도 7 을 참조하면 이격 거리 D 가 6 mm 에서 10 mm 까지 증가하는 때에는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 손실이 감소하여 다중 대역 및 광대역 특성이 강화되었다. 반면, 도 8 과 같이 이격 거리 D 가 10 mm 를 초과하여 증가하는 때에는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 손실이 증가하여 다중 대역 및 광대역 특성이 약화되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격 거리 D 가 짧으면 전자기적 결합 강화로 특성이 열화되고, 이격 거리 D 가 길면 전자기적 결합 약화로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6 mm 이상 10 mm 이하의 이격 거리 D 가 최적의 거리임을 도출하였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스터브의 폭 L3 와 반사계수의 관계 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브의 폭 L3 의 변화는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았으나, 스터브의 폭 L3 가 증가할 수록 제 3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계수가 감소하여 대역폭이 확장되었다. 반면, 스터브의 폭 L3 의 증가에 따라 방사체간의 전자기적 결합 증가로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반사계수가 증가하여 특성이 열화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교환 (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폭 L3 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러한 각 부분의 치수 변경에 따른 안테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안테나를 설계하였으며, 그 치수는 다음과 같다.
L1 119 mm
L2 71 mm
L3 5 mm
W1 2 mm
D 6 mm
또한 접지면은 200 × 100 mm2 크기로 하였다. 도 10 은 위와 같이 구현된 최종 구현예의 정재파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현예는 500 MHz 와 700 MHz 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공진 주파수를 가지며, 이에 의해 470 MHz ~ 740 MHz 의 UHF 대역의 광대역에서 2 이하의 정재파비를 갖는다. 또한 제 1 공진 주파수 500 MHz 의 약 3 배 주파수인 1465 MHz 에서 제 3 공진 주파수를 가짐으로써 1450 MHz ~ 1480 MHz 의 L 대역에서 2 이하의 정재파비를 갖는다. 따라서, UHF 대역과 L 대역 모두를 커버하는 이중 대역 안테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방사체 보호용 케이스등 부속 소자를 포함한 구현예의 안테나의 크기는 121 × 11 × 10 mm3 으로, 종래의 모노폴 안테나에 비해 현저히 작은 크기로 광대 역 및 이중 대역 특성을 구현하였다.
도 11 은 본 구현예의 전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의 (a) 는 500 MHz 의 제 1 공진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로서 제 1 방사체 (10) 에 1/4 파장 모노폴 안테나에서와 유사한 전류 분포가 나타났다. 또한, 도 11 의 (b) 는 700 MHz 의 제 2 공진 주파수에서의 전류 분포로서, 제 2 방사체 (20) 에 의해 1/4 파장 모노폴 안테나에서와 유사한 전류 분포가 나타났으며, 1465 MHz 에서의 전류 분포인 도 11 의 (c) 에서는 제 1 방사체 (10) 가 제 3 공진 주파수에서 3/4 파장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제 1 방사체 (10) 및 제 2 방사체 (20) 의 독립적 방사에 의한 다중 대역 구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본 발명의 안테나의 크기나 구체적인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방사체에 의한 3 개의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2 중 대역, 3 중 대역 등 다중 대역 특성을 얻을 수도 있으며, 이들 공진 주파수를 근접하게 설계하여 필요한 대역에서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개의 분리된 방사체를 이용하여 UHF 대역과 L 대역을 동시에 커버하면서도 그 크기가 소형화된 이중 대역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대역의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안테나를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Claims (17)

  1.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된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2 방사체의 폭보다 작게 정해지는,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는 및 상기 제 2 방사체는 상이한 공진 주파수에 대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길이 변화 및 상기 제 2 방사체의 길이 변화는 상이한 공진 주파수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안테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상기 일단에 양쪽으로 돌출된 스터브가 형성된,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안테나.
  8.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되는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고,
    제 1 공진 주파수, 제 2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의 체배 주파수인 제 3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2 방사체의 폭보다 작게 정해지는, 안테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와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안테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는 및 상기 제 2 방사체는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 대해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는, 안테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길이 변화 및 상기 제 2 방사체의 길이 변화는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안테나.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안테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는 UHF (Ultra High Freqeuncy) 대역에 존재하고, 상기 제 3 공진 주파수는 L 대역에 존재하며,
    상기 이격 거리는 6 mm 이상이고 10 mm 이하인, 안테나.
  14. 삭제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사체의 상기 일단에 양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3 공진 주파수부근에서의 안테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스터브가 형성된, 안테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브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방사체의 및 상기 제 2 방사체가 각각 상기 제 1 공진 주파수 및 상기 제 2 공진 주파수에서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정해지는, 안테나.
  17. 안테나를 포함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일단이 급전 소자와 접속된 제 1 방사체; 및
    상기 제 1 방사체와 평행하고 상기 제 1 방사체로부터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일단이 접지되는 제 2 방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방사체의 폭은, 상기 제 1 방사체와 상기 제 2 방사체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방사체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 2 방사체의 폭보다 작게 정해지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070000826A 2007-01-04 2007-01-04 이중 대역 안테나 KR10086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26A KR100867128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 대역 안테나
PCT/KR2007/006810 WO2008082132A1 (en) 2007-01-04 2007-12-26 Dual band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26A KR100867128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 대역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215A KR20080064215A (ko) 2008-07-09
KR100867128B1 true KR100867128B1 (ko) 2008-11-06

