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406B1 -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406B1
KR101485406B1 KR20140177621A KR20140177621A KR101485406B1 KR 101485406 B1 KR101485406 B1 KR 101485406B1 KR 20140177621 A KR20140177621 A KR 20140177621A KR 20140177621 A KR20140177621 A KR 20140177621A KR 101485406 B1 KR101485406 B1 KR 101485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fork
coupling
bead
spa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봉
Original Assignee
최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봉 filed Critical 최원봉
Priority to KR20140177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장신구 본체부;및 상기 장신구 본체와 결합되는 장식 또는 문양이 형성된 장식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설되며, 서로 겹쳐져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체결부;및 상기 이격된 공간 내부에 놓인 구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에는 두개이상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는 두개이상의 U자 형태의 소리굽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하단 일측에 상기 결합홈과 체결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슬부는 추가로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경도를 높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에서 상기 소리굽쇠와 충돌하면서 음향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소리굽쇠의 길이에 대한 두께의 비율(t/l)은 0.8 내지 1.2 , 상기 소리굽쇠간 간격에 대한 구슬부의 지름 비율(d/w)은 0.6 내지 0.9 이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 및 장식부와 제 1 및 제 2 체결부 및 구슬부는 모두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 본체부와 장식부는 용접 또는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ACCESSARY WITH AUDITORY EFFECT}
본 발명은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 내부에 이종 금속으로 이루어진 구슬부가 부딪히며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또는 남성들이 자신만의 개성표현과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반지, 팔찌, 목걸이, 귀걸이, 발찌 등의 장식구를 많이 이용한다.
특히 반지(斑指)는 금, 은과 같은 귀금속이나 장식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손가락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장신구(Accessory) 중의 하나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지는 초기에는 특정 세력의 권위나 충성의 상징 또는 사회적인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장식이나 문양이 가미되지 않은 심플(Simple)한 형태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반지에 에메랄드, 루비, 다이아몬드 등 각종 보석들이 부착되거나 선각(線刻), 투각(透刻), 오목새김법 등의 새김장식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는 등 가지각색의 반지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반지는 기도 등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묵주반지, 지압을 통한 통증치료나 피로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지압반지, 예물반지, 커플링(Coupling) 등 그 기능(機能)이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는 각종 향기를 발산하는 향수가 개발되면서 신체나 의복 일부에 향수를 뿌려 향기를 발산시키거나, 분말 또는 방향제가 도포된 박판상의 향주머니 등을 휴대하여 향기를 발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에 삽입함으로써 후각적 효과를 갖는 장신구가 상품화되어 출시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후각적 효과를 내는 장신구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2745호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771호에서 장신구 내부에 향기나는 물질을 삽입한 장신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9930호에서는 장신구내에 천연 광물질을 삽입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장신구를 개발하여 건강증진을 꾀하는 장신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9092호에서는 장신구 내부에 조각물을 삽입하여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청각적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이용자에게 색다른 매력을 줄 수 있는 장신구에 대해서는 구현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 20-2014-0005771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52745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29930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6909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신구 내부에 동종 또는 이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와 구슬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슬부가 상기 체결부에 부딪히며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체결부와 구슬부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 경도 차이를 두어서 장신구 내부에 조립, 삽입 하여 구슬부의 흔들림과 두드림 현상에 의해 청각적인 요소를 더하여 일상생활의 작은 움직임에도 독특한 음색의 소리를 은은하게 발생하는 장신구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한층 더 색다르고 매력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마련된 장신구 본체부;및 상기 장신구 본체와 결합되는 장식 또는 문양이 형성된 장식부;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삽설되며, 서로 겹쳐져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체결부;및 상기 이격된 공간 내부에 놓인 구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에는 두개이상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는 두개이상의 U자 형태의 소리굽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 하단 일측에 상기 결합홈과 체결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슬부는 추가로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경도를 높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의 