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81B1 -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81B1
KR102016681B1 KR1020180124494A KR20180124494A KR102016681B1 KR 102016681 B1 KR102016681 B1 KR 102016681B1 KR 1020180124494 A KR1020180124494 A KR 1020180124494A KR 20180124494 A KR20180124494 A KR 20180124494A KR 102016681 B1 KR102016681 B1 KR 10201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joystick
emulating
games
us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KR102018012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터치하는 지점에 가상 조이스틱이 생기도록 하는 것으로, 터치 위치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가상 조이스틱과 그 코어가 움직이는 다수의 상이한 작동 영역에 각각의 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작동 영역은 터치 점의 움직이는 영역이다. 그래서, 스마트폰 등의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물리적인 돌기가 없는 가상 조이스틱에서도 원활히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터치한다. 따라서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원활히 조작을 한다.

Description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Method for interfacing of user for touching employing smartphone being able to employing emulating game typ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 등을 통해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에뮬레이팅 게임은 과거 오락실 게임 롬파일을 에뮬레이팅하여 만드는 게임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모바일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조작은 화면 한쪽에 구현된 가상 조이스틱으로 하게 된다. 가상 조이스틱의 움직임에 따라 게임 내 캐릭터가 움직이는데 요즘 나오는 게임들은 360도 어느 방향으로도 미세하게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런데, 게임 중에 8방향만 사용하는 게임들이 존재한다. 주로 오락실 조작 체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들 또는, 오락실 게임을 에뮬레이팅하여 만든 게임들이다.
이런 게임들도 가상 조이스틱으로 조작하는데, 가상 조이스틱이 화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이 되는 선행문헌으로는 아래의 특허문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EP00727064 Y1
이러한 특허문헌에 따른 기술 내용은 그래픽 형식에 의해 정적으로 픽토그램을 통해 키스위치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정적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 내용 외에, 모바일 단말기에서 가상 조이스틱을 구현하는 기술로, 정적인 가상 공간 내에 터치를 하는 가상 키패드에 대한 기술과 정적으로 모바일을 통해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순서대로 아래의 특허문헌을 통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KR101292541 Y1
(특허문헌 3) KR10-0986619 Y1
그래서, 위와 같이 선행문헌 등에 따르면,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기존 가상 조이스틱을 통해 조작함에 있어서, 그러한 가상 조이스틱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정적 방식이다. 그래서, 게임 조작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특성상 화면에는 물리적인 돌기가 있지 않아서 게임을 조작하다가 유저가 원치 않는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개시된 내용은, 스마트폰 등의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물리적인 돌기가 없는 가상 조이스틱에서도 원활히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터치할 수 있도록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유저가 터치하는 지점에 가상 조이스틱이 생기도록 하는 것으로, 터치 위치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가상 조이스틱과 그 코어가 움직이는 다수의 상이한 작동 영역에 각각의 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적으로, 이러한 경우 그 작동 영역은 터치 점의 움직이는 영역이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의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물리적인 돌기가 없는 가상 조이스틱에서도 원활히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터치한다.
그래서, 스마트폰 등을 통해 원활하게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을 조작하므로 게임 수행을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적용된 가상 조이스틱과 그에 의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적용된 가상 조이스틱에 의한 조작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하는 모바일 단말기(101) 및 그 게임 수행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로 조작이 되도록 동적할당하는 가상 조이스틱(102)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1)는 게임 중에 예를 들어, 8방향만 또는 4방향, 6방향 등 사용하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01)는 그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을 수행하기 위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의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01)는 예를 들어, 게임을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등이다.
상기 가상 조이스틱(102)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시마다, 터치 위치에 코어를 중심으로 이동해서 방향키가 할당 매핑된 움직이는 작동 영역을 구비한다. 그래서, 그 가상 조이스틱(102)은 이러한 작동 영역에 따라 동적할당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102)은 그 코어가 움직이는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의 작동 영역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방향을 매핑해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경우 그 가상 조이스틱(102)은 그 코어가 움직이는 8개의 작동 영역에 8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용 등의 모바일 단말기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적용된 가상 조이스틱과 그에 의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방법의 가상 조이스틱과 그에 의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는 터치 위치에 동적할당되는 가상 조이스틱과 그 코어가 움직이는 작동 영역에 각 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는 방법의 결합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전달시에, 상용의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에 대응하여 8개의 영역에 8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그 가상 조이스틱의 동적할당시에, 그 가상 조이스틱은 데드 존을 구비한다. 이러한 데드 존은 조이스틱 중앙 부근의 움직임에 반응하지 않는 영역이다. 그리고, 지터로 인한 우연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은 아래의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를 한다.
