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888B1 -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888B1
KR101304888B1 KR1020060052986A KR20060052986A KR101304888B1 KR 101304888 B1 KR101304888 B1 KR 101304888B1 KR 1020060052986 A KR1020060052986 A KR 1020060052986A KR 20060052986 A KR20060052986 A KR 20060052986A KR 101304888 B1 KR101304888 B1 KR 10130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hannel
data
channel
broadcas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813A (ko
Inventor
서정욱
박외진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Priority to KR102006005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88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2Program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적어도 두개의 물리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이, 방송모드시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각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를 검사하여 선택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상기 수신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상기 수신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해당 물리채널의 설정된 버퍼에 저장하며, 해당 물리채널의 다음 버스트데이터 수신시 처리할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설정하는 과정들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모드에서 서비스채널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을 확인하여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며, 변경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들의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재설정한 후 상기 방송모드로 진행하는 서비스채널 변경과정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60052986
디지털방송수신기, 채널, 서비스채널, 채널 스캔

Description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CANNING CHANNEL OF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WITH MULTI-FREQUENCY CHAN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주파수 채널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방송데이터복조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방송데이터저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방송데이터복호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타임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도 8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8의 방송모드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10에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0에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흐름도
도 13은 도 8의 서비스채널 변경 모드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재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주파수 채널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는 디지털 방식으로 부호화 및 변조된 신호로써, 수신기에서는 이를 역으로 복조 및 복호화하여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튜너, 방송데이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복호기 등을 구비하 여야 한다. 현재 상기 디지털 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복수의 서비스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서비스채널들은 방송국들에서 방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채널들의 프로그램 정보 및(또는) 방송정보들을 전송하는 채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를 탑재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에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탑재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구성 및 처리 절차가 복잡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wireless terminal) 휴대용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RF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은 많은 수의 서비스채널들을 서비스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원하는 서비스채널들을 탐색(scan)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서비스채널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경우 많은 서비스채널들을 서비스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각 서비스채널들에서 서비스되는 방송들을 확인하기 어렵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시청중인 서비스채널들을 변경하면서 원하는 서비스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방송신호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선택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는 상기와 같은 서비스채널 확인 및 처리 시간이 경과된 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선택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표시할 때 상기 확인 및 처리 시간만큼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표시할 수 없게 되며, 이로인해 서비스채널 변경시 화면에는 상기 시간만큼 방송화면을 표시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다른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버스트(burst)는 짧게는 1초 이내, 길게는 3-4초 마다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에 다른 서비스채널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버스트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방송신호를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확인하는 시간(즉, 해당 서비스채널의 버스트가 수신되는 시간) 및 이를 처리하는 시간 동안 방송신호를 표시할 수 없게되며, 이로인해 서비스채널 변경시간이 길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서비스채널 변경시간에서 방송신호가 단절되어 표시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주파수 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시간을 감소시켜 서비스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버퍼링하며, 채널의 변경시 변경된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는 동시에 해당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신호를 재생하므로써 서비스채널의 변경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선택 서비스채널 신호를 재생하면서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신호들을 버퍼링하고, 서비스채널의 변경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재생하여 서비스채널 변경시 표시 화면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선택 서비스채널을 재생하면서 전체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설정된 버퍼링 방식으로 일부 버퍼링하며, 서비스채널의 변경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재생하여 서비스채널 변경시 표시 화면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을 재생하면서 전체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설정된 버퍼링 방식으로 일부 버퍼링하며, 서비스채널의 변경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재생하여 서비스채널 변경시 표시 화면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DVB와 같은 디지털방송, 버스트채널의 시간, 버퍼링하는 채널의 수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와 사용자의 서비스채널 변경에 대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채널 신호를 버퍼링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 또는 이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방식과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DMB 및 DVB 방식은 모두 디지털 방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DVB 방식은 DVB_T 방식과 DVB_H 방식이 있으며, 상기 DVB_H 방식은 IP 기반의 방송신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DVB_H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DVB 방식 및 DMB 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채널(channel)은 튜너에서 선택되는 주파수 채널을 의미하며, 서비스(service)는 선택된 채널 상에 전송되는 실제 방송국의 채널로써 PID(program identifier or product identifer)에 의해 구분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하며, 이벤트(event)는 각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어들의 사용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로 사용하며, 서비스는 "서비스채널"(service channel)로 사용하기로 한다.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물리채널에서 다수의 서비스채널들이 전송되며, 물리채널은 튜너에 설정된 채널 주파수를 의미하고, 서비스채널은 상기 물리채널에서 PID(program identifier or product identifier)에 의해 구별되는 채널들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중 주파수채널(multi-frequency channel)이라는 용어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복수의 물리채널들을 구비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주파수 채널의 방송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각각의 물리채널에 서비스되는 서비스채널들의 서비스채널 변경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각 서비스채널들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다중주파수 채널이라는 용어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설정되는 적어도 2개의 물리채널들을 의미한다. 선택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표시부에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변경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임의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선택 서비스채널로 변경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이 선택 서비스채널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전에 선택 서 비스채널이었던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인접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선택 서비스채널 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 및(또는) 낮은 채널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상위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인접 서비스채널로써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보다 높은 채널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하며, 하위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인접 서비스채널로써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보다 낮은 채널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선호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사용자의 선택 선호도가 높은 서비스채널들로써, 사용자의 설정 또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의해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설정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버퍼링 서비스채널이라는 용어는 방송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버퍼에 저장되는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17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170을 통해 발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은 서비스채널의 선택, 변경 및 재생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시청 중인 서비스채널 이외에 다른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며, 서비스채널 변경 요구시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이 상기 저장 중인 서비스채널이면, 상기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서비스채널 변경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6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60의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채널 변경을 위한 버퍼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키입력부17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모드(재생, 녹화, 채널 선택 및 변경 등)를 제어한다.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은 각각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로 세트되며, 각각 세트된 물리채널로 전송되는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서비스채널 데이터에서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은 특정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이 될 수 있다. 선택기120은 상기 제1방송수신 및 저장부111 - 제N방송수신 및 저장부11N의 출력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한다.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비디오 및 오디오 복호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는 표시부150 및 스피커160에 인가되어 재생된다.
