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14B1 -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14B1
KR102015314B1 KR1020147012860A KR20147012860A KR102015314B1 KR 102015314 B1 KR102015314 B1 KR 102015314B1 KR 1020147012860 A KR1020147012860 A KR 1020147012860A KR 20147012860 A KR20147012860 A KR 20147012860A KR 102015314 B1 KR102015314 B1 KR 10201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herbicide
methyl
ethyl
herbic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537A (ko
Inventor
아츠시 나가마츠
소헤이 아사쿠라
마사미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01,4-Diazines; Hydrogenated 1,4-diaz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용 식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게다가 저약량으로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 기재되는 식[X]
Figure 112014044985010-pct00025

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이하에 기재되는 [성분 B]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성분 A](식 중, R은 탄소수 1~6의 저급 알킬기를, X는 할로겐 원자를 각각 나타낸다.) [성분 B]2,3,6-TBA(2,3,6-TBA), 2,4,5-T(2,4,5-T), 2,4-D(2,4-D), 2,4-DB(2,4-DB) 외에,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적어도 1종.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HERBICID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용 식물에 대한 잡초의 선택적 방제에 적합한 제초 활성 성분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규의 제초 작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유용 식물에 대한 잡초의 성장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신규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각종 제초제가 개발되어, 농업생산성 및 생력화(省力化)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어떠한 종류의 제초제는 오랜 세월에 걸쳐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들 제초제가 듣지 않는 난방제 잡초가 증가되고 있어, 살초 스펙트럼이 넓고 또한 이들 난방제 잡초에 대해서도 유효한 제초제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또, 종래의 제초제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고활성이며 또한 저약량으로 유효한 제초제의 개발도 요망되고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한결같지 않은 발생에 대처하기 위해서, 잔효성이 우수하고, 또한 잡초의 발생전부터 생육기까지의 광범위한 시기에 걸쳐서 처리해도 유효한 처리 적기폭이 넓은 제초제의 출현도 요망되고 있다. 또, 종래의 제초제 사용에 있어서, 온도, 바람이나 빛 등의 기상 조건, 토성(土性)이나 토양유기물 함량 등의 토양 조건, 얕은 이식 심도나 심수 관리 등의 재배 관리 조건, 제초제의 불균일 산포나 과량 산포 등의 약제 시용 조건 등 각종 요인에 의해, 작물에 약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조건하에서도 작물에 약해의 우려가 없는 높은 안전성을 가지는 제초제도 요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내지 비특허문헌 5 등에는 많은 제초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 비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미생물 농약 MTB-951(타스마트)은 식물 병원성 불완전균 Drechslera monoceras이며, 특히 피류에 제초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제초제만으로는 요망되는 것 같은 광범위한 스펙트럼이나,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육 제어 효과 및 유용 식물 보호를 위한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Pesticide Manual 13th Edition(2003 BCPC) Ag Chem New Compound Review 2006 Ag Chem New Compound Review 2009 Ag Chem New Compound Review 2010 Pesticide Manual 15th Edition(2010 BCPC) Weed Biology and Management, p71-74, Vol 4(No.2), (2004)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용 식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게다가 저약량으로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과, 공지의 제초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혼용함으로써, 각각의 제초 효과가 단순히 상가적으로 얻어질 뿐만아니라, 상승적 살초 효과가 발현하거나, 또, 상승적으로 약해가 경감되는 것을 알아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이 수전이나 밭농사, 원예, 잔디밭 등에 발생하는 다종류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잡초)을 장기간에 걸쳐 방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유용 식물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가지는 것을 알아냈다. 또,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발아전 및 발아후 생육중의 양쪽에 있어서, 잡초의 대부분 특히 유용 식물에 대하여 생기는 것을 방제할 수 있어, 유용 식물에 거의 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구체적으로는,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이하에 나타내는 [성분 B]로 이루어지는 2종 이상의 약제를 병용함으로써, [성분 A]와 [성분 B] 각각의 단제에 의한 제초 적용 범위에 비해 제초 스펙트럼이 확대됨과 동시에, 제초 효과가 조기에 달성되고, 효과도 지속되며, 또한 각각의 단제에서의 사용량보다 저약량으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벼, 밀, 보리,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대두, 목화, 사탕무, 잔디, 과수 등에 대한 안전성도 확보되고, 1회의 처리로 충분한 제초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요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 이하에 기재되는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이하에 기재되는 [성분 B]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성분 A]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1
(식 중, R은 탄소수 1~6의 저급 알킬기를, X는 할로겐 원자를 각각 나타낸다.)
