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90B1 -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90B1
KR102014490B1 KR1020190058261A KR20190058261A KR102014490B1 KR 102014490 B1 KR102014490 B1 KR 102014490B1 KR 1020190058261 A KR1020190058261 A KR 1020190058261A KR 20190058261 A KR20190058261 A KR 20190058261A KR 102014490 B1 KR102014490 B1 KR 10201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lass fiber
contact
rubber
me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문기술
양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문기술, 양정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문기술
Priority to KR102019005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망(110); 상기 메쉬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강화섬유(120); 상기 메쉬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유리섬유(130);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140);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피복하는 혼합고무(150);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밀착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장착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상기 받침부재(140)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42)를 삽입 및 고정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내측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변형 유도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부면(141)이 상기 혼합고무(15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밀착부재(160)의 상부에 결합돌기(16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밀착부재(160)의 하부에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밀착홈(161)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고정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인상장치와 교량의 상부 구조물 및 인상장치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사이에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개재하는 단계; 상기 교량 충격 완충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 인상부위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The Method of Increase of the Upper Structure of Bridge Impact Cushioning Member of Bridge Decomposition}
본 발명은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교량의 특성상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신축작용이 발생하므로 교량의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의 사이에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교량받침을 설치한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서 하중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내구연한까지 사용된 교량받침은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압잭 등과 같은 인상장치를 하부 구조물 상면에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을 인상시킨 후 교량받침을 보수하거나 새로운 교량받침을 교체하는 작업 등을 실시한다.
그러나 인상작업은 교량받침을 보수 및 교체하는 기간 동안에 계속 인상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인상장치와 맞닿은 구조물의 인상부위에 하중 및 부하가 집중되면서 균열 및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인상장치와 맞닿은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의 충격을 대비하기 위한 어떠한 대안도 제시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문제를 갖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03898호(2006.07.24) 등록특허공보 제10-0948359호(2010.03.22) 등록특허공보 제10-0971188호(2010.07.20) 등록특허공보 제10-1061248호(2011.09.01) 등록특허공보 제10-1205493호(2012.11.27) 등록특허공보 제10-1429880호(2014.08.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상장치와 맞닿은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 사이에 발생하는 하중 및 부하를 분산시키고 완충기능을 통해서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교량 충격 완충부재는,
메쉬망(110); 상기 메쉬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강화섬유(120); 상기 메쉬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유리섬유(130);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140);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피복하는 혼합고무(150);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밀착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장착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상기 받침부재(140)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42)를 삽입 및 고정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내측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변형 유도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부면(141)이 상기 혼합고무(15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밀착부재(160)의 상부에 결합돌기(16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밀착부재(160)의 하부에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밀착홈(161)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고정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부(171); 상기 메쉬망(110)과 유리섬유(13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부(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혼합고무(150)는 천연고무 20 내지 35 중량부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련기에 투입한 후 100 내지 150℃로 10 내지 20분 동안 혼련하고, 상기 혼련기에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5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며, 상기 혼련기에 연화제, 가류제, 가류 촉진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3 내지 5 중량부를 투입하고 50 내지 6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은,
인상장치와 교량의 상부 구조물 및 인상장치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사이에 청구항 1에 기재된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개재하는 단계;
상기 교량 충격 완충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 인상부위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갖는 인상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갖는 인상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쉬망(110); 상기 메쉬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강화섬유(120); 상기 메쉬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유리섬유(130);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140);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피복하는 혼합고무(150);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밀착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장착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상기 받침부재(140)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42)를 삽입 및 고정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내측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변형 유도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부면(141)이 상기 혼합고무(15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밀착부재(160)의 상부에 결합돌기(16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밀착부재(160)의 하부에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밀착홈(161)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고정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메쉬망(110)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가 박리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고정하고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또는 하중으로 인해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메쉬망(110)은 2겹 이상으로 겹쳐진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섬유(120)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성형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도 비중이 작아 경량화가 가능하며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화섬유(120)는 아라미드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섬유(130)는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또는 하중으로 인해 상기 혼합고무(150)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130)는 4겹 이상으로 겹쳐진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혼합고무(150)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은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맞닿은 상태로 상기 혼합고무(150)가 직접 맞닿을 경우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하중을 지지하며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노출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상부면(141)은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볼록형태 또는 사각형 및 삼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40)는 MC 또는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장착공(131)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재(140)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42)가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2)는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쐐기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4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절개하여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내측으로 변형하면서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변형 유도홈(143)을 형성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고정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한다.