도 2는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각 물리채널의 방송수신기200은 튜너270 및 방송데이터복호기290으로 구성된다. 튜너27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각각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로 세트되며, 각각 세트된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은 상기 튜너270에서 출력되는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은 물리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복조하여 출력한다.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은 상기 제어부 100의 제어하에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 중에서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 및 방송 서비스채널 변경시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서비스채널(즉,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방송데이터복조기290 및 방송데이터복호기 140은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DMB 및 DVB 방식이 있으며, DVB 방식은 DVB_T 및 DVB_H 방식이 있다. 상기 DMB 및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는 수신되는 방송데이터는 MPEG2-TS 구조를 가지며, 상기 MPEG2-TS 구조의 방송데이터는 패킷 스트림으로써, 각 패킷들은 패킷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 헤더는 서비스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는 PID(Program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PID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MB 및 DVB_T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MPEG2_TS 구조를 가지는 각 패킷의 페이로드는 방송 데이터들이 채워지며, 상기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MPEG2-TS 구조를 가지는 각 패킷들의 페이로드는 IP 정보 및 방송 데이터들로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DVB_T 및 DMB 방식인 경우,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은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복호하는 역다중화기,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더 등의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DVB_H 방식인 경우,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이 수신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기 및 복조된 방송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PID필터,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여 상기 복조기 및 튜너27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조제어기 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IP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토콜처리부, 비디오 및 오디오 복호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복수의 물리채널들을 설정하기 위해 다중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며, 각 물리채널의 모든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설정된 원칙에 따라 저장된다. 그리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 서비스채널의 저장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고, 상기 변경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들에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각 물리채널들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설정된 원칙에 따라 버퍼링하며,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저장(버퍼링)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서비스채널을 변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채널의 변경 시간을 줄이는 동시에 서비스채널 변경시 방송신호의 표시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물리채널들의 방송 데이터들을 서비스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두개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두개 이상의 물리채널들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나의 물리채널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물 리채널은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이 세트되었는가 확인하며, 세트된 경우에는 해당 물리채널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을 세트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이 세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 중에서 하나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에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다른 방송수신 및 저장부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물리채널은 변경 빈도 수가 높은 서비스채널(즉,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서비스채널)들이 속한 물리채널 주파수로 세트하거나 또는 설정된 방식으로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 가능한 모든 서비스채널들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 서비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 주파수가 세트된 방송수신 및 저장부를 확인하여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을 세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이때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경우, 수신 전력의 소모가 커지고 및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 이외의 나머지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지 않고, 서비스채널 변경시간 동안 변경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정도의 데이터를 버퍼링한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단위로 버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인 경우,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에서 선택 서비스채널 및 설정된 수의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하나의 버스트 구간에서 전체 서비스채널들 중에서 일부 서비스채널들(선택 서비스채널 및 설정된 수의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게 되므로써, 수신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채널 데이터 버퍼링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순차버퍼링, 상하버퍼링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순차버퍼링 방법은 서비스채널 번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면서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이때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수는 정수(예를들면 1,2,3...)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버스트 구간에서 2개의 서비스채널을 버퍼링하는 경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결정할 때 설정된 방향(채널 업 또는 다운 방향)으로 2번째인 서비스채널을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설정하면 된다. 두 번째로 상기 상하 버퍼링 방법은 선택 서비스채널에서 전체 서비스채널들을 상위 방향(채널번호 증가 방향) 및 하위 방향(채널감소 방향)의 서비스채널들로 구분하고,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버퍼링할 때 상위 및 하위 서비스채널 번호를 각각 증가 및 감소시켜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면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 결정시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각각 상위 및 하위 방 향으로 채널 번호를 하나씩 증가 및 감소시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순차 및 상하 버퍼링 방법을 사용할 때 선호 서비스채널들과 결합하여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호 서비스채널은 사용자가 빈번하게 선택하는 서비스채널 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서비스채널들이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스포츠 방송을 즐겨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 서비스채널은 스포츠 서비스채널들이 될 수 있으며, 영화를 즐겨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 서비스채널은 영화 및 드라마 서비스채널들이 될 수 있다. 상기 선호 서비스채널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00이 사용자의 선택 빈도 수를 확인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선호 서비스채널이 설정된 경우, 상기 순차 및 상하 버퍼링 벙법에 따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호 서비스채널의 다음 서비스채널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임의 서비스채널을 시청하는 중에 다른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미리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비스채널 변경에 대비하여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표시하므로써 서비스채널 변경 시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획득하기 전까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시청할 수 없게 되며, 이로인해 서비스채널 변경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채널 변경 방법을 사용하면,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미리 버퍼링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중단없이 재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물리채널을 사용하는(즉, 다수의 튜너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현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재생하면서 상기 각 물리채널들의 전체 서비스채널들을 설정된 원칙에 따라 버퍼링한다. 그리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의 물리채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물리채널로 수신되어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 다음 버스트 데이터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수신하므로써, 서비스채널의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도 1과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DVB_H 데이터 구성은 도 6a - 도 5f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상기 도 6a - 도 6f의 DVB_H 데이터 매핑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DVB_H 데이터는 MPEG2-TS 구조를 가진다. 도 6a는 각 TS 패킷은 188바이트를 크기를 가지며, 4바트의 패킷헤더 및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헤더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패킷 동기(sync) 및 PID 정보들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PID는 서비스 채널들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페이로드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도 5a의 페이로드에 실릴 수 있는 MPE 섹션의 구성으로써, 상기 MPE 섹션 정보는 테이블식별정보(table_ID),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에러보정을 위한 위한 정보(MPE-FEC) 및 수신 데이터를 타임 슬라이싱 하기 위한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c는 IP 데이터 그램의 구성으로써, IP V6를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IP 데이터그램은 IP 버전 정보(IP V6 또는 IP V4 등) 및 발신측 IP정보(source IP address), 착신측 IP 정보(destination IP address) 등을 포함한다. 도 6d는 UDP 정보로써, 발신 및 착신측의 포트 어드레스(Scr Prt, Dst Prt) 등을 포함한다. 도 6e는 FLUTE/ARC의 구성으로써, ESG(Electronic Sevice Guide) 및 파일(files) 등을 포함한다. 도 6f는 RTP 구성으로써,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도 3은 상기 DVB_H 방식의 방송수신기200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송수신기20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270 및 방송데이터복조기290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 1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 각각은 상기 방송수신기200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의 전단에는 튜너270이 연결된다. 튜너270은 물리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PLL과, 수신되는 방송신호와 상기 PLL에서 발생되는 물리채널 주파수를 혼합하여 설정된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와,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여파 출력하는 대역 여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의 튜너270들은 각각 다른 물리채널 주파수로 세트되며, 이로인해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은 다중 주파수 채널의 서비스채널 신호들 중에서 각각 튜너279에 의 해 설정되는 대응되는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신호들을 수신하게 된다.