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74B1 -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 Google Patents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74B1
KR102018074B1 KR1020170174929A KR20170174929A KR102018074B1 KR 102018074 B1 KR102018074 B1 KR 102018074B1 KR 1020170174929 A KR1020170174929 A KR 1020170174929A KR 20170174929 A KR20170174929 A KR 20170174929A KR 102018074 B1 KR102018074 B1 KR 10201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exhaust gas
support frame
chamber
alk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782A (ko
Inventor
장인갑
백민수
유정석
김준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0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0Semi-solid phase processes, i.e. by using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성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습식 탈황장치는 측면에 황(S)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황(S)이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 배출구를 구비하는 챔버; 챔버 하부에 위치하고,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획판을 구비하는 슬러리 저장부; 챔버 중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저장부의 구획판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에 분사하는 슬러리 분사부; 및 챔버 상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분사부를 통과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WET DESULFURIZ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DESULFURIZATION EFFICIENCY AND WET DESULFUR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성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화물(SOx) 및 산성 가스를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석회석(CaCO3)을 이용한 습식 탈황장치를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습식 탈황설비는 초기 투자비가 다소 높기는 하나 운영 및 유지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어 대형설비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석회석(CaCO3)의 경우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은 알칼리성 물질로서 가성소다(NaOH)와 같은 비교적 고가의 제품과 달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탈황장치에 다량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습식 탈황장치(도 1 참조)는, 미처리된 가스가 탈황장치로 유입된 후 챔버에서의 기액접촉을 통해 산성 가스가 흡수되고, 흡수된 산성가스는 알칼리성 슬러리에 의해 아래의 반응 순서로 처리되고, 알칼리성 슬러리는 재순환되어 재분사된다.
SO2(g) + H2O → H2SO3(aq) (1)
H2SO3(aq) ↔ H+ + HSO3 - ↔ 2H+ + SO3 2- (2)
Ca2+ + SO3 2- ↔ CaSO3 (3)
이때, 알칼리성 슬러리에 의해 흡수된 황산화물(SOx)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석고(CaSO4·2H2O)로 재생산된다.
O2(g) → O2(aq) (4)
HSO3 - + 1/2 O2 → H+ + SO4 2- (5)
SO4 2- + 1/2 O2 → SO4 2- (6)
CaCO3(s) + 2H+ → Ca2+ + H2O + CO2 (7)
Ca2 + + SO3 2- + 1/2 H2O → CaCO3·1/2 H2O(s) (8)
Ca2 + + SO4 2- + 2H2O → CaSO4·2H2O(s) (9)
한편, 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없애기 위한 pH 농도와 석고 순도를 높이기 위한 pH 농도는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습식 탈황장치 내부 슬러리의 pH가 4.0 ∼ 5.0 범위에서 석고의 품질이 향상되는 반면 SO2의 흡수율은 저감되고, pH가 5.0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SO2의 흡수율은 향상되나 석고의 품질은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습식 탈황장치(도 1 참조)는, 탈황장치 내부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슬러리를 교반한 후, 순환시킴으로써 pH를 동일하게 운전 및 유지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황산화물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pH 조건과, 생산되는 석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pH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탈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생산되는 석고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68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생산되는 석고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측면에 황(S)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황(S)이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 배출구를 구비하는 챔버; 챔버 하부에 위치하고,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획판을 구비하는 슬러리 저장부; 챔버 중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저장부의 구획판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에 분사하는 슬러리 분사부; 및 챔버 상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분사부를 통과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를 포함하는 습식 탈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구획판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되거나 중앙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러리 저장부는,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관을 구비하되, 슬러리 공급관은 구획판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로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산소 기체 공급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산소 기체 공급관은 슬러리 저장부의 중앙 하단에 구비되어 상방을 향하여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분사 파이프는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스트 제거부는,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부 지지프레임,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하부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결착되고, 여러 굴곡을 갖는 복수 개의 굴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굴곡판은,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산부, 타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골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판 형상의 체결부 및 산부와 골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산부와 체결부 또는 골부와 체결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판 형상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스트 제거부는, 상부 지지프레임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며,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부 지지프레임, 하부 지지프레임 및 굴곡판에 부착된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습식 탈황장치는 슬러리 저장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 및/또는 미스트 제거부로 이송하는 양을 제어하는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고, 분사 파이프는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될 수 있으며,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는, 가장 