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73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73B1
KR102014173B1 KR1020130049520A KR20130049520A KR102014173B1 KR 102014173 B1 KR102014173 B1 KR 102014173B1 KR 1020130049520 A KR1020130049520 A KR 1020130049520A KR 20130049520 A KR20130049520 A KR 20130049520A KR 102014173 B1 KR102014173 B1 KR 10201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light
disposed
substrate
sour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928A (ko
Inventor
주근탁
임동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73B1/ko
Priority to US14/223,629 priority patent/US20140307427A1/en
Priority to EP16162680.9A priority patent/EP3064824B1/en
Priority to EP14162130.0A priority patent/EP2789893B1/en
Priority to JP2014076274A priority patent/JP6300607B2/ja
Priority to CN201410145433.6A priority patent/CN104100862B/zh
Publication of KR2014013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7Details of housings or case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base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housings or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 투과율을 갖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반사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의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 형태는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배광 각도를 넓힐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재료비를 낮출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 투과율을 갖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반사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의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방열체에서도 광이 방사되므로, 전체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과 배광 각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면과 상기 상면 주위에 배치된 외주부를 포함하는 방열체; 상기 상면과 상기 외주부의 일 부분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외주부와 결합하고, 상기 광원 모듈 상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상기 외주부로 반사하고, 상기 외주부는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킨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방열체의 외주부가 광을 투과시키므로, 전체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과 배광 각도를 더욱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 모듈을 방열체 위에 수직으로 배치시키는 방법 또는 별도의 렌즈 구조물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광 각도를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재료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원 모듈(200)과 전원 제공부(4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기판(210)과 연장부(450)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연결부(337)와 전원 제공부(4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1은 지지기판(410)과 방열체(3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와 유사한 실제 구조를 제작하여 구동시킨 경우의 실제 동작 사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100), 광원 모듈(200), 방열체(300), 전원 제공부(400) 및 소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커버(100)>
커버(100)는 반구 형상 또는 벌브(bulb) 형상을 가지며, 속이 비어 있고, 일 부분이 개구된 개구(100G)를 갖는다. 여기서, 반구 형상이란, 기하학적인 의미에서의 반구뿐만 아니라, 반구와 유사한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커버(100)의 내부 직경은 상단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구조일 수 있다.
커버(100)는 광원 모듈(200)과 광학적으로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00)는 광원 모듈(200)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 투과 및 확산시킬 수 있다.
커버(100)는 방열체(30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00)는 방열체(300)의 제2 방열부(33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100)의 하단부는 방열체(300)의 제2 방열부(330)의 외주부(335-1)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100)와 방열체(300)의 결합에 의해, 광원 모듈(200)은 외부와 단절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200)은 외부의 이물질 또는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커버(100)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다. 내면은 광원 모듈(200)로부터의 광 중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 일부는 투과시킬 수 있다. 특히, 커버(100)의 내면은 광원 모듈(200)의 발광 소자(230)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방열체(300)의 제2 방열부(330)의 외주부(335-1)측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광원 모듈(200)의 발광 소자(230)가 LED인 경우, LED는 수직축 방향으로 강한 광이 조사되므로, 커버(100)는 소정의 광 확산율을 가질 수 있다. 커버(100)가 소정의 광 확산율(또는 광 확산 물질)을 가지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커버(100)의 재질은 PC(폴리카보네이트), 유리(glass),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커버(100)는 블로우(blow)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광원 모듈(200)>
광원 모듈(200)은 광원 모듈(200)은 방열체(300) 상에 배치되고, 소정의 광을 커버(100)를 향해 방출하는 발광 소자(23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광원 모듈(200)은 기판(210)과 기판(210)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210)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수지로서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상기 회로 패턴을 가진 얇은 절연 시트(sheet)일 수 있다.
기판(210)의 형상은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판(210)의 형상은 다각형의 판 형상일 수도 있고, 타원형의 판 형상일 수도 있다.
기판(210)은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의 상면과 제2 방열부(330)의 외주부(3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10)의 중심부는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부는 제2 방열부(330)의 외주부(335-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0)의 형상은 방열체(300)의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기판(210)의 폭은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기판(210)의 폭이 상부(311)의 폭보다 크면,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기판(210)의 폭이 상부(311)의 폭보다 작으면, 커버(100)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의 일부가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상부(31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는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210)의 폭은 상부(311)의 폭보다 큰 것이 좋다.
