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310B1 -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310B1
KR102016310B1 KR1020180027332A KR20180027332A KR102016310B1 KR 102016310 B1 KR102016310 B1 KR 102016310B1 KR 1020180027332 A KR1020180027332 A KR 1020180027332A KR 20180027332 A KR20180027332 A KR 20180027332A KR 102016310 B1 KR102016310 B1 KR 10201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fastening
fastening part
bracel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하
Original Assignee
송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하 filed Critical 송재하
Priority to KR1020180027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44C5/0069Flexible straps extensible
    • A44C5/0076Flexible straps extensible essentially made from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팔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고, 판스프링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체가 연속으로 끼워지며 결합되어 판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손목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루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에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팔찌의 몸체를 이루는 장식체 및 상기 판스프링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장식체들이 끼워진 끝부분에 암 수 형태로 구비되어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Bracelet with built-in leaf sp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팔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고, 판스프링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체가 연속으로 끼워지며 결합되어 판스프링에 의한 탄성을 유지하면서 손목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안 자신의 몸을 치장하기 위해 장신구를 착용한다.
장신구의 종류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등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구매자는 취향에 맞는 장신구를 구매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신구 중 팔찌의 경우 손목에 착용하게 되는데 사람의 손목 형태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져 손목에 맞는 팔찌를 착용할 때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팔찌 구조는 원형의 링 형태로 되어 회동 구조로 체결되거나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팔을 감아서 착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원형의 링 형태로 되어 회동 구조로 체결되는 팔찌의 경우 손목과 이격되는 공간이 발생함에 따라 착용감이 불편하고,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손목을 감아 착용하는 팔찌는 자중에 의해 지면 측으로 처지는 현상에 의해 착용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370674 고안의 명칭 : 팔찌)은 체인 형태로 이루어진 팔찌에 고무편을 적용하여 작식 효과를 높이면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체인 형태로 이루어져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고무편에 의해 착용감이 높아질 수 있지만 자중에 의해 지면 측으로 처지면서 변형되어 착용감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등록실용신안 20-0370674 고안의 명칭 : 팔찌)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장식체를 판스프링에 끼워 판스프링에 고정시킴에 따라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착용감을 높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판스프링은 손목과 근접한 타원 형태로 이루어져 착용중 손목과의 유격을 최소화 하여 유격에 의해 손목에서 팔찌가 유동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루는 판스프링(100);, 상기 판스프링(100)에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팔찌의 몸체를 이루는 장식체(200); 및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장식체(200)들이 끼워진 끝부분에 암 수 형태로 구비되어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체(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에 관통되며 끼워지는 판스프링 결합부(210)와, 상기 판스프링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장식하는 장식구(220) 및 상기 판스프링 결합부(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구(220)가 끼워지며 결합되는 장식구 설치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한쪽 끝부분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체결홀(311)이 관통 형성된 암 체결부(310)와, 상기 판스프링(100)의 암 체결부(310)가 끼워진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310)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 체결부(320) 및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탄성을 갖는 판재를 절단하는 판스프링 절단 단계(S10)와, 절단된 판스프링(100)을 성형 지그(400)를 사용하여 손목과 근접한 타원 형태로 성형하면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은 후크 형태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를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와, 상기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에서 성형 완료된 판스프링(100)에 다수의 장식체(200)를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장식체 결합 단계(S30) 및 상기 장식체 결합 단계(S30)에서 장식체(200)가 결합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체결부 고정 후크(120)를 이용하여 체결부(300)를 고정 결합하는 체결부 결합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손목의 형상과 근접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을 제공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다수의 장식체를 나란하게 판스프링에 끼워 고정하는 동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손목에서 풀어져 추락에 의해 파손되거나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제조방법에서 판스프링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지그를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하는 장신구인 팔찌에 관한 것으로,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손목과 근접한 형상으로 성형한 후 다수의 장식체를 끼워 결합함에 따라 판스프링에 의해 장식체들이 지지되고, 지지된 장식체들이 손목을 장신할 수 있는 팔찌를 이루며,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손목에 쉽게 착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별도의 체결부가 구비되어 팔찌가 손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판스프링(100), 장식체(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100)은 손목의 형상과 근접한 타원 형태를 이루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장식체(2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일부 경사진 형태의 경사부(110)가 형성되며,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부(110)가 형성된 끝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측으로 도피 형성되어 상기 장식체(200)가 모두 끼워진 후 체결부가 끼워지며 고정되는 체결부 