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되는 채널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튜너110을 제어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상기 PID필터230에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를 세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서 처리되는 정보(PSI/SI, SDP 등)들을 분석한 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방송채널들의 PID 등을 확인하여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PID에 따른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선택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서비스채널 변경제어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270의 출력을 수신하는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의 A/D변환기210은 상기 튜너27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복조기220은 변조된 방송신호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조한다. 여기서 상기 복조기220은 OFDM 또는 COFDM 복조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조기220에서 복조된 데이터는 상기 도 6a와 같은 MPEG2-TS의 TS 패킷 스트림(stream)이 될 수 있으며, 상기 TS패킷은 식별자인 P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PID필터230은 상기 복조된 IP 데이터그램에서 선택 및(또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가지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며, PSI/SI 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PID필터230에서 출력되는 TS 데이터는 도 6b와 같은 MPE-FEC(MultiProtocol Encapsulation - Forward Error Correction) 및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TS 패킷이 상기 도 6b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면,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를 타임 슬라이싱 제어한다. 즉,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도 6b의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튜너110 및 복조기2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정보는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온 시간(burst on tim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타임 슬라이싱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및(또는) 버퍼링 서비스 채널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튜너100 및 복조기220에 전원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도 6b와 같은 MPE 섹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ID필터230에서 출력되는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MPE-FEC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되는 채널 제어데이터에 의해 상기 튜너110을 제어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상기 PID필터230에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를 세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도 6b와 같은 MPE 섹션 정보에 의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타임슬라이싱(time slicing)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여 수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MPE-FEC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조제어기24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도 6c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IP 데이터 그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은 상기 도 6c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IP 데이터그램을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에 전달하며,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을 각각 설정된 버퍼들에 저장하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 출력한다. 그러면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에서 출력되는 상기 도 6c와 같은 IP 데이터그램의 프로토콜을 처리한 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을 버퍼링한다. 상기 버퍼331-33N은 해당 물리채널로 수신되는 서비스채널들의 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버퍼331-33N은 각각 대응되는 서비스채널들에 매칭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할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전달하기 위한 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1선택기32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버퍼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1선택기320이 상기 PID필터230에서 설정된 PID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제2선택기34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선택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선택기320은 디멀티플렉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선택기340은 멀티플렉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은 메모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메모리에 상기 각 버퍼331-33N들과 같은 크기의 영역들을 할당하고, 상기 제1선택 기320은 라이트 어드레스 발생기로 구현하며, 상기 제2선택기340은 리드 어드레스 발생기로 구현하면 된다. 즉,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수 만큼의 버퍼 영역들을 할당하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 설정시 상기 메모리의 특정 버퍼 영역을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버퍼 영역으로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서 출력될 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복조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도록 라이트 어드레스를 발생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메모리에 할당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리드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을 메모리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라이트 및 리드 어드레싱을 통해 상기 선택기320 및 34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의 PID를 알고 있으며,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331-33N의 할당된 상태도 알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의 PID를 확인하고, 상기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에 대응되는 버퍼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 방송채널의 PID를 알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출력이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버퍼331-33N의 크기는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방송신호를 획득하여 처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DVB_H 방식의 경우, 버스트(burst) 신호의 주기는 1초에서 4초 정도 사이의 시간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버퍼331-33N의 크기는 DVB_H 방식인 경우 상기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 수신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설정된 PID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제1선택기320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서 복조 및 PID 필터링되는 서비스채널데이터는 상기 제1선택기320에 의해 대응되는 버퍼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버퍼331-33N은 현재 선택된 서비스채널 및 서비스채널 변경시 사용하게 될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신호들을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현재 선택된 서비스채널데이터를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도 4와 같은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은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 각각에 구비되며, 해당 물리채널에 설정된 선택 및(또는)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물리채널에 버퍼링되는 데이터는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 또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 및(또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이라는 의미는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 또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비스채널의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을 확인한 후, 해당하는 물리채널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의 방송데이터저장부300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버퍼(331-33N 중 변경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출력이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서비스채널들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재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재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를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 세트시키며(DVB_H 방식인 경우 상기 복조제어기240에 상기 재설정된 버퍼링 PID들을 전송하며,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PID필터230에 상기 버퍼링 PID를 세트시킴),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의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상기 재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이 대응되는 버퍼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재설정은 변경 서비스채널이 어떤 물리채널을 사용하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이 동일한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이면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재설정은 해당 물리채널에서만 수행되며, 다른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이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재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DVB_H 방식의 방송데이터복호기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프로토콜처리부410은 상기 수신되는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의 IP 및 프로토콜 정보들을 처리한 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비디오 복호기43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출력한다. 오디오복호기44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스피커155에 출력한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은 IP추출부411, UDP추출부413, FLUTE전달부415, RTP 전달부417 및 역다중화부419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IP추출부(IP decapsule module)411에 입력되는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는 상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 및 수신측의 IP 정보(source IP address, desination IP address)를 포함하고 있는 IP 데이터 그램이다. 상기 IP추출부411은 상기 IP 데이터그램을 디캡슐하여 IP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UDP추출부(UDP decapsule module)413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어드레스(source port address & destination port address; Scr Prt & Dst Prt)를 포함하는 UDP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UDP추출부413은 상기 포트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UDP가 제거된 프로토콜데이터가 도 6e와 같은 FLUTE/ALC 프로토콜 데이터이면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를 FLUTE전달부(file transport(FLUTE)module)415에 전달하며, RTP 프로토콜이면 RTP전달부(A/V transport(RTP/TRCP) module)417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FLUTE/ALC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ESG 또는 파일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XML, SDP, HTML, JPG, POL 등)가 될 수 있다. 