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17B1 -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17B1
KR102016617B1 KR1020120151077A KR20120151077A KR102016617B1 KR 102016617 B1 KR102016617 B1 KR 102016617B1 KR 1020120151077 A KR1020120151077 A KR 1020120151077A KR 20120151077 A KR20120151077 A KR 20120151077A KR 102016617 B1 KR102016617 B1 KR 10201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er
receivers
receiv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387A (ko
Inventor
김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2015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RF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수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와 복수의 I 신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수신할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는 접지하는 복조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 FREQUENC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통신 표준이 동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의 소형화 및 휴대 단말의 고 성능화에 따라, 하나의 휴대 단말에 복수의 통신 표준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서 지원해야 할 주파수 대역이 많아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지상파 TV, 지상파 DMB, 위성 채널 등의 다양한 주파수를 만족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중 주파수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수신 장치에 복수의 주파수 수신부와, 복수의 주파수 수신부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복조부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이로 인하여, 단말에 부가되는 회로가 복잡해지고, 단말의 크기가 커지는 등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들은, 이러한 주파수 수신 장치에 관한 특허들이나, 이러한 선행기술문헌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18813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8254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복수의 RF 수신부를 하나의 복조부로 복조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의 주파수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를 복조할 수 있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RF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수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와 복수의 I 신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고, 수신할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는 접지하는 복조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조 모듈은,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와 각각 상기 I 신호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로터 각각 I 신호를 수신하고, 제1 RF 수신부로부터 I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를 접지하는 I 신호 수신부 및 상기 I 신호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어느 하나의 I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 신호 수신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RF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 중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고, 상기 제1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수신부 선택기 및 상기 RF 수신부 선택기가 출력한 상기 제1 RF 신호에서 I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I 신호 추출기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F 수신부 선택기는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I 신호 경로를 접지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 독립된 복수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복조 모듈은 복수의 I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하는 하나의 복조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RF(Radio Frequency)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RF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수신 모듈 및 복조모듈을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 중에서,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를 접지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는, 외부 입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RF 주파수 중에서 제1 RF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I 신호에 대한 Q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I 신호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RF 수신부를 하나의 복조부로 복조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의 주파수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를 복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조 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조 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RF 수신 모듈(100) 및 복조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RF 수신 모듈(100)은 복수의 RF 수신부(110, 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RF 수신부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RF 수신부가 2개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RF 수신 모듈(100)은 3개 이상의 RF 수신부를 포함할 수 도 있다.
복조 모듈(200)은 RF 수신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I 신호를 복조하여 변조파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조 모듈(200)은 Q 신호를 이용한 검증 없이 I 신호만을 이용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수신 모듈(100)이 도시된 예와 같이 2개의 RF 수신부(110,120)를 포함하는 경우, 복조 모듈(200)은 I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제1 RF 수신부(110)와, Q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제2 RF 수신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 RF 수신부(120)와 Q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연결되더라도, 복조 모듈(200)은 제2 RF 수신부(120)로부터 I 신호를 입력받고, 또한 Q 신호가 아닌 I 신호로서(즉, 위상을 지연시키지 않고 I 신호로서 간주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복조 모듈(200)을 설계 변경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의 RF 수신 모듈(100)은 각각 독립된 복수의 회로로 구성되는 반면, 복조 모듈(200)은 하나의 복조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RF 수신 모듈(100)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 독립된 복수의 회로로 구성되고, 복조 모듈(200)은 복수의 I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하는 하나의 복조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경우, 각 주파수 대역 별로 복조 회로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하나의 복조 회로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조 모듈(200)은 복수의 RF 수신부(110, 120)와 복수의 I 신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조 모듈(200)은 어느 하나의 RF 수신부(제1 RF 수신부)로부터 I 신호를 입력 받을 때,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의 I 경로는 접지와 연결 시킬 수 있다. 이는, I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RF 수신부를 접지와 연결시키는 것이다.
복조 모듈(200)은 I 신호 수신부(210)와 복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I 신호 수신부(210)는 복수의 RF 수신부(110, 120)와 각각 I 신호 경로를 형성하고, 형성된 I 신호 경로를 통하여 I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I 신호 수신부(210)는 사용하지 않는 RF 수신부의 I 신호 경로는 접지와 연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I 신호 수신부(210)는 하나의 I 신호만을 출력하게 된다.
복조부(220)는 I 신호 수신부(210)에서 출력된 I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이러한, I 신호 수신부(210)와 복조부(22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I 신호 수신부(210)는 RF 수신부 선택기(211) 및 I 신호 추출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RF 선택 신호를 I 신호 수신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RF 선택 신호는 외부 입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상파 DMB를 선택하면, 지상파 DMB의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의 신호를 복조하도록, RF 선택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RF 수신부 선택기(211)는 복조부(220)로부터 제공되는 RF 선택 신호에 따라, 복수의 RF 수신부 중 어느 하나의 RF 수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 RF 수신부 선택기(211)는 선택된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RF 신호를 I 신호 추출기(21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F 수신부 선택기(211)는 선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부의 I 신호 경로는, 모두 접지와 연결시킬 수 있다.
I 신호 추출기(212)는 RF 수신부 선택기(211)가 출력한 RF 신호에서, I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I 신호 추출기(212)에서 제공된 I 신호를 복조하여 변조파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에서 수행되므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복수의 RF 수신부 중에서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S310).
일 실시예에서,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외부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RF 주파수 중에서 제1 RF 주파수를 선택하고, 제1 RF 주파수를 수신하는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를 접지와 연결할 수 있다(S320).
이후,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제1 RF 수신부의 RF 신호에서 I 신호를 추출하고(S330), 추출된 I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서,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I 신호에 대한 Q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I 신호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할 수 있다. 즉,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는 I 신호에 대하여 위상 지연된 Q 신호를 이용한 검증 절차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I 신호에서 변조파를 분리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범용적인 복조 모듈(200)을 사용하는 경우, Q 신호 경로를 I 신호 경로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복조 모듈(200)의 회로적인 변화 없이, 운영 상의 제어(즉, Q 신호 경로로 들어온 RF 신호를 I 신호로 간주하여 복조)만으로 용이하게 복수의 RF 신호를 복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RF 수신 모듈
110 : 제1 RF 수신부
120 : 제2 RF 수신부
200 : 복조 모듈
210 : I신호 수신부
221 : RF 수신부 선택기
222 : I 신호 추출기
220 : 복조부