1) 먼저 이러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 위치에 동적할당되는 가상 조이스틱이 구성된다.
2) 다음으로, 그리고 이에 더하여 그 가상 조이스틱은 예를 들어, 8방향의 상용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로 코어의 작동 영역과 키를 매핑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 영역과 키 매핑의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또한, 이에 따라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가상 조이스틱의 조작에 따라 그 코어가 움직이는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의 작동 영역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방향을 매핑해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그래서, 이러한 상태에서 이렇게 된 경우 터치하는 곳이 가상 조이스틱의 중심이 되고 그 자리에서 손가락을 드래그한 경우 가상 조이스틱의 코어가 이동하고 그 코어가 움직이는 영역에 할당된 방향키로 매핑되어 캐릭터가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기존에 에뮬레이팅 게임류들도 가상 조이스틱으로 조작하는데,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이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특성상 화면에는 물리적인 돌기가 있지 않아서 게임을 조작하다가 유저가 원치 않는 부분을 터치하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불편함이 생기는 점을 해소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적용된 가상 조이스틱에 의한 조작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의 오른쪽 조작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오른쪽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의 왼쪽 조작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왼쪽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에 의한 조작의 동작원리는 먼저 도 3과 같이 스마트폰 화면의 A지점을 터치한 후 B지점으로 드래그할 경우 첫 터치가 이뤄진 A 지점에 가상 조이스틱이 생긴다. 그리고, 드래그 방향으로 조이스틱 코어가 이동하며, 조이스틱 크기 범위를 초과하여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조이스틱 전체가 이동한다.
그러면, 위 과정에서 가상 조이스틱 코어는 도 4와 같이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영역에 매핑된 방향, 여기서는 오른쪽으로써, 신호가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어 조작 명령이 전달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도 3에서의 드래그와 연결되어 B지점에서 기존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인 C지점으로 드래그할 경우 가상 조이스틱 코어가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 이 과정에서 코어는 도 6에 도시된 대로 영역에 위치하게 되고, 이 영역에 매핑된 방향, 여기서는 왼쪽으로써, 신호가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그래서, 이에 따라 어뮬레이팅 게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에 의해 캐릭터가 사용자의 원하는 바에 따라 여러 방향 등으로 움직인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방법은 먼저 터치 위치에 코어를 중심으로 이동해서 방향키가 할당 매핑된 움직이는 작동 영역을 구비한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하는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를 미리 설정 등록한다(S701). 이러한 경우, 그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의 가상 조이스틱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시마다 터치 위치별로 상이하게 위치되도록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을 할 경우, 이러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에 따라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대응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 위치마다에 상이하게 터치 위치별로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한다(S702).
따라서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에 따라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드래그에 의해 코어가 이동해서 움직이는 작동 영역에 매핑된 방향키에 대응하여 캐릭터가 움직이도록 한다(S703).
이를 통해, 어뮬레이팅 게임에 따라 그 게임의 특성에 맞추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여러 방향으로써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도 손쉽게 그 어뮬레이팅 게임을 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시마다, 터치 위치에 코어를 중심으로 이동해서 방향키가 할당 매핑된 움직이는 작동 영역을 구비한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하는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를 정한다. 그래서, 이러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에 따라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대응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 위치마다에 상이하게 터치 위치별로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한다. 따라서 이에 따라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에 의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드래그에 의해 코어가 이동해서 움직이는 작동 영역에 매핑된 방향키에 대응하여 캐릭터가 움직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특성에 맞추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터치감을 조이스틱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각 방향으로써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도 손쉽게 그 어뮬레이팅 게임을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의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물리적인 돌기가 없는 가상 조이스틱에서도 원활히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터치한다.
