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276B1 -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276B1
KR102018276B1 KR1020190021514A KR20190021514A KR102018276B1 KR 102018276 B1 KR102018276 B1 KR 102018276B1 KR 1020190021514 A KR1020190021514 A KR 1020190021514A KR 20190021514 A KR20190021514 A KR 20190021514A KR 102018276 B1 KR102018276 B1 KR 10201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ctopus
habitat
underwater submerged
coa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현
김문훈
김성도
정순일
최문수
좌종헌
Original Assignee
청암종합건설 주식회사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암종합건설 주식회사,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암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산란과 서식특성을 살린 서식공간과 해양저서생물의 은신공간을 형성하여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해양저서생물의 안정적인 산란과 서식공간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형상이며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공간이 넓어지는 일정깊이를 갖는 복수의 측면서식부(2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서식부(3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 직경 7~20cm, 내측 직경 25~60cm, 깊이 7~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Multipurposes underwater submerged block}
본 발명은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산란과 서식특성을 살린 서식공간과 해양저서생물의 은신공간을 형성하여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해양저서생물의 안정적인 산란과 서식공간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침식 방지블록은 통상 해안 5~30m 정도의 연안해역에 설치되며, 그 해안침식 방지블록에는 빠른 해수의 이동을 감쇠시킴과 아울러 각종 해조류가 부착되어 성장하게 되고, 연안정착성 어류, 문어 등의 서식장, 산란장, 치어의 성육장으로 사용된다.
연안정착성 어류는 대표적으로 다금바리, 붉바리, 자리돔, 자바리, 돌돔, 쏨뱅이, 쥐노래미 등이 있으며 산란시기에도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사는 곳 근처에서 알을 낳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금바리는 암초지대에서 생활하며 거의 이동을 하지 않는 정착성 물고기이며, 야행성으로 주로 바위 틈에 숨어 있다가 해질 무렵부터 활발하게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갑각류 등을 사냥하고 산란기인 5~8월 사이에도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사는 곳 근처에서 알을 낳는다.
붉바리의 경우에도 바위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하며, 산란기는 6월부터 8월 사이로 어류, 새우류, 게류를 먹고 사는 특징이 있다.
문어는 암초부근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군집생활을 하지 않는 습성으로 영역 싸움이 심한 특징이 있다.
한편, 종래의 해안침식 방지블록의 일 예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59304호에 중앙에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사방에 블록의 둘레와 캐비티 사이에 물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제1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1 문어서식공간 양측에 형성된 제2 문어서식공간;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의 중간부분에 상기 제2 문어서식공간보다 더 큰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제3 문어서식공간; 블록의 사방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해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4 문어서식공간; 및 상기 캐비티의 둘레 주변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문어서식공간들과 연통되지 않는 고리형상 캐비티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생 동식물 블록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695682호에는 일정 크기의 자연석 블록을 이용한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 구조물로서, 상기 자연석 블록의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막힌 제1공간과, 상기 자연석 블록의 전면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상기 제1공간에 수직하게 교차하여 형성되되 전면이 트여 있고 후면 쪽이 막혀 있는 제2공간을 구비하는 문어 생육 산란용 인공구조물과, 이 구조물의 제작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해인침식 방지블록에 대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다금바리, 붉바리 등의 연안정착성 어류와 문어 등의 산란과 서식환경에 적합한 장소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연안정착성 어류와 문어 등에게 안정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는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곳에 정착하여 서식하며 어두운 곳을 좋아해 바위구멍이나 바위틈새에 몸을 숨겨 서식하는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공통적인 특성을 살려 본체의 각 측면에 입구는 좁고 내부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측면서식부를 다수 형성하고 바닥에는 해양저서생물이 이동하거나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해양저서생물의 안정적인 산란과 은신 및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형상이며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공간이 넓어지는 일정깊이를 갖는 복수의 측면서식부(2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서식부(3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어지는 