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748B1 -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748B1
KR102139748B1 KR1020180021615A KR20180021615A KR102139748B1 KR 102139748 B1 KR102139748 B1 KR 102139748B1 KR 1020180021615 A KR1020180021615 A KR 1020180021615A KR 20180021615 A KR20180021615 A KR 20180021615A KR 102139748 B1 KR102139748 B1 KR 10213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detachable
ornaments
sectional area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43A (ko
Inventor
이연서
Original Assignee
이연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서 filed Critical 이연서
Priority to PCT/KR2018/0051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78435A1/ko
Publication of KR2019004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반지, 팔찌 등 사용자가 기존에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벌어진 틈을 통하여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대향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와 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상기 몸체를 삽입하는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몸체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기존 결합대상장신구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면의 단면적 조절이 가능한 효과 및 결합대상장신구에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의 체결을 통한 레이어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detachable ornament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기존의 장신구인 결합대상장신구에 탈부착 가능하며, 동시에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반지, 팔찌 등은 과거나 현재를 망라하고 사람들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신구의 한 종류이다. 반지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반지를 미리 주문하거나, 판매장에서 원하는 반지의 디자인을 선택한 후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맞춰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지는 한 번 제작되면 그 디자인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레이어드(layered) 효과 등과 같은 다양한 패션효과를 연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기존에 착용하고 있던 반지와 별도로 반지를 구입한 후 기존의 반지와 병행하거나 별도로 착용하게 된다. 기존의 반지와 병행하여 착용하는 경우 착용한 반지들 상호간에 서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반지가 손가락에서 이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미감을 안정적으로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지는 한 번 제작되면 그 내경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반지 착용자의 체중변화에 따른 손가락 굵기의 변화, 반지를 착용하는 손가락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내경이 변경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반지의 내경이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보다 더 클 경우에는 반지가 헐거워져 빠지는 분실의 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반지를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반지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마디를 통과하게 되며, 손가락의 마디는 일반적으로 반지가 착용되는 부위 보다 굵다. 따라서 반지의 내경을 정할 때 반지가 착용되는 손가락 부위 보다는 손가락 마디를 기준으로 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반지 착용 후 반지가 손가락에서 헛도는 문제가 발생한다.
레이어드 효과를 제공하는 반지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KR 10-0827274 “접속분리 동시형 이중반지”, 한국등록특허 KR 10-1174049 “이중반지”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이중구조를 통하여 레이어드 효과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반지와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반지 자체로서 이중구조를 취하여 레이어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사용자가 기존에 착용하고 있던 기존의 반지와 결합하여 레이어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반지와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 KR 20-0286056 “원주조절형 반지”, 한국공개특허 KR 10-2011-0070931 “내경 조절용 반지”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반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피봇(pivot) 구조를 취함으로써 반지의 크기가 증가하고 장신구로서의 미감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벌어진 틈을 통하여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대향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의 몸체는 결합대상장신구에 몸체를 삽입하는 방향인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몸체를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하는 깊이 즉, 거리에 따라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된 후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에 밀착되어 결합대상장신구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 단면적이 변화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몸체를 통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반지, 팔찌 등과 같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될 수 있어 기존의 결합대상장신구를 착용하면서도 레이어드 장신구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기존 반지, 팔찌 등과 같은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몸체를 통하여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기존 결합대상장신구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면의 단면적 조절이 가능한 탈부착 장신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반지, 팔찌 등 사용자가 기존에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벌어진 틈을 통하여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대향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와 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상기 몸체를 삽입하는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몸체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한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기존 결합대상장신구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면의 단면적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상기 밀착은 상기 몸체에 외력이 가해진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생성되는 상기 몸체의 복원력에 기인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은 각각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틈은 상기 인터디지털 형상을 가지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을 교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번을 통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인터디지털 형상을 취함으로써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되어 몸체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틈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피부가 틈에 의하여 집혀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몸체의 상기 내면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되어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상기 몸체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은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삽입되는 삽입구로부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제1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내면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내면이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 형태의 제1나사선을 마련하고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나사선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나사선을 마련하거나,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암나사 형태의 제3나사선을 마련하고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3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 형태의 제4나사선을 마련한 후 상기 제1나사선 및 상기 제2나사선 간의 나사결합 또는 상기 제3나사선 및 상기 제4나사선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기를 마련하고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홈을 마련하거나,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홈을 마련하고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2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돌기를 마련한 후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 간의 끼움결합 또는 상기 제2홈 및 상기 제2돌기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끼움결합은 예로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마련되는 채널과 상기 채널에서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채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분기채널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은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몸체를 상기 기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몸체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가 상기 기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은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단면적이 얻어지면 상기 몸체 또는 상기 