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039B1 - 안전 과도 - Google Patents

안전 과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039B1
KR102013039B1 KR1020170173878A KR20170173878A KR102013039B1 KR 102013039 B1 KR102013039 B1 KR 102013039B1 KR 1020170173878 A KR1020170173878 A KR 1020170173878A KR 20170173878 A KR20170173878 A KR 20170173878A KR 102013039 B1 KR102013039 B1 KR 10201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lade
sheath
safety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809A (ko
Inventor
함경수
Original Assignee
함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경수 filed Critical 함경수
Priority to KR102017017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0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26B29/025Knife sheaths or scabb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과도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칼집을 구비하여 과일의 껍질을 깎거나 보관시에는 칼집을 회동시켜 칼날의 날부를 감싸고 과일이나 채소 등을 자르는 경우에는 손잡이 내부로 은닉시킬 수 있어 과도 사용시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과일 깎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 과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 과도{A Safety Knife}
본 발명은 안전 과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로 과일이나 채소의 껍질을 깎거나 절단하는데 사용하되 과일의 껍질을 벗기는데 안전하게 사용하거나 사용 후 보관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과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도는 손잡이 일측에 칼날부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과일이나 채소의 껍질을 깍거나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이러한 과도는 칼날이 예리해 과일의 껍질을 편리하게 깎거나 절단이 가능하지만 어린이 및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과일의 껍질을 깎는 과정에서 손이 베일 염려가 크고 설령 과일 껍질을 벗기더라도 너무 두껍게 깎아 과일의 속살이 낭비되는 일이 많다.
물론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10-2017-0124269호(참고문헌)를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박피기능을 갖춘 안전 과도에 관한 것으로, 이의 과도는 일측에 칼날이 구비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과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칼날과 접하는 선단 저면의 중심선에 보호받침대 끼움홈이 구비되며, 저면 후방 중심선의 양측에 보호받침대 안착홈을 각각 성형하고, 연결대 양측에 상향 절곡된 끼움대가 일체 성형된 보호받침대를, 손잡이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일측 끼움대가 손잡이의 보호받침대 끼움홈에 삽입하고, 타측 끼움대는 보호받침대 안착홈에 수납하여, 상기 보호받침대 끼움홈에 끼워진 끼움대를 중심으로 보호받침대를 회전시켜, 타측 끼움대가 칼날의 절삭면 이면에 지지되면서, 칼날과 연결대 사이의 간격을 통해 과일껍질이 통과되며 깍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의 과도는 일측에 칼날이 구비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과도에 있어서; 상기 과도의 손잡이에는 칼날과 접하는 선단에 끼움부를 형성시켜, 상기 끼움부에 삽입되는 칼집끼움홀이 형성된 칼집파지부와, 칼날 선단이 내부에 삽입되는 칼날삽입홈을 구비한 칼집안전부와, 상기 칼집파지부와 칼집안전부를 연결하면서, 칼날의 절삭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출공간을 형성한 과일받침부가 일체 성형된 칼집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의 안전 과도의 보호받침대는 칼날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여 과도를 보관시 주의를 요하고, 칼집의 경우 칼날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구조여서 분실의 위험이 크다.
