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205B1 -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 Google Patents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05B1
KR101901205B1 KR1020160039978A KR20160039978A KR101901205B1 KR 101901205 B1 KR101901205 B1 KR 101901205B1 KR 1020160039978 A KR1020160039978 A KR 1020160039978A KR 20160039978 A KR20160039978 A KR 20160039978A KR 101901205 B1 KR101901205 B1 KR 101901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diameter forming
forming portion
mov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646A (ko
Inventor
이연서
Original Assignee
이연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서 filed Critical 이연서
Priority to KR102016003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05B1/ko
Priority to PCT/KR2016/013648 priority patent/WO2017171192A1/ko
Publication of KR20170112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07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 A44C9/0015Finger-rings made of several rings connected or interlink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몸체부 및 내경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제1이동통로를 가진다. 상기 내경형성부는 내부에 제2이동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과정에서 외면이 상기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결합하여 상기 반지의 내경을 형성한다. 제1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제2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2이동통로는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이 조절된다.

Description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ring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에 관한 것이다.
반지는 과거나 현재를 망라하고 사람들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신구의 한 종류이다. 반지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반지를 미리 주문하거나, 판매장에서 원하는 반지의 디자인을 선택한 후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맞춰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지는 한 번 제작되면 그 내경이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반지 착용자의 체중변화에 따른 손가락 굵기의 변화, 반지를 착용하는 손가락의 변경 등에 대응하여 내경이 변경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반지의 내경이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보다 더 클 경우에는 반지가 헐거워져 빠지는 분실의 문제가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반지를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반지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의 마디를 통과하게 되며, 손가락의 마디는 일반적으로 반지가 착용되는 부위 보다 굵다. 따라서 반지의 내경을 정할 때 반지가 착용되는 손가락 부위 보다는 손가락 마디를 기준으로 정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반지 착용 후 반지가 손가락에서 헛도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내경이 조절되는 반지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 KR 20-0286056 "원주조절형 반지", 한국공개특허 KR 10-2011-0070931 "내경 조절용 반지"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반지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피봇(pivot) 구조를 취함으로써 반지의 크기가 증가하고 장신구로서의 미감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몸체부 내부의 제1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내경형성부를 통하여 반지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반지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와 장신구로서의 미감이 훼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몸체부 내부의 제1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내경형성부를 통하여 반지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반지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몸체부 및 내경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제1이동통로를 가진다. 상기 내경형성부는 내부에 제2이동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과정에서 외면이 상기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결합하여 상기 반지의 내경을 형성한다. 제1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제2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2이동통로는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이 조절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몸체부 내부의 제1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내경형성부를 통하여 반지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반지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내경형성부를 통하여 새로운 미감을 제공한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경형성부를 몸체부로부터 일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레이어드(layered) 반지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보석 등의 장신구를 몸체부에 체결할 수 있어 반지의 미감을 더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는 장신구와 결합과정에서 장신구의 고정부가 내경형성부를 압박할 수 있어 손가락 굵기에 맞춰진 반지의 내경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내경형성부의 외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반지의 내경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의 내경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형성부의 벌어진 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와 내경형성부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체결부를 통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와 장신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체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체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의 내경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몸체부와 내경형성부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 및 (c)는 내경형성부의 이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d) 및 (e)는 각각 (b) 및 (c) 과정에서의 틈(gap)의 간격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b) 및 (c)는 도 2의 (a)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의 (d) 및 (e)는 도 2의 (a)에 도시된 B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형성부의 벌어진 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몸체부와 내경형성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는 일례에 따른 틈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c)는 다른 예에 따른 틈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d)는 내경형성부의 외면에 형성된 제3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몸체부와 내경형성부 간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몸체부와 내경형성부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 및 (c)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경형성부의 이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d) 및 (e)는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내경형성부의 이동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b)와 (c), (d)와 (e)는 도 4의 (a)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체결부를 통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와 장신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장신구 및 몸체부와 내경형성부 간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b) 및 (c)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경형성부의 이동과정 및 장신구의 체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d) 및 (e)는 외면에 돌기가 형성된 내경형성부의 이동과정 및 장신구의 체결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b)와 (c), (d)와 (e)는 도 4의 (a)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몸체부(110) 및 내경형성부(12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체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부에 제1이동통로(110a)를 가진다. 제1이동통로(110a)는 서로 대향하는 몸체부(11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통로(110a)의 단면적은 동일하지 아니한다. 일례로, 제1이동통로(110a)의 상기 단면적은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10)의 소재로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반지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소재도 사용이 가능하다.