위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고, 가장 아래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스트 제거부는,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부 지지프레임,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하부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결착되고, 여러 굴곡을 갖는 복수 개의 굴곡판을 포함할 수 있고, 굴곡판은,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산부, 타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골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판 형상의 체결부 및 산부와 골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산부와 체결부 또는 골부와 체결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판 형상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제거부는 상부 지지프레임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며,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부 지지프레임, 하부 지지프레임 및 굴곡판에 부착된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 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상술한 습식 탈황장치를 이용하여 배가스 내 황(S)을 제거하는 습식 탈황방법에 있어서,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황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단계; 슬러리 저장부의 구획판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로 공급하는 제2단계; 슬러리 분사부가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유입된 배가스에 분사하여 황(S)을 제거하는 제3단계; 미스트 제거부를 이용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4단계; 및 황(S) 및 수분이 제거된 배가스를 배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습식 탈황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단계의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고,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된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위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고, 가장 아래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판을 이용하여 슬러리 저장부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되도록 하고, 구획판 하부의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로 공급한 후, 배가스에 분사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석고의 생산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슬러리 분사부(분사 파이프)를 다단으로 형성하는 경우, 각 분사 파이프에 이송하는 슬러리의 양을 달리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장치는 측면에 황(S)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 유입구(11)를 구비하고, 상부에 황(S)이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 배출구(12)를 구비하는 챔버(10); 챔버(10) 하부에 위치하고,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획판(21)을 구비하는 슬러리 저장부(20); 챔버(10) 중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저장부(20)의 구획판(21)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배가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에 분사하는 슬러리 분사부(30); 및 챔버(10) 상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분사부(30)를 통과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러리 저장부(20)에 구획판(21)을 설치하여 슬러리 저장부(20)에 저장된 상부 슬러리 및 하부 슬러리의 pH가 다르게 유지되도록 하고, 구획판(21) 하부의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30)로 공급한 후, 배가스에 분사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석고의 생산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탈황장치 내부로 황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고,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배가스에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키면 배가스를 탈황 처리할 수 있고, 흡수된 황을 이용해 석고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때, 탈황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pH가 높은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pH를 너무 높일 경우, 탈황 효율이 높아질 수는 있으나, 흡수된 황을 이용해 생산되는 석고의 품질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탈황 처리 효율과 석고 생산품질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pH 범위의 알칼리성 슬러리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본 발명은 슬러리 저장부(20)에 구획판(21)을 설치한 후, pH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서는 석고가 생산되도록 하고, pH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의 슬러리를 순환시켜 분사함으로써 탈황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챔버(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측면에 황(S)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 유입구(11)를 구비하며, 상부에 황(S)이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 배출구(12)를 구비할 수 있다. 챔버(10) 내부를 살펴보면,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가 저장(수용)되는 슬러리 저장부(20)가 하단에 위치하고, 배가스와 알칼리성 슬러리가 접촉하여 탈황 작용이 일어나는 슬러리 분사부(30)가 중단에 위치하며, 슬러리 분사부(30)를 통과하여 탈황 처리가 일어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40)가 상단에 위치한다. 배가스 유입구(11)는 슬러리 저장부(20)와 슬러리 분사부(30) 사이에 위치하고, 슬러리 배출구는 미스트 제거부(40)를 통과한 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 가장 상단에 위치한다.
슬러리 저장부(20)는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이하 '알칼리성 슬러리'라고도 한다.)를 공급받아 수용(저장)한다. 이때, 알칼리성 물질은 석회석(CaCO3), 소석회(Ca(OH)2), 암모니아(NH3), 수산화나트륨(NaOH)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제성, 생산성 등을 고려할 때, 석회석(CaCO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 저장부(20)는 내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의 상부 및 하부를 구획할 수 있는 구획판(21)을 구비한다. 구획판(21)은 챔버(10)의 바닥면(수평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도 2 참조), 챔버(10)의 중앙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도 3 참조), 생산되는 석고의 회수를 위하여, 챔버(10)의 중앙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리 저장부(20)는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관(22)을 구비할 수 있고, 슬러리 공급관(22)은 구획판(21)보다 아래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러리 저장부(20)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가 슬러리 분사부(30)로 이송되어 배가스에 분사되면, 슬러리 저장부(20)로 다시 모이게 되는데, 이때, 배가스의 탈황 처리에 의해 pH가 낮아지게 되고, pH가 낮아진 슬러리는 구획판(21) 상부에 머물게 된다(pH 4.5~5.0). 반면, 구획판(21) 하부의 알칼리성 슬러리는 새로운 알칼리성 슬러리가 공급되고, 상부의 탈황처리 작업을 수행한 알칼리성 슬러리와 혼합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pH가 높다(pH 5.5~6.0). 