결합대상장신구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분기채널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상기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몸체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틈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돌출부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를 손으로 집은 상태에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를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보석, 돌기 등의 장식물이 배치되어 추가적인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고, 장식물은 사용자가 탈부착 장신구를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손쉬운 결합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마련되며, 장신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추가적인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신구는 장식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일단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신구를 상기 체결부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3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신구를 상기 체결부에 체결하는 상기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3홈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몸체 또는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몸체를 통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반지, 팔찌 등과 같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될 수 있고, 결합과정에서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어 기존의 결합대상장신구를 착용하면서도 레이어드(layered) 장신구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의 몸체는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몸체를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를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존 결합대상장신구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의 단면적 또는 내경을 실질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적용된 장신구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장신구의 내면의 단면적은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다. 몸체 내면의 단면적의 변화는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내면의 단면적이 일정한 몸체를 활용할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사용자에게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를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하여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기준방향으로 균일한 내면의 단면적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 등과 같은 차별화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적용된 장신구는 보석난집 등의 장신구를 결합대상장신구의 체결부에 연결할 수 있어 장신구의 미감을 더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결합대상장신구와의 결합과정에서 복수개의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될 수 있어 레이어드 장신구의 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와 결합대상장신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의 몸체의 일단 및 타단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와 결합되는 결합대상장신구에 추가적인 장신구가 적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마련"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마련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체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체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와 결합대상장신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의 몸체의 일단 및 타단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의 (a) 내지 (c) 도면은 각각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와 결합대상장신구가 결합되기 전,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된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개념도 및 실제 제작된 사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와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들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와 결합되는 결합대상장신구에 추가적인 장신구가 적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추가적인 장신구가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되기 전 및 결합된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대상체(미도시)가 착용하고 있거나, 착용하려고 하는 결합대상장신구(10)에 결합 가능하다. 도면에는 결합대상장신구(10)로서 반지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결합대상장신구(10)로서는 팔찌, 발찌, 시계 등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장신구가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대상체는 사람, 동물, 마네킹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며, 결합대상장신구(10)를 착용할 수 있는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목 등과 같은 바디(body)에서 돌출되는 부위를 가지고 있으면 대상체로서의 적격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대상장신구(10)에 결합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몸체(11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선택적으로 체결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벌어진 틈(112)을 가지며, 벌어진 틈(112)을 통하여 일단(112a) 및 타단(112b)이 서로 대향하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몸체(110)의 소재로는 금속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외력에 의하여 압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는 물질은 몸체(110)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결합대상장신구(10)와 서로 결합된다. 이 경우, 결합대상장신구(10)에 몸체(110)를 삽입하는 방향-이하 기준방향(a)이라 함-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몸체(11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하는 거리에 따라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한다. 다시 말하면,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이 다르므로, 정해진 내경을 가지는 결합대상장신구(10)에 몸체(1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몸체(110)는 압박을 받으며, 벌어진 틈(112)에 의하여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몸체(110)가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되기 전의 외면의 단면적 S_outer 및 내면의 단면적인 S_inner가 삽입된 후에 각각 S_outer - △S_outer 및 S_inner - △S_inner로 변화되는 과정을 예로서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존 결합대상장신구(10)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의 단면적 또는 내경을 실질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일단(112a) 및 몸체(110)의 타단(112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이 서로 대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112a) 및 몸체(110)의 타단(112b)은 각각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0)의 틈(112)은 상기 인터디지털 형상을 가지는 몸체(110)의 일단(112a) 및 몸체(110)의 타단(112b)을 교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번을 통하여 몸체(110)가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일단(112a) 및 몸체(110)의 타단(112b)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할 수 있다. 인터디지털 형상을 취함으로써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가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되어 몸체(110)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틈(112)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피부가 틈(112)에 의하여 집혀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도 3 및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은 기준방향(a)을 기준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은 몸체(110)가 기준방향(a)을 따라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되어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몸체(110)가 기준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은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가 삽입되는 삽입구로부터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제1내면(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면(10b)의 단면적은 몸체(110)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하여 기준방향(a)을 기준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몸체(110)가 결합대상장신구(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내면(10b)이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와 결합대상장신구(10)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1내면(10b)과 몸체(110)의 상기 외면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끼움결합 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르게는,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은 기준방향(a)를 기준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의 단면적은 기준방향(a)를 기준으로 몸체(110)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의 증가에 대응하여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은 몸체(110)가 기준방향(a)을 따라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되어 이동할 경우 늘어나고, 몸체(110)가 기준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감소할 수 있다. 