고정후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식체(2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4방향이 관통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판스프링 결합부(210)와, 상기 판스프링 결합부(210)의 상부에 끼워지며 결합되어 팔찌의 미감을 극대화시키는 장식구(220) 및 상기 장식구(220)가 끼워지는 하부에 구비되어 장식구(220)가 감싸면서 끼워져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장식구 설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판스프링(100)에 상기 장식체(200)들이 다수가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끼워진 후 판스프링(100)의 끝부분에 끼워지면서 장식체(200)들이 판스프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판스프링(100)의 한쪽 끝부분에 끼워지며 결합되고, 내측으로는 일정구간의 체결홀(311)이 관통 형성되는 암 체결부(310)와, 상기 판스프링(100)의 암 체결부(310)가 결합된 다른쪽 끝부분에 끼워지며 결합되고, 상기 암 체결부(310)의 체결홀(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편(321)이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310)의 체결홀(311)에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 체결부(320) 및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 사이에서 회동 개폐 구조로 구비되어 서로 회동 동작에 의해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하거나, 손목에서 분리할 때에는 회동되면서 개방되어 손목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동작되는 잠금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311)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가 걸리며 끼워지는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과, 상기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의 상부에서 하부로만 유도되도록 구비되어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후크(120)가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 및 상기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이 항시 판스프링(100) 측으로 밀려지도록 유도하는 제1 가압봉 유도 경사면(31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판스프링에 암 체결부(3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 체결부(31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은 장식체(200)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체결편(321)이 체결홀(311)에 끼워질 때 정확히 끼워지도록 유도하며 지지하는 지지편(312)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 체결부(320)의 체결편(321)은 상기 체결홀(311)에 끼워지는 방향은 뾰족하고, 상기 수 체결부(320)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벌어지며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311)에 끼어질 때 탄성을 제공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끼워지며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321)의 수 체결부(320)와 연결된 상부에는 상기 상부로 벌어진 체결편(321)의 수 체결부(320) 측 끝부분에서 장식체(200)의 상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편(321)을 체결홀(311)에서 분리할 때 손으로 눌러줌에 따라 체결홀(311)과 체결편(321)의 분리가 원활하도록 할 수 있는 분리 버튼(322)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편(321)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가 걸리며 끼워지는 제2 판스프링 고정턱(321a)과, 상기 제2 판스프링 고정턱(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만 유도되도록 구비되어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후크(120)가 제2 판스프링 고정턱(312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 및 상기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이 항시 판스프링(100) 측으로 밀려지도록 유도하는 제2 가압봉 유도 경사면(32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판스프링에 수 체결부(3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편(321)의 내측에는 체결편(321)이 체결홀(311)에 인출입 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편(321)의 내측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21d)가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장기간 착용하여도 체결편(321)이 변형되지 않고 탄성을 유지하면서 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부재(330)는 상기 수 체결부(3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 잠금바(331)와, 상기 암 체결부(310)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회동 잠금바(331)가 끼워지거나 분리됨에 따라 팔찌를 개폐할 수 있는 잠금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 잠금바(331)는 상기 잠금 돌기(332)가 끼워지는 공간에 상기 잠금 돌기(332)와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홀(33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31a)의 양측으로는 일정구간 절개됨에 따라 상기 고정홀(331a)이 잠금 돌기(332)에 끼워질 때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홈(331b)이 더 구비된다.
이로 인해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를 이용해 손목에서 용이하게 고정 지지하며 탈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잠금부재(330)를 이용해 보다 견고하게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탄성홈(331b)에 의해 보다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100)은 손목과 근접한 형상의 타원을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판스프링(100)의 외측으로는 다수의 장식체(200)들이 끼워지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장식체(200)는 판스프링 결합부(210)가 판스프링(100)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장식체(200)가 모두 끼워지면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으로 체결부(300)가 끼워지며 결합되어 장식체(200)들이 빠지지 않고 팔찌 형태를 이루며 결합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루며 손목과 근접한 형상의 팔찌로 제조되어 장신구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판스프링 절단 단계(S10)와,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와, 장식체 결합 단계(S30) 및 체결부 결합 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 절단 단계(S10)는 팔찌를 제조하기 위해 판스프링을 속목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평평한 판 형태의 판스프링에서 프레스 금형에 의해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판스프링으로 절단한다.
상기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는 절단된 판스프링(100)을 손목과 근접한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성형지그(400)를 이용해 판스프링(100)을 손목과 근접한 형상인 타원 형태로 성형하게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은 롤 형태로 180도 가량 말아줌에 따라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은 후크 형태를 이루며 체결부 고정후크(120)가 형성된다.
상기 장식체 결합 단계(S30)는, 타원 형태를 이루며 양쪽 끝부분에는 체결부 고정 후크(120)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판스프링(100)에 장식체(200)를 연속적으로 끼워 결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장식체(200)는 장식구(220)가 결합된 방향이 외측을 향하도록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결합한다.
