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550B1 -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550B1
KR102015550B1 KR1020170140235A KR20170140235A KR102015550B1 KR 102015550 B1 KR102015550 B1 KR 102015550B1 KR 1020170140235 A KR1020170140235 A KR 1020170140235A KR 20170140235 A KR20170140235 A KR 20170140235A KR 102015550 B1 KR102015550 B1 KR 10201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
screw
screw case
fluidized bed
bed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434A (ko
Inventor
배달희
박영철
진경태
선도원
박재현
문종호
조성호
이동호
이효진
이도연
이승용
신종선
류호정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5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1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700/00Ash removal, handling and treatment means; 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Ash removal means for incinerators
    • F23J2700/002Ash and slag handling in pulverulent fuel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스크류케이스; 상기 스크류케이스 상단에 설치되어 회가 유입되는 1 개 이상의 회 유입구; 상기 스크류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회를 배출하는 회 배출구; 및 상기 스크류케이스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케이스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스는 상기 회 배출구 측이 회 유입구 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하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고체(회)와 함께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고체(회)의 역류를 역슬립 방지 패드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체(회)가 유동층으로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에 설치된 투명한 점검구를 통하여 회가 원활하게 이송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 배출 장치의 이송 스크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가 마모 등을 원인으로 손상 시에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ASH EMISSION DEVICE GENERATED IN A FLUID BED COMBUSTION DEVICE AND METHOD OF ASH EMISS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boiler)는 연료를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물에 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화력발전용·선박 등의 동력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증기터빈에 고온고압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나 각종 공장의 작업용으로, 또는 일반의 난방용 등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일러의 주요부는 물과 증기를 담는 강철제용기(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화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된 보일러에서 연소되는 연료로는 화석 연료인 석탄, 액체인 석유, 그리고 기체인 도시 가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탄 및 석유는 그 매장량이 제한되어 있어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끝내는 그 자원이 고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시 가스의 경우에는 기체이기 때문에 이송 및 보관이 어렵고, 각 가정이나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관 등의 시설물이 필요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폭발 등의 위험이 항상 상존한다.
이에, 왕겨, 통밥, 잡목, 그리고 목재 칩 등의 저렴하고 연소 가능한 고체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가 개발되고 있다. 고체 연료는 열량이 석탄, 석유 등과 비교하여 떨어지고, 연소가 어려워 연소에 따른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목재를 압축하여 발열량이 높은 우드 팰릿(wood pellet)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드 팰릿은 폐목재 등을 톱밥 형태로 분쇄한 후에 압축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반 나무보다 발열량이 높고 연소율도 95%에 달해 잔해를 거의 남기지 않는다.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2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이, 고체 연료도 발열량을 높이면서 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보일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 연료는 연소 시에 회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나, 필연적으로 회가 발생됨에 따라 보일러의 내부에는 회를 배출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회 배출 장치는 통상적으로 보일러에 고체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되는 유동층 연소 장치의 하부에 스크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스크류는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연소되는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 배출장치는 이송되는 회 및 회에 함유된 이물질(금속, 무기물 등)과 케이스의 마찰을 줄여 동력을 줄이기 위해 상부가 수평이고 하부는 반원형의 U자 형태의 케이스로 제작되며, 고온(700도 이상)의 회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이중 자켓의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회 배출과정에서 유동가스가 혼합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화재를 예방하고, 배출된 회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상차 또는 회 사일로)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경사(10~45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유동층 회 배출 장치는 유동물질과 회 배출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가스가 회와 함께 상기 회 배출 장치로 공급된 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고체(회 또는 이송물질)를 이용하여 가스의 흐름을 밀폐시키기 위해 경사로 스크류를 설치하게 되면 일부 회(고체)가 상기 스크류가 밀어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역류가 일어나 상기 연소 장치 방향으로 재역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상기 회 배출 장치에 역슬립 방지 패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회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3459호는 재 이송용 스크류콘베이어의 냉각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스크류케이스(12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상단에 설치되어 회가 유입되는 1 개 이상의 회 유입구(11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130);
