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36B1 -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36B1
KR101301936B1 KR1020120049510A KR20120049510A KR101301936B1 KR 101301936 B1 KR101301936 B1 KR 101301936B1 KR 1020120049510 A KR1020120049510 A KR 1020120049510A KR 20120049510 A KR20120049510 A KR 20120049510A KR 101301936 B1 KR101301936 B1 KR 10130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cus
camera control
moving
focu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윤
김승현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트칩 filed Critical (주) 넥스트칩
Priority to KR102012004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7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including a sight line detect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Abstract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CAMER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신호 중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에 카메라 제어 신호를 실어 전송하여 영상 장치의 렌즈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토라이즈(MOTORIZE) 렌즈는 줌 인(ZOOM IN), 줌 아웃(ZOOM OUT), 포커스를 가까이 하거나, 포커스를 멀리 하는 등의 제어를 각각 다른 키를 할당하여 독립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모토라이즈 렌즈 제어 방식은 원하는 화각에서 좋은 포커스를 얻기 위하여 줌 조절 이후, 다시 포커스를 조절하여야 한다.
일반적인 모토라이즈 렌즈 제어 방식은 두 번 이상의 키 조정이 필요하며 원하는 화각으로 맞추기 위해 줌 위치(ZOOM POSITION)을 이동하는 경우, 포커스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영상 감시 역할을 못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토라이즈 렌즈 방식을 변경하여 줌 렌즈를 움직이는 동안에 포커스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렌즈의 포커스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 간편하게 다양한 화각으로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에 실어 보냄으로써, 통신 장비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장치는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렌즈 이동부는 줌 렌즈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 내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에 따라 자동 포커스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검출부는 현재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과 이전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실어 보내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렌즈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와 상기 렌즈 이동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렌즈 이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모니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 및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OSD 제어 신호는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의 조작을 위한 입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는 상기 메뉴를 상기 입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영상 촬영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모니터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모니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토라이즈 렌즈 방식을 변경하여 줌 렌즈를 움직이는 동안에 포커스를 자동으로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렌즈의 포커스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 간편하게 다양한 화각으로 영상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에 실어 보냄으로써, 통신 장비 설치의 용이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와 자동 포커스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렌즈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모토라이즈 렌즈(MOTORIZE LENS)의 두 기어는 줌(ZOOM)과 포커스(FOCUS)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렌즈 마지막 면에서부터 영상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의 센서 CCD(Charge Coupled Device)(110)의 거리인 후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가 적절하게 고정된 경우, 줌의 위치 별 포커스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줌과 포커스의 위치는 모터에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정보에 의하여 1 단계씩 제어가 가능하므로, 줌 렌즈의 위치의 적당한 지점에 포커스를 맞출 때, 이를 각각 줌 렌즈 모터와 포커스 렌즈 모터의 단계로 표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의 가장 넓은 화각 상태에서부터 가장 좁은 화각의 상태까지를 모터 단계로 나눈 경우, 이에 맞는 포커스 단계를 테이블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줌과 포커스의 단계 테이블을 도출하여 렌즈의 줌이 일정 단계 움직이는 경우, 포커스 단계가 그에 대응하도록 이동한 후 다시 줌을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렌즈를 제어하는 경우 줌 렌즈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포커스 렌즈가 틀어지지 않아 영상 장치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가 따라와 어느 정도 포커스가 맞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영상 장치의 렌즈를 움직이는 기어의 이탈이나 오차에 의해 포커스가 미세하게 맞지 않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순간 어떤 사물이 카메라의 매우 가까운 거리에 들어와 불완전한 포커스를 보이는 경우에도 이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를 이동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줌 렌즈 위치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동 포커스 동작을 1회 이상 수행하는 등의 세미 자동 포커스(SEMI-Auto Focus)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커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센서 CCD(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ISP(Image Signal Processer)(120)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모터 드라이브(130)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모터 드라이브(130)를 구동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이중 모터 렌즈(140)에 포함된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아래와 같이 카메라 제어 방법을 통하여 자동 포커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는 검출부(210) 및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240)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부(22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와 자동 포커스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의 예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렌즈 이동부(220)는 줌 렌즈(230)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 렌즈(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렌즈 이동부(220)는 상기 포커스 영역 내에서 포커스 렌즈(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검출부(210)는 포커스 렌즈(240)의 이동에 따라 자동 포커스 값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검출부(210)는 현재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과 이전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렌즈 이동부(220)는 포커스 렌즈를 현재 지점으로부터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310)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자동 초점을 위하여 렌즈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RS-485 통신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영상 장치에 별도의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카메라 제어 신호를 렌즈 이동부로 전달하여 렌즈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CCTV의 원격 제어를 위한 많은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연결부(430)를 통하여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420)와 렌즈 이동부(4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제어부(440)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460)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실어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VBI를 설명하며, VBI는 텔레비전 등의 영상 표시 장치에서 다음 스크린 필드를 찾기 위해 스크린의 첫 번째 라인으로 돌아가는 동안 잠시 전자총의 발사를 멈추는 기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신호는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BL(Blanking Line)이 존재하며, 이 부분을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이라고 한다.
