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485B1 -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485B1
KR102014485B1 KR1020160091396A KR20160091396A KR102014485B1 KR 102014485 B1 KR102014485 B1 KR 102014485B1 KR 1020160091396 A KR1020160091396 A KR 1020160091396A KR 20160091396 A KR20160091396 A KR 20160091396A KR 102014485 B1 KR102014485 B1 KR 102014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body portion
contents
heigh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557A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배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준 filed Critical 배민준
Priority to KR102016009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4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캡과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비변형성 재질로 만들어진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르게는, 상기 바디부가, 관통된 체결홈을 그 하단에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용기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면서 그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홈을 밀폐시키는 하단 커버를 또한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토퍼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 간의 간격이 상기 용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단조적으로(monotonously) 달라지게 되는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Container capable of pouring out the liquid contents by desired amount}
본 발명은, 물, 이온 음료, 액상의 양념 또는 소스 등과 같은 각종의 액상 내용물 담아둘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양념, 소스 또는 음용수 등과 같은 각종의 액상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쓰러지거나 또는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도 깨지지 않도록 주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재질의 용기는, 이용자가 파지하여 가하는 압력에 의해 내부 공간이 축소됨으로써 그 내부에 있는 액상 내용물이, 뚜껑이 개방되어 만들어진 구멍 또는 뚜껑에 직접 만들어진 구멍을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 압력에 의해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용기는, 압력에 의해 많은 양이 순간 한꺼번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입구(1)에 비해 훨씬 좁은 직경의 구멍(2a)이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출수관(2)이 구비된 뚜껑(3)을 상단에 장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3)에는, 용기가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경우에 그 내용물이 출수관(2)의 구멍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 출수관을 덮거나 막으면서 끼워져 결합되는 마개(4)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 예를 들어 간장, 식초와 같은 소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물이나 차와 같은 음용수를 마시고자 하는 사용자는, 마개(4)를 출수관(2)에서 제거한 후 용기를 파지하고 있는 손아귀에 힘을 주어 용기를 압축시킴으로써 그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액상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수되는 구멍(2a)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액상 내용물은 순간적으로 유출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또는 음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그 액상 내용물을 유출시킨 결과를 보면서 또는 그 유출된 양을 보거나 느끼면서 더 이상의 양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할 때 자신이 파지하고 있는 용기에 가하고 있는 압력을 해제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판단이 이루지기 까지 유출된 양이 사용자가 원하는 양 이상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용기를 압축하여 간장이나 식초와 같은 양념 소스를 종지 등에 유출시키는 중에 그 양을 시각적으로 지각하고 용기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을 해제하더라도 이미 종지 등에는 원하는 양 이상의 과도한 양이 유출되어 있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에 담긴 액상 내용물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방식의 용기는, 그 액상 내용물이 사용자가 원하는 양 이상으로 유출될 수도 있고 이런 경우가 빈번해 지면, 액상 내용물의 상당량이 불필요하게 버려짐으로써 낭비된다.
