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222B1 - 이동식 조명등 - Google Patents

이동식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222B1
KR102017222B1 KR1020180030781A KR20180030781A KR102017222B1 KR 102017222 B1 KR102017222 B1 KR 102017222B1 KR 1020180030781 A KR1020180030781 A KR 1020180030781A KR 20180030781 A KR20180030781 A KR 20180030781A KR 102017222 B1 KR102017222 B1 KR 10201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ual
rotation angle
dual camera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호
최승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넥스
최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넥스, 최승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넥스
Priority to KR102018003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8
    • H04N5/22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및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상태,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중앙 조명부 및 듀얼 조명부들이 모듈 타입으로 제작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의 설치홈들로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플레이트에 파지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야외 설치 시 바람 등의 풍압으로 인한 흔들림 및 쓰러짐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갖는 듀얼 카메라들이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대향되게 설치됨으로써 이들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영상을 생성하여 작업 상황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조명등{Movable lighting lamp}
본 발명은 이동식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용도에 따라 조명을 택일하여 사용 가능함과 동시에 휴대가 용이하며, 야외 설치 시 바람, 진동 등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등은 공사현장, 작업현장, 구조현장, 산업용 차량 등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등은 통상적으로, 1)작업 상황에 맞춰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성이 우수해야 하며, 2)야외에 설치됨에 따라 바람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흔들리지 않도록 거치가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3)작업 종류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야외 작업은 특정 영역으로 집중된 조명이 필요하거나 또는 넓은 영역으로 높은 균제도를 갖는 조명이 필요한 경우로 분류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에는 두 종류의 작업등들을 별도로 준비한 후 작업 상황에 맞는 작업등들을 사용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22683호(발명의 명칭 : 고휘도 및 구조적 안정이 보장되는 차량용 엘이디 조명등)에 개시된 작업등은 LED 램프를 이용하여 구성하기는 하였으나, 다수의 구성요소로 인해 그 부피가 크고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 공간으로 충분한 밝기를 제공하지 못하며, 고정된 배광면적을 갖는 조명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상황에 대응하여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637218호(발명의 명칭 :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작업등 하우징 구조)에 개시된 작업등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작업등 하우징 구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램프가 삽입되며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체결구가 복수개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으로 체결가이드가 복수개 돌출 구비되는 램프고정부(110)와, 램프고정부(110)결가이드에 결착되기 위한 체결홈이 복수개 외주면에 구비되어 램프고정부(110)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 중앙으로 삽입홈부가 돌출 형성되고 주연부측으로 램프의 램프단자가 결합되기 위한 램프 단자삽입공이 천공되고 램프단자삽입공 하부로 삽입단자가 구비되는 덮개부(120)와, 외주면으로 체결가이드가 복수개 돌출 형성되고 중앙 상면으로 덮개부(120)의 삽입홈부에 삽입되며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되기 위한 삽입구가 돌출되고 상기 삽입단자와 결속되기 위한 단자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재(130)와, 결합부재(130) 하단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단자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단자와 통전되기 위한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40)과, 인쇄회로기판(140)이 안착되기 위하여 내부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안착구가 복수개 구비되고 상단 내주면으로 결합부재(130)의 체결가이드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안내나사부가 구비되는 베이스(1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작업 현장에 사용되는 작업등에서 램프의 사용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안정기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유지 보수가 필요할 때, 고장 또는 교체되어져야 할 부품만을 선택하여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소켓 형상의 베이스(150)가 외부 전원공급부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아야하기 때문에 설치가 번거롭고 복잡하여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외부 전원공급부와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구조물이나 또는 자기 자신을 견고하게 거치시키기 위한 수단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람, 외부 작은 충격에도 흔들림이 발생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고정된 배광면적을 갖는 램프만이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 상황 및 종류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 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및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상태,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중앙 조명부 및 듀얼 조명부들이 모듈 타입으로 제작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의 설치홈들로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고정플레이트에 파지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야외 설치 시 바람 등의 풍압으로 인한 흔들림 및 쓰러짐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듀얼 카메라들이 현재 구동되는 조명이 확산형인지 또는 직진형인지에 따라 팬-회전각도가 변경되어 구동됨으로써 조명 용도에 맞춰 와이드 영상 또는 고선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이동식 조명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제1 설치홈 및 제2 설치홈들이 형성되되, 후면에 전기소자, PCB기판, 회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속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1 설치홈에 설치되어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2 설치홈들에 각각 설치되어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며, 외면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부 및 상기 듀얼 조명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점등시키고, 상기 듀얼 조명부들의 상부에 설치되되, 팬-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듀얼 카메라들;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가공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상기 중앙 조명부인 경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1 회전각도로 결정하고,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상기 듀얼 조명부들인 경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2 