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39B1 -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39B1
KR102014039B1 KR1020187020244A KR20187020244A KR102014039B1 KR 102014039 B1 KR102014039 B1 KR 102014039B1 KR 1020187020244 A KR1020187020244 A KR 1020187020244A KR 20187020244 A KR20187020244 A KR 20187020244A KR 102014039 B1 KR102014039 B1 KR 10201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xcitation
output
curren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009A (ko
Inventor
진 이노우에
아키히데 시라츠키
게이타 모치즈키
마사히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457Failure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9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pulse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슬릿 패턴이 형성된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을 실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을 이용한 온/오프 검출 동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는 통상 동작과 코일에 강제적으로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한 상태에서 식별판의 유무에 상관없이, 온/오프 검출 동작을 검증할 수 있는 자기 진단 동작을 전환 가능한 회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물의 오검출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 측에 복수의 거리 센서를 병렬 배치하고, 각 층 상 위치에 피검출판을 거리 센서와 같이 병렬 배치하는 구성을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은 각 층 상에서 다른 조합으로 피검출판을 배치하고, 그 조합을 거리 센서에 의하여 검출함으로써 층상을 식별하고 있다.
각 층에 있어서의 피검출판의 조합은 데이터 베이스로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전에 검출한 조합에 대하여, 금번에 검출된 조합이 데이터 베이스 상의 조합과 모순이 있는 경우에는, 고장 상태라고 판단된다.
또한, 절대 케이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비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 특허 문헌 2는 가이드 레일에 승강 방향으로 배열된 유사 랜덤 코딩의 절대 코드 마크 패턴(단일 트랙 마그넷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코드 판독 장치는 연속 n+1개의 코드 마크를 스캐닝하기 위한 판독 스테이션을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의 절대 위치를 판별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제 5380407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제 4397689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은 피검출판이 없는 경우에는 고장 진단을 할 수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이 층상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거리 센서의 자기 진단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스케일(scale)이 자석이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고가가 된다. 추가로, 자기 진단 기능이 구비되지 않고, 특허 문헌 1과 같이 엘리베이터 칸을 실제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코드 판독 장치는 자기 진단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지 않고 위치 검출의 자기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승강로 내의 층상마다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슬릿 패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식별판과, 엘리베이터 칸 측에 설치되어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교류 자기 응답에 따른 전압치를 출력하고, 식별판의 슬릿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출력치를 생성하는 N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을 가지고, 복수의 코일의 각각이 여자 코일과 차동형 검출 코일로 구성되어 차동형 검출 코일에 의해 검출된 전압치를 출력하는 센서와, 차동형 검출 코일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치에 대해 임계치 처리를 하여,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 층 상에 정지시킬 때의 정지 위치 검출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서, 여자 코일을 흐르는 여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여자 전류의 크기에 따른 자계를 차동형 검출 코일에 인가시키는 테스트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신호 처리부는 테스트 코일에 대해서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와 여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와, 여자 전류의 위상 시프트량을 가변 설정하는 위상 시프터를 가지고, 스위치를 열린 상태로 하여, 테스트 코일에 여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슬릿 패턴을 추출하는 통상 동작을 실행하고, 스위치를 닫힌 상태로 한 다음, 위상 시프터에 의한 위상 시프트량을 전환하여 테스트 코일에 대해서 위상 시프터를 통과한 여자 전류를 공급한 상태로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자기 진단 동작을 실행하고, 차동형 검출 코일로부터의 출력치에 대해서, 여자 전류를 이용해 직교 검파를 실시하는 것으로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및 여자 전류와 이상(異相) 성분의 진폭치를 추출하여,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및 이상 성분의 진폭치로부터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통상 동작시에는 슬릿 패턴을 추출하고, 자기 진단 동작시에는 슬릿 패턴에 의존하지 않고 위상 시프트량에 따라 H레벨 또는 L레벨 중 어느 것에 고정 설정된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릿 패턴이 형성된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을 실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을 이용한 온/오프 검출 동작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는 통상 동작과 코일에 강제적으로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한 상태로 식별판의 유무에 상관없이 온/오프 검출 동작을 검증할 수 있는 자기 진단 동작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시키지 않고 위치 검출의 자기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센서의 구체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슬릿 패턴에 대응하는 M계열 부호와 도어 존, 리레벨존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앞선 도 5와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자기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자기 진단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자기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자기 진단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승강체, 2) 및 균형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복수의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개별로 안내되면서, 도시되지 않는 권상기(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로프(3)를 통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승강로(1) 내에는 복수의 피검출체인 식별판(10)이 고정되어 있다. 식별판(10)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서로 이격하여 설정된 복수의 기준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장 바닥 면(4)의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식별판(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각 층에 대응하는 위치가 기준 위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어느 층상에 설치된 1개의 식별판(10) 만을 예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각 층에 배치된 식별판(10)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검출기, 2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20)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로 전송된다. 제어장치(30)에는 센서(2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를 특정하는 신호 처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0)는 신호 처리부(31)로 특정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복수의 식별판(10), 센서(20) 및 신호 처리부(31)로 구성된다. 여기서, 자기 진단 기능을 설명하기 전에 본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2에 나타낸 기호 Msc, DZ, RZ, DIR는 각각 이하의 내용을 의미하고 있다.