VBI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VBI은 시간 코드, 자막 방송(Closed caption), 문자 다중 방송, CGMS-A 복제 방지 정보와 (V 칩에 사용되는 영상 등급 정보를 정의한) XDS 프로토콜에 의해 부호화된 여러 데이터 및 다른 디지털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VBI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를 위한 세트(SET), 업(UP), 다운(DOWN), 왼쪽(LEFT), 오른쪽(RIGHT) 등과 같은 키의 입력 값을 실어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 영상을 보기 위한 동축 케이블 등의 연결부를 통해 전송되므로, 별도의 연결선에 대한 추가 설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450)를 이동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46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어부(440)는 모니터(420)와 렌즈 이동부(41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연결부(430)를 통하여 렌즈 이동부(4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OSD 및 PTZ(Pan Tilt Zoom) 제어를 하기 위하여 영상 신호의 VBI 구간인 라인 10 내지 라인 21에 카메라 제어 신호를 실어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제어부(440)를 연결부(430) 상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카메라의 줌 렌즈(450) 및 포커스 렌즈(460)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제어부(440)의 전원으로, 건전지 또는 충전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비 이동과 셋팅 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연결부(430)를 통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렌즈 이동부(410)로 전송함으로써, 저렴하고 간단한 통신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한다(5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5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520)에서, 줌 렌즈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렌즈 제어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영역 내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61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줌 렌즈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 영역 내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62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에 따라 자동 포커스 값을 검출할 수 있다(63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현재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과 이전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64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65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실어 보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710),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20),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모니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730) 및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내는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OSD 제어 신호는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의 조작을 위한 입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니터(720)는 상기 메뉴를 상기 입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VBI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를 위한 세트(SET), 업(UP), 다운(DOWN), 왼쪽(LEFT), 오른쪽(RIGHT) 등과 같은 키의 입력 값을 실어 보내어, 상기 키의 입력 값에 따라 상기 메뉴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740)는 모니터(720)와 영상 촬영부(7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어부(740)는 모니터(720)와 영상 촬영부(710)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OSD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OSD 및 PTZ(Pan Tilt Zoom) 제어를 하기 위하여 영상 신호의 VBI 구간인 라인 10 내지 라인 21에 카메라 제어 신호를 실어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제어부(740)를 연결부(730) 상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OSD 메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제어부(740)의 전원으로, 건전지 또는 충전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장비 이동과 셋팅 면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연결부(730)를 통하여 상기 OSD 제어 신호를 모니터(720)로 전송함으로써, 저렴하고 간단한 통신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영상 촬영부(71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8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모니터(720)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8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영상 촬영부(710)와 모니터(7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730)를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모니터(720)로 전달한다(8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낸다(840).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OSD 제어 신호는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의 조작을 위한 입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는 모니터(720)를 통하여 상기 메뉴를 상기 입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85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10: 검출부
220: 렌즈 이동부
230: 줌 렌즈
240: 포커스 렌즈

Claims (16)

  1.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부
    를 포함하고,
    줌 렌즈의 가장 넓은 화각 상태에서부터 가장 좁은 화각의 상태까지를 줌 렌즈 모터 단계로 나눈 경우,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에 대한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를 모터 단계 테이블로 도출하고,
    상기 모터 단계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만큼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줌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줌 렌즈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동부는 상기 포커스 영역 내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에 따라 자동 포커스 값을 검출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현재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과 이전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을 검출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실어 보내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렌즈 이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와 상기 렌즈 이동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렌즈 이동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8. 피사체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모니터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연결부; 및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내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는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줌 렌즈의 가장 넓은 화각 상태에서부터 가장 좁은 화각의 상태까지를 줌 렌즈 모터 단계로 나눈 경우,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에 대한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를 모터 단계 테이블로 도출하고,