기존에는 슬러리를 혼합하여 슬러리 분사부(30)로 재공급하였기 때문에 pH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탈황 효율이 떨어졌으나, 본 발명은 pH가 상대적으로 높은 슬러리를 공급할 수 있어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리 저장부(20)는 내부로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산소 기체 공급관(23)을 구비할 수 있다. 산소 기체 공급관(23)은 석고를 생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것이므로 구획판(21)의 상부 영역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석고의 생산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슬러리 저장부(20)에 저장된 상부 및 하부 슬러리의 pH를 다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 기체 공급관(23)은 슬러리 저장부(2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되어 구획판(21) 상부로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치됨으로써 상부의 슬러리가 하부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슬러리 분사부(30)는 챔버(10)의 중단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32)을 구비하는 분사 파이프(3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분사부(30)는 슬러리 저장부(20)의 구획판(21) 하부에 저장된 상대적으로 pH가 높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은 후, 분사 노즐(32)을 이용하여 배가스에 분사함으로써 배가스를 탈황 처리한다. 이때, 탈황 처리 효율 향상을 위하여 분사 파이프(31)는 도 4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본 명세서에서 수직 방향은 도면 기준으로 위아래 방향을 의미한다.)으로 다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량의 슬러리를 분사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분사 노즐(32)의 분사 방향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스트 제거부(40)는, 챔버(10)의 상단에 위치하여 슬러리 분사부(30)를 통과하여 황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미스트 제거부(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미스트 제거부(40)는 챔버(10)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부 지지프레임(41), 챔버(10)의 내측벽에 고정된 하부 지지프레임(42)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 지지프레임(41) 및 하부 지지프레임(42)에 결착되고, S자 형상으로 여러 굴곡을 갖는 복수 개의 굴곡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굴곡판(43)은,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산부(44), 타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골부(45),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지지프레임(41) 및 하부 지지프레임(42)에 체결되는 수직판 형상의 체결부(47) 및 산부(44)와 골부(45)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산부(44)와 체결부(47) 또는 골부(45)와 체결부(47)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판 형상을 갖는 연결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굴곡판(43)은 수직판과 경사판이 교번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배가스가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안내되어 원활히 통과되도록 하면서도 수분(미스트)은 충돌 또는 부착되도록 차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즉, 배가스는 이러한 굴곡판(43)들 사이의 틈새를 그대로 통과하지만, 배가스에 포함된 수분(미스트)은 굴곡판(43)들 사이의 틈새로 흐르면서 굴곡진 부분에 충돌하여 탈황장치 하부로 낙하하거나 굴곡판(43)에 부착되고, 부착된 수분들은 서로 합쳐지면서 중력에 의해 수직판의 수직면과 경사판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면서 탈황장치 하부로 낙하하여 수분 제거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제거부(4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지지프레임(41)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49)을 구비하며, 슬러리 저장부(20)로부터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부 지지프레임(41), 하부 지지프레임(42) 및 굴곡판(43)에 부착된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 파이프(4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여 굴곡판(43) 등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한편, 배가스 내 미처리된 황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슬러리 저장부(20)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30) 및/또는 미스트 제거부(40)로 이송하는 양을 제어하는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50)는 슬러리 분사부(30)의 분사 파이프(31)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미스트 제거부(40)가 미스트 제거 파이프(48)를 구비할 때, 각 파이프로 이송되는 슬러리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최초 유입된 배가스에는 황 성분이 많아 적은 양의 슬러리만 분사하여도 효율적으로 탈황 처리할 수 있으나, 황 성분이 제거된 배가스의 경우 슬러리를 많이 분사하여야(같은 pH 농도 조건에서) 잔존한 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 파이프(31)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된 분사 파이프(31)는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황 성분을 포함하는 배가스에 슬러리를 분사하므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공급(가장 얇은 선으로 표현)하고,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분사 파이프(31)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황 성분을 포함하는 배가스에 분사하므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공급(가장 두꺼운 선으로 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되는 슬러리는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므로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배가스는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와 접촉하게 되어 탈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미스트 제거 파이프(48)로 공급되는 슬러리는 굴곡판(43) 등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이고, 잔존한 황을 제거하는 것이 부차적인 목적이므로, 간헐적으로 공급(점선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술한 습식 탈황장치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술한 습식 탈황장치를 이용하므로, 중복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탈황방법은 상술한 습식 탈황장치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으로서, 배가스 유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황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단계; 슬러리 저장부(20)의 구획판(21)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30)로 공급하는 제2단계; 슬러리 분사부(30)가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배가스 유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유입된 배가스에 분사하여 황(S)을 제거하는 제3단계; 미스트 제거부(40)를 이용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4단계; 및 황(S) 및 수분이 제거된 배가스를 배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러리 저장부(20)에 구획판(21)을 설치하여 슬러리 저장부(20)에 저장된 상부 슬러리 및 하부 슬러리의 pH가 다르게 유지되도록 하고, 구획판(21) 하부의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30)로 공급한 후, 배가스에 분사함으로써 탈황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석고의 생산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제1단계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단계로, 황을 포함하는 배가스는 슬러리 분사부(30)와 슬러리 저장부(20) 사이에 위치하는 배가스 유입구(11)를 통해 챔버(10) 내부로 유입된다.
