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652B1 -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652B1
KR102012652B1 KR1020180159871A KR20180159871A KR102012652B1 KR 102012652 B1 KR102012652 B1 KR 102012652B1 KR 1020180159871 A KR1020180159871 A KR 1020180159871A KR 20180159871 A KR20180159871 A KR 20180159871A KR 102012652 B1 KR102012652 B1 KR 10201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cyclodextrin
freez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
정수희
Original Assignee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타민하우스(주) filed Critical 비타민하우스(주)
Priority to KR102018015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과 팜유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산균의 동결 안정성, 저장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 인공위액, 인공이자액에 대한 환경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serving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comprising cyclodextrin}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동결 안정성, 저장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 인공위액, 인공이자액에 대한 환경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乳酸菌) 또는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인류가 가장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는 미생물 중 하나로써 물질대사에 의해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유산(Lactic acid)을 생성하고 단백질을 분해하지만 부패시키는 능력이 없으며 인체에 해로운 물질들을 생성하지 않아 유익한 작용을 하는 세균들을 통칭한다. 또한 장내에 서식하면서 유해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병원균과 유해균의 생육을 조절하고 장 기능의 활성화 및 장 환경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장내균총의 안정화, 유해세균의 정착 억제에 따른 독소 생성감소 및 질병 예방, 면역활성화, 항암작용, 콜레스트롤 저하, 유당불내증의 경감, 변비개선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숙주의 장내미생물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의미하며, 현재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sp.)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sp.)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sp.)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sp.)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속, 비셀라(Weissella sp.) 속 등에 속하는 유산균들이다. 일리야 메치니코프에 의해 불가리아 사람들이 장수를 누리는 이유가 락토바실러스로 발효된 발효유의 섭취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진 이후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은 인류의 평균 수명 증대에 밀접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의 장기보존을 위한 분말화는 동결 건조법 또는 분사 건조법에 의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며, 그 중 안정성이 높은 것은 동결 건조법으로 동결건조용 용액에 미생물을 혼합하여 동결시킨 후 감압 하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동결건조 방법은 오염방지, 저장기간 증대, 간편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설비에 따른 비용이 크고, 작업시간이 평균적으로 길며, 동결건조 과정에서 유산균 세포 내 얼음의 결정형태, 염류의 농도, 탈수, 프리라디칼 축척, 삼투압 쇼크 등이 유산균의 생존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유산균의 생존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동결건조 한 유산균은 아주 건조한 상태이므로 이 과정에서 오래 보관하면 쉽게 흡습하여 보관 중 균주의 사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유산균은 편성혐기성이고 주위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분말 유산균은 보관 환경(산소, 습도)에 따라 생존율이 크게 변동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유산균의 생존율을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적 요소를 이겨낼 수 있는 보호제가 필요하다.
최근까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산균을 코팅하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캡슐제를 이용한 장용코팅제와 젤라틴, 당류, 검류 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microencapsulation) 공정 등이 있었으나, 고가의 코팅제를 사용하거나 공정이 추가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902호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등록특허 제10-1866197호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등록특허 제10-0711930호 유산균의 안정화 및 유산균 증식효과를 갖는 인삼 다당체조성물 및 등록특허 제10-1665888호 동결보호제로서 찹쌀풀을 이용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식품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이 있으나, 본 발명과는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따라서 유산균이 체내에서 기능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도록 동결 안정성, 저장 안정성, 내열성, 내산성, 내답즙성, 인공위액, 인공이자액 등의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공정의 간편화 및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보존제의 개발 및 신규 물질의 탐색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902호 등록특허 제10-1866197호 등록특허 제10-0711930호 등록특허 제10-166588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동결 안정성, 저장 안정성, 내열성, 내산성, 내답즙성, 인공위액, 인공이자액 등의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팜유를 더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팜유를 더 포함할 경우, 상기 팜유는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가 모두 포함될 경우,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 팜유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 : 1 일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팜유의 몰비는 0.1 내지 1.5 : 0.5 내지 1.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 1.0일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α-(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β-(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γ-(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δ-(델타) 사이클로덱스트린, ε-(엡실론)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β-(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sp.)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sp.)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sp.)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sp.)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속, 비셀라(Weissella sp.)속으로 이루어진 균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속의 구체적인 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VH13(Lactobacillus planatrum VH13) KFCC11759P 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1 내지 24개월, 바람직하게 1 내지 18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월,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월 동안 보존할 수 있다.