기판(210)의 표면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이거나,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재질의 표면을 갖는 기판(210)은 입사되는 광을 다시 커버(100)로 반사할 수 있다.
기판(210)은 전원 제공부(400)와 결합하기 위한 제1홀(H1)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광원 모듈(200)과 전원 제공부(40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기판(210)과 연장부(450)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기판(210)은 제1홀(H1)을 가지며, 제1홀(H1)에는 전원 제공부(400)의 연장부(450)가 삽입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0)의 상면으로부터 기판(210)의 제1홀(H1)을 관통한 연장부(450)의 끝단까지의 높이(D1) 또는 연장부(450)에서 기판(210)의 제1홀(H1)을 관통한 부분의 길이(D1)는 1.5mm 이상 2.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D1이 1.5mm 보다 작으면, 기판(210)과 연장부(450)의 전기적 연결이 어려워 기판(210)과 연장부(450) 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10)과 연장부(450)의 전기적 연결은 납땜 공정에 의해 가능한데, 이러한 납땜 공정을 위해서는 기판(210)의 단자(211)와 연장부(450)의 단자(451)가 납땜부(700)에 접촉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D1이 1.5mm 보다 작으면, 연장부(450)의 단자(451)가 납땜부(700)와 충분히 접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기판(210)과 연장부(450) 사이에 접촉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D1은 1.5mm 이상인 것이 좋다. 상기 D1이 2.0mm 보다 크면, 광원 모듈(200)의 구동 시 암부가 발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450)의 주위에 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부는 조명 장치의 광 효율을 떨어뜨리며, 사용자들에게 외관 상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D1은 2.0mm 이하인 것이 좋다.
제1홀(H1)의 형상은 연장부(45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홀(H1)의 직경은 연장부(4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홀(H1)은 연장부(450)이 삽입되기에 충분한 크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홀(H1)에 삽입된 연장부(450)는 기판(210)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홀(H1) 내에서, 기판(210)과 연장부(450) 사이의 간격(D2)는 0보다는 크고 0.2mm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D2가 0이면 연장부(450)를 기판(210)의 제1홀(H1)에 삽입하기가 어렵고 의도하지 않은 연장부(450)와 기판(210) 사이의 전기적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2가 0.2mm를 초과하면, 납땜 시에 납땜 물질이 제1홀(H1)을 통과하여 지지기판(410)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데, 이 경우 지지기판(410)에 형성된 인쇄회로가 납땜 물질에 의해 전기적 단락이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연장부(450)가 제1홀(H1) 내에서 위치해야 할 곳에 정확하게 배치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D2는 0보다는 크고 0.2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좋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기판(210)은 기판(210)을 방열체(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홀(H2)을 가질 수 있다.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이 기판(210)의 제2홀(H2)을 통과하여 방열체(300)의 제4홀(H4) 및 제6홀(H6)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기판(210)은 방열체(300)에 고정될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복수로 기판(210)의 일 면(또는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은 기판(210)의 일 면 위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ing Emitting Diode) 칩(chip)이거나 자외선 광(Ultraviolet light)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형(Lateral Type) 또는 수직형(Vertical Type)일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HV(High-Voltage) LED 패키지일 수 있다. HV LED 패키지 내의 HV LED 칩은 DC 전원으로 구동되며, 20 볼트(V)보다 큰 전압에서 턴온된다. 그리고, HV(High-Voltage) LED 패키지는 대략 1W 수준의 높은 소비전력을 갖는다. 참고로, 종래의 일반적인 LED 칩은 2 내지 3(V)에서 턴온된다. 발광 소자(230)가 HV LED 패키지이면, 대략 1W 수준의 높은 소비전력을 갖기 때문에, 적은 수량으로 기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성능을 가질 수 있는바,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발광 소자(230) 상에는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미도시)는 발광 소자(230)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미도시)는 발광 소자(230)로부터 방출하는 광의 지향각이나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미도시)는 반구 타입으로서, 빈 공간 없이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투광성 수지일 수 있다. 투광성 수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산된 형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23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투광성 수지에 포함된 형광체는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황색 계열의 형광체만을 포함되도록 하여 자연광(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지만, 연색지수의 향상과 색온도의 저감을 위해 녹색 계열의 형광체나 적색 계열을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경우, 형광체의 색상에 따른 첨가 비율은 적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녹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황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가넷계의 YAG,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녹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적색 계열의 형광체는 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것 이외에도,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및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이 각각 별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방열체(300)>
방열체(300)는 광원 모듈(20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방열한다. 또한, 방열체(300)는 전원 제공부(400)에서 방출되는 열을 전달받아 방열할 수 있다.