참고문헌 : 공개특허 제10-2017-0124269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칼집을 구비하여 과일의 껍질을 깎거나 보관시에는 칼집을 회동시켜 칼날의 날부를 감싸고 과일이나 채소 등을 자르는 경우에는 손잡이 내부로 은닉시킬 수 있는 안전 과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집을 회동시 손이 베이지 않도록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그립감이 우수한 안전 과도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전방에 돌출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날부가 형성되는 칼날과,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칼날이 안착되는 칼날 안착부가 형성되는 칼집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일단부가 회동되게 구비되는 칼집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칼집 안착부가 길이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칼집은 칼날 방향으로 회동시 칼날의 날부 측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식재료의 껍질을 깎을 때 분리된 껍질이 안내되는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의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칼날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측으로 개구된 칼날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후측 하단에는 손의 약지 또는 소지가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 안착부는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칼날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입구 내측에는 칼날이 삽입된 후 칼집이 칼날에서 자유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칼날 안착부의 양측에는 칼집을 손가락으로 잡고 회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 또는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전단에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손잡이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의 일단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칼집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힌지공과 칼집 힌지공에는 힌지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칼집의 일단부에는 상기 반원형 안내홈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의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 힌지공에 대응되게 칼집의 양측 방향으로 칼집 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힌지축은 몸체의 일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타단부에는 안내걸림돌기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손잡이 힌지공과 칼집의 칼집 힌지공에 체결되는 힌지축은 평볼트와 평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칼집의 일단부에는 상기 반원형 안내홈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의 중심에는 칼집의 회전돌부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에 체결되도록 힌지축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은 안내걸림돌기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가 회전돌부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과도는 손잡이에 회동가능하게 칼집을 구비하여 과일의 껍질을 깎거나 보관시에는 칼집을 회동시켜 칼날의 날부를 감싸고 과일이나 채소 등을 자르는 경우에는 손잡이 내부로 은닉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칼집의 분실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과도를 사용하여 과일의 껍질을 깎는 경우 일정 두께이하로만 깎을 수 있도록 안내함은 물론, 미사용으로 인한 보관시는 칼집에 의해 칼날 의해 손이 베이거나 상처가 나는 등의 안전사고 역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분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캅집부의 회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과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과도(100)는 과일이나 채소 등과 같은 식재료의 껍질을 깎거나 썰기 등의 작업에 사용하는 주방용품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과도(100)는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전방에 돌출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날부(122)가 형성되는 칼날(120)과,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칼날(120)이 안착되는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되는 칼집(13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110)는 칼날(120)의 후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목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110)는 칼날(120)의 후단부에 합성수지재 등을 인서트 사출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잡이(110)는 하측에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일단부가 회동되게 구비되는 칼집(13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칼집 안착부(112)가 길이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잡아 하측으로 힘을 주어 식재료를 자르는 경우 손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후측 하단에 지지돌부(1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잡는 경우 손의 약지 또는 소지가 지지돌부(114)에 지지되어 손잡이(110)에서 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날(120)은 하단 테두리를 따라 식재료에 직접 접촉되는 날부(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날부(122)는 날카로워 손가락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는 전단에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칼집 힌지공(134a)이 형성되어 힌지축(14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칼집(130)의 타단부는 상기 손잡이(110)의 손잡이 힌지공(116a)에 체결된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손잡이의 하측에서 칼날(120)의 하측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의 중심에 손잡이(110)의 양측 방향으로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반원형 안내홈(116)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134)의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에 대응되게 칼집(130)의 양측 방향으로 칼집 힌지공(134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10)에 반원형 안내홈(116)을 형성하고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 회전돌부(134)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칼집(130)을 손잡이(110)에 고정시 손잡이(110)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칼집(130)이 하측으로 안정적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140)은 상기 손잡이(110)의 반원형 안내홈(116)에 상기 칼집(130)의 회전돌부(134)를 밀착시켜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을 나란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 체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40)은 몸체(141)의 일단부에는 머리부(142)가 형성되고 몸체(141)의 타단부에는 안내걸림돌기(143)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14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축(14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몸체(141)의 일단에 형성되는 머리부(142)의 외경은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141)의 타단에 형성되는 탄성축부(144)는 절개부(144a)에 의해 타측부가 두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을 차례로 통과시에 탄성축부(144)의 안내걸림돌기(143)를 타고 넘으면서 전단부가 탄성에 의해 근접하면서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에 안내되어 통과한 후 다시 복원되어 안내걸림돌기(143)의 후단이 칼집 힌지공(134a)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즉 상기 힌지축(140)은 하나의 부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손잡이(110)에 칼집(130)을 힌지결합시에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히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에 밀어넣어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칼집(130)은 전체적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칼날에 베이는 것을 방지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1)을 깎는 경우 깎이는 껍질(1a)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칼집(130)은 칼날(120) 방향으로 회동시 칼날(120)의 날부(122) 측면에 일정거리(예를 들어 0.5 ~ 2mm)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136)의 일단에 칼집 힌지공(134a)이 양측 방향으로 회전돌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36)의 타단에 상기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2a)이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칼날 안착부(132)는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2a)이 형성되고 측면 형상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날 안착부(132)의 양측에는 칼집(130)을 손가락으로 잡고 회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13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32a)의 입구 내측에는 칼날(120)이 삽입된 후 칼집(130)이 칼날(120)에서 자유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지지턱(132d)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칼집(130) 구조는 금속재(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경우 칼날 안착부(132)가 탄성을 갖는다. 이에 칼날 안착부(132)의 삽입홈(132a)에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지지턱(132d)이 칼날(120) 표면에 가압되면서 삽입홈(132a)의 입구가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칼날(120)이 삽입되며, 칼날이 완전 삽입된 후에는 칼날 안착부(132)의 복원력에 의해 칼날(120)의 상단이 지지턱(132d)에 의해 지지되어 칼집(130)에서 칼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과도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칼집(130)은 연결부(136)의 일단에 회전돌부(134)가 형성되어 손잡이(110)의 전단에 힌지결합되어 손잡이(110) 및 칼날(120)의 하부에서 타단부가 회동할 수 있다.