회전각도로 결정하는 팬-회전각도 판별모듈;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결정된 팬-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팬-회전시킨 후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상기 듀얼 카메라들로 출력하는 팬-구동모듈;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상기 듀얼 카메라들이 상기 제1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구동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합성 및 매칭시켜 영상들이 펼쳐진 와이드영상을 생성하는 와이드영상 관리부;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상기 듀얼 카메라들이 상기 제2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구동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각각을 기 설정된 선명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영상의 피사체나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이는 정도인 각 영상의 선명도를 검출하며, 검출된 각 영상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상기 듀얼 카메라들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중 선명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상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집중영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높이 방향으로 중간지점이 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양면을 관통하는 통기공들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1 설치홈은 바닥면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직경이 확장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조명부는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LED모듈; 상하부가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설치홈으로 삽입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전방에 안착되어 LED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 상기 확산렌즈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부; 후면에 상기 확산렌즈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후면 테두리가 대접되어 볼트 체결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식 조명등은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 지점에 대향되는 면들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들; 상기 연결프레임들 각각에 수직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프레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식 조명등은 상기 이동식 조명등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3각형 형상으로 단부들이 펼쳐져 지면에 안착되는 3각 고정프레임부; 상하부가 개구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3각 고정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수직 연결되되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의 상단부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거치프레임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단부가 상기 수직봉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후면에 방열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파지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및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상태,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조명부 및 듀얼 조명부들이 모듈 타입으로 제작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의 설치홈들로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플레이트에 파지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야외 설치 시 바람 등의 풍압으로 인한 흔들림 및 쓰러짐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카메라들이 현재 구동되는 조명이 확산형인지 또는 직진형인지에 따라 팬-회전각도가 변경되어 구동됨으로써 조명 용도에 맞춰 와이드 영상 또는 고선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637218호(발명의 명칭 : 상호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작업등 하우징 구조)에 개시된 작업등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조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듀얼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거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을 거치시키기 위한 부속품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거치대에 이동식 조명등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조명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조명등(1)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과, 하우징(3)의 고정플레이트(3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확산(배광면적이 넓은)된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5)와, 중앙 조명부(5)의 양측 상부의 고정플레이트(31)에 설치되어 직진성이 높은(배광면적이 좁은)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6), (6‘)들과, 하우징(3)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3)을 구조물, 지면 또는 후술되는 도 11의 거치대(900)에 고정시키는 거치부(7)와, 듀얼 조명부(6), (6‘)들의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듀얼 카메라(9), (9’)들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3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하우징(3)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311)에 중앙 조명부(5), 듀얼 조명부(6), (6‘)들 및 듀얼 카메라(9), (9’)들이 설치되되 후면에 수용부(3121)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31)와, 고정플레이트(31)의 수용부(3121)를 밀폐시키는 덮개(33)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고정플레이트(31)의 테두리 및 외측부를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는 방진부(35)로 이루어진다.
고정플레이트(31)는 판재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중간지점이 후방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는 상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공(3111)이 형성됨으로써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는 각 모서리에 인접한 지점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기공(3112)들이 각각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조명등(1)은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이 발생하여 고정플레이트(31)와 같이 소정 면적을 갖는 판재의 경우 심한 압력을 받아 쓰러지거나 흔들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31)에 통기공(3112)들을 형성하여 풍압으로 인한 쓰러짐 및 흔들림 현상을 최소화 하도록 하였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는 후면(312)의 중앙에 수용부(3121)가 돌출 형성되고, 수용부(3121)는 덮개(33)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덮개(33)에는 전원ON/OFF, 충전상태, 점등상태, 조도상태 등을 표시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제어패널(331)이 설치되고, 이러한 제어패널(331)은 각종 장비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덮개(33)에는 충전케이블이 접속되기 위한 충전커넥터(334) 및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방전되는 방전커넥터(333)가 설치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의 수용부(3121)에는 중앙 조명부(5), 듀얼 조명부(6), (6‘)들 및 듀얼 카메라(9), (9’)들을 제어 및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 PCB기판, 전기소자, 회로, 배터리 등이 수용된다.