    상기 모터 단계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만큼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줌 렌즈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SD 제어 신호는,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의 조작을 위한 입력 값
    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메뉴를 상기 입력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1. 포커스 영역(Focus boundary) 내에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Auto Focus Peak Position)을 검출하는 단계;
    줌 렌즈의 가장 넓은 화각 상태에서부터 가장 좁은 화각의 상태까지를 줌 렌즈 모터 단계로 나눈 경우,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에 대한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를 모터 단계 테이블로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 중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모터 단계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만큼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줌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줌 렌즈의 위치 변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영역 내에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에 따라 자동 포커스 값을 검출하는 단계; 및
    현재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과 이전 필드의 자동 포커스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 자동 포커스 피크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를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실어 보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5.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부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모니터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부와 상기 모니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영상 정보의 VBI(Vertical blanking interval) 구간에 OSD(On Screen Display) 제어 신호 또는 PTZ(Pan Tilt Zoom) 신호를 실어 보내는 단계;
    상기 줌 렌즈의 가장 넓은 화각 상태에서부터 가장 좁은 화각의 상태까지를 줌 렌즈 모터 단계로 나눈 경우,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에 대한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를 모터 단계 테이블로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 단계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줌 렌즈 모터 단계에 대응하는 상기 포커스 렌즈 모터 단계만큼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줌 렌즈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20049510A 2012-05-10 2012-05-10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0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10A KR101301936B1 (ko) 2012-05-10 2012-05-10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510A KR101301936B1 (ko) 2012-05-10 2012-05-10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936B1 true KR101301936B1 (ko) 2013-08-30

Family

ID=4922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510A KR101301936B1 (ko) 2012-05-10 2012-05-10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9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398A (ja) * 1997-01-29 1998-08-11 Toshiba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カメラシステム
KR20010097717A (ko) * 2000-04-25 2001-11-08 안관 줌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 제어 방법
KR20080024298A (ko) * 2006-09-13 2008-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팬/틸트 명령 삽입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398A (ja) * 1997-01-29 1998-08-11 Toshiba Corp コンビネーションカメラシステム
KR20010097717A (ko) * 2000-04-25 2001-11-08 안관 줌 카메라의 자동 포커스 제어 방법
KR20080024298A (ko) * 2006-09-13 2008-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팬/틸트 명령 삽입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242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FA zoom func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9830947B2 (en) Image-capturing device
US10419683B2 (en) Zoom control device,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zoom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101587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052931A (zh) 一种图像拍摄装置、方法及终端
US10812728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2058464A (ja) 撮像システムおよび画素信号読出し方法
US8797445B2 (en)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19875A5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217103A (ja) 複眼撮影方法および装置
US8547454B2 (en)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JP626560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645427B1 (ko)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메라 장치의 동작 방법
US1182371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W202002606A (zh) 影像擷取裝置與其操作方法
US1003393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01936B1 (ko) 카메라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6556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7049266A (ja) 画像撮像装置
US1119693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5629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5012550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KR100872403B1 (ko)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ptz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시스템
US20240073525A1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266466A1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