이로 인해 다수의 장식체(200)가 판스프링(100)으로 끼워지며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미감을 갖는 팔찌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체결부 결합 단계(S40)는, 상기 장식체 결합 단계(S30)에서 장식체(200)가 모두 끼워진 후에는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체결부(300)를 끼워 고정함에 따라 장식체(200)가 판스프링(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체결부(300)는 판스프링(100)의 한쪽 끝부분에는 암 체결부(310)가 결합되고, 판스프링(10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수 체결부(320)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장식체(200)가 판스프링(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손목에 착용 시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에 의해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의 제조방법에서 판스프링 성형 공정에 사용되는 지그를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에서는 별도의 성형 지그(400)를 사용하여 판스프링(100)을 손목에 근접한 타원 형상으로 성형한다.
상기 성형 지그(400)는 직선 형태의 판스프링(100)을 손목과 근접한 타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부(410) 및 상기 판스프링 성형부(410)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을 후크 형태로 성형하는 고정후크 성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 성형부(420)는 판스프링(100)이 판스프링 성형부(4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을 후크 형태로 말아지도록 성형할 수 있는 유도 성형블록(421)과,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에 판스프링(100)이 끼워지는 다른쪽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을 판스프링(100)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가압 볼트(422) 및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이 상기 판스프링(100) 측을 향해 직선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유도 성형블록 동작홈(4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에는 판스프링(100)의 끝부분이 인입 고정되는 방향에 판스프링(100)의 끝부분이 하부로 말아지도록 유도하는 유도 곡면(421a)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볼트(422)를 조작함에 따라 판스프링(100)이 전체적으로 판스프링 성형부(4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00)의 끝부분만을 롤 형태로 말아줌에 따라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체결부 고정후크(12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손목의 형상에 근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감이 우수하고, 판스프링에 의해 탄성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착용이 간편하며, 판스프링에 장식체를 연속적으로 끼워 결합하는 작업에 의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체결부와 잠금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간편하게 개폐하여 착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100 : 판스프링 110 : 경사부
120 : 체결부 고정후크 200 : 장식체
210 : 판스프링 결합부 220 : 장식구
230 : 장식구 설치부 300 : 체결부
310 : 암 체결부 311 : 체결홀
311a : 제1 판스프링 고정턱 311b : 제1 판스프링 가압봉
311c : 제1 가압봉 유도 경사면 312 : 지지편
320 : 수 체결부 321 : 체결편
321a : 제2 판스프링 고정 턱 321b : 제2 판스프링 가압봉
321c : 제2 가압봉 유도 경사면 321d : 탄성부재
322 : 분리 버튼 330 : 잠금부재
331 : 회동 잠금바 331a : 고정홀
331b : 탄성홈 332 : 잠금 돌기
400 : 성형 지그 410 : 판스프링 성형부
420 : 고정후크 성형부 421 : 유도 성형블록
421a : 유도 곡면 422 : 가압 볼트
423 : 유도 성형블록 동작홈

Claims (4)

  1.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루는 판스프링(100);,
    상기 판스프링(100)에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팔찌의 몸체를 이루는 장식체(200); 및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장식체(200)들이 끼워진 끝부분에 암 수 형태로 구비되어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3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200)는 상기 판스프링(100)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에 관통되며 끼워지는 판스프링 결합부(210)와, 상기 판스프링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장식하는 장식구(220) 및 상기 판스프링 결합부(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구(220)가 끼워지며 결합되는 장식구 설치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00)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한쪽 끝부분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체결홀(311)이 관통 형성된 암 체결부(310)와, 상기 판스프링(100)의 암 체결부(310)가 끼워진 다른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310)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수 체결부(320) 및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310)와 수 체결부(320)를 결합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부재(33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홀(311)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가 걸리며 끼워지는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과, 상기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의 상부에서 하부로만 유도되도록 구비되어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후크(120)가 제1 판스프링 고정턱(311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 및 상기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판스프링 가압봉(311b)이 항시 판스프링(100) 측으로 밀려지도록 유도하는 제1 가압봉 유도 경사면(311c)을 포함하고,
    상기 수 체결부(320)는 상기 암 체결부(310)의 체결홀(3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편(321)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편(321)에는 상기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가 걸리며 끼워지는 제2 판스프링 고정턱(321a)과, 상기 제2 판스프링 고정턱(321a)의 상부에서 하부로만 유도되도록 구비되어 판스프링(100)의 체결부 고정후크(120)가 제2 판스프링 고정턱(312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 및 상기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판스프링 가압봉(321b)이 항시 판스프링(100) 측으로 밀려지도록 유도하는 제2 가압봉 유도 경사면(321c)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편(321)의 내측에는 체결편(321)이 체결홀(311)에 인출입 되는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면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편(321)의 내측에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21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2. 삭제
  3. 삭제
  4. 탄성을 갖는 판재를 절단하는 판스프링 절단 단계(S10)와, 절단된 판스프링(100)을 성형 지그(400)를 사용하여 손목과 근접한 타원 형태로 성형하면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은 후크 형태의 체결부 고정 후크(120)를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와, 상기 판스프링 성형 단계(S20)에서 성형 완료된 판스프링(100)에 다수의 장식체(200)를 연속적으로 결합하는 장식체 결합 단계(S30) 및 상기 장식체 결합 단계(S30)에서 장식체(200)가 결합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에 상기 체결부 고정 후크(120)를 이용하여 체결부(300)를 고정 결합하는 체결부 결합 단계(S4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그(400)는 직선 형태의 판스프링(100)을 손목과 근접한 타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부(410) 및 상기 판스프링 성형부(410)의 양쪽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을 후크 형태로 성형하는 고정후크 성형부(42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후크 성형부(420)는 판스프링(100)이 판스프링 성형부(4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00)의 양쪽 끝부분을 후크 형태로 말아지도록 성형할 수 있는 유도 성형블록(421)과,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에 판스프링(100)이 끼워지는 다른쪽에 구비되어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을 판스프링(100) 측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가압 볼트(422) 및 상기 유도 성형블록(421)이 상기 판스프링(100) 측을 향해 직선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유도 성형블록 동작홈(4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제조 방법.