상기 이송 스크류(130)에 의해 이송된 회를 배출하는 회 배출구(140); 및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16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상기 회 배출구(140) 측이 회 유입구(110) 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하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고체(회)와 함께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고체(회)의 역류를 역슬립 방지 패드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체(회)가 유동층으로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에 설치된 투명한 점검구를 통하여 회가 원활하게 이송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 배출 장치의 이송 스크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외부면에 탈부착 가능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가 마모 등을 원인으로 손상 시에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 배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 배출 장치의 상부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역슬립 방지 패드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역슬립 방지 패드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역슬립 방지 패드가 스크류케이스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스크류 및 역슬립 방지패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회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스크류케이스(12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상단에 설치되어 회가 유입되는 1 개 이상의 회 유입구(11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130);
상기 이송 스크류(130)에 의해 이송된 회를 배출하는 회 배출구(140); 및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16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상기 회 배출구(140) 측이 회 유입구(110) 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101)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101)에 대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유동층 연소란 현재까지 개발된 연소기술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석탄연소이용 방식으로서 석탄을 적당하게 분쇄하여 만든 석탄 입자들과 석회석과 같은 유동 매체의 혼합가루층에 적정속도의 공기를 불어 넣어 부유유동층(Suspended Fluidzed Bed)상태로 만들어 연소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유동층 연소는 독특한 연소 원리 때문에 재래식 석탄연소 기술에 비하여 여러 가지 석탄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연소 시 비교적 안정성을 잘 유지시킬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도 연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질 연탄이나 원탄 폐석까지도 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석회석의 엉겨 붙음을 막으며 그 때문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유동층에 투입된 석탄은 비활성 층물질과 혼합되어 연소된 후에 굵은 회분은 층하부 혹은 분산판에 설치된 하부 회 배출구로 유출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회 배출 장치(101)는 상기 하부 회 배출구로 유출된 회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상기 회 배출 장치(101)는 회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스크류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류케이스(120)의 상단에는 회가 유입되는 1 개 이상의 회 유입구(1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회가 배출되는 회 배출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 유입구(110)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설치될 경우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회 유입구(1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동층 연소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층 연소장치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회 배출구와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상기 회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1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류로서 샤프트(190) 및 상기 샤프트 외부면에 형성된 블레이드(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블레이드(200) 간의 간격은 상기 회 배출구(140)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 배출 장치(101)가 복수 개의 회 유입구(110)를 가질 경우 회 배출구(140) 측으로 갈수록 이송해야 하는 회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200) 간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 배출구(140) 측이 회 유입구(110) 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류케이스(120)가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회와 함께 필수적으로 동반되어 유입되는 가스의 역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가 역슬립되어 상기 회 유입구(110)를 통하여 다시 역류할 경우 유동층 연소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경사로 인하여 상기 회가 스크류케이스(120) 및 유입구(110)의 연결부분에 쌓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스가 상기 유입구(110) 부분으로 역류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 상단에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16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측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정면을 나타내며, 도 3c는 상기 이송 스크류(130)와 접해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는 상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일자의 형태를 가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정면은 상부는 수평이고, 하부는 호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및 하부는 면으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하부가 상기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200)와 간극을 형성하여 접해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는 회 이송 방향으로는 개폐가 가능하나 그 역방향으로는 개폐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피가 큰 이물질을 일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또는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 배출 장치(101)는 스크류케이스(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1 개 