이격된 공간 내에서 상기 소리굽쇠와 충돌하면서 음향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소리굽쇠의 길이(l)에 대한 두께(t)의 비율(t/l)은 0.8 내지 1.2 , 상기 소리굽쇠간 간격(w)에 대한 구슬부의 지름(d) 비율(d/w)은 0.6 내지 0.9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신구 본체 및 장식부와 제 1 및 제 2 체결부 및 구슬부는 모두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식부 본체부와 장식부는 용접 또는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장신구 내부에서 구슬부와 체결부의 소리굽쇠가 부딪혀 음향효과를 갖춤으로써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신구를 사용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작은 움직임에도 독특한 음색의 소리를 은은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이용자에게 한층 더 색다르고 매력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로 인해 이용자만의 개성표현과 미적인 아름다움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구성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제 1 및 제 2 체결부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장신구 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장신구 본체와 장식부 측면의 결합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장신구 본체와 장식부 정면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완성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100)의 구성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100)의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은 장신구 본체부(10), 장식부(20), 체결부(30), 구슬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 본체부(10)는 링형상의 반지 형태로, 링의 외주연 일측 상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10)는 장신구의 종류(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은 차후 설명될 체결부(30)가 삽설될 위치로, 내부공간(11) 하부에는 두개이상의 결합홈(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홈(12)은 차후 설명될 체결부(30) 일측 하단에 구비된 결합돌기(31)가 체결되는 곳으로, 원통형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는 결합돌기(31)와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한 체결부(30)의 고정력을 높임으로써 안전적인 음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장식부(20)는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외부면 상단에 장식 또는 문양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와 장식부(20) 결합은 용접 또는 끼움으로 결합한다.
상기 체결부(30)는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의 내부공간(11)에 삽설되며, 제 1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는 두개이상의 U자 형태의 소리굽쇠 조합으로, 각 체결부(30) 일측에 구비된 결합축(33)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12)과 체결되는 결합돌기(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는 서로 겹쳐져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그 공간에는 차후 설명될 구슬부(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1 체결부(30a)는 하단에 구비된 결합돌기(31)를 포함하는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일정간격마다 좌우로 가지를 뻗친 3단 구조로, 각 가지의 끝단에는 소리굽쇠(3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30a)의 1단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가지를 가지며, 각각의 가지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리굽쇠(32)가 위치하며, 상기 소리굽쇠(32)는 상기 내부공간(11) 하부면과 평행하게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부(30a)의 2단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가지를 가지며, 상기 1단의 좌우 가지길이보다 더 짧은 가지길이를 갖는다.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가지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는 소리굽쇠(32)는 상기 내부공간(11)의 하부면과 수직이면서 차후 설명될 상기 제 2 체결부(30b)와의 이격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된다.
또한, 제 1 체결부(30a)의 3단은 상기 제 1 체결부(30a)의 1단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제 1체결부(30a) 2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체결부(30a)의 1단과 대칭구조를 갖는다.
상기 각단의 좌우 가지 끝단에 놓이는 소리굽쇠(32)는 각각의 소리굽쇠(32) 끝단 길이에 차이를 두어 차후 설명될 구슬부(40)의 이동에 따른 음의 높낮이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30a)의 소리굽쇠(32) 끝단 길이의 차이는 차후 설명될 제 2 체결부(30b)의 소리굽쇠(32)와 서로 마주보며 겹쳐져 결합됨으로써 구슬부(40)의 이탈이 가능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제 2 체결부(30b)는 일측에 구비된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일정간격마다 좌우로 가지를 뻗친 3단 구조로, 각 가지의 끝단에는 소리굽쇠(3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30b)의 1단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하는 가지 뿐만 아니라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전방부를 향하는 가지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 제 2 체결부(30b) 1단의 좌우 대칭인 가지 끝단에는 상기 소리굽쇠(32)가 상기 제 1 체결부(30a)와의 이격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소리굽쇠(32)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축(33) 기준으로 전방부를 향하는 가지는 그 가지 끝단에 상기 내부공간(11) 하부면과 평행하게 소리굽쇠(3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30b) 2단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가지를 가지며, 그 가지 각각의 끝단에 위치하는 소리굽쇠(32)는 상기 내부공간(11)의 하부면과 수직이면서 상기 제 1 체결부(30a)와의 이격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부(30b) 3단은 상기 제 2 체결부(30b)의 1단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제 2체결부(30b) 2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체결부(30b)의 1단과 대칭구조를 갖는다.