Msc:슬릿 유무에 따른 M계열 부호(유사 난수 부호)
DZ:도어 존
RZ:리레벨존
DIR:승강 방향
식별판(10)은 슬릿(11)이 들어간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각 층의 착상 위치에서 승강로 구조물(1a)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식별판(10)은 각 층에 분할 배치되고 승강로 전체 길이로는 설치되지 않는다.
추가로, 식별판(10)에 설치된 슬릿(11)은, 슬릿(11)의 유무가 센서(20)에 의해서 검출되는 전압치에 기초하는 ON/OFF 신호로써 판독됨으로써, M계열 부호를 재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 1에서, 각 층 상에 설치되는 식별판(10)은 모두 같은 슬릿 패턴으로 구성되어 모두 같은 M계열 부호를 재현하는 것으로 한다.
센서(20)는 복수의 코일(21)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코일(21)과 식별판(10)의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코일(21)에 발생되는 전압(진폭 전압)을 추출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식별판(10) 내의 슬릿(11)의 유무에 대응한 진폭 전압의 증감에 대하여 임계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H/L판정을 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복수의 코일(21)의 각각의 H/L판정 결과로부터 부호열을 취득한다.
추가로,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로(1) 내를 상승 혹은 하강함으로써, 식별판(10)과 센서(2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슬릿 패턴에 입각해서 차례로 변화하는 특정의 부호열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특정의 부호열의 검출하는 동안, 검출되는 개개의 부호열을 식별함으로써 슬릿 유무의 경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1)는 특정의 부호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입력이라고 판단하여 그 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31)는 슬릿 패턴에 의한 특정의 부호열이 검출되었을 때에만 위치 검출을 실시함으로써, 승강로 구조물 등 식별판(10) 이외의 물건에 센서(20)가 반응했을 경우에도 위치의 오검출을 막을 수 있다.
추가로, 신호 처리부(31)는 도어 존에 대응한 부호열, 리레벨존에 대응한 부호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검출 결과에 따라, 도어 존 출력, 리레벨존 출력을 ON하여 제어장치(30)에 대해 착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의 부호열로 M계열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식별판(10)과 센서(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3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식별판(10)과 복수의 코일(21)을 가지는 센서(20)의 구체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슬릿 패턴에 대응하는 M계열 부호와 도어 존, 리레벨존과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4에 나타낸 기호 Msc, DZ, RZ, DIR는 앞선 도 2와 동일한 내용을 의미한다. 또한, 6 개의 채널로 판독된 부호열이 1, 0의 패턴으로 도 4의 우단에 기재되어 있다.
먼저, 코일(21) 및 슬릿(11)의 수, 치수에 대해 설명한다. 리레벨존을 a mm, 도어 존을 b mm(다만, a<b)로 했을 경우, 각각의 슬릿(11)의 길이 m은 a, b의 공약수가 된다.