내부 확장형으로 형성되는 측면서식부에 의해 바위구멍이나 바위틈에 몸을 숨겨 서식하는 특성이 있는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에게 안정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바닥서식부는 해양저서생물이 이동하거나 적으로부터 은신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여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해양저서생물의 안정적인 산란, 서식, 은신처를 한번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쿠버 다이빙 관광객의 레저용도, 해양생물의 자원 회복과 보존을 위한 생태용도, 연안해변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도, 수중앵커용도, 항만 조성시 안벽과 외벽의 콘크리트 블록을 친환경적인 기능으로 제공하는 산업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형상이며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공간이 넓어지는 일정깊이를 갖는 복수의 측면서식부(2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서식부(3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 직경 7~20cm, 내측 직경 20~60cm, 깊이 20~8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의 각 테두리와 모서리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넓은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고무공 또는 PVC풍선 타입인 내부거푸집(50)에 공기를 주입하고 양생 후 내부거푸집의 공기를 제거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혼화재로 실리카흄을 시멘트 중량대비 3~10중량%로 혼합하여 배합한 특수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문어는 연안 저서 어종으로써 짝짓기는 11월 ~ 12월에 수심 20 ~ 100m내외에서 하고, 산란은 4월 ~ 6월에 수심 13 ~ 40m정도의 낮은 연안에서 2 ~ 10만개의 알을 낳아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고, 다리를 이용해 신선한 물을 알에 흐르게 하여 산소를 공급해 준다. 문어 알의 부화는 온도에 따라 5 ~ 7개월 정도 소요되고, 부화유생은 28 ~ 90일정도 바다 표면에서 떠다니다 유생기가 지나면 바다 밑으로 들어가 살게 되며, 그 후 1년이 지나면 무게가 0.5 ~ 1㎏되고, 2년 후에는 1 ~ 5㎏, 3년 후에 10 ~ 20㎏ 정도 성장하는데, 성장하는 과정에서 다른 포식 어종에 의해 잡혀 먹히거나, 일부러 다리를 잘라서 줘서 잡혀 먹히지 않고 피하는 방식으로 생존한다. 또한, 문어의 습성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틈을 중심으로 서식하며 여기에 알을 낳고 보호하며 포식 어종으로부터 몸을 피할 경우에 이용하기도 하는데, 작은 문어는 자갈이나, 모래에 적당한 구멍을 파서 서식하고, 먹이는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주로 먹는데 게와 새우를 좋아하며, 그 밖에 달팽이, 어류, 다른 문어 등을 먹고, 위험이 처했을 경우 주변과 비슷한 보호색으로 변하거나 화가 났을 때 붉은 색으로 변하는 등 기분에 따라서 색깔이 변화하는 생태와 습성이 있고, 암초부근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며 군집생활을 하지 않는 습성으로 영역 싸움이 심한 편이다.
연안정착성 어류는 대표적으로 다금바리, 붉바리, 자리돔, 자바리, 돌돔, 쏨뱅이, 쥐노래미 등이 있으며 산란시기에도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사는 곳 근처에서 알을 낳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다금바리는 암초지대에서 생활하며 거의 이동을 하지 않는 정착성 물고기이며, 야행성으로 주로 바위 틈에 숨어 있다가 해질 무렵부터 활발하게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갑각류 등을 사냥하고 산란기인 5~8월 사이에도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사는 곳 근처에서 알을 낳는다.
붉바리의 경우에도 바위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활동하며, 산란기는 6월부터 8월 사이로 어류, 새우류, 게류를 먹고 산다.
상기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공통점은 서식지가 수심 30m 이내의 암초지대이고, 한곳에 정착하여 서식하며 바위구멍이나 바위틈새에 몸을 숨겨서 서식하고 주로 야행성인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이러한 생태와 습성을 갖는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가 서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수중 잠제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본체(10), 복수의 측면서식부(20), 바닥서식부(30),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해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서식공간을 최대한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재질로서 콘크리트 내부의 강알칼리(pH) 용출을 억제하기 위해 제조시 혼화재로 실리카흄을 시멘트 중량대비 3~10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배합한 특수콘크리트로 제조하여 해상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보통콘크리트는 표면과 내부의 강알칼리(pH 13)가 최대 3년까지 장기간 용출된다. 1년까지는 용출의 양이 많고, 특히 제조 후 1달까지가 용출량이 가장 많아 문어, 어류 등의 피부에 안좋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표면과 내부의 강알칼리 용출을 억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혼화재로 실리카흄을 사용한 특수콘크리트로 본체(10)를 제조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단은 매끈한 평단면 표면으로 형성되어 전복의 서식지로 제공되고 각 테두리와 모서리는 날카롭지 않도록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그물이나 쓰레기 등이 본체에 쉽게 걸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본체(10)의 전,후,좌,우 각 측면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문어 및 붉바리, 자바라, 자리돔 등 연안정착성 어류의 서식처로 제공될 수 있도록 원형이며 입구는 좁고 내부로 갈수록 공간이 넓어지는 형태로 단부는 밀폐되면서 일정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다양한 크기의 연안정착성어류 및 문어의 서식공간 제공을 위해 입구 직경 7~20cm, 내측 직경 20~60cm, 깊이 20~80cm로 형성된다.