내경형성부(120)는 내부에 제2이동통로(120a)를 가지며,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과정에서 외면이 제1이동통로(110a)를 형성하는 몸체부(110)의 내면과 결합하여 반지(100)의 내경을 형성한다. 제2이동통로(120a)는 서로 대향하는 내경형성부(12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타측이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제1이동통로(110a)로 유입되어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한다. 제2이동통로(120a)는 반지(100)의 상기 내경을 형성한다. 이 경우,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통로(110a)의 상기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이동통로(120a)의 단면적이 변화함으로써 반지(100)의 상기 내경이 조절된다. 내경형성부(120)의 소재로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 반지의 내경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소재도 사용이 가능하다.
내경형성부(120)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고, 벌어진 틈(gap)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은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탄성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이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함으로써,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과정에서 제1이동통로(110a)의 상기 단면적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틈의 폭 또는 간격이 변화함으로써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는 탄성을 가지므로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한 이동과정에서 몸체부(110)의 단면적의 변화에 따라 압박될 수 있다.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한 이동과정에서 내경형성부(120)가 압박되더라도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틈의 간격 또는 폭이 변화함으로써, 즉 줄어듦으로써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에 가해지는 압박은 제2이동통로(120a)의 단면적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를 통하여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의 내경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한 이동과정에서 몸체부(110)의 단면적의 변화와 함께 상기 탄성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팽창은 제2이동통로(120a)의 단면적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를 통하여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의 내경을 늘릴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틈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도 3의 (b)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틈은 서로 마주보는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c)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번된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의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은 각각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틈은 상기 인터디지털 형상을 가지는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을 교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번을 통하여 내경형성부(120)가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하여 유입되는 과정에서 내경형성부(120)의 일단(122a) 및 내경형성부(120)의 타단(122b)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을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를 착용한 착용자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틈을 느끼지 못하도록 할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통로(110a)의 상기 단면적은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에서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이동통로(120a)의 상기 단면적은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함으로써 제2이동통로(120a)의 상기 단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지(100)의 내경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내경형성부(120)는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박을 받고,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팽창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이동통로(120a)의 상기 단면적은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몸체부(110)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이동통로(110a)에서의 내경형성부(12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제2이동통로(120a)이 단면적은 변화하며, 이에 따라 반지(100)의 상기 내경도 변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의 착용자는 제1이동통로(110a)에서의 내경형성부(120)의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등을 조절함으로써 반지(100)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몸체부(110)와 보다 더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경형성부(120)는 아래에서 언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은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제1외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면(124)의 단면적은 제1이동통로(110a)의 상기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타측에서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외면(124)이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의 상기 소정의 위치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일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과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의 (b) 및 (c)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 형태의 제1나사선(126)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선(126)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나사선(116)을 형성한 후 제1나사선(126) 및 제2나사선(116)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암나사 형태의 제3나사선(미도시)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3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 형태의 제4나사선(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제3나사선 및 상기 제4나사선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 형태의 제1나사선(126)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나사선(126)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나사선(116)을 형성한 후 제1나사선(126) 및 제2나사선(116)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된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간의 결합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1외면(124)에 형성된 제1나사선(126) 및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전체에 걸려 형성된 제2나사선(116)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제1나사선(126)는 제1외면(124) 이외의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나사선(126)은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나사결합을 통하여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한 제1나사선(126) 및 제2나사선(116)이 형성되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및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영역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3나사선 및 상기 제4나사선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다른 예로, 도 4의 (d) 및 (e)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기(126b)를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돌기(126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홈(116b)을 형성한 후 제1돌기(126b) 및 제1홈(116b)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홈(미도시)을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2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돌기(미도시)를 형성한 후 상기 제2홈 및 상기 제2돌기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기(126b)를 형성하고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제1돌기(126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홈(116b)을 형성한 후 제1돌기(126b) 및 제1홈(116b)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된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간의 결합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1외면(124)에 형성된 제1돌기(126b) 및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전체에 걸려 형성된 제1홈(116b)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르게는, 제1돌기(126b)는 제1외면(124) 이외의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홈(116b)은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 중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끼움결합을 통하여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한 제1돌기(126b) 및 제1홈(116b)이 형성되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 및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의 영역에는 그 제한이 없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2돌기 및 상기 제2홈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체결부(130)는 몸체부(1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장신구(10)를 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장신구(10)의 체결을 통하여 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130)는 몸체부(110)의 상기 외면과 몸체부(110)의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장신구(10)를 몸체부(110)에 체결할 수 있는 한 체결부(130)의 형상, 구조 등에는 제한이 없다.
