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751B1 -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751B1
KR101081751B1 KR1020100013139A KR20100013139A KR101081751B1 KR 101081751 B1 KR101081751 B1 KR 101081751B1 KR 1020100013139 A KR1020100013139 A KR 1020100013139A KR 20100013139 A KR20100013139 A KR 20100013139A KR 101081751 B1 KR101081751 B1 KR 10108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etachable
blade
hub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230A (ko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얄정공
Priority to KR10201000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7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2Adaptations of bearings or couplings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스크류건베이어의 스크류날개를 다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로 구성하여 스크류허브에 무용접으로 조립토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류날개의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한 스크류건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에 있어서, 스크류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허브(1)와; 상기 스크류홈에 끼워지고,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날개홀더(21)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와; 상기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베어링캡(3)과; 상기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프론트캡(4);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Screw conveyer having separate screw wing for screw decanter centrifuges}
본 발명은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원심탈수기 또는 농축기에 사용되는 스크류건베이어가 마찰력이 강한 슬러지를 분리시 날개 표면에 생기는 마모를 저감할 수 있도록 날개표면에 마모방지 코팅을 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조립식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마모시 간편하게 분리하여 해당부위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분뇨, 산업폐수, 축산폐수등의 처리공정으로 부터 발생되는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 투입관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를 물과 고형물로 분리하는 원심탈수기 또는 농축기(이하 원심탈수기 또는 농축기는"원심분리기"라고 함)에 있어서 공급된 슬러지를 기계적 원심력을 적용하여, 그 원심력에 의해 고형물의 슬러지 농도를 소정비율로 농축 또는 탈수하여, 슬러지를 농축처리 또는 탈수처리를 하고, 이러한 농축 및 탈수 원심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고형물 농축 및 탈수조절은 슬러지 배출속도에 상당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외동보올간의 매분당 회전차나 회전통 내부의 액층깊이를 댐이나 스키머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종래의 원심분리기 구조를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종래 슬러지를 탈수, 농축시키는 일반적인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의 단면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원심분리기의 구성 및 작용을 보면 우측에 위치한 슬러지투입관(501)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는 내동 스크류컨베이어(500)의 회전축(샤프트)인 스크류허브(509)에 형성된 토출구(516)를 통해 토출된 후, 원심력에 의해 상등수(탈리액 또는 분리액)와 탈수케이크와 농축액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탈리액 또는 분리액은 외동보올(506) 및 외동 테이퍼보울(507)의 회전에 의해 탈리액 또는 분리액 토출구(511)에 의해 흘러나와 일측 케이싱을 통하여 탈리액 또는 분리액 배출구(502)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탈수케이크와 농축액은 외동 보올(506) 및 외동 테이퍼보울(507)과 회전차를 가지고 느린 회전수로 회전하는 내동 스크류 컨베이어(500)에 의해 탈수 또는 농축되면서 탈수케이크와 농축액 토출구(508)측으로 이동한다. 이후 필요한 함수율 및 농도로 탈수와 농축된 슬러지는 케이크와 농축액 토출구(508)로 부터 밀려나온 케이크 또는 농축액은 배출구(503)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외동보올(506) 및 외동 테이퍼보울(507)의 회전력은 우측에 설치된 구동모터(513) 및 구동풀리(510)를 거쳐 구동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외동 테이퍼보올(507)의 일측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외동 테이퍼보올(507)과 결합된 외동보올(506)의 타측단은 대경축(515)에 조립되고 프레임(505)에 설치된 베어링블록(519,520)과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된 슬러지를 원심분리하여 탈리액 또는 분리액과 탈수케이크와 농축액으로 분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500)의 회전력은 차동모터(514) 및 차동풀리를 거쳐 차동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인 스크류허브(509)를 통해 전달된다. 스크류허브(509)는 베어링블록(519)에 설치된 대경축(515)을 관통하여 외동보올(506)과 외동 테이퍼보올(507)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허브(509)가 회전하면 둘레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512)가 탈수케이크 및 농축액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4는 지면위에 설치되어 탈수, 농축시키는 원심분리기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 프레임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심분리기는 입자가 거칠지 않고 경도가 크지 않는 하수, 분뇨, 산업폐수, 또는 축산폐수의 슬러지일 경우는 농축 또는 탈수시 문제가 없지만 입자가 거칠고 경도가 큰 경우 특히 주정폐액이나 모래종류의 고형물일 경우는 스크류컨베이어(500)가 쉽게 마모되어 농축 또는 탈수효율이 떨어짐으로 인해 자주 스크류컨베이어를 갈아주지 않을 경우 지속적인 원심분리기의 운전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크류허브(509) 둘레 표면에 용접되어 형성된 스크류 날개(512)로 이루어진 스크류컨베이어(500)는 스크류 날개(512)의 상태가 중요한데, 이 스크류날개가 마모되어 파손되면 이송력에 문제가 생겨 농축 또는 탈수작용이 저하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크류컨베이어(500)는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스크류허브(509)의 둘레에 스크류 날개(512)가 일체로 용접되어 구성됨으로써 인해 특정 위치의 스크류 날개(512)가 마모되면 수선이나 교체가 필요한데 스크류 날개(512)가 용접됨으로 인해 부분적인 스크류 날개(512)의 수리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컨베이어는 스크류허브에 스크류날개를 용접함으로 인해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열로 인해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된 스크류날개의 형상이 변형되어 목적한 설계형상에서의 이송력과 차이가 날 수 있어 농축 또는 탈수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위해서는 스크류 날개(512)가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코팅 하면 되는데, 종래의 스크류컨베이어(500)는 스크류 날개(512)가 일체로 스크류허브(509)의 둘레에 용접된 구조상 코팅을 할수 없기 때문이다.