방열체(300)는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는 광원 모듈(200)로부터 직접 열을 전도받아 방열하고, 제2 방열부(330)는 커버(100)에서 반사된 광 중 일부를 투과시켜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의 재질은 제2 방열부(330)의 재질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부(310)은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즉 광 투과율이 없는 재질일 수 있고, 제2 방열부(330)는 소정의 광 투과율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제2 방열부(330)가 광 투과율을 갖는 재질이면, 커버(1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배광 각도를 더 넓힐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스타(Energy Star)의 후 배광 규정(C90-270 중 270°~ 360°에서, 총 광속의 5% 이상일 것)도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제2 방열부(33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 사이클로 헥산 디메칠렌 텔레프타레이트(PCT)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열부(330)의 재질이 위에서 언급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광 투과율을 갖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한편, 제1 방열부(310)가 광 투과율이 없는 재질이면, 제1 방열부(3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제공부(400)를 외부에서 볼 수 없게 할 수 있어 심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는 비절연 재질이고, 제2 방열부(330)는 절연 재질일 수 있다. 제1 방열부(310)가 비절연 재질이면 광원 모듈(20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빠르게 방열할 수 있고, 제2 방열부(330)가 절연 재질이면 방열체(300)의 외면이 절연체가 되므로,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를 전기 에너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열부(330)가 전원 제공부(400)를 둘러싸기 때문에, 전원 제공부(400)를 전기적으로도 보호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의 재질은 알루미늄, 구리 및 마그네슘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일 수 있고, 제2 방열부(330)는 PC, PCT, ABS(Acrylonitrile(AN), Butadiene(BD), Styrene(SM)) 등과 같은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수지 재질의 제2 방열부(330)는 금속 분말(metal powder)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부(330)가 수지 재질이면, 방열체 전체가 금속 재질인 종래의 것보다 외관 성형이 더 쉽고, 종래의 방열체의 도장 또는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로 인한 외관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AC LED를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체 조명 장치의 중량을 낮출 수 있고,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방열부(310)를 구성하는 재료의 제1 열 전도율(W/(mk) or W/m℃)은 제2 방열부(330)를 구성하는 재료의 제2 열 전도율보다 클 수 있다. 제2 방열부(330)보다 제1 방열부(310)에 광원 모듈(200)이 더 가까이 배치되므로, 제1 방열부(310)의 열 전도율이 제2 방열부(330)의 열 전도율보다 큰 것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방열부(310)는 열 전도율이 큰 알루미늄일 수 있고, 제2 방열부(330)는 제1 방열부(310)의 열 전도율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갖는 PC 또는 PCT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열부(310)가 알루미늄으로, 제2 방열부(330)가 PC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방열부(310) 상에 광원 모듈(20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 상에 광원 모듈(200)의 기판(210)과 발광 소자(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10)와 전원 제공부(400)를 수납하는 수납부(310R)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열부(310)는 상부(311)와 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311)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서, 상부(311)의 상면 상에 광원 모듈(200)의 기판(210) 및 발광 소자(230)가 배치되어 광원 모듈(200)로부터 직접 열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부(311)는 광원 모듈(200)로부터의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하부(313)로 전달할 수 있다.
상부(311)의 상면은 제2 방열부(330)의 외주부(335-1)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311)의 상면이 외주부(335-1)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면, 광원 모듈(200)의 기판(210)의 사이즈가 상부(311)의 상면보다 더 커지더라도 기판(210)을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부(311)의 형상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311)의 형상은 중심부가 위로 또는 아래로 볼록한 판일 수도 있고, 반구형의 판일 수도 있다. 또한, 상부(311)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부(311)의 형상은 기판(210)의 형상과 대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311)와 기판(210)은 원형일 수 있다. 상부(311)의 폭은 기판(21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부(311)의 폭이 기판(210)의 폭보다 작으면,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311)을 포함하는 제1 방열부(310)는, 제2 방열부(330)와 달리, 광 투과율이 없는 재질이므로, 만약, 상부(311)의 폭이 기판(210)의 폭보다 크면, 커버(100)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일부가 상부(311)에 의해 차단되므로, 조명 장치의 후 배광 성능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311)의 폭은 기판(210)의 폭보다 작은 것이 좋다.