또한, b/m비트의 의사 난수(M계열)로부터 위치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M계열로부터, 아래의 식(1)을 충족하는 p비트 이상의 데이터 판독이 필요하다.
2p-1≥b/m+(p-1)×2 (1)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존에 상당하는 b/m비트와 그 양쪽의 (p-1) 비트를 더한 부호열에 있어서, 중복된 p비트의 부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M계열의 주기가 되는 2p-1과의 관계에서 상기 식(1)의 부등식을 충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센서(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21)은 p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코일간의 피치는 슬릿(11)의 길이 m과 같고, 각 코일의 길이 c는,
c≤m
이 된다.
M계열은 이하의 점화 식(2)으로부터 생성된다.
M(n)=M(n-p) XOR M(n-q) (p>q) (2)
초기치:M(1), M(2),…M(p)
여기서, XOR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a=20 mm
b=300 mm
m=20 mm(a와 b의 최대공약수에 상당)로 하면,
a/m=1
b/m=15가 되어, 상기 식(2)를 충족하는 p는
p≥5 로 구해진다.
다만, 승강로 구조물에 의한 오검출 대책을 위해서는, 복수의 코일(21)의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부호열에서, H 또는 L이 1개 이하가 되는 M계열은 배제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p비트로 추출되는 부호열이 항상 H와 L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오검출 요인을 저감할 수 있고, 이 때문에, p는
p≥6 으로 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p=6으로 했을 경우, 구체적인 M계열 부호와 리레벨존, 도어 존의 위치 관계가 도 4에 정리되어 있다. 이 도 4를 예로 들면,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시에, n=1~6에 상당하는 부호열 1-0-0-1-0-1을 판독함으로써 도어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추가로 n=7~12에 상당하는 부호열 1-1-0-1-1-0을 판독함으로써 리레벨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시에는, n=20~25에 상당하는 부호열 1-0-1-0-1-0을 판독함으로써 도어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추가로 n=13~18에 상당하는 부호열 1-0-1-1-0-0을 판독함으로써 리레벨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5에서는 p=6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고, 신호 처리부(31)는 6개의 코일(21)의 각각의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진폭 전압)을 추출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상술된 바와 같이, 추출한 전압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부호열을 생성하고, 그 부호열에 따라, 도어 존, 리레벨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도 5에서 신호 처리부(31)는 도어 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신호 S1를 출력하고, 리레벨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신호 S2를 출력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앞선 도 5와는 다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구성은 도 5의 구성과 비교하면, 코일(21)의 구성이 다르며, 이 점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아울러 도 6에서는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1 채널 분의 코일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코일이 p개 병렬로 설치되게 된다.
도 6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복수의 코일(21)의 각각은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과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 사이에 끼인 여자 코일(21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구성을 채용하면,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은 와전류 자계만을 픽업할 수 있다. 이 결과, 신호 처리부(31)는 식별판(10)이 없는 위치 또는, 식별판(10)의 슬릿(11)의 위치에서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이 없는 상태로 검지될 수 있고, 식별판(10)의 슬릿(11)이 없는 위치에 있어서만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이 검지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여자 코일과 차동형 검출 코일로 구성된 검출 코일을 채용함으로써, 여자 코일로부터의 여자 자계를 픽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식별판(10)의 비슬릿부의 검출 S/N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검출 S/N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호 처리부(31)에 있어서 검출 코일에 의한 출력의 진폭치 이외에 위상을 가져와 H/L판정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도 6에 나타낸 회로 구성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해서, 자기 진단 기능을 부가한 구성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자기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아울러 도 7에서는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1 채널 분의 코일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구성에서의 코일(21)은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과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 사이에 끼인 여자 코일(21b)과 함께 자기 진단을 실현하기 위한 테스트 코일(23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스트 코일(23a)은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 중 하나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신호 처리부(31)는 전류 검출부(32), 스위치(33), 위상 시프터(34), 직교 검파부(35), 증폭부(36) 및 슬릿 유무 판정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 검출부(32)는 여자 코일(21b)과 여자원(22) 사이에 접속되어 전류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전류 검출부(32)의 출력은 위상 시프터(34) 및 직교 검파부(3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류 검출부(32)는 전류원으로서, 여자 코일(21b)에 흐르는 여자 전류를 위상 시프터(34) 및 직교 검파부(35)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 편, 자기 진단용으로 새롭게 추가된 테스트 코일(23a)은 스위치(33)와 위상 시프터(34)로 이루어지는 진단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테스트 코일(23a)은 진단 회로를 경유하여, 전류 검출부(32)로부터 여자 전류가 공급된다. 그 결과, 여자 전류의 크기에 따른 자계가, 차동형 검출 코일(21a)에 인가되게 된다.