즉, 소형크기로 형성되는 측면서식부(20)는 입구 7cm, 내측 25cm이며, 중형크기로 형성되는 측면서식부(20)는 입구 15cm, 내측 45cm이고, 대형크기로 형성되는 측면서식부(20)는 입구 20cm, 내측 6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측면서식부(20)의 크기는 측면서식부(20)가 형성된 본체(10)를 수중에 설치하여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서식활동을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도출되었다.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서식활동 관찰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운진항 인근에서 수심 20m +- 5m 범위이되, 문어가 산란한 흔적이 있는 수심 15m와 20m 사이의 수심대에 집중적으로 본 발명의 수중 잠제블록을 설치하여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의 서식장소로 선택되는 측면서식부(20)의 크기를 집중적으로 관찰하였다.
문어와 연안정착성 어류가 선택하는 측면서식부(20)는 각 입구의 지름이 10cm, 15cm, 20cm, 25cm, 내부 공간은 공통적으로 50cm의 원형 공간으로 형성하였다.
관찰결과, 입구가 10cm 이하인 측면서식부(20)의 경우 문어가 자주 서식하고 산란을 하며, 입구가 15cm 이상인 측면서식부(20)에는 문어가 매우 드물게 서식을 하는 반면, 연안정착성 어류는 쉽사리 침입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입구가 15cm 이상인 측면서식부(20)의 입구에는 자리돔이 산란하여 수컷이 지키는 것이 다수 관찰되었다.
즉, 측면서식부(20)의 입구 지름이 10cm 이하인 경우에는 입구가 작고 밀폐된 공간이라 문어의 서식장소로 활용되며, 입구가 15cm 이상인 경우에는 자리돔을 비롯한 연안정착성 어류의 산란과 서식장소로 활용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입구 20cm의 측면서식부(20)에는 문어가 매우 드물게 서식하고 산란을 하며, 가끔식 어류가 산란을 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25cm의 측면서식부(20)에는 문어가 서식과 산란을 아예 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문어는 산란과 서식지로 선택하는 공간으로 주변환경도 중요하지만 입구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부의 공간이 넓은 곳을 선호하는 것으로 그 이유는 입구를 쉽사리 막을 수 있고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내부 깊숙이 숨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측면서식부(20)는 관찰결과 및 주로 바위 틈에 숨어 서식하며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물러 살며 자신이 사는 곳 근처에서 알을 낳는 연안정착성어류의 습성과 암초부근의 굴처럼 패인 곳이나 그늘진 곳에 숨어 절대 군집생활을 하지 않고 독립생활을 하며, 소라껍질, 조개껍질 등을 이용하여 외부의 적으로부터 방어하는 문어의 습성을 살려 입구는 좁고 내부는 확장된 넓은 내부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연안정착성어류와 문어의 편안한 서식과 산란장소를 한번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어지는 내부 확장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을 이용하여 본체(10)를 타설할 때,
상기와 같은 입구는 좁고 내부는 확장된 측면서식부(20)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양생 작업 후 거푸집을 탈형해야 하는 작업에서 일반 거푸집의 경우에는 탈영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어지는 내부 확장형의 상기 측면서식부(20)의 형태를 손쉽게 형성시키기 위해 거푸집을 이용하여 본체(10)를 타설할 때, 본체(10) 형성을 위한 외부거푸집의 각 측면으로 측면서식부(20)를 형성시키기 위한 내부거푸집(20)을 설치하되, 상기 내부거푸집(50)은 고무공 또는 PVC 풍선 타입으로 고무계열로된 거푸집인 내부거푸집(50)에 공기를 주입한 후 외부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내부거푸집(50)의 공기를 빼내고 내부거푸집(50)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측면서식부(20)를 손쉽게 형성한다.
상기 바닥서식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바닥면에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해양저서생물이 이동하거나 은신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며 해수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바닥면의 요철에 의한 활동 저항성을 높여서 본체가 조류에 의해 이동이나 전복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리(40)는 강선 또는 로프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인양장비를 이용해 본체(10)를 수중에 편리하게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다수개를 적층시켜 시공하면 수중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첫째, 해류의 흐름을 바꾸어 연안 해빈을 보호하는 수중 잠제역할을 한다.