KR1020180027332A 2018-03-08 2018-03-08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32A KR102016310B1 (ko) 2018-03-08 2018-03-08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32A KR102016310B1 (ko) 2018-03-08 2018-03-08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310B1 true KR102016310B1 (ko) 2019-08-30

Family

ID=6777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32A KR102016310B1 (ko) 2018-03-08 2018-03-08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437B1 (ko) 2023-06-08 2023-12-07 주식회사 주어링 판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체결 장신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74Y1 (ko) 2004-09-23 2004-12-23 김충기 팔찌
JP2008167789A (ja) * 2007-01-09 2008-07-24 Sansho Giken Kk 装身具
KR200458767Y1 (ko) * 2009-08-21 2012-03-07 최순성 봉상(棒狀)고정대가 구비된 장신팔찌
JP2013106914A (ja) * 2011-11-24 2013-06-06 Sanokikou Co Ltd バンド装置
KR101403219B1 (ko) * 2013-06-04 2014-06-02 김병조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CN205285299U (zh) * 2015-12-24 2016-06-08 骅绅实业有限公司 首饰固定结构
JP2018134375A (ja) * 2017-02-23 2018-08-30 一夫 岡村 装身具
KR20180132244A (ko) * 2017-06-02 2018-12-12 심흥섭 장신구의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74Y1 (ko) 2004-09-23 2004-12-23 김충기 팔찌
JP2008167789A (ja) * 2007-01-09 2008-07-24 Sansho Giken Kk 装身具
KR200458767Y1 (ko) * 2009-08-21 2012-03-07 최순성 봉상(棒狀)고정대가 구비된 장신팔찌
JP2013106914A (ja) * 2011-11-24 2013-06-06 Sanokikou Co Ltd バンド装置
KR101403219B1 (ko) * 2013-06-04 2014-06-02 김병조 뱅글 팔찌 및 그 제조방법
CN205285299U (zh) * 2015-12-24 2016-06-08 骅绅实业有限公司 首饰固定结构
JP2018134375A (ja) * 2017-02-23 2018-08-30 一夫 岡村 装身具
KR20180132244A (ko) * 2017-06-02 2018-12-12 심흥섭 장신구의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437B1 (ko) 2023-06-08 2023-12-07 주식회사 주어링 판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체결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11922S1 (en) Jewelry artic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ITMI20110296U1 (it) Orologio con cinturino modellabile
KR102016310B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TWI243037B (en) Bracelet provided with a clasp
USD878238S1 (en) Coin holder for jewelry
US20140165651A1 (en) Decorative ornamental beads
KR101905594B1 (ko) 장식 줄의 길이를 조절 가능한 장신구
US20200170312A1 (en) Device that reversibly converts articles to another form and use
JP3113063U (ja) ネックレス等の装飾品の連結補助具
KR20150098550A (ko) 장신구
CN206994680U (zh) 一种首饰用弹性连接扣
CN206776884U (zh) 一种首饰用拉伸连接扣
KR200391052Y1 (ko) 귀걸이
CN208957077U (zh) 一种装饰配件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CN220713092U (zh) 一种弹力黄金首饰
KR101691090B1 (ko) 벨트의 체결장치
KR101540955B1 (ko) 손톱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N212852733U (zh) 变径式组合戒指
CN217851676U (zh) 一种新型吊坠
KR102139748B1 (ko)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