[성분 B]
2,3,6-TBA(2,3,6-TBA), 2,4,5-T(2,4,5-T), 2,4-D(2,4-D), 2,4-DB(2,4-DB), ACN(ACN), AE-F-150944(코드 번호), DNOC(DNOC), DSMA(DSMA), EPTC(EPTC), HW-02(코드 번호), IR-6396(코드 번호), MCPA(MCPA),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MCPB(MCPB), MSMA(MSMA), S-9750(코드 번호), SYP-298(코드 번호), SYP-300(코드 번호), S-메톨라클로르(S-metolachlor), TCA(TCA), 아이옥시닐(ioxynil), 아클로니펜(aclonifen), 아크롤레인(acrolein), 아자페니딘(azafenidin),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아짐술푸론(azimsulfuron), 아술람(asulam),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아트라진(atrazine), 아닐로포스(anilofos),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아미도술푸론(amidosulfuron), 아미 트롤(amitrole),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phos-methyl), 아메트린(ametryn), 알라클로르(alachlor), 알록시딤(alloxydim), 안시미돌(ancymidol), 이소우론(isouron),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이속사벤(isoxabe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이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픽(imazapic),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인다노판(indanofan), 인다지플람(indaziflam), 에스프로카르브(esprocarb), 에글리나진·에틸(eglinazine-ethyl), 에타메트술푸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에탈플루랄린(ethalfluralin), 에티디무론(ethidimuron), 에톡시술푸론(ethoxysulfuron), 에톡시펜(ethoxyfen-ethyl),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엔도탈·2나트륨염(endothal-disodium),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옥사술푸론(oxasulfuron),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오리잘린(oryzalin),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오르벤카르브(orbencarb), 올레산(oleic acid), 카펜스트롤(cafenstrol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카르베타미드(carbetamide), 퀴잘로포프(quizalofop), 퀴잘로포프·P·에틸(quizalofop-P-ethyl), 퀴잘로포프·P·테푸릴(quizalofop-P-tefuryl), 퀴잘로포프·에틸(quizalofop-ethyl),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쿠밀우론(cumyluron),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암모늄염(glyphosate-ammonium),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염(glyphosate-isopropylammonium), 글리포세이트·칼륨염(glyphosate-potassium), 글리포세이트·디암모늄염(glyphosate-diammonium), 글리포세이트·디메틸암모늄염(glyphosate-dimethylammonium), 글리포세이트·세스퀴나트륨염(glyphosate-sesquisodium),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염(glyphosate-trimesium),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ammonium),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루포시네이트나트륨염(glufosinate-sodium), 글루포시네이트·P(glufosinate-P), 클레토딤(clethodim), 클로디나포프(clodinafop-propargyl), 클로피랄리드(clopyralid),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클로메프로프(clomeprop), 클로란술람·메틸(cloransulam-methyl), 클로람벤(chloramben), 클로리다존(chloridazon),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르술푸론(chlorsulfuron), 클로르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르티아미드(chlorthiamid),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클로르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클로르메쿼트(chlormequat chloride), 클로록수론(chloroxuron),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클로르브로무론(chlorbromuron),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시아나진(cyanazine), 시아나미드(cyanamide), 디우론(diuron), 디에타틸·에틸(diethatyl-ethyl), 디캄바(dicamba), 시클로에이트(cycloate), 시클록시딤(cycloxydim), 디클로술람(diclosulam),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디클로베닐(dichlobenil), 디클로포프·P·메틸(diclofop-P-methyl), 디클로포프·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디클로르프로프-P(dichlorprop-P), 디쿼트(diquat dibromide), 디티오피르(dithiopyr), 시두론(siduron), 디니트라민(dinitramine), 시니돈·에틸(cinidon-ethyl), 시노술푸론(cinosulfuron), 디노세브(dinoseb), 디노테르브(dinoterb), 시할로포프·부틸(cyhalofop-butyl),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시마진(simazine),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디메테나미드·P(dimethenamid-P), 시메트린(simetryn),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디메푸론(dimefuron), 신메틸린(cinmethylin), 스웨프(swep), 술코트리온(sulcotrione),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술포세이트(sulfosate), 술포술푸론(sulfosulfuron), 술포메투론·메틸(sulfometuron-methyl), 세톡시딤(sethoxydim), 테르바실(terbacil), 다이무론(daimuron), 다조메트(dazomet), 달라폰(dalapon), 티아조피르(thiazopyr), 티엔카르바존·메틸(thiencarbazone-methyl)(나트륨염, 메틸에스테르 등을 포함함), 티오카르바질(tiocarbazil),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티디아지민(thidiazimin), 티디아주론(thidiazuron), 티펜술푸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데스메디팜(desmedipham), 데스메트린(desmetryne), 테닐클로르(thenylchlor), 테부탐(tebutam), 테부티우론(tebuthiuron), 테프랄록시딤(tepraloxydim),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 테르부틸라진(terbuthylazine), 테르부트린(terbutryn), 테르부메톤(terbumeton), 템보트리온(tembotrione), 토프라메존(topramezone), 트랄콕시딤(tralkoxydim),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트리아술푸론(triasulfuron), 트리아파몬(triafamone), 트리알레이트(triallate), 트리에타진(trietazi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틸(triclopyr-butotyl), 트리토술푸론(tritosulfuron), 트리넥사팍에틸(trinexapac-ethyl), 트리플루술푸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트리플록시술푸론·나트륨염(trifloxysulfuron-sodium), 트리베누론·메틸(tribenuron-methyl), 나프탈람(naptala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니코술푸론(nicosulfuron), 네부론(neburon),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베르놀레이트(vernolate), 파라쿼트(paraquat dichloride), 할록시포프(haloxyfop), 할록시포프·P·메틸(haloxyfop-P-methyl), 할록시포프·에토틸(haloxyfop-etotyl), 할로사펜(halosafen),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피클로람(picloram),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시클로피론(bicyclopyrone), 비스피리박·나트륨염(bispyribac-sodium), 피녹사덴(pinoxaden), 비페녹스(bifenox), 피페로포스(piperophos), 피라클로닐(pyraclonil),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피라족시펜(pyrazoxyfen), 피라조술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빌라나포스(bilanafos), 피라플루펜·에틸(pyraflufen-ethyl), 피리다폴(pyridafol), 피리티오박·나트륨염(pyrithiobac-sodium), 피리데이트(pyridate),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술푸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피록스술람(pyroxsulam), 페니소팜(phenisopham), 