우선 과도(100)를 이용해 일반적인 무우나 소세지 등의 식재료를 자르는 경우에는 칼날(120)이 완전히 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칼집(130)은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그 타단의 칼날 안착부(132)를 손잡이(110)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연결부(136)와 칼날 안착부(132)는 손잡이(110)의 칼집 안착부(112)에 안착된다. 이 경우 칼날 안착부(132)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 손잡이(110)의 칼집 안착부(112)에 안착시 칼날 안착부(132)의 돌출부가 하향 돌출되어 야채 등을 자르기 위해 손잡이(110)를 손으로 잡는 경우 손이 손잡이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돌부(1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과도(100)를 이용해 과일(1) 등의 식재료 껍질(1a)을 깎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칼집(130)으로 칼날(120)을 보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칼집(130)은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그 타단의 칼날 안착부(132)를 칼날(120)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연결부(136)는 칼날(120)과 나란하게 0.5 ~ 2mm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며 과일(1) 등의 껍질(1a)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공간(S)이 형성되며 칼날 안착부(132)의 삽입홈(132a)에 칼날(120)이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칼집(130)에 칼날(120)이 삽입시 칼날(120)의 날부(122) 하단부에 손이 베이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칼집(130)의 연결부(136)의 상하폭은 날부(122)에 비해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5에 의하면 손잡이(110)의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130)의 칼집 힌지공(134a)에 체결되는 힌지축(140)은 평볼트(145)와 평너트(14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너트(146)를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에 차례대로 통과시킨 후 평볼트(145)를 칼집 힌지공(134a)을 통해 평너트(146)에 나사결합하여 일체로 결합함으로서 힌지축(140)을 형성하며 칼집(130)을 손잡이(110)에 힌지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도 6에 의하면 상기 힌지축(140)은 칼집의 회전돌부(134)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에 체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즉 손잡이(110)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의 중심에 손잡이(110)의 양측 방향으로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반원형 안내홈(116)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134)가 형성되고 칼집의 회전돌부(134)의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에 체결되는 힌지축(140)이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40)은 안내걸림돌기(147a)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147b)가 회전돌부(134)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칼집을 제조시 힌지축(14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시 과도 제작으로 위한 부속을 줄여주고 이는 성형을 위한 금형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칼집(130)을 구성하는 칼날 안착부(132)의 양측에는 칼집(130)을 손가락으로 잡고 회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홈(132c)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미끄럼방지홈(132c)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칼날(120)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됨도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 속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안전 과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손잡이(110)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118)가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잡는 그립감이 우수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과일 1a: 껍질
100: 과도 110: 손잡이
112: 칼집 안착부 114: 지지돌부
116: 반원형 안내홈 116a: 손잡이 힌지공
118: 돌출부 120: 칼날
122: 날부 130: 칼집
132: 칼날 안착부 132a: 삽입홈
132d: 지지턱 132b: 미끄럼방지돌기
132c: 미끄럼방지홈 134: 회전돌부
134a: 칼집 힌지공 136: 연결부
140: 힌지축 S: 안내공간

Claims (11)

  1.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전방에 돌출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날부(122)가 형성되는 칼날(120)과,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칼날(120)이 안착되는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되는 칼집(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10)는 하측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일단부가 회동되게 구비되는 칼집(13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칼집 안착부(112)가 길이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은 칼날(120) 방향으로 회동시 칼날(120)의 날부(122) 측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식재료의 껍질(1a)을 깎을 때 분리된 껍질(1a)이 안내되는 안내공간(S)을 형성하는 연결부(136)의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36)의 타단에는 상기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2a)이 상측으로 개구된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게 칼집 힌지공(134a)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 힌지공(134a)에는 힌지축(140)이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며,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134)의 