또한 RTP 프로토콜인 경우, 상기 데이터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역다중화부419는 상기 RTP 프로토콜이 처리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들을 역다중화하여 각각 대응되는 비디오복호기430 및 오디오복호기44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처리되는 프로토콜들을 처리하여 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ESG엔진(XML engine 및 ESG 디코더), SDP 파서(parser), PSI/SI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토콜 정보의 제어 기(controller) 및 관리기(manager)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로토콜의 처리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추출 및 전달되는 각 프로토콜 정보 및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에서 추출되는 PSI/SI정보(NIT, SDT, EIT)를 분석하여 MPEG-2 및 DVB-SI 표준에 따른 PSI/SI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전달되는 ESG 데이터의 SDP(방송에 관한 메인 데이터 셋(main data set))를 파싱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채널, 각 서비스채널의 ESG,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은 PID, IP 정보, 포트 정보들에 의해 확인된다. 즉, 상기 PSI/SI 및 SDP에는 상기 서비스채널의 식별자, 각 서비스채널의 오디오, 비디오 및 ESG 식별자 정보들을 정의하는 테이블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PSI/SI 디코딩 결과 및 SDT를 참조하여 서비스채널 및(또는), 오디오데이터 및(또는) 비디오데이터 및(또는) ESG 데이터들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은 프로토콜처리부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처리부410에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면, 상기 비디오복호기430은 상기 역다중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하고, 상기 오디오복호기440은 상기 역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스피커155에 재생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복호기430은 H.264 또는 MPEG 계열의 복호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오디오복호기440은 AAC 복호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각 물리채널들의 모든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갱신 저장하며,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서비스채널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하고, 또한 서비스채널 변경 시점에서 화면 표시의 중단을 없애고 부드럽게 서비스채널 변경 화면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타임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의 수신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구간에서만 전원을 공급하고, 방송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전원 공급을 오프시켜 소비전력을 줄이는 타임 슬라이싱(time slicing) 기법을 사용한다. 상기 도 7은 하나의 물리채널에 6개의 서비스채널(CH1-CH6)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이 CH3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CH3 데이터가 수신되는 구간을 버스트 타임(burst time)이라고 하며, 나머지 구간(CH4-CH6, CH1-CH2)은 버스트 오프타임(burst off time)이라고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는 정해진 순서대로(여기서는 CH1-CH6의 순서) 반복되어 전송된다. 타임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여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기 측에서는 선택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타임을 예측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타임도 예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도 6과 같이 하나의 물리채널에 6개의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전송되고, 서비스채널이 버스트 타임이 1초라고 가정하면,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는 매 6초 단위로 1초간 수신된다. 이런 경우 버스트 타임 및 버스트 오프 타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비스채널이 전송되는 타임슬롯을 알 수 있으므로(서비스채널 데이터의 정해진 전송순서를 알고 있으므로), 선택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타임에서 복조제어기240이 타임 슬라이싱 제어하여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타임 슬라이싱 제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타임 슬라이싱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 제어와 동일한 방법으로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제어하면,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타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7과 같이 CH3의 서비스채널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CH2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CH2 서비스채널의 버스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되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5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스트를 획득할 때 까지 서비스채널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며, 이로인해 서비스채널 변경시간이 길어지는 동시에 화면 표시의 단절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다음 버스트가 나타나기 전까지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전체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서비스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버퍼링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생하고 이 시간동안 다음 버스트의 서비스채널을 수신하여 처리하면 서비스채널 변경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는 동시에 서비스채널 변경 과정에서 표시되는 방송화면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물리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서비스채널들 중에서 선택 서비스채널(도 7의 경우 CH3) 이외에 나머지 서비스채널(도 7의 경우 CH1-2, CH4-CH6)의 데이터를 일부 버퍼링한다. 예를들면 버퍼링 방식이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2개의 서비스채널들을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며, 방향이 서비스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인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본다. 이런 경우, 첫 번째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CH1 및 CH2가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설정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CH1 및 CH2 데이터가 각각 설정된 버퍼들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CH3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시에 저장된다. 그리고 두 번째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CH3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시에 저장되며, CH4 및 CH5 데이터가 각각 설정된 버퍼들에 저장된다. 그리고 세 번째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CH1 및 CH6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버퍼링 방법으로 선택 서비스채널 CH3의 데이터가 저장 및 출력되며, 나머지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는 설정된 원칙에 따라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방송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서비스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천이시키는 동시에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재생하여 서비스채널 변경 시간을 줄이고자 함이다. 이때 상기 버퍼링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순차 버퍼링 방법 및 상하 버퍼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주파수채널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입력부170을 통해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0단계에서 상기 PSI/SI 및(또는) ESG 데이터의 SDT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트하고 520단계에서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세트하고, 530단계에서 상기 각 물리채널들에 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서비스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이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물리채널 주파수가 세트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하는 물리채널 주파수가 세트된 방송수신 및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세트하고,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버퍼를 설정하며, 또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선택기120을 제어하여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방송데이터 복호기140에 전달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이 세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들 중에서 특정 방송수신 및 저장부에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물리채널 주파수 및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설정하며,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출력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 111-11N에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 및 버퍼들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8의 530단계에서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하며,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설정은 도 9과 같은 절차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링할 서비스채널들은 각 물리채널들의 전체 서비스채널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채널들의 버퍼링 방법도 함께 설정된다.
상기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91단계에서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 주파수를 확인한 후, 593단계 - 599단계를 수행하면서 각 물리채널들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설정되는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은 버퍼링 방식(순차 증가/감소, 상하 증감, 선호 서비스채널 포함 등) 및 설정된 시간(또는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할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이면 593단계 - 595단계를 수행하면서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하고,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이 아니면 597단계-599단계를 수행하면서 해당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서비스채널 재생 모드가 요구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8의 510단계 - 도 530단계를 수행하면서 각 물리채널들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한 후, 54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방송재생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은 상기 튜너270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디지털 변환된 데이터를 OFDM(또는 COFDM) 복조하며, 상기 복조된 데이터 중에서 설정된 PID를 가지는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이때 상기 PID가 일치하면, 해당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방송데이터저장부300에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PID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하는 서비스채널들의 신호는 필터링하지 않는다. 즉, 상기 복조제어기240은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버스트 타임에서 상기 튜너110 및 복조기220을 타임 슬라이싱 제어하여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MPE-FEC 보정하여 도 6c와 같은 IP 데이터그램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여 수신되는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IP 데이터그램을 각각 할당된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출력하며,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상기 IP 데이터그램에서 IP 정보를 처리하고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각각 표시부150 및 스피커155를 통해 재생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버스트 타임에서 수행되며, 버스트 오프타임(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 이외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이 수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튜너110 및 방송데이터복조기120의 수신 동작을 중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방송재생모드가 종료될 때 까지 반복 수행된다.