상기 각각의 체결부(30) 소리굽쇠(32)간 간격사이에는 제 1 체결부(30a) 및 제 2 체결부(30b)의 소리굽쇠(32)가 서로 이격되게 겹쳐져 이격공간을 형성해야 하므로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하나, 차후 설명될 구슬부(40)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결부(30a) 및 제 2 체결부(30b)의 소리굽쇠(32)의 길이와 두께에 따른 음색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그러한 요소를 감안한 범위이여야 한다.
이러한 요소는 차후 설명될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서 적정범위를 선정한 결과, 상기 소리굽쇠(32) 길이(l)에 대한 소리굽쇠(32) 두께(t)의 비율, t/l을 0.08 ~ 0.12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l 값이 0.08 미만이면, 상기 소리굽쇠(32)의 세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후 설명될 구슬부(4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색이 날카롭게 들려 최상의 청각적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또한, t/l 값이 0.12 이상이면, 상기 소리굽쇠(32)의 외관이 세밀하지 못하여 심미성이 떨어지며 차후 설명될 구슬부(4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색 또한 둔탁하게 들려 최상의 청각적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점이 발생한다.
상기 구슬부(40)는 구형으로, 상기 체결부(30)가 서로 겹쳐져 이격된 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흔들림이나 두드림에 따른 이동으로 상기 소리굽쇠(32)와 충돌하면서 음향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슬부(40)는 소리굽쇠(32)내에서의 충돌로 음향을 발생하는 만큼 상기 소리굽쇠(32)간의 간격과 구슬부(40)의 크기에 따라 다른 음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요소를 차후 설명될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서 적정범위를 선정한 결과, 상기 소리굽쇠(32)간의 간격(w)에 대한 구슬부(40) 지름(d)의 비율, d/w이 0.6 ~0.9 이내가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상기 d/w 값이 0.6 미만이면, 상기 구슬부(40) 지름 대비 상기 소리굽쇠(32)간 간격이 크게 되어 상기 구슬부(40)가 상기 체결부(30)간 겹쳐져 형성된 이격된 공간을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d/w 값이 0.9 이상이면, 상기 구슬부(40)지름 대비 상기 소리굽쇠(32)간 간격이 조밀하여 세공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소리 전달력에 문제를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신구 본체부(10), 장식부(20), 체결부(30), 구슬부(40)는 모두 같거나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종류로는 시중의 장신구 재질로 사용하는 금, 은, 백금 또는 이의 합금류, 동, 황동, 단동, 청동, 백동, 양백, 철류, 알루미늄, 티타늄, 보석류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제 1 및 제 2 체결부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겹쳐져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여 그 공간내에 구슬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결부(30)간의 결합은 제 1 체결부(30a) 와 제 2 체결부(30b)의 소리굽쇠(32)사이사이로 엇갈려 규칙적으로 겹쳐짐으로써 상기 소리굽쇠(32)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구슬부(4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슬부(40)의 움직임에 의한 소리 발생에 균일한 음색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장신구 본체와 체결부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가 상기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고 겹쳐져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의 내부공간(11)에 삽설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와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의 결합은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의 내부공간(11) 하부면에 구비된 두개이상의 결합홈(12)과 각 체결부(30) 일측의 결합축(33) 하단에 구비된 결합돌기(31)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결합방법으로는 상기 제 1 체결부(30a)내 결합돌기(31)와 하나의 결합홈(12)이 먼저 결합한 후, 그 내부에 구슬부(4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제 2 체결부(30b)내 결합돌기(31)와 또 다른 결합홈(12)이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를 각각의 결합축(33)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구슬부(40)를 놓고 겹침으로써 상기 체결부(30)간 이격된 공간내에 구슬부(4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체결부(30)의 결합축(33) 하단에 구비된 결합돌기(31)가 상기 장신구 본체부(10) 내부공간(11)내 결합홈(12)과 결합하는 방법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장신구 본체와 장식부의 결합단면도로, 측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신구 본체부(10) 내부공간(11)에 상기 제 1 체결부(30a)와 제 2 체결부(30b)의 이격된 공간에 구슬부(40)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30)를 삽설하여 결합시킨 후, 상기 장식부(20)를 상기 장신구 본체부(10)와 결합시킴으로써 청각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를 완성한다.