이때 배터리는 리튬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1)충전커넥터(334)를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충전하고, 2)충전 중에도 중앙 조명부(5), 듀얼 조명부(6), (6‘)들 및 듀얼 카메라(9), (9’)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방전커넥터(333)를 통해 축전된 전력을 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의 후면(312)의 양측부에는 후면(312)으로부터 돌출되는 판재 형상의 지지판(3123), (3123‘)들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판(3123), (3123’)들에는 후술되는 도 10의 거치부(7)가 볼트 체결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의 후면(312)에는 중앙 조명부(5) 및 듀얼 조명부(6), (6‘)들의 LED 점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핀(3125)들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는 전면(311)의 중앙에, 전면(311)으로부터 내측으로 원 형상의 제1 설치홈(321)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설치홈(321)으로는 중앙 조명부(5)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설치홈(321)은 바닥면(3211)에 중앙 조명부(5)의 LED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부(321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설치홈(321)은 바닥면(3211)에 연결되는 측부에 단턱부(3213)가 형성되고, 단턱부(3213)에는 후술되는 중앙 조명부(5)의 고정링(65)이 안착되게 된다.
또한 제1 설치홈(321)의 단턱부(3213)에는 복수개의 볼트홈(3214)들이 형성되어 중앙 조명부(5)의 고정링(65)이 볼트 체결되게 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의 전면(311)에는 듀얼 조명부(6), (6‘)들이 각각 설치되는 제2 설치홈(322)들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설치홈(322)들은 제1 설치홈(321)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1)의 전면(311)에는 듀얼 카메라(9), (9’)들이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홈(323)들이 형성되고, 카메라 설치홈(323),들은 제2 설치홈(322)들 각각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1)은 고정플레이트(31)의 전면(311)에 확산된 빛을 출사하기 위한 중앙 조명부(5)가 설치되되, 그 양측으로 직진성이 높은 빛을 출사하기 위한 듀얼 조명부(6), (6‘)들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 종류,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조명부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중앙 조명부(5)를 살펴보면, 중앙 조명부(5)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1)의 제1 설치홈(321)에 설치된다.
또한 중앙 조명부(5)는 고정플레이트(31)의 제1 설치홈(321)의 안착부(3212)에 안착되어 빛을 출사하는 LED 모듈(51)과, 상하부가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설치홈(321)으로 삽입되는 지지체(52)와, 지지체(52)의 전방에 안착되어 LED 모듈(5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54)와, 확산렌즈(54)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부(53)와, 후면에 확산렌즈(54)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31)의 제1 설치홈(321)의 단턱부(3213)에 후면 테두리가 대접되는 고정링(5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링(55)에는 간격을 두고 볼트공(551)들이 형성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31)의 제1 설치홈(321)의 단턱부(3213)와 볼트 체결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중앙 조명부(5)는 듀얼 조명부(6), (6‘)들에서 출사되는 빛에 의한 배광면적보다 넓은 배광면적을 갖는 확산된 빛을 출사함으로써 넓은 조명이 필요한 작업 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듀얼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듀얼 조명부(6), (6‘)들은 고정플레이트(31)의 전면(311)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322)들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듀얼 조명부(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되는 구성수단들이 설치되며 개구부에 인접한 내주면에 나사산(621)이 형성되는 조명하우징(62)과, 조명하우징(62)의 밀폐된 면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LED 모듈(61)과, 상하부가 개구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 모듈(6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경(63)과, 반사경(63)의 전방에 설치되는 강화유리(64)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명하우징(62)과 나사산 체결되어 강화유리(64)를 고정시키는 고정링(6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듀얼 조명부(6), (6‘)들은 중앙 조명부(5)와 비교하여 직진성이 높은 빛을 출사함으로써 산된 빛을 출사함으로써 구호 작업 등과 같이 집중적인 조명이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듀얼 카메라(9), (9‘)들은 하우징(3)의 고정플레이트(31)의 카메라 설치홈(323)들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듀얼 카메라(9), (9‘)들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팬(Pan)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듀얼 