페누론(fenuron),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페녹사프로프·P·에틸(fenoxaprop-P-ethyl), 페녹사프로프·에틸(fenoxaprop-ethyl), 펜클로림(fenclorim),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펜메디팜(phenmedipham), 포람술푸론(foramsulfuron), 부타클로르(butachlor), 부타페나실(butafenacil), 부타미포스(butamifos), 부틸레이트(butylate),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 부트랄린(butralin), 부트록시딤(butroxydim), 플라자술푸론(flazasulfuron), 플람프로프(flamprop)(메틸, 에틸,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포함함), 플람프로프·M(flamprop-M), 플루아지포프(fluazifop-butyl), 플루아지포프·P(fluazifop-P-butyl),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플루오로글리코펜(fluoroglycofen-ethyl), 플루카르바존·나트륨염(flucarbazone-sodium), 플루클로랄린(fluchloralin), 플루세토술푸론(flucetosulfuron),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 플루피르술푸론(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페나세트(flufenacet), 플루펜피르·에틸(flufenpyr-ethyl),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폭삼(flupoxame),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플루메트술람(flumetsulam),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플루르프리미돌(flurprimidol),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플루로클로리돈(flurochloridone),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프로카르바존·나트륨염(procarbazone-sodium), 프로디아민(prodiamine), 프로술푸론(prosulfuron), 프로술포카르브(prosulfocarb), 프로파퀴자포프(propaquizafop),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프로피리술푸론(propyrisulfuron), 프로팜(propham),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프로헥사디온·칼슘염(prohexadione-calcium), 프로폭시카르바존(propoxycarbazone), 프로폭시카르바존·나트륨염(propoxycarbazone-sodium), 프로폭시딤(profoxydim), 브로마실(bromacil), 브롬피라존(brompyrazon), 프로메트린(prometryn), 프로메톤(prometon),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모페녹심(bromofenoxim),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플로라술람(florasulam), 헥사지논(hexazinone), 페톡사미드(pethoxamid), 베나졸린(benazolin), 페녹술람(penoxsulam),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페불레이트(pebulate),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벤카르바존(bencarbazone),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벤술리드(bensulide), 벤술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조페나프(benzofenap), 벤타존(bentazon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펜톡사존(pentoxazone), 벤플루랄린(benflurali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포사민(fosamine), 포메사펜(fomesafen), 포르클로르페누론(forchlorfenuron), 말레산히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메코프로프(mecoprop), 메코프로프-P·칼륨염(mecoprop-P), 메소술푸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메타조술푸론(metazosulfuron),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타미트론(metamitron), 메타미포프(metamifop), 메탐(metam), 메티오졸린(methiozolin), 메틸디무론(methyl-dimuron), 메톡수론(metoxuron), 메토술람(metosulam), 메트술푸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토브로무론(metobromuron), 메토벤주론(metobenzuron),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메트리부진(metribuzin), 메피쿼트·클로라이드(mepiquat chloride), 메페나세트(mefenacet), 모노술푸론(monosulfuron), 모노술푸론·메틸(monosulfuron-methyl), 모놀리누론(monolinuron), 몰리네이트(molinate), 요오드술푸론·메틸·나트륨염(iodosulfulon-methyl-sodium), 요오펜술푸론·나트륨염(iofensulfuron-sodium), 락토펜(lactofen), 리누론(linuron), 림술푸론(rimsulfuron), 레나실(lenacil) 및 이들의 염이나 유연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
(2)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가 식[I]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2
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3) [성분 A] 및 [성분 B]를 [성분 A]:[성분 B]의 비로 1:0.001~1:100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고, 또한,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제초제 조성물과, 적어도 1종류의 불활성의 액체 담체 및/또는 고체 담체를 포함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5)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고, 또한,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제초제 조성물과;
적어도 1종류의 불활성의 액체 담체 및/또는 고체 담체와;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
를 혼합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을, 유용 식물, 또는, 유용 식물을 생육시키고자 하는 혹은 생육하고 있는 장소에 대하여, 동시에 또는 분할하여 작용시키는 것에 의한,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제어하는 방법.
(7)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8) 유용 식물이 수전 작물 또는 밭농사, 원예 작물, 잔디, 과수, 비농경지 등인 상기 (7)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하나의 유효 성분인 상기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다른 유효 성분인 상기 [성분 B]의 화합물과의 조합에 의해,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진다. 또, 각각 단독의 성분으로 얻어지는 활성의 단순한 합계에 그치지 않고, 상승적으로 살초 효과나 약해 경감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농경지 시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전, 밭, 비농경지 등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다양한 잡초에 대해서도 발생을 장기간에 걸쳐 억제하고, 게다가 유용 식물에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아, 재배의 생력화와 작물의 증산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수전에 발생하는 1년생 잡초인 강피나 돌피 등의 들피류, 알방동사니, 병아리방동사니 등의 방동사니류, 물달개비, 물옥잠 등의 물옥잠과 잡초, 밭뚝외풀, 등에풀 등의 현삼과 잡초, 마디꽃, 좀부처꽃 등의 부처꽃과 잡초, 물별 등 및 다년생 잡초인 올미, 벗풀류 등의 택사과 잡초, 너도방동사니, 물고랭이, 물방개, 올챙이고랭이, 매자기, 쇠털골 등의 방동사니과 잡초, 가래, 미나리 등을, 또, 밭이나 잔디밭, 비농경지 등에 발생하는 들피류, 바랭이류, 강아지풀류, 겨풀, 새포아풀, 우로클로아 플라티필라, 나도겨풀, 드럼새, 기장대풀, 왕바랭이 등의 벼과 잡초, 개망초, 봄망초, 큰망초 등의 국화과 잡초, 향부자, 파대가리, 방동사니 등의 방동사니과 잡초, 점나도나물, 별꽃 등의 석죽과 잡초, 개불알풀 등의 현삼과 잡초, 마디풀류, 소리쟁이류의 마디풀과 잡초, 청비름, 개비름, 긴이삭비름 등의 비름과 잡초, 사마귀풀, 닭의장풀, 고깔닭의장풀 등의 닭의장풀과 잡초, 쇠뜨기, 개쇠뜨기 등의 속새과 잡초, 꽃기린류의 대극과 잡초, 피막이류의 미나리과 잡초, 미국나팔꽃, 별나팔꽃, 애기나팔꽃 등의 메꽃과 잡초 등의 발아전부터 생육기의 넓은 범위에 걸쳐 방제할 수 있어, 유용 식물에 대해서는 높은 안전성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유용 식물」에는 육종법이나 유전자공학적 방법에 의해 제초제 또는 제초제군에 대하여 내성으로 되어 있는 것도 포함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하나의 유효 성분인 [성분 A]는 이하에 기재되는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3
상기 식 중, R은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의 탄소수 1~6의 저급 알킬기를, 또, X는 브롬, 염소, 불소 및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할로겐 원자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물론, 옥소피라진 유도체 또는 그 염은 2종 이상을 혼합해도 된다.