상기의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0 내지 8℃에서 보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에서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산균은 동결 안정성, 저장 안정성, 내산성, 내담즙성, 인공위액, 인공이자액에 대한 환경 안정성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식품, 발효유, 일반식품, 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1차 실험의 동결건조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2차 실험의 동결건조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3차 실험의 동결건조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저장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소화효소의 내산성 및 인공 위액에 대한 복합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내담즙성 및 인공 이자액에 대한 소화효소 복합 안정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VH13 균주를 동결건조한 후 최종 원료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내지 8]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표 1의 배합비로 하여 제조예 1 내지 8을 제조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β-사이클로덱스트린 100%, 중국산, 에이스기술연구소, 군포)과 팜유(정제팜유 100%, 말레이시아산, 롯데푸드, 천안)를 사용하였으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제외한 나머지 중량은 유산균 배양액으로 채워 총 10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1차 실험
1-1. 균주의 기원 및 배양
유산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VH13(Lactobacillus planatrum VH13; KFCC11759P)을 MRS broth(Difco, 한국)에 접종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이때, 유산균수는 평균적으로 5.0*10^9/mL를 나타내었다.
1-2. 교반 및 균질화
상기의 제조예 1 내지 8의 배합비에 따라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의 혼합물을 30분 이상 일정시간 교반하여 유산균 배양액과 균질화시켰다.
1-3. 동결건조 절차
동결건조는 -80℃ 초저온 냉동고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균질화화 된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 후 동결건조기(일신, MCFD5520, 한국)를 이용하여 상온(20℃)에서 응축기 온도 -80℃에서 압력 5 mmTorr 이하의 조건에서 120시간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된 균체는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다음 4℃ 냉장보관 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1-4. 총균수(유산균수) 측정
총균수는 유산균 배양액 또는 분말화된 유산균을 멸균수를 이용하여 십진 희석한 후 MRS agar(Difco, 한국)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 후 나타나는 군체를 계수하여 CFU/g으로 표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산균수(CFU/g) 사이클로덱스트린
(중량%)
팜유
(중량%)
동결건조
생존율(%)
대조군 1.20*108 0 0 6.0
제조예1 7.00*108 0 5.0 15.0
제조예2 4.00*108 0 10.0 20.0
제조예3 1.10*108 5.0 0 5.5
제조예4 4.00*108 5.0 5.0 20.0
제조예5 5.00*108 5.0 10.0 25.0
제조예6 3.00*108 10.0 0 15.0
제조예7 4.00*108 10.0 5.0 20.0
제조예8 5.00*108 10.0 10.0 25.0
실험 1차 결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단독 첨가 시 대조군 대비 사이클로덱스트린 5.0%에서 동결건조 생존율이 5.5%, 사이클로덱스트린 10.0%에서 동결건조 생존율이 15.0%로 나타나 사이클로덱스트린 단독 첨가 시에는 첨가량을 10.0%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동결건조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팜유 단독 첨가 시 대조군 대비 팜유 5.0%에서 동결건조 생존율이 15.0%, 팜유 10.0%에서 동결건조 생존율이 20.0%로 나타나 팜유 단독 첨가 시에는 첨가량을 5.0% 이상 10.0%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동결건조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혼합하여 첨가 시 대조군 대비 동결건조 생존율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사이클로덱스트린 보다 팜유의 혼합 비율이 증가할 경우 유층분리 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동결보존제로써 역할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동결 보존제로써 최적 첨가량으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으로 구성하고, 팜유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비에 팜유 : 사이클로덱스트린을 1 : 2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동결건조 생존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 내지 13]
본 발명에 따른 동결건조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조성과 같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을 1 내지 50 중량%로 각각 다르게 하여 실시예 1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잔부는 유산균 배양액으로 채워 총 10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2]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2차 실험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단독으로 포함된 경우, 사이클로덱스트린 함량에 따른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13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 및 이에 따른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은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냈다. 교반 및 균질화, 동결건조 절차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구분 유산균수(CFU/g) 사이클로덱스트린