제2단계는 슬러리 저장부(20)의 구획판(21)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부로 공급하는 단계로, 구획판(21) 하부에는 석회석과 같은 알칼리성 물질이 공급되어 구획판(21) 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pH를 가진 슬러리가 형성된다.
제3단계는 슬러리 분사부(30)가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배가스로 분사하여 탈황 처리하는 단계로, 탈황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슬러리 분사부(30)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32)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20)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고, 챔버(10)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된 분사 파이프(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탈황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장 위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31)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고, 가장 아래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31)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대적으로 황이 많은 배가스에는 적은 양의 슬러리를 분사하고, 상대적으로 황이 적은 배가스에는 많은 양의 슬러리를 분사하여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단계는 미스트 제거부(40)를 이용하여 황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부 지지프레임(41), 하부 지지프레임(42) 및 굴곡판(43)을 배치하여 배가스와 물리적인 충돌을 유도한 후, 굴곡판(43) 등에 수분을 부착시킴으로써 배가스 내 수분을 제거한다.
제5단계는 탈황 처리가 끝난 배가스를 배출하는 단계로, 배출된 배가스는 후속되는 처리시설(전기 집진장치 등)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챔버
11 : 배가스 유입구
12 : 배가스 배출구
20 : 슬러리 저장부
21 : 구획판
22 : 슬러리 공급관
23 : 산소 기체 공급관
30 : 슬러리 분사부
31 : 분사 파이프
32 : 분사 노즐
40 : 미스트 제거부
41 : 상부 지지프레임
42 : 하부 지지프레임
43 : 굴곡판
44 : 산부
45 : 골부
46 : 연결부
47 : 체결부
48 : 미스트 제거 파이프
49 : 분사 노즐
50 :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

Claims (21)

  1. 측면에 황(S)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 유입구를 구비하고, 상부에 황(S)이 제거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 배출구를 구비하는 챔버;
    챔버 하부에 위치하고,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의 상부 및 하부의 pH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획판을 구비하는 슬러리 저장부;
    챔버 중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저장부의 구획판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배가스에 분사하는 슬러리 분사부; 및
    챔버 상단에 위치하고, 슬러리 분사부를 통과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중앙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구획판의 위쪽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pH값을 갖는 상부 슬러리 영역이 위치하고, 구획판의 아래쪽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pH값을 갖는 하부 슬러리 영역이 위치하여, 상부 슬러리 영역에서는 배가스와 접속하여 석고가 생산되고, 하부 슬러리 영역의 알칼리성 슬러리가 슬러리 분사부로 공급되며,
    상기 슬러리 저장부는, 상기 구획판보다 아래에 위치하면서, 하부 슬러리 영역으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관; 및 슬러리 저장부의 중앙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 슬러리 영역으로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산소 기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분사 파이프는,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미스트 제거부는,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부 지지프레임,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하부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결착되고, 여러 굴곡을 갖는 복수 개의 굴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굴곡판은,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산부,
    타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골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판 형상의 체결부 및
    산부와 골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산부와 체결부 또는 골부와 체결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판 형상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미스트 제거부는,
    상부 지지프레임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며,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부 지지프레임, 하부 지지프레임 및 굴곡판에 부착된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슬러리 저장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 및/또는 미스트 제거부로 이송하는 양을 제어하는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분사 파이프는,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슬러리 이송량 제어부는,
    가장 위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고, 가장 아래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미스트 제거부는,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상부 지지프레임,
    챔버의 내측벽에 고정된 하부 지지프레임 및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결착되고, 여러 굴곡을 갖는 복수 개의 굴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굴곡판은,
    일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산부,
    타측으로 돌출된 수직판 형상의 골부,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 지지프레임 및 하부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수직판 형상의 체결부 및
    산부와 골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산부와 체결부 또는 골부와 체결부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사판 형상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미스트 제거부는,
    상부 지지프레임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며,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받아 하방으로 분사하여 상부 지지프레임, 하부 지지프레임 및 굴곡판에 부착된 미스트를 제거하는 미스트 제거 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장치.