또한,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 자체는 WO 2009/016841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하에 서술하는 [성분 B]와의 병용은 구체적으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기 [성분 A]로서 사용되는 식[X]의 옥소피라진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기재되는 식[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4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다른 유효 성분인 [성분 B]는,
2,3,6-TBA(2,3,6-TBA), 2,4,5-T(2,4,5-T), 2,4-D(2,4-D), 2,4-DB(2,4-DB), ACN(ACN), AE-F-150944(코드 번호), DNOC(DNOC), DSMA(DSMA), EPTC(EPTC), HW-02(코드 번호), IR-6396(코드 번호), MCPA(MCPA),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MCPB(MCPB), MSMA(MSMA), S-9750(코드 번호), SYP-298(코드 번호), SYP-300(코드 번호), S-메톨라클로르(S-metolachlor), TCA(TCA), 아이옥시닐(ioxynil), 아클로니펜(aclonifen), 아크롤레인(acrolein), 아자페니딘(azafenidin),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아짐술푸론(azimsulfuron), 아술람(asulam),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아트라진(atrazine), 아닐로포스(anilofos),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아미도술푸론(amidosulfuron), 아미 트롤(amitrole),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아미노피랄리드(aminopyralid),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phos-methyl), 아메트린(ametryn), 알라클로르(alachlor), 알록시딤(alloxydim), 안시미돌(ancymidol), 이소우론(isouron),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이속사벤(isoxabe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이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픽(imazapic),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인다노판(indanofan), 인다지플람(indaziflam), 에스프로카르브(esprocarb), 에글리나진·에틸(eglinazine-ethyl), 에타메트술푸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에탈플루랄린(ethalfluralin), 에티디무론(ethidimuron), 에톡시술푸론(ethoxysulfuron), 에톡시펜(ethoxyfen-ethyl),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엔도탈·2나트륨염(endothal-disodium),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옥사술푸론(oxasulfuron),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오리잘린(oryzalin),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오르벤카르브(orbencarb), 올레산(oleic acid), 카펜스트롤(cafenstrol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카르베타미드(carbetamide), 퀴잘로포프(quizalofop), 퀴잘로포프·P·에틸(quizalofop-P-ethyl), 퀴잘로포프·P·테푸릴(quizalofop-P-tefuryl), 퀴잘로포프·에틸(quizalofop-ethyl),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쿠밀우론(cumyluron),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암모늄염(glyphosate-ammonium),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염(glyphosate-isopropylammonium), 글리포세이트·칼륨염(glyphosate-potassium), 글리포세이트·디암모늄염(glyphosate-diammonium), 글리포세이트·디메틸암모늄염(glyphosate-dimethylammonium), 글리포세이트·세스퀴나트륨염(glyphosate-sesquisodium),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염(glyphosate-trimesium),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루포시네이트나트륨염(glufosinate-sodium),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ammonium), 글루포시네이트·P(glufosinate-P), 클레토딤(clethodim), 클로디나포프(clodinafop-propargyl), 클로피랄리드(clopyralid),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클로메프로프(clomeprop), 클로란술람·메틸(cloransulam-methyl), 클로람벤(chloramben), 클로리다존(chloridazon), 클로리무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르술푸론(chlorsulfuron), 클로르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르티아미드(chlorthiamid),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클로르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클로르메쿼트(chlormequat chloride), 클로록수론(chloroxuron),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클로르브로무론(chlorbromuron),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시아나진(cyanazine), 시아나미드(cyanamide), 디우론(diuron), 디에타틸·에틸(diethatyl-ethyl), 디캄바(dicamba), 시클로에이트(cycloate), 시클록시딤(cycloxydim), 디클로술람(diclosulam),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디클로베닐(dichlobenil), 디클로포프·P·메틸(diclofop-P-methyl), 디클로포프·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르프로프(dichlorprop), 디클로르프로프-P(dichlorprop-P), 디쿼트(diquat dibromide), 디티오피르(dithiopyr), 시두론(siduron), 디니트라민(dinitramine), 시니돈·에틸(cinidon-ethyl), 시노술푸론(cinosulfuron), 디노세브(dinoseb), 디노테르브(dinoterb), 시할로포프·부틸(cyhalofop-butyl),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시마진(simazine),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디메테나미드·P(dimethenamid-P), 시메트린(simetryn),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디메푸론(dimefuron), 신메틸린(cinmethylin), 스웨프(swep), 술코트리온(sulcotrione),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술포세이트(sulfosate), 술포술푸론(sulfosulfuron), 술포메투론·메틸(sulfometuron-methyl), 세톡시딤(sethoxydim), 테르바실(terbacil), 다이무론(daimuron), 다조메트(dazomet), 달라폰(dalapon), 티아조피르(thiazopyr), 티엔카르바존·메틸(thiencarbazone-methyl)(나트륨염, 메틸에스테르 등을 포함함), 