상기 장식부(20)와 장식구 본체부(10)와의 결합 방법은 용접 및 끼움 결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통상의 기술자들이 세공시 사용하는 방법은 모두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의 완성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체결부(30)에 구비된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조건을 소리굽쇠(32) 두께(t) 0.6mm, 소리굽쇠(32) 길이(l) 8mm, 소리굽쇠(32)간 간격(w) 5mm, 구슬부(40) 지름(d) 3mm 로 제작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제작된 체결부(30)내에 상기 조건의 구슬(40)부를 삽입하여 장신구 본체부(10)에 체결시킨 후 장식부(20)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완성사진처럼 반지(100)를 제작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제작된 반지(100)는 실험군으로 선정된 20 ~ 40대 여성 20명의 피실험자을 대상으로 청각적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는 상기 피실험자에게 상기의 반지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부딪히는 소리를 들려주고 청각적 효과를 수치로 표현하게 하였다.
상기 청각적 효과의 수치화는 청아하여 듣기 매우 좋으면 5점, 그냥 듣기 좋으면 4점, 보통이면 3점, 듣기 부담스러우면 2점, 매우 듣기 싫으면 1점을 주게 한 후, 상기 피실험자로부터 얻은 수치 결과의 평균값이 4점 이상이면 A(매우 좋음), 3점이면 B(보통), 2점 이하이면 C(좋지 않음)단계로 구분하였다.
상기의 체결부(30)에 구비된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조건을 소리굽쇠(32) 두께(t) 0.9mm, 소리굽쇠(32) 길이(l) 8mm, 소리굽쇠(32)간 간격(w) 5mm, 구슬부(40) 지름(d) 4.5mm 로 제작하였다.
상기의 조건으로 제작된 반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조사하였다.
[비교예 1]
상기의 체결부(30)에 구비된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조건을 소리굽쇠(32) 두께(t) 0.4mm, 소리굽쇠(32) 길이(l) 8mm, 소리굽쇠(32)간 간격(w) 5mm, 구슬부(40) 지름(d) 2mm 로 제작하였다.
상기의 조건으로 제작된 반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조사하였다.
[비교예 2]
상기의 체결부(30)에 구비된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조건을 소리굽쇠(32) 두께(t) 1mm, 소리굽쇠(32) 길이(l) 8mm, 소리굽쇠(32)간 간격(w) 5mm, 구슬부(40) 지름(d) 5mm 로 제작하였다.
상기의 조건으로 제작된 반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조사하였다.
[비교예 3]
상기의 체결부(30)에 구비된 소리굽쇠(32)와 구슬부(40)의 조건을 소리굽쇠(32) 두께(t) 1.3mm, 소리굽쇠(32) 길이(l) 8mm, 소리굽쇠(32)간 간격(w) 5mm, 구슬부(40) 지름(d) 6mm 로 제작하였다.
상기의 조건으로 제작된 반지를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소리굽쇠 길이(l)에 대한 소리굽쇠 두께(t)의 비율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조사하여 나타낸 결과표이다.
소리굽쇠두께(t/mm) 소리굽쇠길이(l/mm) t/l 청각적 효과
실시예 1 0.6 8 0.08 A
실시예 2 0.9 8 0.11 A
비교예 1 0.4 8 0.05 C
비교예 2 1 8 0.13 B
비교예 3 1.3 8 0.16 C
( A ; 매우 좋음, B ; 보통, C ; 좋지 않음 )
즉,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는 소리굽쇠 길이에 대한 소리굽쇠의 두께 비율을 0.08 ~ 0.12 이내에서 일어나야 듣기에 거슬리지 않고 청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소리굽쇠간 간격(w)에 대한 구슬부 지름(d)의 비율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조사하여 나타낸 결과표이다.