또한, 이와 같은 원치 않는 과다 내용물 유출을 경험한 사용자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작은 압력을 용기에 가하면서 신경을 집중하여 그 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용상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첫번째의 유출량이 원하는 양에 비해서 너무 소량이어서 내용물을 조금 더 유출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할 때, 압력을 해제하는 시점이 적절치 못해 앞서 유출된 양에 더하여 과다한 내용물 유출이 일어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내부의 액상 내용물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양을 사용자가 손쉽게 지각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만큼씩 또는 제한없이 자유롭게 선택하여 유출시킬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는,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관통된 출수구가 구비된 캡과,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비변형성 재질로 만들어진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르게는, 상기 바디부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하단은 관통된 체결홈이 형성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용기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면서 그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홈을 밀폐시키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토퍼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 간의 간격이 상기 용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단조적으로 달라지게 되는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외경이 달라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내경이 달라지는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절개된 개방홈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개방홈들 사이의 지지대가 상기 스토퍼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지 않게 위치하도록 상기 개방홈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지점의 적어도 2곳에 대해서 형상적으로 외주면과 구분 식별되는 표식이 그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지점의 상기 표식 간에는, 크기 또는 형태에 있어서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표식이 있는 부분이 눌러졌을 때 상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알려주는 표시자가 상기 표식과 연관되어 표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의 액상 내용물이 사용자가 용기를 쥐고서 누르는 부분에 의해 정해지는 용량만큼만 제한적으로 용기 외부로 유출되게 하므로,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또는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과량 유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액상 내용물이 낭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양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제한되는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양을 대략 선택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용도에 맞는 가장 적절한 양만을 용기로부터 유출시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출 용량이 제한되는 누름 부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손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제한된 양만큼만 내용물을 유출시키는데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용기를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그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뚜껑의 일 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토퍼와 용기의 다양한 형태를 각기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에 개방홈이 형성된 스토퍼의 일 형태를 에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점의 테두리를 지시하는 안내선과 그 지점에 압력을 가했을 때 유출되는 양에 대한 정보가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는 용기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외주면상의 특정 지점들의 테두리가 서로 구분하여 식별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안내 돌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내저면의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또는 돌출되는 방식으로 체결된 파이프 형상의 스토퍼(110)가 구비된 캡(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11)은 상단이 개방된 바디부(12)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의 용기는, 측벽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연성(軟性)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원통형태로 구현된다. 즉, 용기의 바디부(12)는 상하에 걸쳐 동일한 직경의 측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10)는 일정 강도 이상의 경성(硬性)의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비변형성 재질로 구현되며,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 외경과 상기 바디부(12)의 내벽과의 간격(101)은 수직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방식으로 그 외벽이 용기의 외벽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용기의 내벽과의 사이(101)에서 만들어지는 공간의 단면적은 하방으로 갈수록 단조적으로(monotonously) 증가하게 된다.
외력(外力)이 가해지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는 상기 용기(10)는, 사용자가 엄지 등으로 외벽에 힘을 가하게 되면 그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그 내부의 액상 내용물이 캡의 출수관(11a)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110)는 용기의 측벽이 맞닿으면(103) 더 이상 중앙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게 함으로써 측벽이 중앙으로 만입되는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스토퍼(110)와 용기의 내벽 간의 간격(101)은 용기의 상단에 가까울수록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에 힘을 가하는 지점( 통상적으로 용기의 대응되는 양측이 눌러지는 지점이 된다. )이 상단에 가까울수록, 누르는 지점을 중심으로 내벽이 중앙으로 만입되는 정도도 작아진다. 즉,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축소되는 내부 공간이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용기(10)를 잡고서 대체적으로 엄지를 사용해서 누르는 지점이 하단에 가까우면(gr_b), 스토퍼(110)에 의해 제한되는 용량 중에서 많은 양이, 상단에 가까우면(gr_t) 적은 양이, 그리고 중앙에 근접하면 적정의 보통 양이 상기 용기(10)로부터 유출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양이 배출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용기의 부분을 눌러서 그에 따른 양이 용기로부터 유출되게 하여 그 액상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10)는 용기(10)의 바디부와 거의 동등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스토퍼(110)가 아니어도, 바닥면(13)에 의해 그 바닥면과 인접된 측벽은 중앙으로의 만입이 크게 제한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0)는 그 종단이 용기의 바닥면(13)과 소정 거리(102) 이격된 위치가 되는 길이를 가져도 무방하다.
