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042B1 -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042B1
KR102015042B1 KR1020130042392A KR20130042392A KR102015042B1 KR 102015042 B1 KR102015042 B1 KR 102015042B1 KR 1020130042392 A KR1020130042392 A KR 1020130042392A KR 20130042392 A KR20130042392 A KR 20130042392A KR 102015042 B1 KR102015042 B1 KR 10201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screen
displayed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632A (ko
Inventor
최연식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04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 중에서, 상기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팬/틸트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2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3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팬/틸트 동작 시, 실제 입력되는 화면의 영역 중 렌즈의 마진 확보된 반대 방향의 영상을 먼저 보여주면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화면의 끊김 현상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CCTV 등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용 카메라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Panning)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회전(Tilting)되어 감시 영역을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줌(Zoom) 배율 등을 조절하여, 피사체(Object)를 확대 촬영하거나 또는 축소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감시용 카메라는, 방범 또는 보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감시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 또는 장소 등에 부착 설치된다. 감시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들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등으로 출력되어,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녹화된다.
감시용 카메라 중 네트워크 카메라는 별도의 저장장치가 없이 실시간으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서버 등에 포함된 저장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게 되며,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각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카메라는 팬/틸트/줌(PAN/TILT/ZOOM) 동작시 네트워크의 응답속도 지연으로 인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관리자가 PAN 또는 TILT 명령을 조이스틱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더라도, 화면이 이동방향으로 바로 이동되지 않고, 실행명령 입력후 약 1~2초후 팬/틸트/줌(PAN/TILT/ZOOM)으로 이동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네트워크 카메라는 데이터 처리 장비를 통해서 명령어가 전달되고, 랜(LAN) 등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네트워크 속도 저하 및 응답속도의 지연(DELAY)가 있어서, 팬/틸트 동작 요청시 상기 응답속도 지연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에 비춰지는 영상이 이동방향으로 바로 이동되지 않고, 수초 후에 이동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77274호 (2007.07.26.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화면 이동 명령시 일시적으로 렌즈에서 확보되는 마진(Margin) 영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네트워크 딜레이 등에 의한 화면 끊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딜레이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면 반응속도 개선을 위해서, 기록을 위해 입력되는 영상을 분할 처리 후 분할 화면의 중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팬/틸트 명령어 입력시 분할된 영상 중 반대 방향의 화면을 먼저 보여주도록 하여 화면 끊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 중에서, 상기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팬/틸트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2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3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표시 영역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역의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팬/틸트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의 영상을 표시 영역화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조작 신호 방향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 영역화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의 방향을 이동하고자 할 경우, 이동 방향에 따라서 필요한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후, 명령어 실행 후 실제 들어오는 화면의 영역중 렌즈의 마진 확보된 반대편 영상을 먼저 보여주면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화면의 끊김 현상을 체감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영상 중에서 필요한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후, 명령어 실행 후 실제 들어오는 화면의 영역중 렌즈의 마진 확보된 반대편 영상을 먼저 보여주면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회전 명령을 주어도 시스템 관리자가 네트워크 딜레이 현상을 느끼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의 분할 영상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어 획득된 영상들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되어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320)에 표시되거나, 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녹화된다. 이러한 기록 매체의 구체적 구현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는 대용량의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카메라(100)가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300)로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건물 또는 특정 지역의 내부나 외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영상 데이터화 한다.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실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에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코더 유닛과, 상기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 등으로 전송하는 송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광학 렌즈, CCD등과 같은 촬상 소자 등으로 구성된 공지의 카메라 유닛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네트워크(200)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경우에 저장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영상을 압축한 압축 포맷 형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압축 포맷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또는 MPEG-4 등의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네트워크(2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0)와 클라이언트 장치(300) 간을 연결하는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네트워크(200)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0)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의 관리자가 네트워크 카메라(100)를 조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는 사용자 관리 장치이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0)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화면(3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320)에 표시되는 감시 영상을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입력 수단(3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300)는 입력 수단(310)에 의한 입력 신호를 기초로 네트워크 카메라(100)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바꾸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 수단(310)은 상(Up), 하(Down), 좌(Left), 우(Right) 방향뿐만 아니라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등으로 이동 가능한 조이스틱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320)은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영상 표시 수단이 구비된 모듈로서 전달 받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경우, 렌즈를 통해서 들어오는 영상 중에서 렌즈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영역까지를 기록장치에 저장하도록 한 후, 렌즈가 가질 수 있는 마진(margin)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렌즈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송되는 입력 영상(10)이 된다. 상기 입력 영상(100)은 클라이언트 장치(300)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320)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12) 및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입력 영상(10)에서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영상이 표시 영역(12)에 디스플레이되고, 렌즈의 마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렌즈의 마진 영역은 입력 영상(10)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줌 배율 10배에서 8배까지를 표시 영역(12)으로 나머지를 비표시 영역(1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12)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14)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표시 영역(12)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며, 상기 표시 영역(12)의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의 팬/틸트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조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14)의 영상을 표시 영역화 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조작 신호 방향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14)의 나머지 영상을 표시 영역화 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즉, 렌즈에서 확보되는 마진 영역의 영상 데이터도 기록장치에 저장하도록 한 후, 화면 이동 명령시 일시적으로 마진 영역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실제 명령어 실행시 화면 딜레이(delay) 현상을 보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10) 중에서, 상기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S10), 팬/틸트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2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S20), 상기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3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30). 여기에서,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입력 영상(10)을 저장하거나, 또는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입력 영상(10)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마진 영역은 제1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LU(Light Up), U(Up), RU(Right Up), R(Right), RD(Right Down), D(Down), LD(Left Down), L(Left)의 여덟개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통해, 시스템 관리자가 팬/틸트(PAN/TILT) 명령어 입력시 이동방향의 화면을 먼저 보여주도록 하여 화면이 끊어지는 듯한 현상을 보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의 분할 영상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입력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입력 영상(10)에서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영상이 표시 영역(12)에 디스플레이되고, 렌즈의 마진 영역에 포함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영역(1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제1 영역(A)의 영상이 되고, 비표시 영역(12)에 포함된 영상은 마진 영역이므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마진 영역은 제1 영역(A)을 기준으로 8개의 마진 영역(LU, U, RU, R, RD, D, LD L)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을 기준으로 LU(Light Up), U(Up), RU(Right Up), R(Right), RD(Right Down), D(Down), LD(Left Down), L(Left)이 되는 것이다. 입력 영상(10)을 9개로 분할 처리 후 분할 화면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1 영역(A)의 영상(12)만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마진 영역을 다른 개수로 분할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렌즈를 통해서 들어오는 입력 영상(10) 중에서 렌즈가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영역까지를 저장한 후, 렌즈가 가질 수 있는 마진 영역을 제1 영역(A)을 기준으로 각각 L/R/D/U/LU/LD/RU/RD등과 같이 9개로 분할 처리한 경우, 실제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화면(320)에 제1 영역(A)의 영상 부분만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입력 수단(310)을 이용하여 화면의 방향을 이동하고자 할 경우, 명령어 실행 후 실제 들어오는 화면의 영역중, 이동 방향에 따라서 각 8개 분할 영상 중에서 렌즈의 마진 확보된 반대편 영상을 먼저 보여주면서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8개 분할 영상 중에서 이동 방향에 따른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PAN RIGHT 방향버튼을 누를 경우, 오른쪽 디스플레이 화면(320)에 A부분 영상에서 R 부분 영상(이동 방향의 반대편 영상)이 화면에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되며, 이후 실제 명령어 이동을 통해서 L 부분 영상(이동방향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이에, 네트워크 지연(delay) 시간 동안에 R과 L 영역의 저장된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300)의 사용자는 네트워크 지연에 의한 화면 끊김 현상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또한, PAN RIGHT-UPPER 방향으로 누를 경우, 영상은 RU 영역을 통해서 LD 영역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회전 명령을 주어도 네트워크 지연 현상을 느끼지 못하게 처리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서, 디스플레이 화면(320)에 A부분을 제1 영역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첫번째 그림), 사용자가 PAN RIGHT-UPPER 방향으로 누를 경우, 상기 동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인 RU 영역을 포함한 영상을 제2 영역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두번째 그림), 상기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인 LD 영역을 포함한 영상을 제3 영역의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세번째 그림).
그리하여, 기록되는 영상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표시 영역(12)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PANNING/TILTING 명령어 입력 시, 표시 영역(12)으로부터 이동되는 구간의 방향에 따라서 기록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보여줌과 더불어, 실제 영상 화면이 기록되어 있던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의 응답속도 보상을 통해 화면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통해, PAN 또는 TILT 명령을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명령어 실행시, 화면이 이동방향으로 바로 이동되지 않고, 실행명령 입력 후 수초후 이동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를 화면 이동 명령시 일시적으로 마진 영역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실제 명령어 실행시 화면 지연이나 화면 끊김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네트워트 카메라
200: 네트워크
300: 클라이언트 장치