이상의 투명한 점검구(150)가 상기 스크류케이스(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검구(150)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든 제한이 없으나, 상기 회 배출 장치(101)의 작동 온도 및 압력 등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검구(150)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형태에도 제한이 없으며, 작업자가 충분히 스크류케이스(120)의 내부 즉, 이송 스크류(13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다만, 상기 점검구(150)가 다수 설치되어 있을수록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국부적 마모 손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 배출 장치(101)는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는 어떠한 형태이든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냉각수 유입구(170) 및 배출구(180)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어 회를 이송하면서 발생하는 이송 스크류(130)의 열을 냉각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는 이중자켓의 형태로서 상기 이중자켓의 내부는 이송 스크류(130)에 의한 회 이송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는 냉각수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각 장치가 없을 경우, 상기 연소장치의 내부에서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이 이송 스크류(130)에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회의 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역류와 불완전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교체를 위해서 연소장치를 중단한 상태로 작업자가 교체 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온도가 저하되는 시간을 기다린 후에 파손된 이송 스크류(130)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온도 저하에 따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스크류(130)를 통하여 이송된 회는 회 배출구(140)를 통하여 상기 회 배출 장치(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 배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유동층 연소장치에 투입된 석탄은 비활성 층물질과 혼합되어 연소된 후에 굵은 회분은 층하부 혹은 분산판에 설치된 하부 회 배출구로 유출되게 되는데 상기 유출된 회가 스크류케이스(120)의 상단에 설치된 회 유입구(11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 배출 장치(101)의 스크류케이스(120)에 유입된다.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회 유입구(110)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설치될 경우 각각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스크류케이스(120)에 유입된 회는 이송 스크류(130)를 통하여 상기 회 배출 장치(101)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130)는 상기 회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스크류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류(1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류로서 샤프트(190) 및 상기 샤프트 외부면에 형성된 블레이드(2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블레이드(200) 간의 간격은 상기 회 배출구(140)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 배출 장치(101)가 복수 개의 회 유입구(110)를 가질 경우 회 배출구(140) 측으로 갈수록 이송해야 하는 회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200) 간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회 배출구(140) 측이 회 유입구(110) 측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류케이스(120)가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회와 함께 필수적으로 동반되어 유입되는 가스의 역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가 역슬립되어 상기 회 유입구(110)를 통하여 다시 역류할 경우 유동층 연소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경사로 인하여 상기 회가 스크류케이스(120) 및 유입구(110)의 연결부분에 쌓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스가 상기 유입구(110) 부분으로 역류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 상단에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16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측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정면을 나타내며, 도 3c는 상기 이송 스크류(130)와 접해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는 상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일자의 형태를 가진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정면은 상부는 수평이고, 하부는 호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부 및 하부는 면으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하부가 상기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200)와 간극을 형성하여 접해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는 회 이송 방향으로는 개폐가 가능하나 그 역방향으로는 개폐가 불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피가 큰 이물질을 일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또는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 배출 장치(101)는 스크류케이스(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1 개 이상의 투명한 점검구(150)가 상기 스크류케이스(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검구(150)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든 제한이 없으나, 상기 회 배출 장치(101)의 작동 온도 및 압력 등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검구(150)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형태에도 제한이 없으며, 작업자가 충분히 스크류케이스(120)의 내부 즉, 이송 스크류(13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다만, 상기 점검구(150)가 다수 설치되어 있을수록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국부적 마모 손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회 배출 장치(101)는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는 어떠한 형태이든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냉각수 유입구(170) 및 배출구(180)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어 회를 이송하면서 발생하는 이송 스크류(130)의 열을 냉각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는 이중자켓의 형태로서 상기 이중자켓의 내부는 이송 스크류(130)에 의한 회 이송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에는 냉각수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각 장치가 없을 경우, 상기 연소장치의 내부에서 고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이 이송 스크류(130)에 지속적으로 전달되어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회의 배출이 중단된 상태에서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역류와 불완전 연소가 발생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교체를 위해서 연소장치를 중단한 상태로 작업자가 교체 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온도가 저하되는 시간을 기다린 후에 파손된 이송 스크류(130)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온도 저하에 따른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냉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 스크류(130)를 통하여 이송된 회는 회 배출구(140)를 통하여 상기 회 배출 장치(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101: 회 배출 장치