1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스위치(33)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만을 출력한다. 또한, 스위치(33)가 온 상태일 때는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과 테스트 코일(23a)로부터의 자계에 의한 전압의 합성 전압을 출력한다. 1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증폭부(36)를 경유하여 직교 검파부(35)에 입력된다.
직교 검파부(35)는 증폭부(36)를 통과해 얻어진 전압 성분을 전류 검출부(32)로부터 공급된 여자 전류를 이용해 직교 검파한다. 즉, 직교 검파부(35)는 증폭부(36)를 통과해 얻어진 전압 성분을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I(동상성분 출력)와 ±90о 이상(異相) 성분의 진폭치 Q(이상 성분 출력)로 나눈다.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Q와 I의 값에 따라,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Q>I (3)
그리고,
Q>>0 (4)
의 조건이 성립할 때, 검출 코일 출력을 H로 하고, 상기 식 (3) 및 (4)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 코일 출력을 L로 한다. 아울러, 도 7에서는 검출 코일 출력에 상당하는 신호를 S(out)으로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상기 식(4)의 판단에 있어서, 판정용의 임계치를 미리 설정해 두고, Q가 그 판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신호 처리부(31)를 이용한 자기 진단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자기 진단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도 8에는, 이하의 모드 A~모드 C의 3 종류가 기재되어 있다.
모드 A:통상 운전시에 슬릿의 유무에 의해 M계열 부호를 판독하는 모드이며, 스위치(33)를 OPEN으로 함으로써, 모드 A가 실행된다.
모드 B:자기 진단시에 위치 검출 기능이 정상적이면, 검출 코일 출력이 H레벨이 되는 상태를 강제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드이며, 어떠한 원인에 의해 검출 코일 출력이 L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를 이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모드 C:자기 진단시에 위치 검출 기능이 정상적이면, 검출 코일 출력이 L레벨이 되는 상태를 강제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모드이며, 어떠한 원인에 의해 검출 코일 출력이 H에 고착되어 있는 상태를 이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L고착 혹은 H고착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배선 관계의 단선, 단락, 혹은, 위치 검출에 관련된 전기 기기의 고장, 출력 접점의 불량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모드 B, 모드 C의 자기 진단을 실시함으로써, 고장 원인은 특정할 수 없지만, L고착 및 H고착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위치 검출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진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통상 운전시의 모드 A 및 자기 진단시의 모드 B, 모드 C의 순서로, 구체적인 동작 내용을 설명한다.
[모드 A의 동작 설명]
모드 A에 의한 통상 동작시에는, 스위치(33)를 OPEN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테스트 코일(23a)에 기인한 자계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 처리부(31)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을 그대로 처리함으로써, 상술한 M계열 부호에 기초하는 위치 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11)이 없는 경우에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를 전압으로서 출력한다.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여자 전류에 대해서 90о어긋나 있다.
따라서,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을 전류 검출부(32)를 통해서 공급된 여자 전류에 의해 직교 검파하면,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I와 ±90о 이상 성분의 진폭치 Q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과 여자 전류는 위상이 90о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0
Q=A'≠0
이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H로 세팅하게 된다.
