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777B1 -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777B1
KR102017777B1 KR1020190054337A KR20190054337A KR102017777B1 KR 102017777 B1 KR102017777 B1 KR 102017777B1 KR 1020190054337 A KR1020190054337 A KR 1020190054337A KR 20190054337 A KR20190054337 A KR 20190054337A KR 102017777 B1 KR102017777 B1 KR 10201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pressure gas
unit
over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Original Assignee
허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기복 filed Critical 허기복
Priority to KR102019005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A)의 전면과 후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에어나이프(10); 아연도금강판(A)의 양측에 위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플 유닛(2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과도금 방지유닛(100);을 포함하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나이프(10)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고압기체의 분사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여 과도금의 방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기체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build-up of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에 발생하는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연도금강판은 도금조와 고압기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를 통과하여 도금 부착량을 조절한다.
이때 에어나이프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에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는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도금량이 두꺼워지는 과도금(빌드업)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여기서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에 발생하는 과도금으로 심한 굴곡이 발생하여 생산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과도금이 발생하는 아연도금강판이 통과하면서 롤러의 표면에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4-0012640호(1994.06.22)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40405호(2000.07.05)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4411호(2002.06.15) 한국등록특허 제10-1598180호(2016.02.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압기체의 분사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기체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는,
아연도금강판(A)의 전면과 후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에어나이프(10); 아연도금강판(A)의 양측에 위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플 유닛(2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과도금 방지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고압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부(11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부(120);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130); 상기 조절유닛(130)의 일측에 설치하여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사노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고압기체를 공급받으며 상기 조절유닛(13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호스(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21); 상기 분사노즐(14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상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22); 상기 몸체(121)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통공(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조절유닛(130)은 상기 고정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132)를 구비하는 본체(131); 상기 본체(13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결합구(13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32a); 상기 본체(131)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하고 타측에 상기 분사노즐(140)을 설치하는 회전몸체(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31)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절개부(131a); 상기 절개부(131a)를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31)의 내경에 형성하는 걸림홈(131c); 상기 회전몸체(133)의 외경에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131c)과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걸림돌기(13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140)의 상부는 고압기체를 공급받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분사공간(141); 하부는 수평방향으로 고압기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방법은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나이프(10)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고압기체의 분사각도 및 위치를 조절하여 과도금의 방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기체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고정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분사노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연도금강판(A)의 전면과 후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에어나이프(10); 아연도금강판(A)의 양측에 위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플 유닛(2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과도금 방지유닛(1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에어나이프(10)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아연도금강판(A)의 전면과 후면을 바라보도록 설치하여 고압기체를 분사함으로써 아연도금강판(A)의 표면에 대한 도금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배플 유닛(20)은 아연도금강판(A)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1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나이프(10) 및 배플 유닛(20)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종래와 같이 에어나이프(10)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에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는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도금량이 두꺼워지는 과도금(빌드업)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아연도금강판(A)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상기 배플 유닛(20)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동시에 이동하면서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근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아연도금강판(A)의 양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에어나이프(A)와 배플 유닛(20)의 사이 공간에 발생하는 음압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아연도금강판(A)의 표면으로 혼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고압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부(11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부(120);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130); 상기 조절유닛(130)의 일측에 설치하여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사노즐(1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공급하는 질소 등과 같은 고압기체를 공급받아서 상기 분사노즐(14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110)는 고압기체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는 물론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받은 고압기체를 상기 조절유닛(13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호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111)는 상기 조절유닛(130) 및 분사노즐(140)의 위치에 따라서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형성하여 아연도금강판(A)의 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는 배플 유닛(20)와 함께 이동하면서 분사노즐(140)에서 분사하는 고압기체를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21); 상기 분사노즐(14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상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22); 상기 몸체(121)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통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공(122)은 상기 분사노즐(140)에서 분사하는 고압기체가 상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고압기체의 충돌로 발생하는 와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123)은 상기 공급부(110)의 공급호스(111)가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외부충격 및 간섭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유닛(130)은 상기 분사노즐(140)의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아연도금강판(A)의 과도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유닛(1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132)를 구비하는 본체(131); 상기 본체(13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결합구(13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32a); 상기 본체(131)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하고 타측에 상기 분사노즐(140)을 설치하는 회전몸체(133);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31)는 작업자가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결합구(132)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140)의 