즉, 보통 내마모 코팅은 습식 및 건식으로 나누어 지는데 절삭공구 표면에 코팅을 하는 건식 코팅이 일반화 되어 있다. 보통 건식코팅은 PVD 경질 코팅법으로 분류 되는데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진공 상태의 로 안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크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스크류 전체를 코팅 할수 없고 부분적으로 코팅 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종래의 스크류컨베이어(500)는 스크류 날개(512)가 일체로 스크류허브(509)의 둘레에 용접된 구조상 코팅을 할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코팅 표면의 표면층이 수 um이하로 얇기 때문에 코팅후 용접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용접시 코팅부가 녹기 때문에 코팅을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스크류건베이어의 스크류날개를 다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로 구성하여 스크류허브에 무용접으로 조립토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류날개의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한 스크류건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스크류건베이어의 스크류날개를 마모방지 코팅된 다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로 구성하여 스크류허브에 무용접으로 조립토록 구성함으로써 내마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스크류건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에 있어서, 스크류홈이 형성된 스크류허브와; 상기 스크류홈에 끼워지고,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날개홀더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와; 상기 스크류허브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베어링캡과; 상기 스크류허브의 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밀어 고정지지해 주는 프론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홈은 스크류허브의 몸체의 둘레 표면에 일정 간격의 피치로 연속 나선 홈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는 각각 스크류홈의 한 피치 만큼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날개홀더는 스크류허브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는 경질합금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는 적어도 스크류날개의 끝부분에 초경합경팁이나 용사(溶射, thermal spraying)된 상태로 경질합금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캡은 스크류허브의 후단에 삽입고정되고 후단에 외경나사산부가 형성된 베어링캡본체와; 상기 외경나사산부와 결합하는 내경나사산부가 형성되고, 분리형 스크류날개와 접하는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나사회전시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밀도록 형성된 걸림턱부를 가진 조임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에 사용되는 스크류건베이어의 스크류날개를 다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로 구성하여 스크류허브에 무용접으로 조립토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과,
개별 스크류날개를 마모방지 코팅함으로써 입자가 거칠고 경도가 큰 하수, 분뇨, 산업폐수, 또는 축산폐수의 슬러지 특히 주정폐액이나 모래종류의 슬러지를 사용하여 농축 또는 탈수시에도 스크류날개의 마모가 적어 자주 스크류날개를 갈아줄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농축 또는 탈수효율이 유지되어 지속적인 원심분리기의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또한 스크류컨베이어를 무용접으로 스크류허브에 스크류날개를 조립하여 베어링캡과 프론트캡으로 압착함으로써 스크류에 걸리는 이송토크를 견딜수 있어서 용접에 의한 변형없이 목적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스크류컨베이어의 스크류날개를 분리형으로 하여 개별 코팅함으로써 스크류날개의 티타늄 코팅 두께를 원하는 두께를 가지게 코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타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타측방향에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슬러지를 탈수, 농축시키는 일반적인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의 단면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타측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타측방향에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컨베이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스크류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허브(1)와; 상기 스크류홈에 끼워지고,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날개홀더(21)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와; 상기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베어링캡(3)과; 상기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프론트캡(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허브(1)에 형성된 스크류홈(11)은 분리형 스크류날개(2)의 끼워 맞춤 자리를 확보를 위해서 스크류 허브 몸체의 둘레 표면에 일정 간격의 피치로 연속 나선 홈 가공하였다. 따라서 스크류 홈의 폭은 이에 끼워지는 스크류날개의 하부 폭이 최소한 억지끼움될 정도 또는 회전될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면 된다. 단 스크류날개의 하부 폭보다 스크류홈(11)의 폭이 너무 크면 유격이 커 조립이 어렵거나 기계적 성능저하 및 내구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적절한 폭을 가지도록 홈 가공한다.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임의의 스크류허브(1) 위치에서도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 한 피치량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서로 물려서 밀어주게 되어 있다. 