즉,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하중이 집중될 경우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가 서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170)를 통해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동시에 감싸도록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부(171); 상기 메쉬망(110)과 유리섬유(13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고정부(171)와 제2고정부(172)는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 및 상기 메쉬망(110)과 유리섬유(13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돌출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혼합고무(150)는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피복하여 교량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 인상부위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고무(150)는 천연고무 20 내지 35 중량부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련기에 투입한 후 100 내지 150℃로 10 내지 20분 동안 혼련하고, 상기 혼련기에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5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며, 상기 혼련기에 연화제, 가류제, 가류 촉진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3 내지 5 중량부를 투입하고 50 내지 6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조성한다.
특히 상기 천연고무는 교량의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연고무는 20 내지 35 중량부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천연고무가 갖는 본연의 특성을 기대하기 힘들고, 반대로 35 중량부 초과할 경우 천연고무의 함량이 높아져 천연고무를 제외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접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SBR은 상기 혼합고무(150)의 내마모성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기재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SBR은 30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50 중량부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천연고무와 SBR을 혼련기에 투입한 후 100 내지 150℃로 10 내지 20분 동안 혼련하여 천연고무와 SBR이 용융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상기 혼련기에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5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상기 혼합고무(1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블랙은 높은 표면적 특성으로 상기 혼합고무(150)의 혼합물 내에서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성형속도의 향상과 내구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블랙은 10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는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 및 경도가 떨어지고, 반대로 15 중량부 초과할 경우 혼합고무(150)의 경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혼련기에 연화제, 가류제, 가류 촉진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3 내지 5 중량부를 투입하고 50 내지 6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한다.
이때 상기 연화제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의 동적 특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가류제는 고무의 동적 특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가류 촉진제는 가류 과정에서 가류 속도를 높이고 가류 온도의 저하와 함께 가류 시간을 단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화제, 가류제, 가류 촉진제를 혼합한 혼합물은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활성화가 약해지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할 경우 가황 속도 활성화가 커져서 쉽게 건조 및 부서지면서 충격 완충부재의 성질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혼련 및 혼합이 완료된 상기 혼합고무(150)와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 받침부재(140)를 금형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열간 압착기로 120 내지 170℃의 온도로 0.5 내지 3시간 동안 압입하여 판재 형태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착부재(160)는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밀착하여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160)의 하부에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긴밀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밀착홈(161)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말착부재(160)는 부틸고무를 사용하여 내구성, 내오존성, 내노화성의 성질을 가지고, 다른 종류의 고무 재질 중 반발 탄성이 가장 낮으므로 교량의 인상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인상장치(30)와 교량의 상부 구조물(20) 및 인상장치(30)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10)에 사이에 교량 충격 완충부재(100)를 개재하는 단계;
상기 교량 충격 완충부재(100)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인상장치(30)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20)을 인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상장치(30)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종래에 공지된 어떠한 인상장치에도 모두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하부 구조물 20: 상부 구조물
30: 인상장치
100: 본 발명 교량 충격 완충부재
110: 메쉬망 120: 강화섬유
130: 유리섬유 131: 장착공
140: 받침부재 141: 상부면
142: 걸림돌기 143: 변형 유도홈
150: 혼합고무 160: 밀착부재
161: 밀착홈 162: 결합돌기
170: 고정부재 171: 제1고정부
172: 제2고정부

Claims (4)

  1. 메쉬망(110); 상기 메쉬망(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강화섬유(120); 상기 메쉬망(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유리섬유(130);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받침부재(140);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부면(14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메쉬망(110), 강화섬유(120), 유리섬유(13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피복하는 혼합고무(150);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밀착부재(160);를 포함하되,