한편, 캡(11)에 스토퍼(110)가 구비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110)의 최상단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내외측간에 관통된 투수공(111)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 투수공(111)은, 사용자가 용기내에 얼마 남지 않은 액상 내용물을 출수시키기 위해 용기를 기울이거나 뒤집었을 때, 스토퍼(110) 외측의 잔존 내용물이 투수공(111)을 통해 출수관(11a)의 관통구 측으로 흘러들어가 용기 밖으로 유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서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할 때, 스토퍼의 외주면이 아닌 용기의 측벽이 경사져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의 바디부(22)는 그 직경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태를 가지는 반면, 캡(21)에 구비된 스토퍼(210)는,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도 2에 예시된 형태의 용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210)의 외주면과 바디부(22) 내벽간의 간격(201)은 수직 방향으로 보아 단조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기(20)에 압력을 가하는 지점에 따라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제한된 액상 내용물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도 3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도, 상기 스토퍼(210)가 캡(21)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스토퍼(210)의 최상단에는 스토퍼 내외부로의 액상 내용물의 출입을 위해 다수의 투수공들(211)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용기의 측벽에 힘이 가해질 때 그로 인해 중앙으로 함몰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용기의 캡(11,21)에 구비된 것이었지만,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스토퍼가 용기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와 5는 스토퍼가 용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실시예들을 각기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4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가 테이퍼진 형태로 구비된 용기에 대한 것이고, 도 5는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높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달라지는 바디부를 갖는 용기에 대한 것이다.
도 4와 5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각기, 스토퍼(310,410)가 하부 커버(31,41)에 구비된 것으로서, 스토퍼는 하부 커버에 돌출된 맞춤돌기(311,411)에 끼워지면서 또는 나사식으로 외삽됨으로써 하부 커버와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커버(31)는 원판 형태를 가지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요홈(312)이, 용기(30)의 바닥면(32)에 관통 형성된 체결홈에 끼워짐으로써 용기(30)의 바디부와 결합된다. 상기 하부 커버(31)는 상기 요홈(312)의 상하에 형성된 플랜지(flange)에 의해 바닥면(32)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31)는, 고무와 같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용기의 바닥면(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부의 액상 내용물이 새지 않게 하는 기밀성을 제공한다.
스토퍼(410)가 구비된 도 5의 하부 커버(41)도, 도 4의 하부 커버(31)와 마찬가지로 해당 용기(40)와 결합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용기(30)는, 다른 실시예들과는 달리, 그 내벽과 스토퍼와의 간격(301)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의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30)에 압력을 가하는 지점이 하단에 가까울수록 더 적은 양으로 제한된 내용물을 출수구를 통해 유출시키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용기의 상하 방향으로 사용자의 압력점이 달라짐에 따라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의 양도 선형적으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최대로 유출시킬 수 있는 용량도 여전히 내부에 구비된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스토퍼의 종단과 용기의 하단( 도 2와 3의 실시예의 경우 ) 또는 스토퍼의 종단과 용기의 상단( 도 4와 5의 실시예의 경우 ) 사이 구간의 측벽을 누르게 되면, 내부로 만입되는 정도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지만, 용기의 바닥면 또는 상단면의 저항에 의해 어느 정도 제한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어떤 필요에 의해서,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을 제한된 양만큼이 아닌 최대로 유출시키고자 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 스포터의 종단과 용기의 상단 또는 하단 간의 사이 구간의 측벽에 힘을 가하더라도 횡단면의 저항으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바를 이룰 수가 없다.
