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56B1 -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56B1
KR102016956B1 KR1020180009999A KR20180009999A KR102016956B1 KR 102016956 B1 KR102016956 B1 KR 102016956B1 KR 1020180009999 A KR1020180009999 A KR 1020180009999A KR 20180009999 A KR20180009999 A KR 20180009999A KR 102016956 B1 KR102016956 B1 KR 10201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bolt
cam plate
pip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044A (ko
Inventor
김해수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2Toe-in/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크로스멤버에 배치되는 캠볼트 조립체를 개시하며,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는 상기 크로스멤버에 삽입 결합되는 캠볼트;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편심되도록 고정되는 제1캠플레이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고정되는 제1너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캠볼트의 타단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1볼트홀이 형성된 제2캠플레이트; 상기 제2캠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2볼트홀이 형성된 캠파이프; 및 상기 캠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결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캠파이프는,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Cam Blot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캠볼트(Cam Blot)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얼라인먼트를 조정하기 위한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로어암은 차체의 토우인(tow-in)이나 토우아웃(tow-out) 또는 캠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캠볼트 유닛을 이용하여 차체의 크로스멤버에 장착된다.
자동차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선에 대하여 차륜의 중심선이 경사되어 있는 상태를 캠버라 하며, 캠버는 캐스터, 토우, 킹핀 경사각 등과 함께 차륜의 정렬 요소이다. 이들 차륜 정렬요소는 상호 보완작용을 통해 조향 핸들의 조작력을 경감시키고, 차체의 안전성을 부여하며, 조향 핸들에 복원성을 주고, 타이어의 마모를 줄여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캠볼트 유닛은 차량의 로어암의 선단에 구성되는 부시와 크로스멤버의 단부를 상호 체결한 상태로, 캠버각의 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런데 종래의 캠볼트 유닛은 캠볼트와 전방 및 후방 캠 플레이트의 편심을 이용하여 크로스멤버에 대한 로어암의 위치를 이동시켜 캠버각을 조정하는 경우, 캠볼트의 양단에서 캠볼트의 볼트헤드와 너트를 각각의 공구를 이용하여 돌리면서 작업해야 함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차체 하부에서는 조정공구의 투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8-044894
본 발명은 캠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캠파이프를 추가 구성하여 전체적인 구성부품을 줄이며, 조정공구의 투입이 용이한 일방향에서 조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캠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력 집중에 의한 볼트와 캠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캠볼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는, 상기 크로스멤버에 삽입 결합되는 캠볼트;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편심되도록 고정되는 제1캠플레이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고정되는 제1너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캠볼트의 타단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1볼트홀이 형성된 제2캠플레이트; 상기 제2캠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2볼트홀이 형성된 캠파이프; 및 상기 캠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결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캠파이프는,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확관부의 직경은 상기 제2너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상기 캠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캠플레이트는 상기 캠파이프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는 용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캠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제1키가 형성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볼트홀에는 상기 제1키에 대응 결합되는 제2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에는 눈금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캠플레이트 및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캠볼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스멤버와 로어암을 체결한 상태에서 캠버각의 조정 시 일방향에서 조정작업이 가능하고, 캠볼트 조립체의 조립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의 제2캠플레이트 및 캠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의 제2캠플레이트 및 캠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없는 부분은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이해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캠볼트 조립체는 차량의 크로스멤버 등에 결합되는 캠볼트(100)를 포함한다. 캠볼트(100)는 소정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캠볼트(100)는 후술하는 제2캠플레이트(400) 및 캠파이프(500)가 결합되는 부위에 제1키(1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키(110)는 캠볼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캠볼트(100)는 그 길이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타단까지 홈이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타단 외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볼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홈의 형태로 제1키(110)를 형성함으로써 캠볼트(100) 전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캠볼트(100)의 일단에는 제1캠플레이트(200)가 편심되도록 고정되고, 제1캠플레이트(200)는 원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캠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제1너트(3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캠플레이트(200) 및 제1너트(300)는 캠볼트(100)의 일단에 단조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캠볼트(100)의 타단에는 제2캠플레이트(400)가 편심되도록 결합된다. 제2캠플레이트(400)는 크로스멤버의 두께와 비례하여 제1캠플레이트(20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캠플레이트(400)는 캠볼트(100)가 삽입되도록 제1볼트홀(410)을 구비한다. 제2볼트홀(512)은 제2캠플레이트(400)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형성되며, 캠볼트(10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볼트홀(512)에는 제1키(110)와 대응 결합되는 제2키(4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키(110)가 캠볼트(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2키(420)는 제1키(110)에 대응 결합되도록 제2볼트홀(5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2캠플레이트(400)에는 캠볼트 조립체의 조립 시 각도 조정을 위한 눈금자(430)가 형성될 수 있다.
캠볼트(10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캠파이프(500)가 배치된다. 캠파이프(500)의 중앙에는 캠볼트(100)가 삽입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제2볼트홀(512)이 형성된다. 캠파이프(500)는 몸체부(510), 확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10)는 캠볼트(100)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2캠플레이트(400)에 고정될 수 있다. 확관부(520)는 몸체부(510)의 일단에 배치된다. 확관부(520)는 몸체부(5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2캠플레이트(400)와 캠파이프(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캠플레이트(400)는 캠파이프(500)에 용접 예컨대, 전기저항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플레이트(400)와 접촉하는 캠파이프(500)의 몸체부(510)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접돌기(511)가 형성될 수 있다.
캠파이프(500)의 일측에는 제2너트(600)가 배치된다. 제2너트(600)는 캠볼트(100)에 체결되어 캠볼트(100)가 크로스멤버에 고정되도록 한다. 캠파이프(500)의 확관부(520)의 직경은 제2너트(6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확관부(520)의 직경보다 제2너트(600)의 직경이 클 경우, 제2캠플레이트(400) 및 캠파이프(500)에 부여되는 하중을 제2너트(600)가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캠볼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차량 예컨대, 로어암과 크로스멤버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로스멤버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캠볼트(100)를 관통시키고, 크로스멤버의 타측 면으로 노출된 캠볼트(100)의 단부에 제2캠플레이트(400) 및 캠파이프(500)를 체결한다. 이때, 제2캠플레이트(400) 및 캠파이프(500)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 공수를 단축할 수 있다. 그 후, 캠파이프(50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제2너트(600)를 나선이 형성된 캠볼트(100)의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캠볼트 조립체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너트(600)와 대면하는 캠파이프(500)에는 확관부(520)가 구비되어 있으며, 확관부(520)의 직경은 제2너트(6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캠볼트 조립체를 이용한 캠버각의 조정은, 도 5에서와 같이, 캠버각이 설정된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캠파이프(500)를 회전시키면 제2캠플레이트(400)가 회전하게 되고, 제2캠플레이트(400)의 제2키(420)와 캠볼트(100)의 제1키(110)가 대응 결합된 상태에서 캠볼트(10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캠볼트(100)가 회전하게 되면 캠볼트(100)에 일체로 구성된 제1캠플레이트(200) 역시 크로스멤버 상에서 제2캠플레이트(400)의 회전량과 대응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캠플레이트(400)의 회전이 설정된 캠버각과 일치하게 되면, 제1캠플레이트(200) 및 제2캠플레이트(400)에 편심 결합된 캠볼트(100)의 축선이 이동하여 캠버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캠볼트 조립체에 의하면, 크로스멤버와 로어암을 체결한 상태에서 캠버각의 조정 시 일방향에서 조정작업이 가능하고, 캠볼트 조립체의 조립 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캠볼트 110; 제1키
200; 제1캠플레이트
300; 제1너트
400; 제2캠플레이트 410; 제1볼트홀
420; 제2키 430; 눈금자
500; 캠파이프 510; 몸체부
511; 용접돌기 512; 제2볼트홀
520; 확관부
600; 제2너트