  19.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습식 탈황장치를 이용하여 배가스 내 황(S)을 제거하는 습식 탈황방법에 있어서,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황을 포함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제1단계;
    슬러리 저장부의 구획판 하부에 저장된 알칼리성 슬러리를 슬러리 분사부로 공급하는 제2단계;
    슬러리 분사부가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배가스 유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유입된 배가스에 분사하여 황(S)을 제거하는 제3단계;
    미스트 제거부를 이용하여 황(S)이 제거된 배가스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4단계; 및
    황(S) 및 수분이 제거된 배가스를 배출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중앙을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구획판의 위쪽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pH값을 갖는 상부 슬러리 영역이 위치하고, 구획판의 아래쪽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pH값을 갖는 하부 슬러리 영역이 위치하여, 상부 슬러리 영역에서는 배가스와 접속하여 석고가 생산되고, 하부 슬러리 영역의 알칼리성 슬러리가 슬러리 분사부로 공급되며,
    상기 슬러리 저장부는, 상기 구획판보다 아래에 위치하면서, 하부 슬러리 영역으로 알칼리성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관; 및 슬러리 저장부의 중앙 하단에 구비되어, 상부 슬러리 영역으로 산소 기체를 공급하는 산소 기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3단계의 슬러리 분사부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슬러리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성 슬러리를 분사하고, 챔버의 수직 방향으로 다단 형성된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가장 위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많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고, 가장 아래에 형성된 분사 파이프로 가장 적은 양의 슬러리를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탈황방법.
KR1020170174929A 2017-12-19 2017-12-19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KR10201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29A KR102018074B1 (ko) 2017-12-19 2017-12-19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29A KR102018074B1 (ko) 2017-12-19 2017-12-19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530A Division KR102042974B1 (ko) 2019-08-26 2019-08-26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획된 슬러리 저장부가 구비된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82A KR20190073782A (ko) 2019-06-27
KR102018074B1 true KR102018074B1 (ko) 2019-09-04

Family

ID=6705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29A KR102018074B1 (ko) 2017-12-19 2017-12-19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8439A (zh) * 2022-03-04 2022-05-31 江苏富功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半干法翻滚床层脱硫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770A (ja) 2002-08-29 2004-03-25 Masanori Tashiro 排ガス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74774B1 (ko) * 2017-04-11 2017-09-19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배연탈황설비의 스케일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326A (ja) * 1993-04-05 1994-10-11 Chiyoda Corp 排煙脱硫方法と排煙脱硫装置
JPH10137539A (ja) * 1996-11-08 1998-05-26 Babcock Hitachi Kk 粗粒固体脱硫剤を用いる排煙脱硫方法と装置
KR100906805B1 (ko) 2007-08-28 2009-07-09 (주)하이텍산업개발 화력발전소용 배기가스 습식 탈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9770A (ja) 2002-08-29 2004-03-25 Masanori Tashiro 排ガス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74774B1 (ko) * 2017-04-11 2017-09-19 한국플랜트서비스주식회사 배연탈황설비의 스케일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82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511B1 (ko)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CN106794419B (zh) 排气处理装置
US7976622B2 (en)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US8337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flue gases
JP5668244B2 (ja) 排煙脱硫装置と燃焼システムと燃焼方法
US20200139298A1 (en) Wet desulfuriz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desulfurization efficiency and wet desulfuriz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234783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
CN103084056A (zh) 排烟脱硫装置
WO1996014138A1 (en) Flue gas scrubbing apparatus
US6187278B1 (en) Process for controlling ammonia slip in the reduction of sulfur dioxide emission
US6926870B2 (en) Collection scoop for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s with bleed streams or ex situ forced oxidation
CN202113765U (zh) 锅炉烟气处理系统
KR102042974B1 (ko)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획된 슬러리 저장부가 구비된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JP5437151B2 (ja) 排煙脱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酸素燃焼装置と方法
KR102018074B1 (ko)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CN101890291A (zh) 一种烧结烟气脱硫方法
US4670224A (en) Scrubber for the desulfurization of flue gases
KR102081196B1 (ko)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KR102130299B1 (ko) 흡수부가 포함된 중앙부 고유속형 습식 탈황장치
JP2000210532A (ja) 排煙脱硫装置
JP2001170444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KR102043190B1 (ko) 탈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습식 탈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탈황방법
EA032440B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ыли и оксидов серы из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газов
KR101349959B1 (ko) 다중 반응조를 갖는 습식 흡수탑
CN101837240A (zh) 脱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