또한 상기 540단계의 방송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서비스채널의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5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 서비스채널의 변경 및 각 물리채널들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한 후, 상기 540단계의 방송 재생모드로 리턴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 에 출력하며, 또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PID를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제어부100은 서비스채널 변경 요구시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화면을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버퍼링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므로써 상기 버퍼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서비스채널 변경시에 연속적으로 방송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재생 및 버퍼링 방법에 의해 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인가 검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서비스채널 데이터가 수신되면, 서비스채널이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인가 아닌가를 검사한다. 이는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과 다른 물리채널들의 버퍼링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수신된 서비스채널이 선택 서비스채널의 속한 물리채널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채널의 PID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PID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PID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 및 617단계에서 상기 IP 데이터 그램에 포함된 IP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처리한 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며, 619단계에서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복호한 후, 623단계에서 상기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부150 및 스피커155를 통해 재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이면 상기 복조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에서 IP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처리한 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들을 각각 복호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615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PID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단계에서 수신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인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링할 PID는 선택된 서비스채널 이외에 상기 버퍼링 방법에 의해 결정된 서비스채널의 PID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된 PID가 버퍼링 PID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33단계에서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대응되는 버퍼에 상기 수신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고, 635단계에서 다음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의 PID 및 버퍼를 재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PID가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다음 서비스채널의 PID가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한다.
또한 상기 613단계에서 수신된 서비스채널이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한 물리채널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수신 서비스채널의 PID가 다른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인가 검사한다. 이때 다른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 채널의 PID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43단계에서 수신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는 해당하는 물리채널의 서비스채널 버퍼에 저장하고, 645단계에서 해당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 및 버퍼를 재설정한다.
이때 상기 635단계 및 645단계에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 7의 530단계에서 결정된 버퍼링 방법에 따라 결정되며, 그 동작 절차는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도 11은 선호 서비스채널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의 순차 및 상하 버퍼링 방법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상기 선호 서비스채널이 설정된 경우의 순차 및 상하 버퍼링 방법의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상기 버퍼링 방법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버퍼링 방법이 순차 버퍼링 방법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13단계에서 다음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하여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290에 출력하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할 방송데이터저장부300의 버퍼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순차 버퍼링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채널 업(channel up, 도 7의 경우 CH1, CH2...)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채널 다운(channel down, 도 7의 경우 CH6, CH5,...) 방향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차 버퍼링 방법을 수행할 때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의 수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와 같이 결정된 순차 버퍼링 방법에 따라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진행 방향(채널 업/다운) 및 버퍼링할 서비스채널들의 수에 따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도 7과 같이 CH1-CH6의 서비스채널들로 이루어지고, 선택 서비스채널이 CH3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순차 버퍼링 방법은 채널 다운 방향으로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2개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버퍼링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현재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2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의 채널번호에 2를 감하여 CH6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로 설정하고, 현재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6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의 채널번호에 2를 감하여 CH4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로 설정한다.
두 번째로 상기 버퍼링 방법이 상하 버퍼링 방법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현재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데이터를 버퍼링한 서비스채널의 진행 방향이 상위 서비스채널 방향인가 또는 하위 서비스채널 방향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상위 서비스채널 방향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3단계에서 현재 데이터를 저장한 서비스채널이 마지막 상위 서비스채널이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마지막 상위서비스채널이 아니었으면 725단계에서 다음 상위 서비스채널을 버퍼링 PID로 설정하고, 마지막 상위 서비스채널이었으면 727단계에서 최초 상위 서비스채널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729단계에서 상기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결정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의 진행 방향이 하위 서비스채널 방향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31단계 - 737단계를 진행하면 상기 상위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PID 결정 절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 하위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상기 도 7과 같이 CH1-CH6의 서비스채널들로 이루어지고, 선택 서비스채널이 CH3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상하 버퍼링 방법이 설정된 경우 상위 서비스채널들은 CH4-CH6(또는 CH4-CH5)이 되고, 하위 서비스채널들은 CH2-CH1(또는 CH2, CH1, CH6)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현재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5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상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며, 723단계에서 마지막 상위 서비스채널이 아님을 감지하고, 725단계에서 다음 상위 서비스채널인 CH6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결정한다. 그러나 현재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6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상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며, 723단계에서 마지막 상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고, 727단계에서 최초 상위 서비스채널인 CH4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현재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2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하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며, 731단계에서 마지막 하위 서비스채널이 아님을 감지하고, 733단계에서 다음 하위 서비스채널인 CH1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결정한다. 그러나 현재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CH1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하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며, 731단계에서 마지막 하위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고, 735단계에서 최초 하위 서비스채널인 CH2의 PID를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결정한다.