    상기 유리섬유(13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장착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상기 받침부재(140)의 하부에 형성하는 걸림돌기(142)를 삽입 및 고정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장착공(131)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내측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변형 유도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40)는 상부면(141)이 상기 혼합고무(15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밀착부재(160)의 상부에 결합돌기(162)를 형성하여 상기 혼합고무(150)의 하부면에 결합하고, 상기 밀착부재(160)의 하부에 상부 구조물(10)과 하부 구조물(20) 또는 인상장치(30)의 표면에 맞닿을 경우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밀착홈(161)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 및 유리섬유(130)의 양끝을 고정하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메쉬망(110)과 강화섬유(12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1고정부(171); 상기 메쉬망(110)과 유리섬유(130)가 서로 맞닿은 양끝에 내측으로 돌출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제2고정부(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고무(150)는 천연고무 20 내지 35 중량부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30 내지 50 중량부를 혼련기에 투입한 후 100 내지 150℃로 10 내지 20분 동안 혼련하고, 상기 혼련기에 카본블랙 10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5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며, 상기 혼련기에 연화제, 가류제, 가류 촉진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3 내지 5 중량부를 투입하고 50 내지 60℃로 5 내지 10분 동안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
  4. 인상장치와 교량의 상부 구조물 및 인상장치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사이에 청구항 1에 기재된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개재하는 단계;
    상기 교량 충격 완충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인상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을 인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충격 완충부재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20190058261A 2019-05-17 2019-05-17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201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61A KR102014490B1 (ko) 2019-05-17 2019-05-17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61A KR102014490B1 (ko) 2019-05-17 2019-05-17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490B1 true KR102014490B1 (ko) 2019-08-26

Family

ID=6780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61A KR102014490B1 (ko) 2019-05-17 2019-05-17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898B1 (ko) 2005-12-30 2006-07-24 한토산업 (주)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와 동등한 탄성거동을 하는 기중 및 수중구조물 보수보강용 고분자 조성물
KR100948359B1 (ko) 2009-06-24 2010-03-22 우경건설 주식회사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0971188B1 (ko) 2010-02-23 2010-07-20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고감쇠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받침
KR101061248B1 (ko)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205493B1 (ko) 2012-06-25 2012-11-27 황상노 구조물 탄성받침용 고무 조성물
KR101254063B1 (ko) * 2012-09-24 2013-04-12 (주)진성테크 교량보호대 및 이 교량보호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1429880B1 (ko) 2010-01-06 2014-08-1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가교되고 분지된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898B1 (ko) 2005-12-30 2006-07-24 한토산업 (주)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와 동등한 탄성거동을 하는 기중 및 수중구조물 보수보강용 고분자 조성물
KR100948359B1 (ko) 2009-06-24 2010-03-22 우경건설 주식회사 교량받침 기능을 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KR101429880B1 (ko) 2010-01-06 2014-08-13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가교되고 분지된 중합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0971188B1 (ko) 2010-02-23 2010-07-20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고감쇠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받침
KR101061248B1 (ko)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205493B1 (ko) 2012-06-25 2012-11-27 황상노 구조물 탄성받침용 고무 조성물
KR101254063B1 (ko) * 2012-09-24 2013-04-12 (주)진성테크 교량보호대 및 이 교량보호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9574A1 (en) Spring assembly
WO2006071299A3 (en) Optical fiber ribbons having a preferential tear portion formed by curing and methods therefor
CN102537165A (zh) 一种纤维复合材料板式弹簧及其制造工艺
KR102014490B1 (ko) 교량 충격 완충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20150124863A (ko) Epcd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6335568A (ja) せん断力を許容することができ数本のケーブルを接続する接続部を有する支持手段
KR101925512B1 (ko) 다방향 및 평면 보강형 아스팔트 보강재료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방법
JP2015048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TWI397928B (zh) 具有機械地確實連接幾條電纜的支承裝置
CN104163946A (zh) 一种汽车减震器衬套
CN106044470B (zh) 用于电梯系统的载荷支承构件
CN205602940U (zh) 一种电梯轿顶反绳轮装置
KR101998381B1 (ko) 교량 하중분산 탄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1216743B1 (ko) 고감쇠 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신축이음장치
KR101051439B1 (ko) 면진성능이 향상된 납 면진 받침장치
JPH10306409A (ja) 間隙介装材及び伸縮性ジョイント構造
CN101922682A (zh) 一种灯具减振器及使用该灯具减振器的灯具装置
KR100484564B1 (ko) 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CN211624565U (zh) 一种抗震支撑架组装用锁紧件
CN105703288A (zh) 双组份聚氨酯阶梯式电缆桥架及制作方法
KR101787657B1 (ko) 방진 에어마운트
KR101861139B1 (ko) 승강기용 로프텐션장치
CN204847671U (zh) 一种轿顶减震反绳轮
KR200334751Y1 (ko) 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JP6466627B1 (ja) 弾性車輪および動滑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