한편, 일실시예는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에 의해서 좀 더 원활하게 하면서도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따른 작동 방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실시예는 상용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로 코어의 작동 영역과 키를 매핑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 영역과 키의 매핑 정보를 설정 등록한다. 또한, 이러한 작동 영역 키는 다수의 상이한 작동 영역별로 상이한 키가 대응하여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작동 영역은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에 대응하여 8개의 작동 영역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그 코어의 작동 영역 키는 가상 조이스틱의 동적할당시에 매핑이 이루어져서 된다. 추가적으로, 이에 더하여 이러한 경우, 그 가상 조이스틱은 데드 존을 구비한다. 이러한 데드 존은 조이스틱 중앙 부근의 움직임에 반응하지 않는 영역이다. 그리고, 지터로 인한 우연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구성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키 조작시에, 코어가 움직이는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의 작동 영역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방향을 매핑해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게임 중에 8방향만 사용하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있어서, 그 코어가 움직이는 8개의 작동 영역에 8방향을 매핑시켜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그래서, 이러한 그 코어가 움직이는 영역에 할당된 방향키로 매핑되어 캐릭터가 움직이게 한다.
다른 한편, 일실시예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가상 조이스틱의 동적할당과 움직임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상기의 가상 조이스틱은 정적 성격을 가지며, 작동 영역 밖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시에만 가상 조이스틱 자체의 영역이 이동하여 새로운 정적 영역이 구성된다. 그리고, 손가락이 화면에서 떨어질시를 포함한 미리 설정된 데드존 상황시에는 정적 작동 영역은 남는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순서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진다.
1-1. 가상 조이스틱은 앱 실행 후 첫 터치하는 부분에 생성된다.
1-2. 또는 초기 생성 위치는 편의상 화면 좌측 하단의 최적의 위치에 시스템 상으로 생성된다.
2. 1번에서 생성된 가상 조이스틱은 정적 성격을 가지며, 조이스틱 작동 영역 밖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할 때만 가상 조이스틱 영역이 이동하여 새로운 정적 영역이 만들어진다.
손가락이 화면에서 일종의 데드존 상황으로서 떨어질 때도 형성된 정적 영역은 남아 있게 된다. 다만, 새로 터치되는 부분이 영역 밖이면 그쪽으로 조이스틱 영역이 이동/생성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일실시예는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을 편리하게 다양한 상황에 적응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 다양한 상황은 동작이 많은 에뮬레이팅 게임류인지 또는 상대적으로 동작이 적은 게임류인지, 또는 게임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라 난이도가 높은 게임류인지 또는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게임류인지 등이다.
그래서, 이러한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을 통해 정적 상태 및 동적 상태가 상호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 동작은 예를 들어,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를 2번 터치하는 경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이러한 부분은 다양한 예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일실시예에 따른 그 가상 조이스틱을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요청 명령에 따라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로 상호 간에 변환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그 일실시예에 따른 정적 상태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위치시마다 동적할당이 된 가상 조이스틱을 다시 정적 할당이 되도록 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안정화하므로 에뮬레이팅 게임을 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정적 상태를 설명하는 위의 예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정적 상태 등이 구비되어진다.
그래서,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예를 들어, 동작이 많은 에뮬레이팅 게임류인 경우 정적 상태로 변환해서 게임을 하고, 상대적으로 동작이 적고 또는 다수의 사용자가 그룹으로 게임을 하는 등의 경우 동적 상태로 변환해서 게임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그 가상 조이스틱을 편리하게 다양한 상황에 적응해서 사용한다.
그리고, 또 다른 한편으로 일실시예는 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조이스틱을 다양한 게임 상황에 따라 원활히 관리할 수 있도록, 그 가상 조이스틱의 사용에 대해서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는 그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시마다 그 위치에 동작할당이 되는 가상 조이스틱을 미리 설정된 가상 조이스틱의 관리 명령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의 사용에 대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설정한다.
그래서, 이러한 가상 조이스틱의 잠금 설정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의 사용권한을 부여받지 못한 경우, 그 가상 조이스틱을 강제로 동작되지 않도록 잠금해서, 그 가상 조이스틱을 사용할려고 하더라도 그의 사용을 차단한다.