한 편, 슬릿(11)이 있는 경우에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압은 제로가 된다. 따라서,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Q=0이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L로 세팅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드 A에 의한 통상 동작시에는 스위치(33)를 OPEN으로 해둠으로써, 슬릿(11)이 있고 와전류 자계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 L이 되고, 슬릿(11)이 없이 와전류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H가 되는 검출 코일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모드 B의 동작 설명]
모드 B에 의한 L고착의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자기 진단 동작시에는, 스위치(33)를 SHORT로 함과 동시에, 위상 시프터의 위상 변환을 0о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테스트 코일(23a)의 작용에 의해, 여자 전류에 의한 자계가 차동형 검출 코일(21a)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진폭 A,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90о)과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진폭 B,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90о)의 합성이 된다. 여기서, 진폭 A와 진폭 B는,
B>>A
의 관계에 있다.
슬릿(11)이 없는 경우에는, 와전류 자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과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의 합성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여자 전류에 대해서 90о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0
Q=A'+B'(B'>>A')가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H로 세팅하게 된다.
한 편, 슬릿(11)이 있는 경우에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차동형 검출 코일(21a)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진폭 B,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90о)만이 된다.
그리고,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여자 전류에 대해서, 90о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0
Q=B'≠0
이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슬릿(11)이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H로 세팅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드 B에 의한 자기 진단 동작시는, 스위치(33)를 SHORT, 위상 시프터(34)를 0о으로 해둠으로써, 슬릿의 유무에 관계없이, H레벨이 되는 검출 코일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드 B에 의한 자기 진단을 실시함으로써, 검출 코일 출력이 L이 된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31)의 출력이 L레벨에 고착된 고장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모드 C의 동작 설명]
모드 C에 의한 H고착의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자기 진단 동작시에는, 스위치(33)를 SHORT로 함과 동시에, 위상 시프터의 위상 변환을 -90о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테스트 코일(23a)의 작동에 의해, 여자 전류에 의한 자계가 차동형 검출 코일(21a)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진폭 A,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90о)과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진폭 B,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0о)의 합성이 된다. 여기서, 진폭 A와 진폭 B는,
B>>A
의 관계에 있다.
슬릿(11)이 없는 경우에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에 의한 전압과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의 합성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B>>A 이기 때문에, 여자 전류에 대해서 거의 0о로 위상이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B'
Q=0이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L로 세팅하게 된다.
한 편, 슬릿(11)이 있는 경우에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차동형 검출 코일(21a)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테스트 코일(23a)에 의한 전압(진폭 B, 여자 전류에 대한 위상의 차이는 0о)만으로 된다.
그리고, 증폭부(36)를 통과한 후의 출력은 여자 전류에 대해서 거의 0о로 위상이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직교 검파부(35)의 출력은,
I=B'
Q=0이 된다.
이 결과, 슬릿 유무 판정부(37)는 슬릿(11)이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식(3) 및 (4)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 코일 출력을 L로 세팅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드 C에 의한 자기 진단 동작시는 스위치(33)를 SHORT, 위상 시프터(34)를 -90о로 해둠으로써, 슬릿의 유무에 관계없이 L레벨이 되는 검출 코일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드 C에 의한 자기 진단을 실시함으로써, 검출 코일 출력이 H가 되었을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31)의 출력이 H레벨에 고착된 고장이 발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모드 B 및 모드 C는 슬릿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기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판(10)이 있는 장소, 없는 장소의 어느 곳에 있어도,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위치 검출 기능의 자기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드 A를 실행한 후에 모드 B, 모드 C를 실행하는 사이클을 반복하거나, 정기적으로 모드 B, 모드 C를 실행하는 등, 용도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 자기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는 복수의 코일을 이용한 M계열 부호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추가로, 자기 진단시에는, 여자 전류에 따른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임의의 정지 위치에서 와전류 자계의 발생의 유무에 상관없이, 위치 검출 출력을 H레벨 또는 L레벨 중 어느 하나에 의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출력이 H레벨로 고착된 고장 및 출력이 L레벨로 고착된 고장을 엘리베이터 칸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또한, 원하는 타이밍에 자기 진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대해, 