여기서 한 피치량 만큼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의 개별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허브(1)에 형성된 스크류홈(11)의 나선에 대응하는 한 피치량만큼 회전한 스크류형상으로 평면에서 보면 일측단과 타측단이 하나의 원을 완성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형상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스크류허브의 스크류홈(11)에 끼워 개별적으로 조립 후 이웃하는 스크류날개간을 밀착시키기 위해 회전시켜 밀면 이웃하는 스크류날개홀더(21)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밀어주는 양은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캡(3)의 나사를 조임으로서 일측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가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의 타측 스크류날개홀더(21)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즉,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설치된 베어링캡(3)을 회전시켜 조이면 분리형 스크류날개(2)들이 프론트캡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후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된 프론트캡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 스크류날개홀더(21)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스크류날개홀더(21)는 여러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스크류날개(2)의 양측에 형성된 스크류날개홀더(21)가 이웃하는 스크류날개(2)의 양측을 압착하는 형태로 구성되면 족하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적어도 스크류날개의 끝부분(바깥방향)에 경질합금 코팅(티타늄코팅 등)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분리형 스크류날개(2) 로 구성하여 코팅하면 부위별 마모에 견디는 수명에 한계에 따라 코팅할수 있게 된다. 또한 크기와 무게에 따라서 코팅가격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코팅 및 수리 비용이 적게 들어 큰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적어도 스크류날개의 끝부분(바깥방향)에 초경합경팁이나 용사(溶射, thermal spraying)된 상태로 바로 경질합금 코팅(티타늄코팅 등)한다.
즉, 초경합경팁을 스크류 날개에 부착 후 코팅한다는 것이다. 초경합금 팁을 스크류 날개에 부착해서 코팅하기 때문에 스크류 날개에 초경 합금 팁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초경합경팁의 형상은 종래 기술을 설명한 도 7의 앞부분을 보면 알수 있다. 이러한 초경합경팁의 형상이나 설치 자체는 이 분야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중요시하는 점은 이러한 초경합경팁을 구비한 후 재차 코팅한 스크류 날개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한 분리형 스크류날개(2)의 일측단에 용접 형성된 스크류날개 홀더(21)의 설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고형물이 적은 스크류허브쪽으로 형성하여 침강된 고형물과 부딪히지 않아 이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이송물질에 스크류날개 홀더(21)의 마모도 작게 된다.
상기 베어링캡(3)은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삽입고정되고 후단에 외경나사산부(311)가 형성된 베어링캡본체(31)와; 상기 외경나사산부(311)와 결합하는 내경나사산부(321)가 형성되고, 분리형 스크류날개(2)와 접하는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나사회전시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도록 형성된 걸림턱부(322)를 가진 조임너트(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임너트(32)를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어링캡본체(31)쪽으로 진입하여 맞물린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조여 분리형 스크류날개(2)가 스크류허브(1)의 스크류홈(11)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연속하여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들이 프론트캡(4)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후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고정 설치된 프론트캡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 스크류날개홀더(21)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캡(4)은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삽입고정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의 전방쪽으로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들이 프론트캡(4)에 막혀 스크류날개홀더(21)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 캡(3) 및 프론트캡(4)은 구체적인 구조가 미도시되었으나 스크류허브와 일점 이상의 지점에서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보통 스크류 날개는 베어링 캡에서 프론트 캡쪽으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회전으로 베어링 캡 및 프론트캡 볼트의 나사산은 오른 나사 방향으로 감겨져 회전 방향과 일치함으로 풀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체결구조는 일반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크류컨베이어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사용하여 스크류허브(1)에 조립함으로써 마모가 심한 이송물질을 사용하여 스크류날개가 훼손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스크류날개 전체를 잘라내지 않고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교체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별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원하는 강도를 가질수 있도록 코팅할 수 있어 내마모도가 높아 장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탈수 및 농축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류허브 (2) : 분리형 스크류날개
(3) : 베어링캡 (4) : 프론트캡
(11) : 스크류홈 (21) : 스크류날개홀더
(31) : 베어링캡본체 (32) : 조임너트
(311) : 외경나사산부 (321) : 내경나사산부
(322) : 걸림턱부

Claims (7)

  1.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에 있어서,
    스크류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허브(1)와;