카메라(9), (9‘)들은 후술되는 도 13의 영상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팬-회전 하여 촬영을 수행, 상세하게로는 1)듀얼 조명부(6), (6’)들에 의해 직진형 빛이 출사되는 경우, 각 촬영 각도가 해당 듀얼 조명부의 광축과 동일하도록 팬-회전하게 되고, 2)중앙 조명부(5)에 의해 확산형 빛이 출사되는 경우, 와이드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각 촬영 각도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팬-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앙 조명부에서 출사되는 확산형 빛은 야외 작업 등과 같이 넓은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고, 따라서 전체 작업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넓은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차후 영상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중앙 조명부 구동 시 듀얼 카메라(9), (9‘)들의 촬영 각도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인 외측을 향한 상태로 팬-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와이드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듀얼 조명부에서 출사되는 직진형 빛은 구조 작업 등과 같이 넓은 조명 보다는 고휘도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차후 영상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듀얼 조명부들 구동 시 듀얼 카메라(9), (9‘)들 각각의 촬영 각도를 해당 듀얼 조명부의 광축과 동일한 상태로 팬-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도 10은 도 4의 거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거치부(7)는 막대 형상의 거치프레임(71)과, 고정프레임(71)의 양단부에 수직 연결되되, 상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연결프레임(75), (75‘)들과, 연결프레임(75), (75’)들에 연결되되, 거치프레임(7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고정프레임(73), (73‘)들로 이루어진다.
거치프레임(71)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후술되는 도 11의 거치대(900)의 체결부(951)가 삽입되는 삽입공(711)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73), (73‘)들은 일단부가 절곡부(75), (75’)들 각각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우징(3)의 고정플레이트(31)의 후면(3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고정프레임(73), (73‘)들은 전술하였던 도 7의 하우징(3)의 고정플레이트(31)의 후면(312)의 지지판(3123), (3123’)들 및 수용부(3121)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B)로 결합된다.
즉 거치부(7)는 고정프레임(73), (73‘)들이 하우징(3)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거치프레임(71)이 외부 구조물, 특히 후술되는 도 11의 거치대(900)에 결합됨으로써 이동식 조명등(1)을 야외에서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을 거치시키기 위한 부속품인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거치대에 이동식 조명등이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거치대(9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조명등(1)을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거치대(9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각형 형상으로 펼쳐져 지면에 안착되는 3각 고정프레임(901)과, 상하부가 개구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3각 고정프레임(901)의 상단부에 수직 연결되되 양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봉(903)과, 수직봉(903)의 상단부에 나사산 체결되는 거치부 고정부(905)으로 이루어진다.
거치부 고정부(90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으로 형성되는 체결부(951)와, 체결부(951)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953)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거치대(9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951)가 이동식 조명등(1)의 거치부(7)의 거치프레임(71)의 삽입공(711)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단부가 거치대(900)의 수직봉(903)의 단부로 삽입되어 나사산 체결됨으로써 이동식 조명등(1)을 견고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동식 조명등(1)은 거치부(7)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하우징(3)이 거치대(9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명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의 영상처리부(80)는 전술하였던 도 6의 고정플레이트(31)의 수용부(3121)에 설치되는 제어부에 포함되고, 이때 제어부는 전원, 조명, 입출력 제어 등과 같이 이동식 조명등(1)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이러한 제어부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영상처리부(8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81)과,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 팬-구동모듈(83), 와이드영상 관리부(84), 집중영상 관리부(85)로 이루어진다.