티오카르바질(tiocarbazil),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티디아지민(thidiazimin), 티디아주론(thidiazuron), 티펜술푸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데스메디팜(desmedipham), 데스메트린(desmetryne), 테닐클로르(thenylchlor), 테부탐(tebutam), 테부티우론(tebuthiuron), 테프랄록시딤(tepraloxydim),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 테르부틸라진(terbuthylazine), 테르부트린(terbutryn), 테르부메톤(terbumeton), 템보트리온(tembotrione), 토프라메존(topramezone), 트랄콕시딤(tralkoxydim),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트리아술푸론(triasulfuron), 트리아파몬(triafamone), 트리알레이트(triallate), 트리에타진(trietazi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틸(triclopyr-butotyl), 트리토술푸론(tritosulfuron), 트리넥사팍에틸(trinexapac-ethyl), 트리플루술푸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트리플록시술푸론·나트륨염(trifloxysulfuron-sodium), 트리베누론·메틸(tribenuron-methyl), 나프탈람(naptalam),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니코술푸론(nicosulfuron), 네부론(neburon),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베르놀레이트(vernolate), 파라쿼트(paraquat dichloride), 할록시포프(haloxyfop), 할록시포프·P·메틸(haloxyfop-P-methyl), 할록시포프·에토틸(haloxyfop-etotyl), 할로사펜(halosafen),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피클로람(picloram), 피콜리나펜(picolinafen), 비시클로피론(bicyclopyrone), 비스피리박·나트륨염(bispyribac-sodium), 피녹사덴(pinoxaden), 비페녹스(bifenox), 피페로포스(piperophos), 피라클로닐(pyraclonil),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피라족시펜(pyrazoxyfen), 피라조술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빌라나포스(bilanafos), 피라플루펜·에틸(pyraflufen-ethyl), 피리다폴(pyridafol), 피리티오박·나트륨염(pyrithiobac-sodium), 피리데이트(pyridate),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술푸론·메틸(primisulfuron-methyl),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피록스술람(pyroxsulam), 페니소팜(phenisopham), 페누론(fenuron),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페녹사프로프·P·에틸(fenoxaprop-P-ethyl), 페녹사프로프·에틸(fenoxaprop-ethyl), 펜클로림(fenclorim),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펜메디팜(phenmedipham), 포람술푸론(foramsulfuron), 부타클로르(butachlor), 부타페나실(butafenacil), 부타미포스(butamifos), 부틸레이트(butylate),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 부트랄린(butralin), 부트록시딤(butroxydim), 플라자술푸론(flazasulfuron), 플람프로프(flamprop)(메틸, 에틸, 이소프로필에스테르를 포함함), 플람프로프·M(flamprop-M), 플루아지포프(fluazifop-butyl), 플루아지포프·P(fluazifop-P-butyl),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플루오로글리코펜(fluoroglycofen-ethyl), 플루카르바존·나트륨염(flucarbazone-sodium), 플루클로랄린(fluchloralin), 플루세토술푸론(flucetosulfuron),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 플루피르술푸론(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페나세트(flufenacet), 플루펜피르·에틸(flufenpyr-ethyl),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폭삼(flupoxame),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플루메트술람(flumetsulam),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플루르프리미돌(flurprimidol),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플루로클로리돈(flurochloridone), 프로카르바존·나트륨염(procarbazone-sodium),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프로디아민(prodiamine), 프로술푸론(prosulfuron), 프로술포카르브(prosulfocarb), 프로파퀴자포프(propaquizafop),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프로피리술푸론(propyrisulfuron), 프로팜(propham),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프로헥사디온·칼슘염(prohexadione-calcium), 프로폭시카르바존(propoxycarbazone), 프로폭시카르바존·나트륨염(propoxycarbazone-sodium), 프로폭시딤(profoxydim), 브로마실(bromacil), 브롬피라존(brompyrazon), 프로메트린(prometryn), 프로메톤(prometon),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모페녹심(bromofenoxim),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플로라술람(florasulam), 헥사지논(hexazinone), 페톡사미드(pethoxamid), 베나졸린(benazolin), 페녹술람(penoxsulam),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페불레이트(pebulate), 펠라르곤산(pelargonic acid), 벤카르바존(bencarbazone),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벤술리드(bensulide), 벤술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조페나프(benzofenap), 벤타존(bentazon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펜톡사존(pentoxazone), 벤플루랄린(benflurali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포사민(fosamine), 포메사펜(fomesafen), 포르클로르페누론(forchlorfenuron), 말레산히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메코프로프(mecoprop), 메코프로프-P·칼륨염(mecoprop-P), 메소술푸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메타조술푸론(metazosulfuron),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타미트론(metamitron), 메타미포프(metamifop), 메탐(metam), 메티오졸린(methiozolin), 메틸디무론(methyl-dimuron), 메톡수론(metoxuron), 메토술람(metosulam), 메트술푸론·메틸(metsulfuron-methyl), 메토브로무론(metobromuron), 메토벤주론(metobenzuron),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메트리부진(metribuzin), 메피쿼트·클로라이드(mepiquat chloride), 메페나세트(mefenacet), 