상부(311)에는 전원 제공부(400)의 연장부(450)가 관통하는 제3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311)에는 제1 방열부(310)를 제2 방열부(3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홀(H4)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미도시)이 제4홀(H4)을 통과하여 제2 방열부(330)의 제6홀(H6)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311)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311)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311)와 광원 모듈(200)의 기판(210) 사이에는 광원 모듈(200)로부터의 열이 상부(311)로 빠르게 전도되기 위한 열전달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방열판(미도시) 또는 방열 그리스(grease)일 수 있다.
하부(313)는 제2 방열부(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313)는 제2 방열부(330)의 제1 수납부(333)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313)가 제2 방열부(330)의 제1 수납부(333)에 배치되면, 금속 재질의 하부(313)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외관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제공부(400)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기존의 조명 장치의 방열체는 그 전체가 금속 재질이고, 기존의 조명 장치의 외관도 금속인 관계로, 내부 전원 제공부에 의한 전기 에너지가 사용자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따라서, 하부(313)가 제2 방열부(330)의 제1 수납부(333)에 배치되면, 전원 제공부(400)에 의한 전기 에너지가 사용자에게 영향을 끼칠 수 없는 이점이 있다.
하부(313)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와 외측부(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313)가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와 외측부(335) 사이에 배치되면, 금속 재질의 하부(313)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외관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제공부(400)에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313)는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하부(313)는 파이프(pipe)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313)는 원통, 타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일 수도 있다. 통 형상을 갖는 하부(313)의 직경은 일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313)의 직경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일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부(313)의 직경이 일정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제조할 때, 제1 방열부(310)를 제2 방열부(330)에 결합 및 제1 방열부(310)를 제2 방열부(330)로부터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하부(313)는 제2 방열부(3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부(313)의 길이는, 제2 방열부(33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제2 방열부(330)의 상단에서 중간부까지만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부(313)의 길이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313)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방열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하부(313)의 외면 또는 내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핀(pin) 또는 엠보싱(embossing) 구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313)에 핀 또는 엠보싱 구조가 배치되면, 하부(313) 자체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방열 면적이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방열 면적이 넓어지면, 방열체(300)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부(311)와 하부(313)는 일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311)와 하부(313)가 일체라는 의미는, 상부(311)와 하부(313)가 각각 별개로서, 상부(311)와 하부(313)의 결합부위가 용접이나 접착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상부(311)와 하부(313)가 물리적인 끊어짐 없이 하나로 연속된 것을 의미한다. 상부(311)와 하부(313)가 일체이면, 상부(311)와 하부(313) 사이의 접촉 저항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상부(311)에서 하부(313)로의 열 전달율이 상부와 하부가 일체가 아닌 경우보다 더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311)와 하부(313)가 일체이면, 이 둘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공정, 예를 들면, 프레스 공정 등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정상의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
제2 방열부(330)는 커버(100)와 함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제1 방열부(310)와 전원 제공부(400)를 수납할 수 있다.
제2 방열부(330) 내부에는 제1 방열부(31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방열부(330)는 하부(313)를 수납하는 제1 수납부(33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납부(333)는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도 함께 수납할 수 있다. 제1 수납부(333)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과 외측부(335)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313)의 길이와 대응되는 소정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열부(330)는 전원 제공부(400)를 수납하는 제2 수납부(330R)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납부(330R)는, 기존의 조명 장치의 방열체의 수납부와 달리, 비절연의 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되므로, 제2 수납부(330R)에 수납되는 전원 제공부(400)를 비절연 PSU로 사용할 수 있다. 비절연 PSU는 절연 PSU보다 단가가 더 낮기 때문에,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2 방열부(330)는 내측부(331), 외측부(335) 및 연결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는 제1 방열부(310)의 수납부(310R)에 배치된다.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는 제1 방열부(310)의 수납부(310R)에 배치되기 위해, 제1 방열부(310)의 수납부(310R)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부(331)의 상면 위에는 광원 모듈(200)의 기판(210)이 배치된다.
내측부(331)는 전원 제공부(400)를 수납하는 제2 수납부(330R)를 가질 수 있다.
내측부(331)는 제2 수납부(330R)에 배치된 전원 제공부(400)의 연장부(450)가 통과하는 제5홀(H5)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판(210)과 제1 방열부(310)를 제2 방열부(3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6홀(H6)을 가질 수 있다.