    상기 스크류홈에 끼워지고,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날개홀더(21)가 형성된 복수개의 분리형 스크류날개(2)와;
    상기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베어링캡(3)과;
    상기 스크류허브(1)의 전단에 설치되어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어 고정지지해주는 프론트캡(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홈(11)은 스크류허브(1)의 몸체의 둘레 표면에 일정 간격의 피치로 연속 나선 홈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각각 스크류홈의 한 피치 만큼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날개홀더(21)는 스크류허브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경질합금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스크류날개(2)는 적어도 스크류날개의 끝부분에 초경합경팁이나 용사(溶射, thermal spraying)된 상태로 경질합금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캡(3)은 스크류허브(1)의 후단에 삽입고정되고 후단에 외경나사산부(311)가 형성된 베어링캡본체(31)와;
    상기 외경나사산부(311)와 결합하는 내경나사산부(321)가 형성되고, 분리형 스크류날개(2)와 접하는 일부 구간이 절개되어 나사회전시 분리형 스크류날개(2)를 밀도록 형성된 걸림턱부(322)를 가진 조임너트(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KR1020100013139A 2010-02-12 2010-02-12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KR10108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39A KR101081751B1 (ko) 2010-02-12 2010-02-12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39A KR101081751B1 (ko) 2010-02-12 2010-02-12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30A KR20110093230A (ko) 2011-08-18
KR101081751B1 true KR101081751B1 (ko) 2011-11-09

Family

ID=4492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139A KR101081751B1 (ko) 2010-02-12 2010-02-12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17B1 (ko) * 2012-12-18 2013-09-11 차수익 교체 가능한 모듈형 스크류 날개를 구비한 지반 굴착용 스크류
KR20190046434A (ko) * 2017-10-26 2019-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482246B1 (ko) 2022-05-10 2022-12-27 노우원 절곡구조 및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대형 스크류 컨베이어용 스크류 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9642A1 (ja) * 2013-08-08 2015-02-12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KR101983221B1 (ko) * 2018-12-06 2019-05-28 정항이 디켄터형 원심분리기용 축받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37Y1 (ko) 2005-05-30 2005-08-17 주식회사 씨알-텍 디켄터 원심분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737Y1 (ko) 2005-05-30 2005-08-17 주식회사 씨알-텍 디켄터 원심분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17B1 (ko) * 2012-12-18 2013-09-11 차수익 교체 가능한 모듈형 스크류 날개를 구비한 지반 굴착용 스크류
KR20190046434A (ko) * 2017-10-26 2019-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015550B1 (ko) * 2017-10-26 2019-08-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유동층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회 배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회 배출 방법
KR102482246B1 (ko) 2022-05-10 2022-12-27 노우원 절곡구조 및 장착구조를 포함하는 대형 스크류 컨베이어용 스크류 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30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751B1 (ko) 분리형 스크류날개를 가진 스크류 데칸터형 원심분리기용 스크류컨베이어
KR102512923B1 (ko) 디캔터 원심분리기
US8485959B2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a liquid phase discharge port member
JP3904590B1 (ja) 固液分離装置
US7018326B2 (en) Centrifuge with impellers and beach feed
CA2480852A1 (en) Centrifuges and methods of separating feed material
WO2004035220A1 (en) Liquid phase discharge port incorporating chamber nozzle device for centrifuge
JP4924466B2 (ja) 遠心脱水装置
US9321058B2 (en) Centrifugal liquid separation machine to efficiently flow multi-phase solids from a heavy phase discharge stream with a solids plow
WO2018023158A1 (en) Assembly for reducing size of suspended solids
US10376809B2 (en) Insert for an atomizer wheel and atomizer wheel comprising a number of such inserts
KR200459173Y1 (ko)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
AU2001230553B2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1913944B1 (ko) 내구성 및 탈수효율을 증대시킨 원심농축 탈수기
KR101277444B1 (ko) 고형물 배출이 용이한 보올을 구비한 원심분리기
JP7227038B2 (ja) 遠心分離装置
US11413630B2 (en) Centrifugal apparatus having a bowl with extension lugs and wear-resistant sleeves
KR102193025B1 (ko) 스크류 콘베어 크기 조절과 마모 대응이 가능한 수평형 원심분리장치
KR102193024B1 (ko) 원심분리용 크기 조절과 마모 대응이 가능한 스크류 콘베어
JP2000237630A (ja) 遠心脱水装置
JP2004290831A (ja) デカンタ型遠心脱水装置
CN104785380A (zh) 具有高耐磨性的卧螺卸料沉降离心机
CN102941165A (zh) 离心式固液分离机的一次固相出口装置
EP2130607B1 (en) Centrifugal separator
JPH06412A (ja) 遠心分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