Claims (8)

  1. 차량의 크로스멤버에 배치되는 캠볼트 조립체로서,
    상기 크로스멤버에 삽입 결합되는 캠볼트;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편심되도록 고정되는 제1캠플레이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고정되는 제1너트;
    상기 제1캠플레이트와 이격되도록 상기 캠볼트의 타단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1볼트홀이 형성된 제2캠플레이트;
    상기 제2캠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캠볼트가 삽입되도록 제2볼트홀이 형성된 캠파이프; 및
    상기 캠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캠볼트에 결합되는 제2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캠파이프는,
    상기 캠볼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직경은 상기 제2너트의 직경보다 큰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상기 캠파이프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캠플레이트는 상기 캠파이프에 용접 고정되는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는 용접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제1키가 형성되고, 상기 제2캠플레이트의 볼트홀에는 상기 제1키에 대응 결합되는 제2키가 형성되는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플레이트에는 눈금자가 형성된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플레이트 및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캠볼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KR1020180009999A 2018-01-26 2018-01-26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KR10201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999A KR102016956B1 (ko) 2018-01-26 2018-01-26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999A KR102016956B1 (ko) 2018-01-26 2018-01-26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44A KR20190091044A (ko) 2019-08-05
KR102016956B1 true KR102016956B1 (ko) 2019-09-02

Family

ID=6761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999A KR102016956B1 (ko) 2018-01-26 2018-01-26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173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얼라이먼트 조정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587B2 (ja) * 1998-08-21 2000-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894U (ko)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토 조정용 캠 볼트 구조
KR100559902B1 (ko) * 2004-06-23 2006-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디지털 캠 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587B2 (ja) * 1998-08-21 2000-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44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028B1 (en) Tie rod steering linkage
CN110191834B (zh) 用于机动车辆的电动可调节转向柱
US7416198B2 (en) Steering damper to drag link attachment clamp and method
US20090058031A1 (en) Stabilizer bar assembly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0230312055A1 (en) Spindle and suspension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JPWO2015145845A1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102016956B1 (ko) 차량의 캠볼트 조립체
EP1679207B1 (en) Ball joint for suspension element of automotive vehicles
US9587688B2 (en) Brake rotor retaining tool
US6579026B2 (en) Dual draw key arrangement for steer axle kingpin
AU2002307439A1 (en) Dual draw key arrangement for clamping steer axle kingpin
US6276702B1 (en) Wheel suspension assembly
KR102053467B1 (ko) 조향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US8187109B2 (en) Low load sliding intermediate shaft in a steering column for industrial vehicles
JP6928308B2 (ja) リンクロッドとリンクロッドエンド組立体
CN112124425B (zh) 车轮后倾角调节结构、悬架及车辆
US20200254842A1 (en) Cam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Suspension Control Arm Mount
KR100793881B1 (ko) 차량용 캠볼트 유닛
JP7122222B2 (ja) ダンパマウント取付構造
KR100416516B1 (ko) 편심조절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캠버와 캐스터 조절장치
JPH0637026Y2 (ja) キャンバー・トーインの調整構造
JP6571368B2 (ja) トラニオンサスペンション
CN216102367U (zh) 一种用于车辆的转向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737576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7314951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