구슬부 지름(d/mm) 소리굽쇠간 간격(w/mm) 비율(d/w) 청각적 효과
실시 예 1 3 5 0.6 A
실시 예 2 4.5 5 0.9 A
비교 예 1 2 5 0.4 C
비교 예 2 5 5 1 B
비교 예 3 6 5 1.2 C
( A ; 매우 좋음, B ; 보통, C ; 좋지 않음 )
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는 소리굽쇠간 간격에 대한 구슬부의 지름 비율을 0.6 내지 0.9에서 일어나야 듣기에 거슬리지 않고 청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로 상기 체결부(30)내 소리굽쇠(32) 길이에 대한 소리굽쇠(32)의 두께비율은 0.08 내지 0.12로 하고, 상기 소리굽쇠(32)간 간격에 대한 구슬부(40) 지름의 비율은 0.6 내지 0.9로 함으로써 최적의 청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상기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장신구 본체부
11 ; 내부공간
12 ; 결합홈
20 ; 장식부
30a ; 제 1 체결부
30b ; 제 2 체결부
31 ; 결합돌기
32 ; 소리굽쇠
33 ; 결합축
40 ; 구슬부

Claims (6)

  1. 내부공간이 마련된 장신구 본체부;
    상기 장신구 본체부와 결합되는 장식 또는 문양이 형성된 장식부;
    상기 내부공간에 삽설되며 서로 겹쳐져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체결부;
    상기 이격된 공간 내부에 놓인 구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는 두개이상의 U자 형태의 소리굽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슬부가 상기 이격된 공간 내에서 상기 소리굽쇠와 충돌하면서 음향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 하부에는 두개 이상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과 체결되는 결합돌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 하단 일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본체부 및 장식부와 제 1 및 제 2 체결부 및 구슬부는 모두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부는 추가로 열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경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 본체부와 장식부는 용접 또는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굽쇠의 길이에 대한 두께의 비율(t/l)은 0.8 내지 1.2이며, 소리굽쇠간 간격에 대한 구슬부의 지름 비율(d/w)은 0.6 내지 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KR20140177621A 2014-12-10 2014-12-10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KR101485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621A KR101485406B1 (ko) 2014-12-10 2014-12-10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7621A KR101485406B1 (ko) 2014-12-10 2014-12-10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406B1 true KR101485406B1 (ko) 2015-01-26

Family

ID=5259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7621A KR101485406B1 (ko) 2014-12-10 2014-12-10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026B1 (ko) * 2018-10-04 2019-10-07 김태우 회전이 가능한 반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08A (ja) * 1997-07-04 1999-01-26 Buiinet:Kk 鈴装置
KR20060029220A (ko) * 2002-07-02 2006-04-05 마를레네 뫼르스 악기용 액세서리, 구성요소, 및 작동부품
JP2007167049A (ja) 2005-12-23 2007-07-05 Nosaku:Kk 熊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08A (ja) * 1997-07-04 1999-01-26 Buiinet:Kk 鈴装置
KR20060029220A (ko) * 2002-07-02 2006-04-05 마를레네 뫼르스 악기용 액세서리, 구성요소, 및 작동부품
JP2007167049A (ja) 2005-12-23 2007-07-05 Nosaku:Kk 熊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026B1 (ko) * 2018-10-04 2019-10-07 김태우 회전이 가능한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76740S1 (en) Bracelet
US6145341A (en) Uniquely mating jewelry items made from gems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101485406B1 (ko)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102359670B1 (ko) 저중량 대비 입체 볼륨감 상승 구조와 다표현 연출 구조의 세팅이 가능한 멀티 할로우 장식 제조방법
KR20120035660A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US1308894A (en) Punoobaph co
KR101594064B1 (ko)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RU2217029C1 (ru) Составной набор ювелирных украшений (геленки)
KR200339649Y1 (ko) 장신구용 펜던트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CN210747640U (zh) 一种钟表多运用钻石不出轨道首饰
KR102293182B1 (ko) 입체의 표현성과 조립 결합성 및 장식 강도와 디자인성이 우수한 장신구용 입체 장식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967202B1 (ko) 디자인 확장성을 갖는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JP2019084252A (ja) 装身具
JP3202617U (ja) とんぼ玉及びアクセサリー
JP3009311U (ja) ダイヤモンドを嵌着した真珠装飾品
US5743114A (en) Free standing ear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JPH06311908A (ja) 管状の外観を持つ装身具類
JP3083543U (ja) 装身具
JP3084579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