몸체(110)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의 단면적이 서로 대응하여 증가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이 보다 더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대응되는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끼움결합 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몸체(110)가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 형상에 의하여 몸체(110)가 압박되더라도 이에 상응하여 몸체(110)의 틈(112)의 간격 또는 폭이 변화함으로써, 즉 줄어듦으로써 몸체(110)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몸체(110)에 가해지는 압박은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의 감소를 가져오며, 몸체(110)의 상기 내면의 단면적의 감소는 실질적으로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 단면적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부를 통한 이동과정에서 몸체(110)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의 변화와 함께 복원력 또는 탄성에 의하여 팽창될 수도 있다. 몸체(110)의 팽창은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의 증가를 가져오며,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의 증가는 실질적으로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 단면적을 늘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내부 단면적 또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의 밀착은 몸체(110)에 외력이 가해진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생성되는 몸체(110)의 복원력에 기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11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결합과정에서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기존의 결합대상장신구(10)를 착용하면서도 레이어드(layered) 장신구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6에는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결합대상장신구(10)를 통과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생성되는 몸체(110)의 복원력을 통하여 결합대상장신구(10)에 밀착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즉, 도 6에는 내면 전부가 몸체(110)의 외면에 대향하는 결합대상장신구(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결합대상장신구(10)는 몸체(110)의 상기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을 변화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결합대상장신구(10)는 후술하는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는 내부 단면적 또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이 적용된 장신구를 착용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장신구의 내면의 단면적은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다. 몸체(110) 내면의 단면적의 변화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기준방향(a)을 기준으로 내면의 단면적이 일정한 몸체(110)를 활용할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사용자에게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삽입하여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기준방향(a)으로 균일한 내면의 단면적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 등과 같은 차별화된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몸체(100)의 일부가 결합대상장신구(10) 내부에 걸쳐진 구조의 경우, 착용자가 느끼는 내면의 단면적은 몸체(110) 내면 이외에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이 결합된 단면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가 결합된 결합대상장신구(1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와 결합대상장신구(10) 내면의 경계에서 단차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 예시된 구조의 경우, 착용자가 느끼는 단면적은 몸체(110) 내면의 단면적뿐이므로 위에서 언급한 단차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 6에 예시된 구조의 경우에 몸체(110) 내면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보다 더 좋은 착용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몸체(110)의 외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몸체(11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 형태의 제1나사선(미도시)을 마련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나사선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나사선(미도시)을 마련하거나, 몸체(11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암나사 형태의 제3나사선(110a)을 마련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에 제3나사선(110a)에 대응되는 수나사 형태의 제4나사선(10a)을 마련한 후 상기 제1나사선 및 상기 제2나사선 간의 나사결합 또는 제3나사선(110a) 및 제4나사선(10a)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의 몸체(110)의 외면에 암나사(110a)가 마련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에 수나사(10a)가 마련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나사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실질적으로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 중 적어도 일부를 결합대상장신구(1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어드 효과를 아울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면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몸체(11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하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기(미도시)를 마련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홈(미도시)을 마련하거나, 몸체(11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홈(미도시)을 마련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2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돌기(미도시)를 마련한 후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 간의 끼움결합 또는 상기 제2홈 및 상기 제2돌기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끼움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실질적으로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 중 적어도 일부를 결합대상장신구(1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어드 효과를 아울러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의 (a)에는 몸체(110)의 외면에 끼움돌기(116)가 마련되고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에 끼움홈(미도시)이 마련된 경우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끼움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몸체(110)의 외면의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될 수 있다. 이후 끼움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은 서로 결합됨으로써 변화된 몸체(110)의 내면의 단면적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에 예로서 도시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는 결합대상장신구(10)과 끼움결합 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외면에는 기준방향(a)으로 마련되는 채널(110b)과 채널(110b)에서 몸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채널(110c)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에는 결합돌기(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의 상기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의 끼움결합은 결합돌기(14)가 채널(110b)을 경유하여 분기채널(110c)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몸체(110)의 외면에 함몰된 채널(110b)을 마련하고, 채널(110b)에서 몸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분기채널(110c)을 마련할 수 있다.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에는 결합돌기(14)를 마련한 후 채널(110b)과 결합돌기(14)의 결합을 통하여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4)를 채널(110b)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몸체(110) 내면의 직경을 조절하고 적합한 위치에서 몸체(110) 또는 결합대상장신구(10)를 회전시켜 결합돌기(14)가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분기채널(110c) 중 어느 한 채널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내경 조절 및 몸체(110)와 결합대상장신구(10)의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110)의 틈(112)은 몸체(110)로부터 돌출부(114)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114)를 손으로 집은 상태에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동일한 목적으로 결합대상장신구(10)의 외면에도 돌출부(12)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의 외면에는 보석, 돌기 등의 장식물(미도시)이 배치되어 추가적인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장식물은 사용자가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손쉬운 결합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14)는 몸체(110)의 어느 한 측에만 배치되거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14)는 몸체(110)의 양 측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한편, 결합대상장신구(10)에는 장신구(20)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16)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결합대상장신구(10)에 장신구(20)의 체결을 통하여 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16)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외면과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면을 연결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장신구(20)를 결합대상장신구(10)에 체결할 수 있는 한 체결부(16)의 형상, 구조 등에는 제한이 없다.