110: 회 유입구
120: 스크류케이스
130: 이송 스크류
140: 회 배출구
150: 점검구
160: 역슬립 방지 패드
170: 냉각수 유입구
180: 냉각수 배출구
190: 샤프트
200: 블레이드

Claims (8)

  1. 회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스크류케이스(12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상단에 설치되어 회가 유입되는 1 개 이상의 회 유입구(110);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회를 일측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130);
    상기 이송 스크류(130)에 의해 이송된 회를 배출하는 회 배출구(140); 및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으로 이송되는 회의 역슬립을 방지하는 1 개 이상의 역슬립 방지 패드(16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하부면은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U”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스크류케이스(120)는 상기 회 배출구(140) 측이 회 유입구(110) 측보다 높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는 상부는 수평이고 하부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130)는 샤프트(190) 및 상기 샤프트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탈부착 가능한 블레이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의 하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블레이드(200)와 간극을 형성하여 접해있으며,
    상기 역슬립 방지 패드(160)에 의해, 상기 유동층 연소장치로부터 유입되는 회 및 상기 회와 함께 유입되는 가스의 역류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130)의 블레이드(200) 간의 간격이 상기 회 배출구(140)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인,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 배출 장치는 상기 스크류케이스(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크류케이스(12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1 개 이상의 투명한 점검구(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 배출 장치는 상기 스크류케이스(120)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8. 제1항의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0170140235A 2017-10-26 2017-10-26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01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35A KR102015550B1 (ko) 2017-10-26 2017-10-26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35A KR102015550B1 (ko) 2017-10-26 2017-10-26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34A KR20190046434A (ko) 2019-05-07
KR102015550B1 true KR102015550B1 (ko) 2019-08-28

Family

ID=6665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35A KR102015550B1 (ko) 2017-10-26 2017-10-26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259B1 (ko) 2022-11-17 2023-05-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바이오매스 반탄화물의 냉각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751B1 (ko) * 2010-02-12 2011-11-09 주식회사 로얄정공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KR200468813Y1 (ko) * 2012-12-31 2013-09-03 (주)태광프랜트 애쉬 쿨링 스크류 피이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09954C (en) * 1987-07-29 1992-11-10 Yasuo Yamada Deaerator for particulates
KR101129636B1 (ko) * 2010-08-20 2012-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량조절 기능을 가지는 역류방지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751B1 (ko) * 2010-02-12 2011-11-09 주식회사 로얄정공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KR200468813Y1 (ko) * 2012-12-31 2013-09-03 (주)태광프랜트 애쉬 쿨링 스크류 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34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9670A1 (zh) 生物质循环流化床锅炉掺烧燃煤飞灰方法及其设备
JP6592304B2 (ja) バイオマス利用方法及び装置
Simonov et al. Catalytic heat-generating units for industrial heating
CN104981660A (zh) 空冷式燃烧炉设备
CN208139283U (zh) 风夹套冷却式刮板出渣机
KR200445277Y1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102015550B1 (ko)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CN101881433A (zh) 燃生物质蒸汽锅炉
JP4825589B2 (ja) バイオマス発電施設にて発生する熱利用方法
JP2017145972A (ja) 固体粒子回収装置及び流動層ボイラ設備
KR101263770B1 (ko) 고체 연료 보일러용 재 배출 장치
CN203880691U (zh) 无烟囱多功能燃油燃气锅炉
KR102169127B1 (ko) 바이콘형 폐기물 압축 및 분쇄 장치 및 폐기물 예비 건조장치가 구비된 스토커식 소각로
KR102049539B1 (ko)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재활용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재활용 방법
CN205448287U (zh) 多燃料热管间接加热热风炉
CN210088913U (zh) 一种用于防止燃煤锅炉结焦的火检冷却风系统
CN209130857U (zh) 木屑燃料锅炉燃烧系统
CN102650426A (zh) 水冷炉排燃烧器
CN102721040B (zh) 一种炉前分选气化再燃降低NOx层燃设备
CN107990310B (zh) 一种流化床锅炉的低温返料系统
KR101280057B1 (ko) 연소재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20100132810A (ko) 톱밥 보일러
CN204730188U (zh) 一种气化炉滤饼的综合处理装置
JP6345139B2 (ja) ガスエンジンシステム
Granatstein Case study on BIOCOCOMB biomass gasification project Zeltweg power station, Aust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