모노술푸론(monosulfuron), 모노술푸론·메틸(monosulfuron-methyl), 모놀리누론(monolinuron), 몰리네이트(molinate), 요오드술푸론·메틸·나트륨염(iodosulfulon-methyl-sodium), 요오펜술푸론·나트륨염(iofensulfuron-sodium), 락토펜(lactofen), 리누론(linuron), 림술푸론(rimsulfuron), 레나실(lenacil) 및 이들의 염이나 유연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B]는 모두 비특허문헌 1 내지 비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양쪽 성분의 양비는 대상장면, 대상작물, 잡초의 종류나 잡초의 상태, 산포 시기, 산포 방법, 제제형 등에 따라 상이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넓은 범위에서 혼합 비율, 산포량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배합 비율은 일반적으로 중량비로 [성분 A]의 1에 대하여, [성분 B]를 0.001~1000, 바람직하게는 0.005~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10의 범위 내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사용함에 있어서는 유효 성분 그 자체로 사용해도 되지만,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과,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의 액체 담체 및/또는 고체 담체의 1종류 이상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1종류 이상, 또한 보조제 등의 1종류 이상을 혼합하고, 분제, 수화제, 과립 수화제, 플로어블제, 유제, 액제, 미립제 또는 입제 등의 제초제 조성물로 제제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제화시에 사용되는 액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알코올, 크실렌, 시클로헥산, 메틸나프탈렌, 물 등의 담체 등을 들 수 있고, 또, 고체 담체로서는, 예를 들면 탈크, 벤토나이트, 클레이, 카올린, 규조토, 화이트카본, 버미큘라이트, 탄산칼슘, 소석회, 규사, 유안,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폰산 금속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금속염, 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알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아라비안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살충제, 살균제, 다른 제초제, 식물 성장 조절제, 미생물, 비료 등을 혼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사용시에 직접 시용해도 되고, 사용 목적에 따른 농도로 희석하여, 경엽 산포, 토양 시용 또는 수면 시용 등에 의해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성분 A] 및 [성분 B]를 미리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고, 목적에 따라 순차 사용해도 된다. 또, 제초제 조성물 제제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제제 중의 유효 성분량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는데, 분제, 미립제 또는 입제로 하는 경우는 0.01~8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5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제, 액제, 플로어블제, 수화제 및 과립 수화제로 하는 경우는 1~90%(중량), 바람직하게는 5~8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시용량은 사용되는 유효 성분의 종류, 대상 잡초, 발생 경향, 환경 조건 및 사용하는 제형 등에 따라 변한다.
분제, 미립제 또는 입제의 경우에는, 유효 성분으로서 10아르당 0.1g~5kg, 바람직하게는 0.5g~1kg의 범위에서 선택해서 사용한다.
유제, 액제, 플로어블제 또는 수화제 등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시의 유효 성분 농도로서 일반적으로 10~100,000ppm의 범위에서 선택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조정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유용 식물, 또는, 유용 식물을 생육시키고자 하는 혹은 생육하고 있는 장소에 대하여, 동시에 또는 분할하여 작용시킴으로써,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용 식물은 수전 작물 또는 밭농사, 원예 작물, 잔디, 과수, 비농경지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화합물, 첨가제의 종류 및 배합 비율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 및 시험예 중의 「화합물[I]」은 상기 식[I]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수화제
화합물[I] 1부, 피라클로닐 7부,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0.5부, β-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0.5부, 규조토 20부 및 클레이 71부를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수화제
화합물[I] 1부, 테푸릴트리온 10부,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0.5부, β-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0.5부, 규조토 20부 및 클레이 68부를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수화제
화합물[I] 1부, 메소트리온 10부,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0.5부, β-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0.5부, 규조토 20부 및 탄산칼슘 68부를 혼합 분쇄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4> 과립 수화제
화합물[I] 10부와 테푸릴트리온 10부에, 리그닌술폰산나트륨 5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1부,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 3부, 화이트카본 5부, α화 전분 1부, 탄산칼슘 65부 및 물 10부를 가하여 혼합하고 개어 조분한다. 얻어진 입상물을 유동층 건조기로 건조시켜, 과립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5> 플로어블제
물 62.9부에, 화합물[I] 5부, 메소트리온염 15부, 리그닌술폰산나트륨 2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암모늄 4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0.5부, 크탄산검 0.1부, 벤토나이트 0.5부 및 에틸렌글리콜 10부를 가하여 고속 교반기로 혼합하고, 습식 분쇄기로 분쇄하여 플로어블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입제
화합물[I] 1부, 피라클로닐 7부, 탈크와 벤토나이트를 1:3의 비율로 혼합한 증량제 77부, 화이트카본 10부, 계면활성제(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알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 폴리머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혼합물) 5부에 물 10부를 가하여, 잘 개어 페이스트상으로 한 것을 직경 1mm의 체 구멍으로부터 밀어내어 건조시킨 후, 0.5~1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입제를 얻었다.
다음에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이 나타내는 효과를 설명한다.