제2 방열부(330)의 외측부(335)는 제1 방열부(310)를 둘러싼다. 여기서, 제2 방열부(330)의 외측부(335)는 제1 방열부(310)의 외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 제1 방열부(310) 및 제2 방열부(330)의 외측부(33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부(335)는 외주부(335-1)를 포함할 수 있다. 외주부(335-1)는 외측부(335)의 상단부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외주부(335-1)는 내측부(331)의 상면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외주부(335-1)의 가장자리는 커버(100)의 끝단과 결합한다. 외주부(335-1)의 일 부분 상에 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외주부(33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로부터의 광 중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킬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다시 커버(100)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외주부(335-1)가 광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방열체(300)는 광을 방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후 배광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외측부(335)는 핀(pin, 3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핀(335-3)은 제2 방열부(330)의 외측부(335)의 표면적을 넓히므로, 방열체(300)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핀(335-3)에 의해 외측부(335)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광이 핀(335-3)을 투과하지 못해 핀(335-3)에서 암부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핀(335-3)의 개수는 가능한 적은 것이 좋은데, 구체적으로 핀(335-3)의 개수는 2 내지 4 이하인 것이 좋다.
제2 방열부(330)의 연결부(337)는 절연 재질로서, 내측부(331)와 외측부(335)의 하단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연결부(337)는 소켓(500)과 결합한다. 연결부(337)는 소켓(500)에 형성된 나사홈에 대응하는 나사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337)는 내측부(331)와 함께 제2 수납부(330R)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337)는 전원 제공부(400)와 결합하여 전원 제공부(400)를 제2 수납부(330R)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연결부(337)와 전원 제공부(4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부(337)는 체결홈(337h)을 갖는다. 체결홈(337h)은 지지기판(410)의 돌출부(4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체결홈(337h)은 지지기판(410)의 돌출부(470)의 개수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400)의 지지기판(410)은 연결부(337)의 체결홈(337h)에 결합되는 돌출부(470)를 갖는다. 돌출부(470)는 지지기판(410)의 하단 양쪽 모서리에서 외부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470)의 형상은 지지기판(410)이 제2 수납부(330R)로 수납되기는 쉽고, 반대로 지지기판(410)이 제2 수납부(330R)에서 빠져나오기는 어려운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470)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기판(410)의 돌출부(470)가 연결부(337)의 체결홈(337h)에 결합되면, 지지기판(410)은 제2 수납부(330R)에서 밖으로 빠져나오기 어렵고, 지지기판(410)을 제2 수납부(330R) 내부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 작업, 예를 들면 전원 제공부(400)의 몰딩 공정 등이 불필요하므로, 조명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방열부(330)의 제1 수납부(333)는 제2 방열부(330)의 내측부(331)과 외측부(335)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방열부(310)의 하부(313)가 수납된다. 제1 수납부(333)는 제1 방열부(310)의 하부(313)의 길이만큼 소정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납부(333)가 내측부(331)와 외측부(335)를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내측부(331)의 하단부와 외측부(335)의 하단부에는 제1 수납부(333)가 형성되지 않아, 내측부(331)과 외측부(335)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제1 방열부(310)가 제2 방열부(3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부(310)의 하부(313)는 제2 방열부(330)의 제1 수납부(333)에 삽입되고, 제1 방열부(310)의 상부(311)는 제2 방열부(330)의 캐비티(335a)에 삽입된 후, 접착 공정 또는 체결 공정 등을 통해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서로 결합된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분리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소정의 공정의 결과에 의해, 서로 고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는 서로 분리되기 어렵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를 분리시킨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일체로 형성된다, 혹은 분리가 제한된다는 의미는, 어떠한 힘에 의해서도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인간의 힘보다 상대적으로 큰 소정의 힘, 예를 들면 기계적인 힘에 의해 분리는 가능하지만, 만약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상기 소정의 힘에 의해 분리되었다면, 다시 이전의 결합된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면, 또는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분리되는 것이 제한되면, 금속 재질의 제1 방열부(310)와 수지 재질의 제2 방열부(330) 사이의 접촉 저항이,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일체이지 않은 경우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접촉 저항이 더 낮아지므로, 종래의 방열체(전체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일체이면,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가 일체이지 않은 경우보다 외부 충격에 의한 제2 방열부(330)의 파손이나 손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제1 방열부(310)와 제2 방열부(330)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인서트(insert) 사출 가공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은, 사전에 제작된 제1 방열부(310)를 제2 방열부(33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틀)에 넣은 후, 제2 방열부(330)를 구성하는 재료를 용융하여 상기 금형에 넣고 사출하는 방법이다.