도 6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스토퍼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6의 스토퍼(50)는, 길이 방향으로 보아 중앙부에 그 외주면을 따라 균등 간격으로 절개됨으로써 다수개의 개방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홈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압력에 의해 중앙으로 밀려 들어오는 측벽을 정지시키지 않게 된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에 개방홈(51)을 형성할 때는, 개방홈의 절개에 따라 만들어지는 가는 지지대(52)가 중심선(50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의 외주면을 따라 3개의 개방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게 되면 그에 따라 만들어지는 가는 지지대(52)들은 각기 120도의 간격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각 지지대는, 중심선(501)을 기준으로 그 반대측은 완전히 개방되고 인접하는 다른 2개의 지지대들은 각각 정반대측에서 60도씩 어긋나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임의의 한 지지대에 대해서 그 반대측은 개방되는 형태로 개방홈(51)들을 스토퍼(50)에 형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해 용기에 압력을 가할 때 그 압박되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서로 대칭되는 양 측벽이므로, 그렇게 형성하지 않았을 때 서로 대칭되게 만들어진 양측의 지지대에 의해 걸려서 양 측벽이 중앙으로 만입되는 정도가 함께 제한되는 경우를 없앨 수 있다. 즉, 상기 개방홈(51)들이 형성된 스토퍼 구간과 동 높이의 용기 측벽을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게 되면, 용기의 탄성 정도에 따라서는 양 측벽이 지지대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극이 될 때까지 최대한 근접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양 측벽이 거의 닿을 정도로 만입되면 액상 내용물은 1회의 용기 압축에 의해 유출될 수 있는 최대 양이 유출된다.
따라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개방홈이 형성된 스토퍼를 적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해당 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제한 용량 중에서 원하는 양을 적절히 선택하여 유출시킬 수 있고, 용기의 하부( 또는 상부 )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용량 중에서 원하는 양을 적절히 선택하여 유출시킬 수 있으며, 개방홈이 형성된 구간에서는 스토퍼에 의한 제한없이 내용물을 최대한 유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6과 같이 테이퍼진 형태의 스토퍼를 예로 하여, 중앙부에 개방홈이 구비된 스토퍼에 의한 기능/작용을 설명하였지만, 위의 설명은 도 3과 5의 원통형 스토퍼에 대해서도 당연히 그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용기의 어떤 지점을 눌렀을 때 그 부분의 압박에 의해 대략 어느 정도의 액상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지를 알 수 있게 하는 식별자를 용기의 외주면에 표기 또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자의 하나로서, 해당 지점( 즉, 테두리 )을 가리키는 안내선(61)과 그 지점을 눌렀을 때 유출되는 양을 나타내는 유출량 정보(62)가 용기 외주면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유출량 정보(62)로서 표시되는 수치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용기를 파지하여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지점( 예를 들어, 해당 테두리의 양 측 )을 눌렀을 때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양을 해당 용기에 대해 반복적으로 실험하고 그에 따른 통계적 결과로부터 구하여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사용자는 수치가 각기 표시된 서로 인접된 안내선(63a,63b) 사이의 지점(gr_x)을 압축함으로써 상하에 표기된 수치들의 대략 중간값( 예를 들어, 17~18 [ml] )에 해당하는 양을 유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용기 외주면에서 특정 지점( 해당 지점을 양측에서 얍축하였을 때 특정 양이 유출되게 하는 테두리 )을 가리키는 표식을. 시각적으로가 아닌 촉각적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외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용기 외주면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의 예를 보여준다.