(중량%)
동결건조
생존율(%)
대조군 5.08*107 0 1.0
실시예1 2.28*108 1.0 4.6
실시예2 3.60*108 2.0 7.2
실시예3 3.77*108 4.0 7.5
실시예4 3.66*108 6.0 7.3
실시예5 3.74*108 8.0 7.5
실시예6 8.35*108 10.0 16.7
실시예7 8.18*108 15.0 16.4
실시예8 8.20*108 20.0 16.4
실시예9 1.27*109 25.0 25.4
실시예10 2.28*109 30.0 45.6
실시예11 1.80*109 35.0 36.1
실시예12 1.54*109 40.0 30.7
실시예13 1.23*109 50.0 24.7
2차 실험 결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단독으로 포함된 경우, 대조군 대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동결건조 생존율 또한 증가하였으며 이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30.0% 첨가하였을 때 동결건조 생존율은 45.6%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동결건조 생존율이 감소하여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단독 첨가 시 사이클로덱스트린을 30% 첨가하였을 때 동결 보존제로써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14 내지 22]
본 발명의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의 함량에 따른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팜유의 함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실시에 14 내지 22를 제조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실험예 2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30중량%로 고정하였고, 팜유는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게 하였다. 잔부는 유산균 배양액으로 채워 총 100 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3]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 설정 3차 실험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팜유가 모두 포함된 경우, 각 함량에 따라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 변화를 실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팜유의 함량 및 이에 따른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은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냈다. 교반 및 균질화, 동결건조 절차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구분 유산균수(CFU/g) 사이클로덱스트린
(중량%)
팜유
(중량%)
동결건조
생존율(%)
실시예14 2.44*109 30.0 0.1 40.6
실시예15 2.41*109 0.5 40.2
실시예16 2.58*109 1.0 43.1
실시예17 2.55*109 2.0 42.4
실시예18 2.64*109 4.0 44.1
실시예19 2.74*109 6.0 45.7
실시예20 2.71*109 8.0 45.1
실시예21 2.68*109 10.0 44.7
실시예22 1.87*109 15.0 31.2
3차 실험 결과, 팜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동결건조 생존율이 일정 구간 내에 유지되다가 팜유의 첨가량이 15.0 중량%에서 동결건조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팜유를 6.0 중량%로 첨가하였을 때 유산균의 동결건조 생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 실험 1차, 2차, 3차의 결과를 종합하여 유산균과 동결 보존제의 혼합비율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30.0 중량%이고, 보존제로써 팜유는 6.0 중량%일 때 유산균의 동결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유산균의 환경 안정성 평가(저장 안정성)
4-1. 저장 안정성 측정
저장 안정성은 실시예 19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100g씩 분획 후 4℃, 25℃, 37℃에 보관한 다음 6개월간 저장하며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4-2. 총균수(유산균수) 측정
총균수는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멸균수를 이용하여 십진 희석한 후 MRS agar(Difco, 한국)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동안 배양 후 나타나는 군체를 계수하여 CFU/g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냈다.
온도 0개월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비고
4℃ 3.0*1010 3.0*1010 2.8*1010 2.7*1010 2.8*1010 2.6*1010 2.4*1010 CFU/g
25℃ 3.0*1010 1.9*1010 3.0*109 1.7*109 7.4*108 3.0*107 -
37℃ 3.0*1010 - - - - - -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의 저장 안정성은 4℃에서 6개월간 80% 이상의 유산균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회귀분석을 적용하였을 경우 12개월간 60% 이상, 18개월간 40% 이상, 24개월간 20% 이상의 유산균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여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의 저온(4℃) 저장성에서 장기보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소화효소 복합 안정성 평가1
5-1. 내산성 및 인공 위액에 대한 내성 측정
내산성 및 인공 위액에 대한 내성은 1000U/mL 펩신에 1N-HCl을 이용하여 pH를 2.0, 2.5로 조정하여 인공 위액을 준비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9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1g 접종하고 37℃에서 0.5시간, 1시간, 2시간으로 각각 처리 후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5-2. 총균수(유산균수) 측정
총균수는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멸균수를 이용하여 십진 희석한 후 MRS agar(Difco, 한국)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동안 배양 후 나타나는 군체를 계수하여 CFU/g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5 및 도 5에 나타냈었다.