이때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지 않은 물리채널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순차 및 상하 버퍼링 모드를 수행할 때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도 10의 645단계에서 수행되는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 및 버퍼 재설정 절차는 상기 도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과 상관없이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재설정하는 경우, 순차 버퍼링 모드는 첫 번째 서비스채널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상하 버퍼링 모드는 중간 서비스채널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도 11과 같은 버퍼링 방법을 사용할 때 선호 서비스채널이 설정된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시청자는 특정 장르의 방송들을 선호하게 된다. 즉, 남자 시청자들의 경우 스포츠 서비스채널들을 선호하며, 여자 시청자들인 경우 드라마 또는 영화 서비스채널들을 선호하고, 학생들과 같은 젊은 시청자들은 음악 및 게임 등의 서비스채널들을 선호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선호 서비스채널들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서비스채널 탐색시 시청자가 선호 서비스채널들을 탐색하면 신속하게 서비스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751단계에서 상기 버퍼링 방법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버퍼링 방법이 순차 버퍼링 방법이면, 753단계에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인가 검사한다. 이때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7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55단계에서 상기 도 9의 713단계 - 715단계를 수행하면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57단계에서 다음 서비스채널 번호로 변경한 후 75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도 7과 같이 CH1-CH6의 서비스채널들로 이루어지고, 선택 서 비스채널이 CH3이고, 선호 서비스채널이 CH5이며 방향이 채널 업 방향으로 1씩 증가하는 방법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현재 버퍼링한 서비스채널이 CH4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53단계에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 CH5가 선호 서비스채널임을 감지하고, 757단계에서 채널 번호를 1 증가시켜 CH6으로 변경한 후, 다시 순차 버퍼링 방법으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버퍼링 방법이 상하 버퍼링 방법이면, 761단계에서 다음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인가 검사한다. 이때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이 아니면, 상기 제어부100은 7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63단계에서 상기 도 9의 721단계 - 737단계를 수행하면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이 선호 서비스채널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65단계에서 다음 서비스채널 번호로 변경한 후 76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도 7과 같이 CH1-CH6의 서비스채널들로 이루어지고, 선택 서비스채널이 CH3이고, 선호 서비스채널이 CH5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현재 버퍼링한 서비스채널이 CH4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761단계에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 CH5가 선호 서비스채널이며 상위 서비스채널 방향임을 감지하고, 757단계에서 채널 번호를 1 증가시켜 CH6으로 변경한 후, 다시 상기 상하 버퍼링 방법으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서비스채널 변경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10의 6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9의 550단 계로 진행하여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버퍼링하고 있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서비스채널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에 방송 시청을 종료하기 위한 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서비스채널 데이터의 재생 절차를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방송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는 서비스채널 변경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540단계에서 상기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신호를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과 전체 서비스채널들의 일부 데이터들을 버퍼링한다.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는 서비스채널 변경시 서비스채널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한다. 상기 540단계에서 방송 시청 중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70을 통해 다른 서비스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발생하면(채널 업/다운키 또는 숫자키),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550단계에서 서비스채널 변경 절차를 수행한 후, 다시 상기 540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채널 변경시 재생할 서비스채널의 변경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경 서비스채널 및 변경 서비스채널이 속한 물리채널을 확인한 후, 811단계에서 상기 확인 된 물리채널의 변경 서비스채널의 PID 및 버퍼를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는 동시에 813단계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즉, 상기제어부100은 변경 방송채널의 PID를 선택 방송채널의 PID로 설정하고, 상기 변경방송채널의 버퍼에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은 변경 방송채널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재생하게 되며, 이로인해 시청자는 방송의 중단을 느끼지 않고 변경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815단계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동일한 물리채널을 사용하고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동일한 물리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7단계에서 해당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 및 버퍼를 재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1단계에서 변경 서비스채널이 속한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하고, 823단계에서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한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한 후, 상기 도 8의 54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재생모드를 반복한다. 즉,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은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및 재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들을 각각 선택 및 버퍼링 방송채널 PID로 설정하게 되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은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들을 재할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를 선택 서비스채널의 버퍼로 설정하므로써, 서비스 채널 변경 중(즉, 변경 서비스채널의 다음 버스트데이터가 수신될 때 까지)에 저장 중인 변경 서비스채널의 데이터 를 재생할 수도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도 7의 540단계로 진행하여 방송재생모드를 수행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버퍼링하고 있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며, 또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므로써, 다음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 까지 방송화면의 표시를 중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채널의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 시청 중에 서비스채널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도 1-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채널의 변경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100은 서비스채널 변경 요구시,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에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PID를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로 세트하고,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의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방송데이터를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출력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방송데이터 재생의 중단없이 연속하여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재생되는 데이터는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에 버퍼링된 데이터이며, 재생시간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트 데이터는 1초에서 4초의 주기를 가지며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를 고려하여 상기 버퍼331-33N의 크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시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서비스채널(이 경 우는 변경된 서비스채널) 및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에 따라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도 설정된 버퍼링 방법에 따라 재설정한다.
예를들면, 상기 도 5와 같이 CH1-CH6 서비스채널들로 이루어지고 선택 서비스채널이 CH3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에서 상기 CH3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때 상기 CH3에서 CH5로 서비스채널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1단계에서 CH5의 PID를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로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에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CH3의 PID를 검사하여 선호 서비스채널이면 PID 세트 상태를 유지시키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CH3 PID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의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상기 CH5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140에 출력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변경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중단없이 복호되므로, 상기 표시부150 및 스피커155에는 서비스채널 변경 구간에서도 연속적으로 방송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비스채널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변경에 따라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들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업 방향으로 1씩 증가되는 순차 버퍼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15단계에서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에 CH6의 PID를 세트시키고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의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상기 CH6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하 버퍼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및 하위 방향의 서비스채널들을 결정하고(예를들면 상위 방향은 CH6, CH1, CH2, 하위 방향은 CH4, CH3),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CH6 및 CH4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120에 CH6 및 CH4의 PID를 세트시키고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130의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상기 CH6 및 CH4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므로, 서비스채널 변경시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재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설정된 버퍼링(순차 또는 상하 버퍼링) 동작은 변경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111-11N에 서로 다른 물리채널들을 세트하고, 각 물리채널들의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하여 버퍼링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방송수신 및 저장부의 튜너에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을 세트하고 방송데이타복조기에 선택 서비스채널을 설정하고, 다른 방송수신 및 저장부의 튜너에 선택 방송채널의 물리채널을 세트하고 방송데이타복조기에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방송수신 및 저장부111의 튜너에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을 세트하고 방송데이타복조기에 선택 서비스채널의 PID를 설정하며, 제2방송수신 및 저장부112의 튜너에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물리채널을 세트하고 방송데이타복조기에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동일한 물리채널에 전송되는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각각 다른 방송수신 및 저장부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 1- 도 13은 상기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수신 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다른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4a에서 제1방송수신 및 저장부901-90N은 도 14b와 같이 튜너910, 방송데이터복조기920, 역다중화기930 및 방송데이터저장부940으로 구성되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은 IP 디캡슐레이터 및 역다중화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은 튜너910을 통해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역다중화기930을 통해 해당 물리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설정하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을 통해 설정된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어부90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98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900에 인가한다. 메모리970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970의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채널 변경을 위한 버퍼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서비스채널 변경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900은 상기 키입력부98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모드(재생, 녹화, 채널 선택 및 변경 등)를 제어한다.