<시험예 1> 수전에 있어서의 잡초 발생전 처리시의 제초 효과 시험
1/5000아르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시비, 써레질한 후, 강피, 올챙이고랭이의 각 종자를 파종하고, 수심 1cm에 담수했다.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수면에 시용했다. 그 후에는 담수심 4cm를 유지하여 육성하고, 처리 29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이 시험예 1에서는 [성분 A] 및 [성분 B]를 각각 시용한 경우의 제초 작용의 형식적인 총합을 넘는 본 발명의 조합의 작용이 종종 확인되었다. 시험에서 확인된 값은 적합한 저용량이며, 이하의 식에 따라 계산되는 콜비에 의한 기대값을 웃도는 조합의 작용을 나타냈다{S.R. Colby in Weeds, 15(1967) pp.20-22를 참조}:
2약제간의 혼용에 대해서는 기대값(E)=X+Y-XY/100,
3약제간의 혼용에 대해서는 기대값(E)=X+Y+Z-(XY+XZ+YZ)/100+XYZ/10000
단, a제의 x농도에 있어서의 억제율을 X, b제의 y농도에 있어서의 억제율을 Y, c제의 z농도에 있어서의 억제율을 Z로 한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5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6
<시험예 2> 수전에 있어서의 잡초 생육기 처리시의 제초 효과 시험
1/5000아르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시비, 써레질한 후, 강피, 올챙이고랭이의 각 종자를 파종하고, 수심 1cm에 담수했다. 그 후, 강피가 1.8잎, 올챙이고랭이가 2잎에 이른 단계에서 담수심 4cm로 하고,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수면에 시용했다. 그 후에는 담수심 4cm를 유지하여 육성하고, 처리 28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3,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 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7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8
<시험예 3> 토양 처리에 의한 제초 효과 시험
길이, 폭, 깊이가 모두 11cm인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우로클로아 플라티필라의 종자를 파종했다.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고, 토양 표면에 균일하게 처리했다. 그 후, 처리후 21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 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09
<시험예 4> 경엽 처리에 의한 제초 효과 시험
길이, 폭, 깊이가 모두 11cm인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돌피, 세스바니아, 애기나팔꽃의 각 종자를 파종했다. 그 후, 돌피 2잎, 세스바니아 1잎, 애기나팔꽃 1잎에 이른 단계에서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고, 경엽 처리했다. 그 후, 처리후 19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6, 표 7 및 표 8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0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1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2
<시험예 5> 수전에 있어서의 잡초 발생전 처리시의 제초 효과 시험 2
1/5000아르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시비, 써레질한 후, 강피, 올챙이고랭이의 각 종자를 파종하고, 수심 1cm에 담수했다.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수면에 시용했다. 그 후에는 담수심 4cm를 유지하여 육성하고, 처리 32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9, 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3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4
<시험예 6> 수전에 있어서의 잡초 생육기 처리시의 제초 효과 시험 2
1/5000아르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시비, 써레질한 후, 강피, 올챙이고랭이의 각 종자를 파종하고, 수심 1cm에 담수했다. 그 후, 강피가 2잎, 올챙기고랭이가 2잎에 이른 단계에서 담수심 4cm로 하고,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수면에 시용했다. 그 후에는 담수심 4cm를 유지하여 육성하고, 처리 33일째에 제초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1, 표 12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5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6
<시험예 7> 토양 처리에 의한 제초 효과 시험 2
길이, 폭, 깊이가 모두 11cm인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애기나팔꽃, 긴이삭비름의 각 종자를 파종했다.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고, 토양 표면에 균일하게 처리했다. 그 후, 처리후 19일째에 제초 효과 및 약해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3, 표 14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7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8
<시험예 8> 경엽 처리에 의한 제초 효과 시험 2
길이, 폭, 깊이가 모두 11cm인 플라스틱 포트에 수전 토양을 충전하고, 돌피, 새포아풀, 애기나팔꽃, 긴이삭비름의 각 종자를 파종했다. 그 후, 돌피 2.3잎, 새포아풀 1.3잎, 애기나팔꽃 1잎, 긴이삭비름 1잎에 이른 단계에서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한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로 희석하고, 경엽 처리했다. 그 후, 처리후 20일째에 제초 효과 및 약해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5, 표 16, 표 17, 표 18에 나타낸다. 또한, 약량은 10아르당 유효 성분량으로 나타내고, 제초 효과는 0~100의 지수(0:무작용~100:완전 고살)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44985010-pct00019
Figure 112014044985010-pct00020
Figure 112014044985010-pct00021
Figure 112014044985010-pct00022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그 유효 성분인 식[X]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상기 [성분 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제초제와의 조합에 의해, 각각의 제초 효과가 단순히 상가적으로 얻어질 뿐만아니라, 상승적 살초 효과가 발현하거나, 또, 상승적으로 약해가 경감됨과 아울러, 많은 초종에 유효한 점에서,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는 것이 나타났다. 또, 기존의 제초제에 비해 약제 처리 적기폭이 넓어, 잡초의 발생을 장기간에 걸쳐 억제하고, 유용 식물에 약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재배의 생력화와 작물의 증산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이하에 기재되는 식[I]으로 표시되는 옥소피라진 유도체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 A]와, 이하에 기재되는 [성분 B]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성분 A]
    Figure 112019042272674-pct00026

    [성분 B]
    아트라진(atrazine), 이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인다노판(indanofan),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퀸클로락(quinclorac), 글리포세이트·칼륨염(glyphosate-potassium),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프로프(clomeprop),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디우론(diuron), 시할로포프·부틸(cyhalofop-butyl),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시메트린(simetryn), 다이무론(daimuron),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템보트리온(tembotrione), 트리아파몬(triafamo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비스피리박·나트륨염(bispyribac-sodium), 피라조술푸론·에틸(pyrazosulfuron-ethyl),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피리티오박·나트륨염(pyrithiobac-sodiu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페녹사프로프·P·에틸(fenoxaprop-P-ethyl),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부타클로르(butachlor),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플루티아세트·메틸(fluthiacet-methyl),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리술푸론(propyrisulfuron), 프로메트린(prometryn),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페녹술람(penoxsulam),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벤술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벤조페나프(benzofenap), 펜톡사존(pentoxazone),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포메사펜(fomesafen),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타조술푸론(metazosulfuron) 및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를 [성분 A]:[성분 B]의 비로 1:0.001~1:1000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되고,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제초제 조성물과, 적어도 1종류의 불활성의 액체 담체 및/또는 고체 담체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되고, 제초제로서 활성을 나타내는 양의 제초제 조성물과;
    적어도 1종류의 불활성의 액체 담체 및/또는 고체 담체와;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1종류 이상의 계면활성제;
    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을, 유용 식물, 또는, 유용 식물을 생육시키고자 하는 혹은 생육하고 있는 장소에 대하여, 동시에 또는 분할하여 작용시키는 것에 의한,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제어하는 방법.
  6. 유용 식물에 대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용 식물이 수전 작물, 원예 작물, 잔디, 또는 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 방법.