Claims (8)

  1.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RF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수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와 복수의 I 신호 경로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I 신호 경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할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는 접지하는 복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조 모듈은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와 각각 상기 I 신호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로부터 각각 I 신호를 수신하고, 제1 RF 수신부로부터 I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I 신호 경로를 접지하는 I 신호 수신부; 및
    상기 I 신호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어느 하나의 I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I 신호 수신부는
    상기 복조부로부터 제공되는 RF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 중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고, 상기 제1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RF 신호를 출력하는 RF 수신부 선택기; 및
    상기 RF 수신부 선택기가 출력한 상기 제1 RF 신호에서 I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I 신호 추출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조부는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 중 어느 하나의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RF 선택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RF 수신부 선택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수신부 선택기는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I 신호 경로를 접지와 연결시키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 독립된 복수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복조 모듈은
    복수의 I 신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하는 하나의 복조 회로로 구성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6. 서로 상이한 복수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RF 수신부를 포함하는 RF 수신 모듈 및 복조모듈을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RF 수신부 중에서,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제외한 나머지 RF 수신부와 RF 신호 제공을 위해 연결된 I 신호 경로를 접지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는
    외부 입력에 의해 결정된 RF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RF 신호 중에서 제1 RF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상기 제1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1 RF 수신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RF 수신부로부터 제공된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RF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1 RF 신호에서 I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RF 신호에서 추출된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I 신호에 대한 Q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I 신호로부터 변조파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20151077A 2012-12-21 2012-12-21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77A KR102016617B1 (ko) 2012-12-21 2012-12-21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77A KR102016617B1 (ko) 2012-12-21 2012-12-21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387A KR20140081387A (ko) 2014-07-01
KR102016617B1 true KR102016617B1 (ko) 2019-08-30

Family

ID=5173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077A KR102016617B1 (ko) 2012-12-21 2012-12-21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756B2 (ja) * 2003-03-28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端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350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모드 무선통신 단말기의 잡음 차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304888B1 (ko) 2006-06-13 2013-09-09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100018246A (ko) * 2008-08-06 201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 패턴변경 방법
KR20110088254A (ko) 2010-01-28 2011-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방송 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8756B2 (ja) * 2003-03-28 2009-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387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84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equency band
EP2501155B1 (en) High density wireless system
US7769359B2 (en) Adaptive wireless receiver
WO2016125619A1 (ja) 周波数チャンネル設定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2012238955A (ja) チューナーモジュール、及び移動体通信端末
CN105981303A (zh) 多频带接收器中的方法和布置
US10257459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ing method
KR102016617B1 (ko)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8301098A (ja) 地上デジタル受信機
JP6257191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システム
EP2208343B1 (en) Tuner and broadcast receiver having the same
CN101110922B (zh) 装备有多个数字解调电路的电视接收装置
US11811435B2 (en) Semiconductor chip and receiving apparatus
EP3982628A1 (en) User friendly tv signal processing unit
US9106274B2 (en) Dual carrier separation
KR20130090627A (ko) 쿼드 모듈 튜너
RU1681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обработки цифров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игнала
US20210288732A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JP7048310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チップ
JP6598018B2 (ja) 衛星放送受信機、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録画機
KR20220050131A (ko) 튜너용 ic
KR101629889B1 (ko) 방송 신호 수신 모듈 및 튜너
JP2009060243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H0576009A (ja) 衛星テレビ放送受信機の入力回路
JP2008286523A (ja) 受信装置、電子機器およ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