중심에는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에 대응되게 칼집(130)의 양측 방향으로 칼집 힌지공(13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의 후측 하단에는 손의 약지 또는 소지가 지지되는 지지돌부(1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안착부(132)는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2a)의 입구 내측에는 칼날(120)이 삽입된 후 칼집(130)이 칼날(120)에서 자유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는 지지턱(132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안착부(132)의 양측에는 칼집(130)을 손가락으로 잡고 회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돌기(132b) 또는 미끄럼방지홈(13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40)은 몸체(141)의 일단부에는 머리부(142)가 형성되고 몸체(141)의 타단부에는 안내걸림돌기(143)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1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의 손잡이 힌지공(116a)과 칼집(130)의 칼집 힌지공(134a)에 체결되는 힌지축(140)은 평볼트(145)와 평너트(1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7.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110)의 전방에 돌출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날부(122)가 형성되는 칼날(120)과,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칼날(120)이 안착되는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되는 칼집(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10)는 하측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일단부가 회동되게 구비되는 칼집(13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칼집 안착부(112)가 길이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칼집(130)은 칼날(120) 방향으로 회동시 칼날(120)의 날부(122) 측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식재료의 껍질(1a)을 깎을 때 분리된 껍질(1a)이 안내되는 안내공간(S)을 형성하는 연결부(136)의 일단부는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36)의 타단에는 상기 칼날(120)의 전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2a)이 상측으로 개구된 칼날 안착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0)의 전단 일측에는 하향하는 반원형 안내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이 형성되며, 상기 칼집(130)의 일단부에는 상기 반원형 안내홈(116)에 회동가능하게 밀착되는 회전돌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부(134)의 중심에는 칼집의 회전돌부(134)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에 체결되도록 힌지축(1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40)은 안내걸림돌기(147a)가 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축부(147b)가 회전돌부(134)의 중심에 상기 손잡이 힌지공(116a)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118)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과도.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73878A 2017-12-18 2017-12-18 안전 과도 KR10201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78A KR102013039B1 (ko) 2017-12-18 2017-12-18 안전 과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78A KR102013039B1 (ko) 2017-12-18 2017-12-18 안전 과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09A KR20190072809A (ko) 2019-06-26
KR102013039B1 true KR102013039B1 (ko) 2019-10-21

Family

ID=6710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878A KR102013039B1 (ko) 2017-12-18 2017-12-18 안전 과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0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00Y1 (ko) * 1999-12-29 2000-06-01 김인환 절첩식 보호커버가 축설된 안전나이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269A (ko) 2016-05-02 2017-11-10 함경수 박피기능을 갖춘 안전 과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00Y1 (ko) * 1999-12-29 2000-06-01 김인환 절첩식 보호커버가 축설된 안전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09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882B2 (en) Low-waste peeler
US20100269352A1 (en) Y peeler
US20090193947A1 (en) Multipurpose cutting tool
US7930830B2 (en) Scraper with sliding safety guard
US20110084177A1 (en) Knife Locking Systems
KR102013039B1 (ko) 안전 과도
JPH09502090A (ja) 棒状の野菜を皮剥きするための装置
US5115565A (en) Food utensil
US6199283B1 (en) Implement for holding and/or coring vegetables and/or fruits during preparation of the same
US20030070298A1 (en) Green banana/plantain safety peeler
JP2004230156A (ja) 手持ちの台所用皮むき器の枢動保護ガードカバー
JP2010057870A (ja) 柑橘類の皮剥き器
KR20170124269A (ko) 박피기능을 갖춘 안전 과도
WO2015039030A1 (en) Combination double peeler and holder device
JP7104863B1 (ja) 包丁
US20190224875A1 (en) Safety Knife Device
FR2655635A1 (fr) Ouvre-bouteille portatif.
US6659522B2 (en) Fruit and vegetable holding utensil
US2232941A (en) Peeling and shredding device
US11849734B1 (en) Crab shell cutter
CN204913961U (zh) 多功能蔬菜切刀
JP3222724U (ja) 皮むき補助具
JP3007989U (ja) 皮剥き器
US20070261526A1 (en) Bagel Slicer
KR200272870Y1 (ko) 오렌지 껍질벗기기용 플라스틱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