고압기체 분사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132)는 볼트 또는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본체(131)를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공(132a)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1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133)는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분사노즐(140)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31)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절개부(131a); 상기 절개부(131a)를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b);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회전몸체(13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정위치에 정지한 후 볼트 등과 같은 상기 고정구(131b)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31)를 내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31)의 내경에 형성하는 걸림홈(131c); 상기 회전몸체(133)의 외경에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131c)과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걸림돌기(133a);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회전몸체(13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정확한 각도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131c)과 걸림돌기(133a)는 방사상으로 다수개를 배열하여 회전각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140)은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사노즐(14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는 고압기체를 공급받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분사공간(141); 하부는 수평방향으로 고압기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42);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분사공간(141)은 고압기체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유도공(142)은 속도가 증가한 고압기체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균압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본 발명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방법은 상기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나이프(10)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에어나이프 20: 배플 유닛
100: 과도금 방지유닛
110: 공급부 111: 공급호스
120: 고정부 121: 몸체
122: 유도공 123: 통공
130: 조절유닛 131: 본체
131a: 절개부 131b: 고정구
131c: 걸림홈 132: 결합구
132a: 조절공 133: 회전몸체
133a: 걸림돌기
140: 분사노즐 141: 분사공간
142: 유도공
A: 아연도금강판

Claims (9)

  1. 아연도금강판(A)의 전면과 후면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에어나이프(10); 아연도금강판(A)의 양측에 위치하여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플 유닛(2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과도금 방지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과도금 방지유닛(100)은 고압기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부(110);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형성하는 고정부(120); 상기 고정부(120)의 일측에 설치하여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유닛(130); 상기 조절유닛(130)의 일측에 설치하여 아연도금강판(A)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고압기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분사노즐(14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고압기체를 공급받으며 상기 조절유닛(130)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공급호스(111);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배플 유닛(20)의 일측에 설치하는 몸체(121); 상기 분사노즐(14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상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22); 상기 몸체(121)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통공(123);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닛(130)은 상기 고정부(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132)를 구비하는 본체(131); 상기 본체(13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결합구(132)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조절공(132a); 상기 본체(131)의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일측에 상기 공급부(110)와 연결하고 타측에 상기 분사노즐(140)을 설치하는 회전몸체(133);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31)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절개부(131a); 상기 절개부(131a)를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1b);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31)의 내경에 형성하는 걸림홈(131c); 상기 회전몸체(133)의 외경에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131c)과 맞물리도록 마련하는 걸림돌기(133a);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140)의 상부는 고압기체를 공급받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하는 분사공간(141); 하부는 수평방향으로 고압기체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유도공(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의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나이프(10)를 통과하는 아연도금강판(A)의 양끝으로 고압기체를 분사하여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방법.
KR1020190054337A 2019-05-09 2019-05-09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01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37A KR102017777B1 (ko) 2019-05-09 2019-05-09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37A KR102017777B1 (ko) 2019-05-09 2019-05-09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777B1 true KR102017777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37A KR102017777B1 (ko) 2019-05-09 2019-05-09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7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27Y1 (ko) * 1990-12-24 1992-09-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도금공장 와이핑 시스템(wiping system)용 공기추진식 배풀장치(BAFFLE system)
KR940012640U (ko) 1992-11-25 1994-06-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스트립모서리부(Strip Edge)의 과도금방지장치
KR20000040405A (ko) 1998-12-18 2000-07-05 이구택 용융도금강판의 에지 빌드업 불량 검지장치및 그 방법
JP2001131724A (ja) *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20044411A (ko) 2000-12-06 2002-06-15 이구택 빌드업 측정 장치가 장착된 도금량조절기
JP2003313648A (ja) * 2002-04-25 2003-11-06 Jfe Steel Kk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140066435A (ko) *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101598180B1 (ko) 2014-08-21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과도금 방지를 위한 에지 마스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627Y1 (ko) * 1990-12-24 1992-09-2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도금공장 와이핑 시스템(wiping system)용 공기추진식 배풀장치(BAFFLE system)
KR940012640U (ko) 1992-11-25 1994-06-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스트립모서리부(Strip Edge)의 과도금방지장치
KR20000040405A (ko) 1998-12-18 2000-07-05 이구택 용융도금강판의 에지 빌드업 불량 검지장치및 그 방법
JP2001131724A (ja) * 1999-11-04 2001-05-15 Hitachi Ltd 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装置並びに連続溶融金属めっき手段の位置調整方法
KR20020044411A (ko) 2000-12-06 2002-06-15 이구택 빌드업 측정 장치가 장착된 도금량조절기
JP2003313648A (ja) * 2002-04-25 2003-11-06 Jfe Steel Kk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140066435A (ko) *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101598180B1 (ko) 2014-08-21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과도금 방지를 위한 에지 마스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777B1 (ko) 아연도금강판의 과도금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449148B1 (ko)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JP469669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CN211070508U (zh) 多功能粉末涂料喷涂装置
JP4862479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CA2577716A1 (en) Method of washing paint gun
KR101935768B1 (ko) 레이저 클래딩 장치의 헤드부
KR20080108342A (ko) 용융금속 도금강대의 제조방법
US20140230726A1 (en) Spray coating system and method
KR20100127965A (ko) 워터제트 절단장치용 노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당치
CN114887802A (zh) 一种角钢多角度自动喷涂设备
CN108048626B (zh) 一种减少激光淬火软带的装置及方法
KR102223699B1 (ko) 블라스트 처리 장치 및 블라스트 처리 방법
CN104357636A (zh) 卷筒绳槽表淬专用的淬火枪炬
JP5482375B2 (ja) デスケーリング装置
CN204237826U (zh) 卷筒绳槽表淬专用的淬火枪炬
KR950006405Y1 (ko) 아연도금 강판의 과도금 발생 방지장치
KR102017778B1 (ko) 에어나이프의 무동력 폭 가변장치
KR101354458B1 (ko) 이면 히팅용 자동화기기
KR101511852B1 (ko) 아크 용사건 및 이를 이용한 아크 용사 방법
KR101607001B1 (ko) 턴디쉬용 노즐 유닛 및 이를 갖는 수분사 철계 분말 제조 장치
KR20100074976A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비산도료 저감용 스프레이 도장장치
CN114985227B (zh) 一种金属表面处理喷涂方法及喷涂设备
KR101312520B1 (ko) 용융도금용 가스 와이핑 장치
CN219079609U (zh) 夹具内精准喷射均匀水约束层的激光冲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