추가로 2번째의 테스트 코일을 구비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자기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아울러 도 9에서는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1 채널 분의 코일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검출 코일 출력에 상당하는 신호를 S(out)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도 9의 구성은 앞의 실시 형태 1의 도 7의 구성과 비교하면, 테스트 코일(23b)을 추가로 구비함과 아울러, 위상 시프터(34)의 입력에 테스트 코일(23b)이 접속되어 테스트 코일(23b)로부터의 전류를 위상 시프터(34)에 입력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여기서, 이들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의 구성에 있어서의 코일(21)은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과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 사이에 끼인 여자 코일(21b)과 함께, 자기 진단을 실현하기 위한 테스트 코일(23a) 및 테스트 코일(23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테스트 코일(23a)은 앞의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것이며,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 중 하나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새롭게 추가된 테스트 코일(23b)은 여자 코일(21b)에 대하여 어느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테스트 코일(23b)에 유도되는 전류와 전류 검출부(32)를 통해서 얻어지는 여자 전류의 위상차는 -90о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테스트 코일(23b)에 유도되는 전류가 위상 시프터(34)에 입력되고 있다. 여기서, 앞의 실시 형태 1과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모드 B, 모드 C의 자기 진단시에 위상 시프터(34)에 의한 위상 시프트량을 90о 시프트 시키게 된다. 위상 시프터(34)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자기 진단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모드 B의 자기 진단을 실시할 때에는, 위상 시프터(34)의 위상 시프트량을 90о로 하고, 모드 C의 자기 진단을 실시할 때에는 위상 시프터(34)의 위상 시프트량을 0о로 하고 있다. 그 외의 동작은, 앞의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도 9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앞선 도 7의 구성에 의한 자기 진단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의 형태 2의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와 위상 시프터로 이루어지는 진단 회로는 여자원과 테스트 코일을 통해서 접속되어 전류 검출부를 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전류원 이상일 때도, 그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새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승강로 내의 층상마다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슬릿 패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서 구성된 식별판과,
    엘리베이터 칸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한 전압치를 출력하고, 상기 식별판의 상기 슬릿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출력치를 생성하는 N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코일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이 여자 코일과 차동형 검출 코일로 구성되어 상기 차동형 검출 코일에 의해 검출된 전압치를 출력하는 센서와,
    상기 차동형 검출 코일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치에 대해서 임계치 처리를 하여,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 층 상에 정지시킬 때의 정지 위치 검출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서,
    상기 여자 코일을 흐르는 여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여자 전류의 크기에 따른 자계를 상기 차동형 검출 코일에 인가시키는 테스트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테스트 코일에 대해서 상기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상태와 상기 여자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와,
    상기 여자 전류의 위상 시프트량을 가변 설정하는 위상 시프터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를 열린 상태로 하여 상기 테스트 코일에 상기 여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슬릿 패턴을 추출하는 통상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스위치를 닫힌 상태로 하고 상기 위상 시프터에 의한 상기 위상 시프트량을 전환하여 상기 테스트 코일에 대해서 상기 위상 시프터를 통과한 상기 여자 전류를 공급한 상태로 상기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자기 진단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차동형 검출 코일로부터의 상기 출력치에 대해서 상기 여자 전류를 이용해 직교 검파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여자 전류와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및 상기 여자 전류와 이상(異相) 성분의 진폭치를 추출하고, 상기 동위상의 성분의 진폭치 및 상기 이상 성분의 진폭치로부터 상기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통상 동작시에는 상기 슬릿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자기 진단 동작시에는 상기 슬릿 패턴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위상 시프트량에 따라 H레벨 또는 L레벨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설정된 상기 검출 코일 출력을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에 접속된 여자원과 상기 여자 코일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여자 코일에 흐르는 상기 여자 전류를 전류원으로서, 상기 위상 시프터에 상기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검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자 코일에 대해 간격(gap)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여자 코일에 흐르는 상기 여자 전류를 전류원으로서 상기 위상 시프터에 상기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제2의 테스트 코일을 추가로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KR1020187020244A 2016-03-15 2016-03-15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KR102014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8199 WO2017158736A1 (ja) 2016-03-15 2016-03-15 かご位置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009A KR20180095009A (ko) 2018-08-24