장신구(10)는 장식물(10c)이 안착되는 안착부(10a) 및 일단이 안착부(10a)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고정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장식물(10c)은 예로서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등의 귀금속 또는 모조 귀금속 등일 수 있다. 안착부(10a)는 예로서 보석난집 등일 수 있다. 고정부(10b)는 일단이 안착부(10a)에 연결되는 관형상, 봉형상 등의 구조물일 수 있다. 장신구(10)를 체결부(13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부(10b)의 상기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후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d)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10)의 고정부(10b)를 통하여 내경형성부(120)를 제1이동통로(11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경형성부(120)에는 복수의 제3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내경형성부(120)는 내경형성부(120)의 상기 외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홈(128)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신구(10)를 체결부(130)에 체결하는 상기 과정에서 고정부(10b)의 상기 타단은 제3홈(128)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내경형성부(120) 또는 몸체부(110)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내경형성부(120)가 제1이동통로(11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에 제1이동통로(110a)의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3홈(128)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는 이해를 위한 예시로서 장신구(10)를 체결부(130)에 체결하는 상기 과정에서 고정부(10b)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는 한 제3홈(128)의 형상, 구조 등에는 제한이 없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의 착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또는 치수를 갖는 몸체부(1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1이동통로(110a)를 따라 내경형성부(120)를 몸체부(110)에 소정 깊이로 결합한 후 반지(100)를 원하는 손가락에 끼운다. 다음으로 몸체부(110)와 내경형성부(120) 간의 상대이동을 통하여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맞추어 반지(100)의 내경을 조절한다. 이를 통하여 반지(100)의 착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맞도록 반지(100)의 내경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는 반지(100)의 체결부(130)에 장신구(10)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관통홀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장신구(10)를 관통홀 형상의 체결부(13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장신구(10)의 고정부(10b)는 내경형성부(120)의 외면과 접하여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을 압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맞추어 조절한 반지(100)의 내경은 유지될 수 있다. 내경형성부(120)의 외면에 복수의 제3홈(128)을 형성하고 고정부(10b)의 타단인 자유단을 제3홈(128)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가 조절한 반지(100)의 내경은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몸체부(110) 내부의 제1이동통로(110a)를 통하여 이동하는 내경형성부(120)를 통하여 반지(100)의 내경을 조절함으로써 반지의 외형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100)는 내경형성부(120)를 통하여 새로운 미감을 제공한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몸체부(110)와 내경형성부(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제작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무늬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몸체부(110)와 내경형성부(120)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내경형성부(120)가 몸체부(110)로부터 일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반지를 착용한 듯한 레이어드(layered) 반지의 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장신구
10a : 안착부
10b : 고정부
10c : 장식물
100 :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110 : 몸체부
110a : 제1이동통로
116a : 제2나사선
116b : 제1홈
120 : 내경형성부
120a : 제2이동통로
122a : 내경형성부의 일단
122b : 내경형성부의 타단
124 : 제1외면
126a : 제1나사선
126b : 제1돌기
128 : 복수의 제3홈
130 : 체결부

Claims (10)

  1.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에 있어서,
    상기 반지는
    내부에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몸체부; 및
    내부에 제2이동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과정에서 외면이 상기 제1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결합하여 상기 반지의 내경을 형성하는 내경형성부를 포함하며,
    제1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제2이동통로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측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로 유입되어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이동통로는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동일하지 않아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이동통로의 단면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반지의 상기 내경이 조절되며,
    상기 내경형성부는 탄성을 가지고, 벌어진 틈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상기 내경형성부의 일단 및 상기 내경형성부의 타단이 상기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함으로써,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에 밀착되며,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과정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단면적이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상기 틈의 폭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단면적은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기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줄어들고,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2이동통로의 상기 단면적이 변화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단은 각각 인터디지털(interdigital)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틈은 상기 인터디지털 형상을 가지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단을 교번함으로써 얻어지되,