튜너910은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하에 물리채널 주파수를 세팅하며, 상기 세 팅된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방송데이터복조기920은 상기 튜너910에서 출력되는 물리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920은 물리채널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비스채널 신호들을 복조하여 출력한다. 역다중화기930은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하에 상기?? 바와 같이 설정된 버퍼링 방식에 따라 각 물리채널들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를 가지는 데이터를 필터링 및 역다중화한다.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은 상기 제어부 900의 제어하에 상기 역다중화기93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해당 물리채널의 설정된 서비스채널 버퍼에 저장한다. 선택기945는 상기 각 물리채널들의 방송데이터저장부940에서 출력되는 방송데이터들 중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 출력한다.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에서 출력되는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은 비디오 및 오디오 복호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는 표시부960 및 스피커965에 인가되어 재생된다.
상기 도 14a 및 도 14b에 설명된 바와 같이, DVB_T 및 DMB 방식은 상기 DVB_H 방식과 많은 차이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차이점들 중에서 DVB_T 및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수신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가 IP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즉, IP 데이터그램이 아니며), 또한 방송데이터복조기920에서 PID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14a 및 도 14b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PID 필터링을 역다중화기930에서 수행(필터링)하여야 한다. 그리고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은 상기 역다 중화기930의 뒷단에 연결되어 상기 역다중화기930에 역다중화되는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DVB_T 및 DMB 방송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는 버스트 데이터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버스트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을 가지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경우 상기 버스트 데이터의 수신 시점에 맞춰 수신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버스트 데이터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시 서비스채널 식별자를 분석하여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따라서 타임 슬라이싱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은 항상 검사하며,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은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갱신하면서 검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은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들면 1초, 2초, 3초...) 마다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로 갱신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역다중화기930에서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DVB_T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MPEG2 TS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패킷 스트림으로써 비디오 패킷 및 오디오 패킷들로 구성되며, 이때 비디오 및 오디오 패킷들은 상기 디지털 방송 송신기에서 다중화하여 전송된다. 이때 상기 비디오 및 오디오 패킷은 패킷헤더 및 페이로드(부가정보 및(또는) PES헤더(Packet Elementary Stream header) 및(또는) A/V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패킷헤더 및 페이로드는 188바이트들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킷헤더는 4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패킷 헤더의 각 파라미터들은 하기 <표 1>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분류 설명 bits
sync byte 동기 바이트, 0X47 8
transport error
indicator
현재 패킷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 1 1
payload start
indicator
현재 패킷이 PES의 시작일 경우: 1 1
transport priority decoder에서 사용함 1
PID 패킷의 종류를 구분하는 identifier 13
scrambling control scrambling mode를 설정함 2
adaptation field
control
01: 부가정보 없음/ 페이로드만 존재
10: 부가정보만 존재/ 페이로드 없음
11: 부가정보와 페이로드 모두 존재
00: 예비
2
continuity counter 4 byte counter, 동일 PID에 대해 1증가 4
즉, 패킷 데이터는 동기바이트로 시작하며, 이를 기준으로 하나의 패킷을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선택 및 버퍼링 방송채널의 PID들이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상기 동기바이트를 검출한 후, 패킷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선택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처리한다. 즉,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설정된 서비스채널의 PID들과 상기 수신되는 패킷들의 PID를 비교하여 수신된 패킷의 처리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설정 PID와 다른 패킷인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처리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패킷이 설정된 PID와 같은 값을 가지면, 상기 패킷헤더를 분석하여 부가정보(adaptation field control)의 포함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패킷헤더의 상기 부가정보제어(adaptation field control) 파라미터를 분석한 후, 상기 부가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즉, PES헤더 및(또는) A/V 데이터로 이루어진 패킷)이면 상기 부가정보처리 동작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부가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패킷인 경우,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는 상기 PES헤더 및(또는) A/V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PID들을 상기 역다중화기930에 설정하고,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920에서 출력되는 MPEG2_TS 규격의 패킷 스트림들의 패킷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설정된 PID를 가지는 패킷인가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 패킷이 상기 설정된 PID를 가지면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해당 패킷을 역다중화하여 방송데이터저장부940에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역다중화기930은 해당 패킷을 처리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역다중화되는 데이터들은 비디오 및 오디오로 역다중화되는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할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은 상기 도 4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제1선택기320을 제어하여 상기 역다중화기930에서 출력되는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버퍼331-33N에 저장하고, 또한 제2선택기340을 제어하여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의 출력을 선택하여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역다중화기930에서 출력되는 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들로 역다중화되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상기 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버퍼331-33N은 각각 해당 서비스채널의 역다중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2선택기340을 통해 출력될 때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의 비디오 복호기에 출력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의 오디오 복호기에 출력되어 각각 재생된다. 따라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은 서비스채널 변경시 출력하게 될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동시에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950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94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하며, 표시부960 및 스피커965는 상기 복호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 및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절차는 상기 도 8과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을 설정하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므로 서비스채널을 신속하게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한 도 13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4a 및 도 14b와 같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수신되는 IP 정보를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이 아니므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 8 - 도 13와 같은 과정에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절차를 제외하면 상기 도 14a 및 도 14b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도 동일한 수순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부가되는 복합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탑재한 휴대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5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는 도 1과 같은 DVB_H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및 도 14a 및 도 14b와 같은 DMB 및 DVB-T 방식의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메모리160, 키입력부170, 표시부150, 스피커155의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통신 기능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90은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하강 주파수 변환하고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상승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변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시 송신신호를 변조하고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기 및 송신신호를 부호화하고 수신신호를 복호하는 코덱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무선통신부190에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는 통신모드시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동작은 오프되며, 무선통신부190을 통해 RF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방송모드시 상기 통신 기능은 오프되며, 상기 튜너270을 통해 수신되는 서비스채널 신호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송모드에서 착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착신호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착신 경보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호 경보모드에는 일반 착신 경보 및 무음 착신 경보모드가 있다. 상기 일반 착신 경보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스피커155를 통해 설정된 착신 경보음(멜로디, 벨, 음악 등)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50에는 착신호의 발신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무음 착신 경보는 진동 경보 및 표시 경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경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호 발생시 상기 제어부100은 도시하지 않는 모터를 구동하여 휴대단말기를 진동시키고 상기 표시부150에 상기 착신호의 발신 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경보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착신호 발생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에 착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와 함께 상기 착신호의 발신가입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착신 표시는 점멸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50에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방송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착신호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모드에서 사용자는 발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상기 무선통신부 190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통해 쇼핑 채널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구매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발신 요구에 따라 무선통신부190을 통해 해당 서비스채널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구매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송모드에서 발신모드를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시청중인 서비스채널과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 시청 중인 서비스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 동안 방송화면의 표시가 중단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채널 변경이 예상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들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 동안 버퍼링하고 있는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채널 탐색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링하는 서비스채널은 채널 스캔 방법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사용자는 채널 스캔시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스캔하는 방법과 채널 번호키를 이용하여 즐겨 시청하는 서비스채널들을 선택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버퍼링하기 위한 서비스채널들을 설정하는 