KR102014039B1 true KR102014039B1 (ko) 2019-08-23

Family

ID=5985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244A KR102014039B1 (ko) 2016-03-15 2016-03-15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45568B2 (ko)
JP (1) JP6452887B2 (ko)
KR (1) KR102014039B1 (ko)
CN (1) CN108698787B (ko)
DE (1) DE112016006611B4 (ko)
WO (1) WO2017158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7614B2 (en) * 2017-03-08 2022-08-09 Sabanci Universitesi Nonlinear and efficient eddy-current overspeed protection system for elevators
WO2019206644A1 (de) * 2018-04-24 2019-10-31 Inventio Ag Positionsbestimmungssystem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kabinenposition einer aufzugkabine
JP7107278B2 (ja) * 2019-05-13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律移動装置制御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350A (ja) 2013-01-16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WO2015159392A1 (ja) 2014-04-16 2015-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WO2015181955A1 (ja) 2014-05-30 2015-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0407A (en) 1976-12-25 1978-07-15 Kyushu Refractories Method of packing independent furnace
KR860003159A (ko) * 1984-10-15 1986-05-21 시시모리야 에레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TW575518B (en) 2001-07-31 2004-02-11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a measuring system for determining absolute cage position
CN100377981C (zh) * 2003-11-07 2008-04-02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位置检测装置
SG120250A1 (en) * 2004-08-12 2006-03-2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car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a car pos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2741143B (zh) * 2009-12-21 2014-07-09 因温特奥股份公司 楼层位置检测装置
ES2536702T3 (es) * 2009-12-22 2015-05-27 Inventio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terminar el movimiento y/o la posición de una cabina de ascensor
JP5380407B2 (ja) 2010-09-21 2014-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安全エレベータ
DE112012005839B4 (de) * 2012-02-08 2019-07-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kabinenstandorterfassungsvorrichtung
CN203033580U (zh) * 2012-12-14 2013-07-03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电梯轿厢位置确认装置
WO2014132435A1 (ja) * 2013-03-01 2014-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KR101908250B1 (ko) * 2014-11-27 2018-10-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350A (ja) 2013-01-16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WO2015159392A1 (ja) 2014-04-16 2015-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WO2015181955A1 (ja) 2014-05-30 2015-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787A (zh) 2018-10-23
JPWO2017158736A1 (ja) 2018-05-31
DE112016006611T5 (de) 2018-11-29
DE112016006611B4 (de) 2020-01-09
US11345568B2 (en) 2022-05-31
KR20180095009A (ko) 2018-08-24
WO2017158736A1 (ja) 2017-09-21
US20200055695A1 (en) 2020-02-20
CN108698787B (zh) 2020-05-12
JP6452887B2 (ja)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18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ar state of a chain
JP6211209B2 (ja) かご位置検出装置
KR102014039B1 (ko)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JP6008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040664B2 (en) Positioning apparatus, elevator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by using classified position identifiers
TWI505055B (zh) Moving body system and moving body transition control method
US10144613B2 (en) Elevato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NO302321B1 (no)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testing av wirerep
JP2013500697A (ja) 電気駆動装置の運動変量のフェイルセーフ監視方法および装置
JP4500437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出装置
CN108423507B (zh) 轿厢绝对位置的检测系统的自检装置及其自检方法
WO2015159392A1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KR20190103776A (ko) 와이어 로프 손상 검출장치
JP2017171485A (ja) 移動手摺り劣化診断装置および移動手摺り劣化診断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位置特定目印
KR20210065338A (ko) 대차 식별 장치
KR100861925B1 (ko)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제어 장치 및 부상제어 방법
CN115127434A (zh) 用于确定磨损的链传感器装置和方法
KR102121127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로프 진단 장치
CN106855615A (zh) 一种电流传感器异常检测方法及装置
JP2014122849A (ja) 渦流探傷装置および渦流探傷方法
KR20170076857A (ko) 강판의 크랙 검출 장치 및 방법
JPS63167603A (ja) 搬送装置の制御装置
KR840001353A (ko) 경화(硬貨)의 유효성 검사장치
CN110621605A (zh) 电梯的轿厢位置检测传感器
UA77481C2 (en) Method for checking the parameters of the rigid guide elements of a shaft at their double-sided arrangement and a device for the realization of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