입력모듈(81)은 제어부로부터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중앙 조명부(5)인지 또는 듀얼 조명부(6), (6‘)들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은 1)입력모듈(81)을 통해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중앙 조명부(5)인 경우, 듀얼 카메라(9), (9‘)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1 회전각도로 결정한다. 이때 제1 회전각도는 듀얼 카메라(9), (9’)들의 초점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 팬-회전각도이다.
또한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은 2)입력모듈(81)을 통해 현재 점등되고 잇는 조명이 듀얼 조명부(6)인 경우, 듀얼 카메라(9), (9‘)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2 회전각도로 결정한다. 이때 제2 회전각도는 듀얼 카메라(9), (9’)들 각각의 초점이 해당 듀얼 조명부의 광축과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하는 팬-회전각도이다.
팬-구동모듈(83)은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에 의해 결정된 팬-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듀얼 카메라(9), (9’)들의 팬-회전각도를 제어한 후, 듀얼 카메라(9), (9‘)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듀얼 카메라(9), (9’)들로 출력한다.
와이드영상 관리부(84)는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에 의해 듀얼 카메라(9), (9‘)들이 제1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될 때 구동된다. 즉 와이드영상 관리부(84)는 중앙 조명부(5)에서 조명이 점등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된다.
또한 와이드영상 관리부(84)는 듀얼 카메라(9), (9‘)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기 설정된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활용하여 감시공간을 매개로 하여 상호 매칭 및 합성하여 와이드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두 개의 영상프레임들을 매칭 및 합성하여 와이드 영상을 생성하는 기술 및 방법은 영상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집중영상 관리부(85)는 팬-회전각도 판별모듈(82)에 의해 듀얼 카메라(9), (9‘)들이 제2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될 때 구동된다. 즉 집중영상 관리부(85)는 듀얼 조명부(6), (6’)들에서 조명이 점등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된다.
또한 집중영상 관리부(85)는 듀얼 카메라(9), (9‘)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각각을 기 설정된 선명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각 영상의 선명도를 검출한다. 이때 선명도는 화상의 피사체나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이는 정도로 정의된다.
또한 집중영상 관리부(85)는 검출된 각 영상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선명도가 높은 영상을 저장 또는 외부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식 조명등(1)은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및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 상태,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1)은 중앙 조명부 및 듀얼 조명부들이 모듈 타입으로 제작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의 설치홈들로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1)은 고정플레이트에 파지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야외 설치 시 바람 등의 풍압으로 인한 흔들림 및 쓰러짐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조명등(1)은 듀얼 카메라들이 현재 구동되는 조명이 확산형인지 또는 직진형인지에 따라 팬-회전각도가 변경되어 구동됨으로써 조명 용도에 맞춰 와이드 영상 또는 고선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1:이동식 조명등 3:하우징 5:중앙 조명부
6, 6‘:듀얼 조명부들 7:거치부 9, 9’:듀얼 카메라들
31:고정플레이트 33:덮개 35:방진부
51:led모듈 52:지지체 53:패킹부
54:확산렌즈 55:고정링 311:전면
312:후면 3111:파지공 3112:통기공
321:제1 설치홈 322:제2 설치홈 323:카메라 설치홈
3121:수용부 3123:지지판 331:제어패널

Claims (7)

  1.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제1 설치홈 및 제2 설치홈들이 형성되되, 후면에 전기소자, PCB기판, 회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속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1 설치홈에 설치되어 확산형 빛을 출사하는 중앙 조명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2 설치홈들에 각각 설치되어 직진형 빛을 출사하는 듀얼 조명부들;
    상기 수용부를 밀폐시키며, 외면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조명부 및 상기 듀얼 조명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점등시키고,
    상기 듀얼 조명부들의 상부에 설치되되, 팬-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듀얼 카메라들;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가공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상기 중앙 조명부인 경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1 회전각도로 결정하고, 현재 점등되고 있는 조명이 상기 듀얼 조명부들인 경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팬-회전각도를 기 설정된 제2 회전각도로 결정하는 팬-회전각도 판별모듈;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결정된 팬-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팬-회전시킨 후 상기 듀얼 카메라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상기 듀얼 카메라들로 출력하는 팬-구동모듈;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상기 듀얼 카메라들이 상기 제1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구동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합성 및 매칭시켜 영상들이 펼쳐진 와이드영상을 생성하는 와이드영상 관리부;