방법은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상하에 인접된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방법 및(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채널 스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특정 서비스채널을 시청하는 상태에서 채널 스캔시 자주 선택되는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들 을 버퍼링하고, 서비스채널 변경시 선택된 서비스채널을 세트하는 동시에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버퍼링된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선택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될 때 까지 대기하지 않고 서비스채널 변경을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서비스채널 변경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방송화면의 표시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버퍼링하는 데이터를 상기 변경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는 경우, 채널 스캔시 방송화면을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의 서비스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의 출력을 복조하며, 선택 서비스채널 및 나머지 서비스채널들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가지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방송데이터복조기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방송데이터저장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와,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의 출력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복호하는 방송데이터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피커와,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에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의 버퍼들을 재설정하며, 방송모드시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채널 변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제어부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선택 출력하며,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선택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로 세트하는 동시에 하나의 버스트 데이터 구간에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들의 수 및 방향에 따른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 식별자들을 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방송 모드시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제어부가 상기 방송데이 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 및 해당 버스트 데이터구간에서 설정된 식별자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의 복조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상기 방송데이터복호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
  5.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의 서비스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의 출력을 복조하는 방송데이터복조기와, 선택 서비스채널 및 나머지 서비스채널들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되는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들이 세트되며, 상기 세트된 식별자의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기와, 상기 역다중화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방송데이터저장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과,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의 출력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복호하는 방송데이터복호기와,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피커와,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에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의 버퍼들을 재설정하며, 방송모드시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채널 변경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장치.
  6. 적어도 두개의 물리채널들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에 있어서,
    방송모드시 수신되는 버스트 데이터에 포함된 각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를 검사하여 선택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상기 수신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상기 수신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해당 물리채널의 설정된 버퍼에 저장하며, 해당 물리채널의 다음 버스트데이터 수신시 처리할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설정하는 과정들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모드에서 서비스채널 변경이 요구되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을 확인하여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며, 변경 및 이전 선택 서비스채널이 속하는 물리채널들의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를 재설정한 후 상기 방송모드로 진행하는 서비스채널 변경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은 상기 버스트 데이터 수신시마 다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상위 또는 하위 방향으로 설정된 수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서비스채널 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과정이,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을 선택 서비스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저장 중인 변경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상위 또는 하위 방향으로 설정된 수의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를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이,
    버스트 데이터 수신시 서비스채널 데이터 수신시 식별자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가 선택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수신되는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하는 방송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자가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이면 상기 수신되는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설정된 서비스채널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된 수로 채널번호를 증가시켜 다음 버퍼링 서비스채널 식별자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을 버스트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할 때 까지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데이터 수신시마다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상위 및 하위 방향으로 각각 증가 및 감소되는 서비스채널 번호를 가지는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방법.
  11.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무선통신부와,
    설정된 물리채널 주파수의 서비스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의 출력을 복조하며, 선택 서비스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버퍼링 서비스채널의 식별자가 설정되며, 버스트 데이터 수신시 상기 버스트 데이터를 복조하며 상기 설정된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복조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출력하는 방송데이터복조기와,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들을 각각 대응되는 버퍼들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방송데이터저장부들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개의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과, 상기 방송수신 및 저장부들의 출력에서 선택 서비스채널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복호하는 방송데이터복호기로 구성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방송모드시 상기 선택된 서비스채널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상기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며 다음 버스트 데이터 수신시 버퍼링할 서비스채널의 식별자 및 버퍼링 정보를 각각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저장부에 설정하며,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로 출력하고 상기 방송모드에서 처리하기 위한 선택 서비스채널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의 식별자 및 버퍼링 정보를 각각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 및 방송데이터저장부에 각각 설정하며, 상기 방송모드에서 발생되는 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복호된 서비스채널의 데이터 및 상기 방송모드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채널 변경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변경 서비스채널의 버퍼링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 서비스채널 데이터로 출력시키고, 상기 방송데이터복조기에 상기 선택 및 버퍼링 서비스채널들을 재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방송데이터저장부의 버퍼들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모드에서 착신호 발생시 상기 표시부에 착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경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모드에서 발신호 발생시 상기 발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장치.
KR1020060052986A 2006-06-13 2006-06-13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30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986A KR101304888B1 (ko) 2006-06-13 2006-06-13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986A KR101304888B1 (ko) 2006-06-13 2006-06-13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13A KR20070118813A (ko) 2007-12-18
KR101304888B1 true KR101304888B1 (ko) 2013-09-09

Family

ID=3913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986A KR101304888B1 (ko) 2006-06-13 2006-06-13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617B1 (ko) 2012-12-21 2019-08-30 주식회사 솔루엠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 및 다중 주파수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4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절환 방법 및 장치
KR20040038280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의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KR20050025790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방법 및장치
JP2006074241A (ja) 2004-08-31 2006-03-16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とその選局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14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절환 방법 및 장치
KR20040038280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코드 분할 다중 방식의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전환 장치
KR20050025790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방법 및장치
JP2006074241A (ja) 2004-08-31 2006-03-16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とその選局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813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8112B2 (en) Fast channe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4423263B2 (ja) 携帯端末向け伝送方法及び装置
KR100850577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US8949924B2 (en)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70110105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 multiplexed broadcast signal carrying a plurality of services
KR10083406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공유 방법 및 장치
US20090168902A1 (en) Method for arranging zapping streams in mpe-fec frame and receiver
US20090241163A1 (en) Broadcast picture display method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WO2003079676A1 (fr) Appareil de traitement de signaux et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CN101151897B (zh) 在数字广播接收机中处理数据的设备和方法
KR102171707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304888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26294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303258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883101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채널 전환속도 향상 방법 및 장치
JP5394248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80005815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80058991A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80058993A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87981B1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KR100800005B1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JP2009147530A (ja) 地上波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その受信方法
KR2008003674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의 방송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