유산균수
(CFU/g)
사이클로덱스트린
(중량%)
팜유
(중량%)
동결건조
생존율(%)
비고
6.80*109 30.0 6.0 40.0 pH2.0, 0.5시간
4.90*109 28.8 pH2.0, 1시간
4.30*109 25.3 pH2.0, 2시간
1.82*1010 107.1 pH2.5, 0.5시간
8.80*109 51.8 pH2.5, 1시간
8.20*109 48.2 pH2.5, 2시간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내산성 및 인공 위액 내성은 pH2.0에서 2시간 처리 시 25.3%의 유산균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pH2.5에서 0.5시간 처리 시 100% 이상의 유산균 생존율을 유지하였으며, pH2.5에서 2시간 처리시 48.2%의 유산균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내산성 및 인공 위액 내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6] 소화효소 복합 안정성 평가 2
6-1. 내담즙성 및 인공 이자액에 대한 내성 측정
내담즙성 및 인공 이자액에 대한 내성은 1000U/mL 리파아제, 담즙염(Bile salt) 0.3%, 2.0%에 1 N-NaOH를 이용하여 pH 8.0 로 조정하여 인공 이자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9를 이용하여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1g 접종하고 37℃에서 0.5시간, 1시간, 2시간동안 각각 처리 후 총균수를 측정하였다.
6-2. 총균수(유산균수) 측정
총균수는 동결건조 시킨 유산균 분말을 멸균수를 이용하여 십진 희석한 후 MRS agar(Difco, 한국)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 후 나타나는 군체를 계수하여 CFU/g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유산균수
(CFU/g)
사이클로덱스트린
(중량%)
팜유
(중량%)
동결건조
생존율(%)
비고
1.74*1010 30.0 6.0 102.4 Bile salt 0.3%, 0.5시간
1.57*1010 92.4 Bile salt 0.3%, 1시간
1.01*1010 59.4 Bile salt 0.3%, 2시간
8.20*108 4.82 Bile salt 2.0%, 0.5시간
4.00*108 2.35 Bile salt 2.0%, 1시간
3.10*108 1.82 Bile salt 2.0%, 2시간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내담즙성 및 인공 이자액 내성은 담즙염 0.3%에서 0.5시간 처리 시 100% 이상의 유산균 생존율을 유지하였고, 담즙염(Bile salt 0.3%)에서 2시간 처리 시 59.4%의 유산균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담즙염 2.0%에서 0.5시간 처리 시 4.82%의 유산균 생존율을 나타내어 담즙염 2.0%에서는 유산균의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담즙염 0.3%에서는 유산균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팜유를 포함하는 동결건조 유산균 분말의 내담즙성 및 인공 이자액 내성은 담즙염 0.3% 범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FCC11759P 20180104

Claims (11)

  1.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25 내지 50중량%로 포함되며,
    팜유를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 팜유는 5 : 1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 팜유의 몰비는 1.0 내지 1.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sp.)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sp.)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sp.)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sp.)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속, 비셀라(Weissella sp.) 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VH13(Lactobacillus planatrum VH13) KFCC11759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1개월 내지 24개월 동안 보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0 내지 8℃에서 보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α-(알파) 사이클로덱스트린, β-(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γ-(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δ-(델타) 사이클로덱스트린, ε-(엡실론)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KR1020180159871A 2018-12-12 2018-12-1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KR10201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871A KR102012652B1 (ko) 2018-12-12 2018-12-1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871A KR102012652B1 (ko) 2018-12-12 2018-12-1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652B1 true KR102012652B1 (ko) 2019-08-21

Family

ID=6780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871A KR102012652B1 (ko) 2018-12-12 2018-12-1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6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30B1 (ko) 2005-07-28 2007-05-02 홍림통산(주) 유산균의 안정화 및 유산균 증식효과를 갖는 인삼 다당체조성물