반면, 예를 들어, 그 사용자가 게임의 사용권한수령시, 그 가상 조이스틱의 잠금 해제 설정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을 잠금 해제해서, 그 잠금이 된 가상 조이스틱의 동작이 다시 되도록 해서, 전체적으로 그 가상 조이스틱을 원활히 관리한다.
따라서, 그러한 가상 조이스틱의 잠금 설정에 따라 그렇게 가상 조이스틱을 다양한 게임 상황에 따라 원활히 관리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모바일 단말기 102 : 가상 조이스틱

Claims (5)

  1. 사용자의 터치시마다, 터치 위치에 드래그에 대응되는 코어를 중심으로 이동해서 방향키가 상이한 작동 영역별로 매핑된 움직이는 작동 영역을 가진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하는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를 미리 설정등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다이나믹 스마트 제어 정보에 따라 에뮬레이팅 게임류의 게임시, 대응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터치 위치마다에 가상 조이스틱을 동적할당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 의한 가상 조이스틱에 따라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드래그에 의해 대응되는 코어를 연동하여 이동해서 움직이는 작동 영역에 매핑된 방향키에 대응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조이스틱은,
    상용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로 코어의 작동 영역과 키를 매핑하고, 코어가 움직이는 에뮬레이팅 게임류 방향별의 작동 영역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방향을 매핑해서 방향키 입력을 전달하고,
    상기 가상 조이스틱은,
    정적 성격을 가지며, 작동 영역 밖으로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시에만 가상 조이스틱 자체의 영역이 이동하여 새로운 정적 영역이 구성되고, 손가락이 화면에서 떨어질시를 포함한 미리 설정된 데드존 상황시에는 정적 작동 영역은 남으며,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가상 조이스틱을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요청 명령에 따라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로 상호 간에 변환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 1 단계에 의한 가상 조이스틱을 미리 설정된 가상 조이스틱의 관리 명령에 따라 가상 조이스틱의 사용에 대해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설정하는 제 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80124494A 2018-10-18 2018-10-18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1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94A KR102016681B1 (ko) 2018-10-18 2018-10-18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94A KR102016681B1 (ko) 2018-10-18 2018-10-18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681B1 true KR102016681B1 (ko) 2019-08-30

Family

ID=6777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94A KR102016681B1 (ko) 2018-10-18 2018-10-18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5170B2 (en) 2021-12-22 2023-10-03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95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디이씨코리아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입력방식에 대한 방법 및 사용자 입력정보에 따른 조이스틱의 인식방법
KR20160001600A (ko) * 2014-06-26 2016-01-06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KR20160089084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터치휠을 이용한 냉장고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95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디이씨코리아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입력방식에 대한 방법 및 사용자 입력정보에 따른 조이스틱의 인식방법
KR20160001600A (ko) * 2014-06-26 2016-01-06 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KR20160089084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터치휠을 이용한 냉장고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5170B2 (en) 2021-12-22 2023-10-03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367B1 (ko) 정보 처리 방법과 단말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5805144A (en) Mouse pointing device having integrated touchpad
US20140011584A1 (en) Mobile terminal-based virtual gam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JP5865535B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
WO2014056129A1 (zh) 一种触屏装置用户界面的处理方法及触屏装置
US10238960B2 (en) Dual input multilayer keyboard
US10928906B2 (en) Data entry device for entering characters by a finger with haptic feedback
KR20140003151A (ko) 디지털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16590B2 (ja) オブジェクト操作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20180111397A (ko)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게임 가상 컨트롤러 생성 및 매핑 방법
KR102016681B1 (ko) 에뮬레이팅 게임류에 적용가능한 스마트폰용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20200061464A1 (en) Program, game system,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game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for user input
RU2768526C2 (ru) Реальное присутствие рукописного ввода дл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JP2005276120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制御システム
Frees Context-driven interaction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CN103902208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0733988B1 (ko) 버튼 조합과 동적 기능 할당을 이용한 캐릭터 위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5981617B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像表示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
JP200008989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8102833A (ja) 文字入力装置
JP6022131B1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表示方法
JP2008310442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Rodrigues et al. Augmented reality and tangible user interfaces integration for enhancing the user experience
CN104007999B (zh) 用于控制应用的方法和相关的系统
KR20140136854A (ko) 어플리케이션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