Claims (3)

  1. 렌즈를 통해 획득되는 입력 영상 중에서, 상기 렌즈의 마진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팬/틸트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 신호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2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신호에 해당하는 마진 영역의 영상을 포함한 제3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마진 영역을 LU(Light Up), U(Up), RU(Right Up), R(Right), RD(Right Down), D(Down), LD(Left Down), L(Left)의 여덟개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30042392A 2013-04-17 2013-04-17 영상 처리 방법 KR10201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92A KR102015042B1 (ko) 2013-04-17 2013-04-17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92A KR102015042B1 (ko) 2013-04-17 2013-04-17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32A KR20140124632A (ko) 2014-10-27
KR102015042B1 true KR102015042B1 (ko) 2019-08-27

Family

ID=5199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92A KR102015042B1 (ko) 2013-04-17 2013-04-17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85B1 (ko) * 2014-11-25 2019-10-01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영상 전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768A (ja) 2002-04-17 2004-01-08 Seiko Epson Corp レイアウト画像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07B1 (ko) * 2003-01-17 2005-05-10 이화트론 주식회사 통합키를 이용한 디지털 화상 저장장치의 표시 제어방법
KR101228144B1 (ko) 2006-01-23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감시화면 위치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768A (ja) 2002-04-17 2004-01-08 Seiko Epson Corp レイアウト画像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32A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988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mask image, and recording medium
US8817119B2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gram
US20160283074A1 (en) Infinite recursion of monitors in surveillance applications
JP4804378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US8842188B2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20130050374A (ko) 감시 카메라로 촬영된 디지털 비디오 스트림을 제어가능하게 시청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02645A1 (en) Server and video surveillance method of target place
US20140049655A1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pickup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9185362B2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camera
JP2013062559A (ja) 撮像監視画面及び全方位撮像画面監視システム
KR101311463B1 (ko) 원격 영상정보 제공시스템
US20120002063A1 (en) Camera adjusting system and method
KR102015042B1 (ko) 영상 처리 방법
JP200828909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147327B1 (ko) 카메라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감시장치
JP2014011566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20200177803A1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505161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KR200480446Y1 (ko) Cctv 시스템 제어장치
US20160134842A1 (en) Mobile device capable of being associated with security equipment using widget
KR101301936B1 (ko)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233114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システムの画像転送方法
JP2017085333A (ja) 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