JP2012533620A (ja) * 2009-07-20 2012-12-27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ー/ビー/エイ マサチューセッツ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凍結保存細胞の生存率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13517801A (ja) * 2010-01-28 2013-05-20 アドバンスド バイオニュートリ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生物活性物質を含む乾燥ガラス状組成物
KR20160051902A (ko) 2014-10-16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665888B1 (ko) 2015-10-26 2016-10-13 한국식품연구원 동결보호제로서 찹쌀풀을 이용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식품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197B1 (ko) 2017-12-07 2018-06-12 주식회사 메디오젠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30B1 (ko) 2005-07-28 2007-05-02 홍림통산(주) 유산균의 안정화 및 유산균 증식효과를 갖는 인삼 다당체조성물
JP2012533620A (ja) * 2009-07-20 2012-12-27 ザ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ディー/ビー/エイ マサチューセッツ ジェネラル ホスピタル 凍結保存細胞の生存率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13517801A (ja) * 2010-01-28 2013-05-20 アドバンスド バイオニュートリ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生物活性物質を含む乾燥ガラス状組成物
KR20160051902A (ko) 2014-10-16 2016-05-12 한국식품연구원 유산균이 포집되어 있는 알지네이트 비드 및 동결보호제로서 콩가루를 포함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유산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665888B1 (ko) 2015-10-26 2016-10-13 한국식품연구원 동결보호제로서 찹쌀풀을 이용하는 생존율이 증진된 식품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6197B1 (ko) 2017-12-07 2018-06-12 주식회사 메디오젠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516B1 (ko) 유산균의 생존율, 저장안정성,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604633B1 (ko) 유산균 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분말의 제조 방법
KR101866197B1 (ko) 호박분말을 포함하는 유산균-코팅 동결건조 보호제 조성물 및 동결건조 방법
Bosnea et al. Functionality of freeze-dried L. casei cells immobilized on wheat grains
CN109929779A (zh) 一种含有生物活性肽的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51232B (zh) 一种肠膜明串珠菌冻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820419B (zh) 靶向调控肠道艾克曼菌和短链脂肪酸产生菌的组合物
CN104611256B (zh) 一种微生物冻干制剂及其制备方法
Płoska et al. Bacterial cellulose–Innovative biopolymer and possibilities of its applications in dairy industry
CN112195103B (zh) 冻干保护剂、粪菌冷冻干燥产物及其制备方法
WO2022112551A1 (en) Method for preparing bacterial products
CN111920048B (zh) 一种含有玫瑰发酵液的胶囊及其制备方法
WO2021025405A1 (ko) 순식물성 미생물 배양체의 생산방법
KR10201265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유산균 동결 건조 보존용 조성물
KR101951893B1 (ko) 전통발효식품 유래의 프로바이오틱스활성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srcm102343 균주의 고농도 제조 방법
CN107557323B (zh) 一种益生菌的保存方法
KR101841909B1 (ko) 누룩과 혼합곡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배양방법
KR102365680B1 (ko) 유산균 순간증착 기법을 이용해 유산균 함유량을 극대화하는 마쉬멜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쉬멜로
CN1648239A (zh) 一种果粒固定化乳酸菌发酵剂的生产方法
Urbański et al. Influence of whey on viability of Lactobacillus gasseri during freeze-drying process
KR102150120B1 (ko) 미생물 동결건조 보호용 조성물
KR101848128B1 (ko) 미강배지를 이용한 김치유산균 발효방법
Kalantarmahdavi et al. Viabil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corporated with sourdough powder-based edible film in set yogurt and subsequent changes during post fermentation storage
CN110804569A (zh) 一种四联菌直投式泡菜发酵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Halima et al. Lactic acid bacteria: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