<전원 제공부(400)>
전원 제공부(Power Supply Unit, 400)는 지지기판(410)과 복수의 부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판(410)은 복수의 부품(430)을 실장하며, 소켓(500)을 통해 제공된 전원 신호를 받고, 광원 모듈(200)로 소정의 전원 신호를 제공하는 인쇄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지지기판(410)은 사각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지지기판(410)은 제2 방열부(330)의 제2 수납부(330R)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지지기판(410)과 방열체(3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방열체(300)의 제2 수납부(330R) 내부에는 지지기판(410)의 일측부를 양쪽에서 각각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338a, 338b)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에는 지지기판(410)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38g)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의 간격(W1, W2)은 제2 수납부(330R) 내부로 들어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또는 가이드홈(338g)의 직경(W1, W2)은 제2 수납부(330R)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이렇게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의 간격(W1, W2) 또는 가이드홈(338g)의 직경(W1, W2)이 제2 수납부(330R)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아지면, 지지기판(410)을 제2 수납부(330R)로 삽입하는 공정이 쉬어지고, 지지기판(410)을 방열체(300) 내부에 정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수납부(330R)의 입구에서,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의 간격(W1)은 지지기판(410)을 제2 수납부(330R)에 삽입하기 쉽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기판(410)의 두께에 1mm 더한 값보다는 큰 것이 좋다. 즉, 지지기판(410)의 일면과 제1 가이드부(338a) 사이의 간격이 0.5mm 이상인 것이 좋다.
제2 수납부(330R)의 바닥면에서,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의 간격(W2)은 지지기판(410)을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시키기 위해, 지지기판(410)의 두께보다는 크고 지지기판(410)의 두께에 0.1mm를 더한 값보다는 작은 것이 좋다. 즉, 지지기판(410)의 일면과 제1 가이드부(338a) 사이의 간격이 0.05mm 이하인 것이 좋다.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에 지지기판(410)의 돌출부(470)가 삽입되는 연결홈(337h)이 형성된다. 연결홈(337h)이 제1 가이드부(338a)와 제2 가이드부(338b)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지지기판(410)을 더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고, 지지기판(41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지지기판(410)은 연장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50)는 지지기판(410)의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된 것으로서, 방열체(300)의 제5홀(H5)과 기판(210)의 제1홀(H1)을 관통한 후, 납땜 공정을 통해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장부(450)는 연장기판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지지기판(410)은 돌출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70)는 지지기판(410)의 하단 양측에서 외부로 연장된 것으로서, 방열체(300)의 연결부(337)에 결합된다.
복수의 부품(430)은 지지기판(410) 상에 장착된다. 복수의 부품(430)은 예를 들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광원 모듈(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광원 모듈(200)을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원 제공부(400)는 제2 방열부(330)의 제2 수납부(330R)를 정의하는 내벽들이 절연 재질, 예를 들어 수지 재질이므로, 비절연 PSU일 수 있다. 전원 제공부(400)가 비절연 PSU이면, 전체 조명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소켓(500)>
소켓(500)은 방열체(300)의 연결부(337)와 결합하고, 전원 제공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켓(500)은 외부 AC 전원을 전원 제공부(400)에 전달한다.