Family

ID=3958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826A KR100867128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 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7128B1 (ko)
WO (1) WO2008082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28B1 (ko) * 2015-11-18 2019-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형 안테나 및 전파신호 탐지 장치
FR3056831B1 (fr) * 2016-09-26 2019-08-02 Tdf Antenne a tiges ferromagnetiques bobinees et couplees entre elles
KR102168788B1 (ko) * 2020-07-29 2020-10-22 주식회사 예건 헤리컬 패턴과 ifa패턴을 결합한 열차용 vhf 안테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511A (ko) * 2000-04-11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기
KR20050041466A (ko) * 2003-10-31 2005-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공진형 안테나
JP2005150937A (ja) * 2003-11-12 2005-06-09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JP2006238029A (ja) * 2005-02-24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KR20060117051A (ko) * 2005-05-12 2006-11-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cpw 급전 모노폴 안테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836B1 (en) * 2000-02-08 2001-02-06 Ericsson Inc. Dual band antenna having mirror image meandering segment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TW527754B (en) * 2001-12-27 2003-04-11 Ind Tech Res Inst Dual-band planar antenna
EP1469554A1 (en) * 2003-04-15 2004-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access monopole antenna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511A (ko) * 2000-04-11 2001-11-08 무라타 야스타카 표면 실장형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기
KR20050041466A (ko) * 2003-10-31 2005-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공진형 안테나
JP2005150937A (ja) * 2003-11-12 2005-06-09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信機
JP2006238029A (ja) * 2005-02-24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機
KR20060117051A (ko) * 2005-05-12 2006-11-1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cpw 급전 모노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2132A1 (en) 2008-07-10
KR20080064215A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133B2 (en) Dual-band inverted-F antenna with a branch line shorting strip
US7760146B2 (en) Internal digital TV antennas for hand-held telecommunications device
US6759991B2 (en) Antenna arrangement
US6100848A (en) Multiple band printed monopole antenna
US6380903B1 (en) Antenna systems including internal planar inverted-F antennas coupled with retractable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US6218992B1 (en) Compact, broadband inverted-F antennas with conductive element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US8339321B2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apparatus
US20040051665A1 (en) Broadband couple-fed planar antennas with coupled metal strips on the ground plane
US7817103B2 (en) Dual-band multi-pitch parasitic half-wave (MPPH) antenna
KR20130000459A (ko) 방사효율을 향상시키고 신호간섭을 방지하는 차량용 방송안테나 및 이를 내부에 구비하는 차량용 샤크핀 안테나 장치
US20070290927A1 (en) Miniature balanced antenna with differential feed
KR100742097B1 (ko) Vhf 및 uhf 신호 수신용 이중대역 안테나
US20060097935A1 (en) Dual band, bent monopole antenna
KR100867128B1 (ko) 이중 대역 안테나
KR100901819B1 (ko) 회로기판 일체형 안테나
KR100905415B1 (ko) 광대역 안테나
Holopainen et al. Mobile terminal antennnas implemented by using direct coupling
US7696950B2 (en) Antenna with symmetrical first and second monopole radiating elements
KR100896441B1 (ko) 광대역 안테나
GB2370158A (en) Multiband PIFA patch antenna for vehicles
Ammann et al. Miniatured annular ring loaded patch antennas
CN113540763A (zh) 一种天线及设备
Karim et al. Fractal koch dipole antenna for UHF band application
KR20110073403A (ko) 분기 캐패시터를 이용한 역-f 안테나
Pandit et al. Design of a slotted reconfigurable patch antenna for present-G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