    상기 교번을 통하여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일단 및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단이 서로 어긋나지 아니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은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제1외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면의 단면적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상기 단면적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타측에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외면이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과 밀착되어 결합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과 결합하되,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과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수나사 형태의 제1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나사선에 대응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나사선을 형성하거나,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암나사 형태의 제3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3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 형태의 제4나사선을 형성한 후 상기 제1나사선 및 상기 제2나사선 간의 나사결합 또는 상기 제3나사선 및 상기 제4나사선 간의 나사결합을 통하여 진행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은 끼움결합을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과 결합하되,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과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의 결합은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홈을 형성하거나,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 중 적어도 일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에 상기 제2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돌기를 형성한 후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 간의 끼움결합 또는 상기 제2홈 및 상기 제2돌기 간의 끼움결합을 통하여 진행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장신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외면과 상기 몸체부의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장신구는
    장식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일단이 상기 안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신구를 상기 체결부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후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형성부는 상기 내경형성부의 상기 외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3홈을 포함하되,
    상기 장신구를 상기 체결부에 체결하는 상기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타단은 상기 제3홈에 삽입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내경형성부 또는 상기 몸체부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내경형성부가 상기 제1이동통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KR1020160039978A 2016-04-01 2016-04-01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KR101901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78A KR101901205B1 (ko) 2016-04-01 2016-04-01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PCT/KR2016/013648 WO2017171192A1 (ko) 2016-04-01 2016-11-24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978A KR101901205B1 (ko) 2016-04-01 2016-04-01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46A KR20170112646A (ko) 2017-10-12
KR101901205B1 true KR101901205B1 (ko) 2018-11-08

Family

ID=5996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978A KR101901205B1 (ko) 2016-04-01 2016-04-01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1205B1 (ko)
WO (1) WO2017171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35A1 (ko) * 2017-10-18 2019-04-25 이연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KR102139748B1 (ko) * 2017-10-18 2020-08-05 이연서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8655B2 (ja) * 2004-10-15 2012-11-07 ラブキー・ディフュージョン・エスエー 指輪のセット
KR101284755B1 (ko) * 2013-06-18 2013-07-17 김덕진 치수 가변형 반지
US20140326022A1 (en) * 2013-05-01 2014-11-06 Tosyali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220A (en) * 1983-02-22 1985-05-28 Burrell Lynn M Interchangeable jewelry having securing means
TR200903654A2 (tr) * 2009-05-11 2010-03-22 Akdemi̇r Edi̇p Çoklu ölçü ayarlanabililik özelliğine sahip bir yüzük ve bu işlem için bir metot
ITMI20130145U1 (it) * 2013-04-15 2014-10-16 Massimo Podda Anello con struttura rigida ma foro di diametro variab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8655B2 (ja) * 2004-10-15 2012-11-07 ラブキー・ディフュージョン・エスエー 指輪のセット
US20140326022A1 (en) * 2013-05-01 2014-11-06 Tosyali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ring
KR101284755B1 (ko) * 2013-06-18 2013-07-17 김덕진 치수 가변형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1192A1 (ko) 2017-10-05
KR20170112646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8521S1 (en) Bangle bracelet with charms
KR101536879B1 (ko) 시계의 나사식 요소를 배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US20140326022A1 (en) Adjustable ring
KR101901205B1 (ko) 내경 조절이 가능한 반지
US6701618B2 (en) Two piece ring with finger grip groov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8523328A (zh) 包含镶贴在刚性镂空结构下的衬件的便于携带的装饰件
KR101905594B1 (ko) 장식 줄의 길이를 조절 가능한 장신구
KR101005684B1 (ko) 장신구 연결핀
JP2014158633A (ja) フリーサイズ装身具
CN104082922B (zh) 可拆卸戒指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102139748B1 (ko) 탈부착 가능한 장신구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US9918529B2 (en) Joining mechanism for jewelry ring and band set
KR20110085685A (ko) 이중반지 및 그 제작방법
CN203814757U (zh) 可拆卸戒指
KR101894949B1 (ko) 탈부착 가능한 반지
KR102069296B1 (ko) 상감방식의 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장신구
US20170332746A1 (en) Ring sizing system
US20050268650A1 (en) Jewellery structure with high flexibility of use
KR200373539Y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CN207152081U (zh) 首饰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0465891Y1 (ko) 손가락 마디가 굵은 사용자를 위한 고정형 반지 세트
CN211048576U (zh) 一种新型的具有两种佩戴方式的珠宝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