둘째, 해류가 수중 잠제블록에 부딪히면 용승류 효과를 일으켜 지반에 침전된 플랑크톤 성분이 활성화되어 어류를 위집하는 수중 암초역할을 한다.(용승류 효과 유도)
셋째, 전,후방 측면에 형성된 크고, 작은 다수의 측면서식부에 의해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게, 해삼과 같은 해양저서생물의 은신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어초 효과)
넷째, "+" 형상의 바닥서식부 사이로 해류의 소통이 가능하여 외측과 내측의 수질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항만 조성시에 해수 유통구멍 효과)
그리고, 본 발명의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은 문어, 연안정착성 어류, 게, 해삼, 해양저서생물의 서식지를 한번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쿠버 다이빙 관광객의 레저용도, 해양생물의 자원 회복과 보존을 위한 생태용도, 연안해변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도, 수중앵커용도, 항만 조성시 안벽과 외벽의 콘크리트 블록을 친환경적인 기능으로 제공하는 산업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본체
20-측면서식부
30-바닥서식부
40-고리
50-내부거푸집

Claims (5)

  1.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각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원형의 형상이며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공간이 넓어지는 일정깊이를 갖는 복수의 측면서식부(2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서식부(30)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되는 고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는 좁고 내측으로 넓은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해 고무공 또는 PVC풍선 타입인 내부거푸집(50)에 공기를 주입하고 양생 후 내부거푸집의 공기를 제거하여 형성시키며,
    상기 본체(10)는 혼화재로 실리카흄을 시멘트 중량대비 3~10중량%로 혼합하여 배합한 특수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서식부(20)는 입구 직경 7~20cm, 내측 직경 20~60cm, 깊이 20~8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각 테두리와 모서리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1514A 2019-02-25 2019-02-25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KR10201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14A KR102018276B1 (ko) 2019-02-25 2019-02-25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14A KR102018276B1 (ko) 2019-02-25 2019-02-25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276B1 true KR102018276B1 (ko) 2019-09-05

Family

ID=6794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514A KR102018276B1 (ko) 2019-02-25 2019-02-25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2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907U (ko) * 1997-11-04 1999-06-05 손익하 문어서식용 인공어초
KR200372874Y1 (ko) * 2004-10-15 2005-01-15 주식회사 삼성산업 인공 용승류 유도를 위한 블럭구조체
JP2005341836A (ja) * 2004-06-01 2005-12-15 Nanwa Sangyo Kk 型枠ブロッ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単位ブロック
KR101703475B1 (ko) * 2016-05-30 2017-02-06 배종태 문어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907U (ko) * 1997-11-04 1999-06-05 손익하 문어서식용 인공어초
JP2005341836A (ja) * 2004-06-01 2005-12-15 Nanwa Sangyo Kk 型枠ブロッ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単位ブロック
KR200372874Y1 (ko) * 2004-10-15 2005-01-15 주식회사 삼성산업 인공 용승류 유도를 위한 블럭구조체
KR101703475B1 (ko) * 2016-05-30 2017-02-06 배종태 문어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E. Harris. Designed Reefs for Reef and Coastal Restoration and Erosion Potential Applications for the City of Herzlia, Israel, Designed Reefs for Reef and Coastal Restoration and Erosion.(20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us Marine zonation and ecology of Cocos Island, off Central America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20100041623A (ko) 주꾸미 증식용 인공어초
JP2012217390A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104776B1 (ko)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KR20140116306A (ko) 문어 해중림 인공어초
KR101934447B1 (ko) 새우용 인공어초
KR102018276B1 (ko) 다용도 수중 잠제블록
KR101920839B1 (ko) 모듈형 문어 산란 구조물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20120108100A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2018638B1 (ko) 자리돔 산란과 해양저서생물의 서식처를 위한 콘크리트 블록
KR101351792B1 (ko) 복합형 인공 어초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KR102032718B1 (ko)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KR101944708B1 (ko) 쏙 차단틀 및 이를 이용한 쏙 구제가 가능한 바지락 양성방법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KR200374009Y1 (ko) 전복 보육어초
Allen Handy pocket guide to tropical coral reef fishes
KR102290653B1 (ko) 바리과 어류 및 전복의 서식처와 해조류 착생을 위한 복합블록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Lim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artificial habitats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fishery productivity of the Great Lakes Complex of Nicaragua
KR102402241B1 (ko) 해삼 문어 보육전용 다기능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