도 8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둘레를 따라 작은 돌기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용기를 파지하여 엄지를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시킬 때,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특정 양이 유출되는 지점인 지를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엄지 등을 사용하여 누르고자 하는 곳이 특정 유출량에 대응하는 지점인 지를 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보다 편리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양이 유출되는 지점에 대해서 서로 다른 크기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이 유출되게 하는 둘레의 돌기들(71a)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유출되게 하는 둘레의 돌기들(71b)에 비해서 좀 더 작은 크기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돌기의 크기가 아닌 돌출된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특정 지점들을 서로 다르게 구분시킬 수도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기의 크기나 형태를 특정 지점들이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달리하는 실시예를 용기에 적용하면, 해당 용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 용기의 특정 지점 주위에 표기된 유출양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촉각적으로 지각되는 정보로부터 유출양을 파악할 수가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용기로부터 원하는 특정 양만을 유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8은, 용기 외주면에 특정 양이 유출되는 지점( 또는 테두리 )을 용기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의 식별자로써 지시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식별자를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요홈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당연히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적은 제한된 양이 유출되는 지점은 상대적으로 많은 제한 양이 유출되는 지점보다 폭을 좀 더 좁게 하여 둘레를 따라 또는 둘레의 일부에 대해 요홈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스토퍼와 그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용기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20,30,40: 용기 11,21: 캡(cap)
11a: 출수관 12,22: 바디부
13,32: 바닥면 31,41: 하부 커버
50: 스토퍼 51: 개방홈
52: 지지대 71a,71b: 안내 돌기
110,210,310,410: 스토퍼 111,211: 투수공
311,411: 맞춤돌기 312: 요홈

Claims (8)

  1.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면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에 있어서,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관통된 출수구가 구비된 캡과,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비변형성 재질로 만들어진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 간의 간격이 상기 용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단조적으로 달라지게 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절개된 개방홈(51)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개방홈들(51) 각각은, 상기 스토퍼의 중심(501)을 기준으로 그 반대측에는 지지대(52)가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2)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2.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면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내부의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에 있어서,
    액상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하단은 관통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고, 관통된 출수구가 구비된 캡과,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홈을 밀폐시키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의 비변형성 재질로 만들어진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토퍼의 외주면과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 간의 간격이 상기 용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단조적으로 달라지게 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높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절개된 개방홈(51)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개방홈들(51) 각각은, 상기 스토퍼의 중심(501)을 기준으로 그 반대측에는 지지대(52)가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52)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외경이 달라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내경이 달라지는 형태를 갖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지점의 적어도 2곳에 대해서 형상적으로 외주면과 구분 식별되는 표식이 그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지점의 상기 표식 간에는, 크기 또는 형태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표식이 있는 부분이 눌러졌을 때 상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알려주는 표시자가 상기 표식과 연관되어 표기되어 있는 것인 내용물을 제한하여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KR1020160091396A 2016-07-19 2016-07-19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KR10201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6A KR102014485B1 (ko) 2016-07-19 2016-07-19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96A KR102014485B1 (ko) 2016-07-19 2016-07-19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57A KR20180009557A (ko) 2018-01-29
KR102014485B1 true KR102014485B1 (ko) 2019-08-26

Family

ID=610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96A KR102014485B1 (ko) 2016-07-19 2016-07-19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4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7519A1 (en) * 2001-02-16 2002-08-29 L'oreal Spray container device
JP2009298426A (ja) * 2008-06-11 2009-12-24 Kao Corp スクイ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3108B2 (ja) * 1996-07-10 2004-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7519A1 (en) * 2001-02-16 2002-08-29 L'oreal Spray container device
JP2009298426A (ja) * 2008-06-11 2009-12-24 Kao Corp スクイ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57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839B2 (en) Filtering dispenser container
US20140246463A1 (en) Beverage dispensing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A2453821C (en) Cup assembly with retaining mechanism
CA2924163A1 (en) Flow restrictor
JP3194661U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US20190053649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Non-Circular Shape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KR102014485B1 (ko) 액상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씩 유출시킬 수 있는 용기
JP6427958B2 (ja) 注出口栓及び包装容器
US2896237A (en) Flexible container
US20200216233A1 (en) Container cap including two-way duckbill valve
JP6100183B2 (ja) 二重容器用液漏れ防止キャップ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JP5587584B2 (ja) 流動物押出用容器
CN117580490A (zh) 用于储存香气物质的储香器以及具有这种储香器的饮用系统
JP6859777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JP6378600B2 (ja) スクイズ容器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KR101810558B1 (ko)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CN210748912U (zh) 一种调料瓶
JP2004284619A (ja) プッシュプル注出キャップ
CN211096074U (zh) 一种高密封可靠性结构的滴眼液瓶系统
JP2018172164A (ja) 計量キャップ
CN211618617U (zh) 瓶塞和瓶子
KR200212611Y1 (ko) 프라스틱재질의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