소켓(500)은 기존의 백열 전구의 소켓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일 수 있다. 소켓(500)이 기존의 백열 전구의 소켓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기 때문에,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기존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와 유사한 실제 구조를 제작하여 구동시킨 경우의 실제 동작 사진이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조명 장치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와 다른 점은, 핀(335-3)의 개수에 있다. 핀(335-3)의 수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들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와 동일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을 투과시키지 못하는 방열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달리,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방열체에서도 소정의 광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원 모듈을 수직으로 세워서 배치한다거나 광원 모듈 위에 후 배광을 위한 별도의 렌즈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후 배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광 각도도 종래의 방열체보다 더 넓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
200: 광원 모듈
300: 방열체
400: 전원 제공부
500: 소켓

Claims (10)

  1. 광 투과율을 갖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 모듈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반사하는 내면을 갖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의 광을 입사받고, 상기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하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광원 모듈이 배치된 상부, 상기 상부에 연결된 하부 및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1 방열부; 및
    상기 제1 방열부의 수납부에 배치되는 내측부와, 상기 제1 방열부의 하부를 둘러싸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제2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상기 광 투과율을 갖고, 상기 제2 방열부의 외측부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상면과 상기 상면 주위에 배치된 외주부를 포함하는 방열체;
    상기 상면과 상기 외주부의 일 부분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외주부와 결합하고, 상기 광원 모듈 상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 중 일부를 상기 외주부로 반사하고, 상기 외주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 상기 상부에 연결된 하부 및 수납부를 갖는 제1 방열부; 및
    상기 제1 방열부의 수납부에 배치되는 내측부와, 상기 제1 방열부를 둘러싸고 상기 외주부를 갖는 외측부를 포함하는 제2 방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체의 상면은 상기 방열체의 외주부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체의 상면은 금속 재질이고, 상기 방열체의 외주부는 수지 재질인, 조명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는 제1 열 전도율을 갖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제2 열 전도율을 갖고, 상기 제1 열 전도율이 상기 제2 열 전도율보다 큰, 조명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부와 상기 제2 방열부는 일체인, 조명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절연 재질이고,
    상기 제2 방열부의 내측부는 상기 전원 제공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부는, 지지기판 및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는 소켓과 결합하기 위한 절연 재질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갖고,
    상기 지지기판은 상기 연결부의 홀에 삽입되는 후크 구조의 돌출부를 갖는 조명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공부는, 지지기판 및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열부의 수납부는 상기 지지기판의 일 측부를 양쪽에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방열부의 수납부의 입구에서 상기 제2 방열부의 수납부의 바닥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조명 장치.
KR1020130049520A 2013-04-11 2013-05-02 조명 장치 KR10201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520A KR102014173B1 (ko) 2013-05-02 2013-05-02 조명 장치
US14/223,629 US20140307427A1 (en) 2013-04-11 2014-03-24 Lighting device
EP16162680.9A EP3064824B1 (en) 2013-04-11 2014-03-27 Lighting device
EP14162130.0A EP2789893B1 (en) 2013-04-11 2014-03-27 Lighting device
JP2014076274A JP6300607B2 (ja) 2013-04-11 2014-04-02 照明装置
CN201410145433.6A CN104100862B (zh) 2013-04-11 2014-04-11 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520A KR102014173B1 (ko) 2013-05-02 2013-05-02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928A KR20140130928A (ko) 2014-11-12
KR102014173B1 true KR102014173B1 (ko) 2019-08-26

Family

ID=5245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520A KR102014173B1 (ko) 2013-04-11 2013-05-02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2517B (zh) * 2014-12-11 2018-01-30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矿灯
CN104406138B (zh) * 2014-12-11 2017-09-22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散热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1166A1 (en) 2010-01-23 2011-07-2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Led illuminating device
US20120140491A1 (en) 2010-12-01 2012-06-07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Led lamp
DE202012009071U1 (de) 2012-09-21 2012-11-08 Carsten Schmidt LED-Leuchte mit verbessertem Rückstrahlverhalt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1166A1 (en) 2010-01-23 2011-07-28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Led illuminating device
US20120140491A1 (en) 2010-12-01 2012-06-07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Led lamp
DE202012009071U1 (de) 2012-09-21 2012-11-08 Carsten Schmidt LED-Leuchte mit verbessertem Rückstrahlverhal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928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607B2 (ja) 照明装置
EP2796782B1 (en) Lighting device
JP6321998B2 (ja) 照明装置
EP2753873B1 (en) Lighting device
WO2014068909A1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KR101978633B1 (ko) 조명기기
KR102014173B1 (ko) 조명 장치
KR102014174B1 (ko) 조명 장치
KR102079971B1 (ko) 조명 장치
KR101315703B1 (ko) 조명 장치
KR101262050B1 (ko) 조명 장치
KR102062086B1 (ko) 조명 장치
KR102062085B1 (ko) 조명 장치
KR102050354B1 (ko) 조명 장치
KR102089625B1 (ko) 조명 장치
KR102066101B1 (ko) 조명 장치
KR102076007B1 (ko) 조명 장치
KR102066102B1 (ko) 조명 장치
KR102082687B1 (ko) 조명 장치
KR102062087B1 (ko) 조명 장치
KR102024704B1 (ko) 조명 장치
KR102024703B1 (ko) 조명 장치
KR102166862B1 (ko) 조명 장치
KR20140140913A (ko) 조명기기
KR20130094973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