    상기 팬-회전각도 판별모듈에 의해 상기 듀얼 카메라들이 상기 제2 회전각도로 회전하여 촬영을 수행할 때 구동되며, 상기 듀얼 카메라들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각각을 기 설정된 선명도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영상의 피사체나 이미지가 선명하게 보이는 정도인 각 영상의 선명도를 검출하며, 검출된 각 영상의 선명도를 비교하여 상기 듀얼 카메라들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 중 선명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상을 선택하여 저장하는 집중영상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높이 방향으로 중간지점이 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양면을 관통하는 통기공들이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기 제1 설치홈은 바닥면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직경이 확장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조명부는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LED모듈;
    상하부가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설치홈으로 삽입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전방에 안착되어 LED모듈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
    상기 확산렌즈의 전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부;
    후면에 상기 확산렌즈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후면 테두리가 대접되어 볼트 체결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4. 삭제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조명등은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 지점에 대향되는 면들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들;
    상기 연결프레임들 각각에 수직 연결되며, 단부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프레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조명등은 상기 이동식 조명등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3각형 형상으로 단부들이 펼쳐져 지면에 안착되는 3각 고정프레임부;
    상하부가 개구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3각 고정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수직 연결되되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의 상단부에 나사산 체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기 거치프레임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단부가 상기 수직봉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후면에 방열핀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조명등.
KR1020180030781A 2018-03-16 2018-03-16 이동식 조명등 KR10201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81A KR102017222B1 (ko) 2018-03-16 2018-03-16 이동식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81A KR102017222B1 (ko) 2018-03-16 2018-03-16 이동식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222B1 true KR102017222B1 (ko) 2019-09-02

Family

ID=6795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81A KR102017222B1 (ko) 2018-03-16 2018-03-16 이동식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1951A (zh) * 2019-09-30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11Y1 (ko) * 2006-07-20 2006-12-12 주식회사 엘드텍 옥외용 간판문자
KR20120111419A (ko) * 2011-03-31 2012-10-10 에이프로시스템즈 (주)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98045B1 (ko) * 2015-10-20 2016-02-2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직접 접촉식 방열봉 및 내열렌즈가 내장되어 방수 및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 cob 타입의 엘이디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11Y1 (ko) * 2006-07-20 2006-12-12 주식회사 엘드텍 옥외용 간판문자
KR20120111419A (ko) * 2011-03-31 2012-10-10 에이프로시스템즈 (주)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98045B1 (ko) * 2015-10-20 2016-02-2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직접 접촉식 방열봉 및 내열렌즈가 내장되어 방수 및 방열성능을 향상시키는 cob 타입의 엘이디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1951A (zh) * 2019-09-30 2020-01-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415B1 (ko) 모듈식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들
EP2218959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0708445B (zh) 用于减少内部反射的摄像机外壳
CN111107253B (zh) 全景摄像组件及摄像系统
JP6761968B2 (ja) 照明装置
WO2019128935A1 (zh) 多目摄像机及多目摄像机的补光装置
KR102017222B1 (ko) 이동식 조명등
KR102381472B1 (ko) 카메라 장착이 용이한 cctv 카메라 장치
CN110365868B (zh) 多目摄像机
JP2016145949A (ja) 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写真撮影システム
KR20040072788A (ko) 감시카메라 장치
CN209089074U (zh) 用于可拍照手机的辅助摄像装置
JPH07146502A (ja) カメラ内蔵型照明器具
CN113883445A (zh) 一种灯具
JP3212609U (ja)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WO2020034996A1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及其组装方法
CN216647056U (zh) 一种影视拍摄用的补光照明装置
CN212255974U (zh) 一种摄影灯
JP6771185B2 (ja) 照明器具
KR20180040532A (ko) 3축 방진 댐퍼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시스템
CN211209772U (zh) 一种门铃设备和用于摄像设备的补光灯灯板
CN219592522U (zh) 一种相机散热装置
CN214474383U (zh) 一种投影仪的散热结构
CN213485201U (zh) 一种动态光分布装置
CN217655411U (zh) 一种摄影球泡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