장신구(20)는 장식물(20c)이 안착되는 안착부(20a) 및 일단이 안착부(20a)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고정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물(20c)은 예로서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등의 귀금속 또는 모조 귀금속 등일 수 있다. 안착부(20a)는 예로서 보석난집 등일 수 있다. 고정부(20b)는 일단이 안착부(20a)에 연결되는 관형상, 봉형상 등의 구조물일 수 있다. 장신구(20)를 체결부(16)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부(20b)의 상기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후 몸체(11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몸체(110) 즉, 탈 부착 가능한 장신구(100)가 결합대상장신구(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몸체(110)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제3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신구(20)를 체결부(16)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부(20b)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3홈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몸체(110) 또는 결합대상장신구(1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몸체(10)가 결합대상장신구(10)의 상기 내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 도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와 결합하는 하나의 결합대상장신구(10)를 예로서 표현하고 있으나, 결합대상장신구(10)는 복수개가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결합대상장신구(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100, 100’)는 결합대상장신구(10)의 수를 늘릴 수 있어 레이어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한편, 결합대상장신구(10), 결합대상장신구(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110)의 외면, 돌출부(114)의 외면 또는 체결부(16)에 보석, 보석난집 등의 장식물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장신구의 미감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a: 기준방향
10: 결합대상장신구
10a: 수나사
10b: 제1내면
12: 돌출부
14: 결합돌기
16: 체결부
20: 장신구
20a: 안착부
20b: 고정부
20c: 장식물
100, 100’: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110: 몸체
110a: 암나사
110b: 채널
110c: 분기채널
112: 벌어진 틈
112a: 몸체의 일단
112b: 몸체의 타단
114: 돌출부
116: 끼움돌기

Claims (10)

  1. 결합대상장신구에 결합 가능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벌어진 틈을 통하여 일단 및 타단이 서로 대향하는 고리 형상의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와 서로 결합되되,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 전부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대향하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는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상기 몸체를 삽입하는 방향-이하 기준방향이라 함-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의 외면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결합대상장신구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내면의 단면적이 변화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적어도 일부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상기 밀착은 상기 몸체에 외력이 가해진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될 때 생성되는 상기 몸체의 복원력에 기인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은 각각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상기 틈은 상기 인터디지털 형상을 가지는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을 교번함으로써 얻어지되,
    상기 교번을 통하여 상기 결합대상장신구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몸체의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은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상기 내면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가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삽입되어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상기 몸체가 상기 기준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은 상기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가 삽입되는 삽입구로부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제1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면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의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기 결합대상장신구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내면이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과 결합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과 결합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에는 상기 기준방향으로 마련되는 채널과 상기 채널에서 상기 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채널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에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상기 외면과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의 상기 내면의 상기 끼움결합은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분기채널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타측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상기 틈은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돌출부까지 연장되어 마련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대상장신구에 마련되며, 장신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KR1020180021615A 2017-10-18 2018-02-23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KR10213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5175 WO2019078435A1 (ko) 2017-10-18 2018-05-04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276 2017-10-18
KR20170135276 2017-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43A KR20190043443A (ko) 2019-04-26
KR102139748B1 true KR102139748B1 (ko) 2020-08-05

Family

ID=6628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615A KR102139748B1 (ko) 2017-10-18 2018-02-23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7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53B1 (ko) * 2014-07-18 2015-11-23 한영숙 결합형 반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205B1 (ko) * 2016-04-01 2018-11-08 이연서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53B1 (ko) * 2014-07-18 2015-11-23 한영숙 결합형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43A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3328A (zh) 包含镶贴在刚性镂空结构下的衬件的便于携带的装饰件
JP2017533783A (ja) 宝飾要素および製造方法
US20190281932A1 (en) Necklace
KR102139748B1 (ko)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CN206964187U (zh) 一种卡扣连接式多宝手镯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101901205B1 (ko)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CN205180582U (zh) 一种镶嵌型挂坠及首饰
CN207152081U (zh) 首饰
JP2006247282A (ja) 金属製品
KR102016310B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팔찌 및 그 제조방법
CN211048576U (zh) 一种新型的具有两种佩戴方式的珠宝结构
WO2019078435A1 (ko)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KR200420503Y1 (ko) 액세서리
CN204467166U (zh) 快速穿戴式项链
CN207721325U (zh) 手镯
KR101485406B1 (ko)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KR200339649Y1 (ko) 장신구용 펜던트
CN214072136U (zh) 一种具有多造型的首饰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JP3115924U (ja) 装飾部分が連結具機能を兼ね備えたバンド
US20220304428A1 (en) Wearable jewelry device method and system that is customizable and interchangeable
JPH0727859Y2 (ja) 着脱自在の身体装飾用リング
TWD220979S (zh) 智慧手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