  8. 삭제
KR1020147012860A 2011-10-14 2012-10-04 제초제 조성물 KR10201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6640 2011-10-14
JP2011226640 2011-10-14
PCT/JP2012/006385 WO2013054495A1 (ja) 2011-10-14 2012-10-04 除草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37A KR20140080537A (ko) 2014-06-30
KR102015314B1 true KR102015314B1 (ko) 2019-08-28

Family

ID=4808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860A KR102015314B1 (ko) 2011-10-14 2012-10-04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89610B2 (ko)
KR (1) KR102015314B1 (ko)
AR (1) AR088325A1 (ko)
TW (1) TWI538623B (ko)
WO (1) WO20130544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760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8394A2 (en) 2014-03-11 2015-09-17 Bayer Cropscience Lp Hpp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UA125608C2 (uk) * 2015-04-27 2022-05-04 Баєр Кропсаєнс Акціенгезельшафт Комбінації гербіцидів, які містять глюфосинат та індазифлам
CA2985395C (en) * 2015-05-11 2024-03-12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Herbicide combinations comprising l-glufosinate and indaziflam
CN104996430A (zh) * 2015-08-06 2015-10-28 北京燕化永乐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除草组合物
JP6873979B2 (ja) 2015-09-11 2021-05-19 バイエル・クロップ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Hppd変異体および使用方法
CN105265464A (zh) * 2015-11-04 2016-01-27 广东中迅农科股份有限公司 含有嘧草醚和乙氧氟草醚以及磺酰脲类除草剂的除草组合物
WO2017184727A1 (en) 2016-04-21 2017-10-26 Bayer Cropscience Lp Tal-effector mediated herbicide tolerance
RU2746121C2 (ru) * 2016-07-08 2021-04-07 Кумиай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R20190279A (es) * 2016-12-07 2019-08-14 Bayer Cropscience Ag Combinación herbicida que contiene triafamona e indaziflam
CA3055389A1 (en) 2017-03-07 2018-09-13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Hppd variants and methods of use
WO2019083810A1 (en) 2017-10-24 2019-05-02 Basf Se IMPROVING HERBICIDE TOLERANCE FOR 4-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HPPD) INHIBITORS BY NEGATIVE REGULATION OF HPPD EXPRESSION IN SOYBEANS
US20210032651A1 (en) 2017-10-24 2021-02-04 Basf Se Improvement of herbicide tolerance to hppd inhibitors by down-regulation of putative 4-hydroxyphenylpyruvate reductases in soybean
CN110178848A (zh) * 2019-07-05 2019-08-30 南京农业大学 一种敌稗·噁唑酰草胺·唑草酮治理抗性稗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485A (en) * 1994-11-07 1996-09-17 Bethlehem Steel Corporation Bake hardenable vanadium containing steel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TW200803736A (en) * 2005-09-15 2008-01-16 Ishihara Sangyo Kaisha Herbicidal composition
MX2009007637A (es) * 2007-01-16 2009-09-28 Tyratech Inc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control de pestes.
CN101636084B (zh) * 2007-03-16 2013-10-16 组合化学工业株式会社 除草剂组合物
JP5291624B2 (ja) * 2007-08-01 2013-09-18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オキソピラジン誘導体及び除草剤
JP5584452B2 (ja) * 2008-12-11 2014-09-03 石原産業株式会社 ベンゾイルピラゾール系化合物を含有する除草性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760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88325A1 (es) 2014-05-28
TWI538623B (zh) 2016-06-21
WO2013054495A1 (ja) 2013-04-18
JPWO2013054495A1 (ja) 2015-03-30
JP6389610B2 (ja) 2018-09-12
TW201320896A (zh) 2013-06-01
KR20140080537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314B1 (ko) 제초제 조성물
KR102438451B1 (ko) 선택적인 제초제로서의 3-이속사졸리디논 화합물의 용도
JP2018070650A5 (ko)
UA124816C2 (uk) Гербіцидні суміші, які містять 2-[(2,4-дихлорфеніл)метил]-4,4-диметил-3-ізоксазолідинон, піроксасульфон та мефенпір-діетил
WO2012029446A1 (ja) たばこわき芽抑制剤およびたばこわき芽抑制方法
WO2014102069A1 (en) Herbicidal composition
WO2011145318A1 (ja) 除草剤用薬害軽減剤、薬害が軽減された除草剤組成物及び作物の薬害を軽減する方法
US9686983B2 (en) Tobacco axillary bud growth inhibitor and method for inhibiting tobacco axillary bud growth
TW201626893A (zh) 除草組合物及控制植株生長的方法
TW202318974A (zh) 對抗雜草的點狀處理施用方法
CA3088620A1 (en) Herbicidal mixtures
WO2019168121A1 (ja) 除草組成物
JP6029995B2 (ja) 除草剤組成物
JP5491241B2 (ja) 望まれない植物の防除組成物および防除方法
CA3179690A1 (en) Compound combination with superior herbicidal activity
CA3179691A1 (en) Compound combination with superior herbicidal activity
CN106689169A (zh) 一种除草组合物
JP2023071070A (ja) 除草剤組成物及び雑草の防除方法
JP5875856B2 (ja) 除草剤の薬害を軽減する組成物
WO2001085907A2 (en) Herbicidal or plant growth regulatory compositions
UA124414C2 (uk) Спосіб боротьби зі стійкими або толерантними до гербіцидів бур&#39;янами
WO2022251154A1 (en) Methods for weed control in lawn or turf
CN105265461A (zh) 一种除草组合物
CN110430757A (zh) 用于杂草的除草的混合物
UA113540U (uk) Компресуючий пристрій для фіксації кісткових відламкі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