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619B1 -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619B1
KR102012619B1 KR1020190010535A KR20190010535A KR102012619B1 KR 102012619 B1 KR102012619 B1 KR 102012619B1 KR 1020190010535 A KR1020190010535 A KR 1020190010535A KR 20190010535 A KR20190010535 A KR 20190010535A KR 102012619 B1 KR102012619 B1 KR 102012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odule
processing
fabric
ban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한
Original Assignee
전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두한 filed Critical 전두한
Priority to KR102019001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63Plasters use haemostatic
    • A61F2013/00468Plasters use haemostatic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혈밴드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과, 띠 형태를 이루며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원단이 전방에서 투입되며, 테이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는 패드원단을 소정의 형태로 타발하여 형성된 패드를 접착면에 부착하여 제1 가공띠를 형성하는 제1 가공모듈; 상기 제1 가공띠를 전달받아 접착면에 띠 형태를 이루는 제1 이형지를 부착하여 제2 가공띠를 형성하는 부착모듈; 전방에서 투입되는 제2 가공띠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제2 가공띠의 하방에 구비된 칼날에 의해 테이프원단을 패드보다 큰 소정의 형태로 칼집내는 제2 가공모듈; 및 상기 제2 가공모듈로부터 제2 가공띠를 전달받아 제2 가공띠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분리시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형성하는 분리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모듈은 통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며 상면에 놓인 제2 가공띠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유도구와, 상기 유도구의 하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롤 형태로 감는 제3 풀리와, 상기 유도구의 상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롤 형태로 감는 제4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for styptic band}
본 발명은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혈밴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혈밴드는 환부를 압박하여 지혈되도록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 반창고 및 알코올 솜으로 지혈을 하는 방법보다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고 지혈효과가 뛰어나 주사실, 채혈실 등에서 정맥주사를 투여할 때와 채혈을 할 때 등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혈밴드는 보통 우레탄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가지면서 피부에 붙어 압박고정되도록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부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솜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부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에 붙는 패드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혈밴드는 환부를 패드부로 압박하면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에 의해 피부에 접착되어 압박고정하여 지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지혈밴드를 제조함에 있어, 종래 패드원단을 일정한 형태로 재단하는 재단과정과,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원단에 패드를 접착고정하는 접착고정과정 등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였는바,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788호(이하, '인용발명')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압박띠(테이프)에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압박솜(패드)을 접착고정하는 압박솜접착고정단계와, 압박솜을 일정한 형태로 재단하는 재단공정을 동시에 수동할 수 있도록 자동화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패드가 부착된 테이프를 지혈밴드 제품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이에 제1 이형지를 부착하는 과정과, 패드가 부착된 테이프원단을 실제 사용하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재단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한다.
위와 같은 추가적인 과정은 인용발명과 같은 자동화설비와 연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거나 인용발명과 같은 자동화설비와 별도의 설비를 마련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바, 하나의 자동화설비를 통해 지혈밴드를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2788호 '압박테이프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혈밴드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은 띠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과, 띠 형태를 이루며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원단이 전방에서 투입되며, 테이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는 패드원단을 소정의 형태로 타발하여 형성된 패드를 접착면에 부착하여 제1 가공띠를 형성하는 제1 가공모듈; 상기 제1 가공띠를 전달받아 접착면에 띠 형태를 이루는 제1 이형지를 부착하여 제2 가공띠를 형성하는 부착모듈; 전방에서 투입되는 제2 가공띠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제2 가공띠의 하방에 구비된 칼날에 의해 테이프원단을 패드보다 큰 소정의 형태로 칼집내는 제2 가공모듈; 및 상기 제2 가공모듈로부터 제2 가공띠를 전달받아 제2 가공띠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분리시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형성하는 분리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공모듈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의 상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가공띠를 가압하는 가공상판과,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면에 칼날을 포함하는 칼집형성부가 구비된 가공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칼집형성부는 칼날의 내측과 외측에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스폰지를 포함하여, 상기 가공상판에 의한 가압시 제1 이형지를 제외한 제2 가공띠에 칼집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하판은 적어도 일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칼집형성부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공모듈의 후단부 상측에는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에 제1 이형지가 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가공모듈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제2 가이드대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제1 이형지가 제2 풀리에서 풀려 제2 가이드대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2 가이드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 가공모듈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대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제2 가공모듈의 전단부를 향하는 제2 기준구의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이형지가 제2 풀리에서 풀려 제2 기준구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2 가이드대의 상단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2 가이드대는 제2 기준구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제1 이형지를 감지하는 제2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제1 이형지가 감지되면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제1 이형지가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가 구동되어 제1 이형지를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공모듈의 상측 후방에 구비되어 타발된 패드원단을 롤 형태로 감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이 제1 가공모듈에서 회수부로 이동되는 속도가 테이프원단이 제1 가공모듈을 지나는 속도보다 느려, 패드원단에서 타발된 부분 간의 간격이 제1 가공띠의 패드 간의 간격보다 촘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공모듈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가이드부가 후단부로부터 상측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이 제1 가공모듈로부터 나와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의 사이를 지나며 회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공모듈의 후단부 상측에는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에 패드원단이 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가공모듈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제1 가이드대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패드원단이 제1 풀리에서 풀려 제1 가이드대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1 가이드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가공모듈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대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제1 가공모듈의 전단부를 향하는 제1 기준구의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패드원단이 제1 풀리에서 풀려 제1 기준구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1 가이드대의 상단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 가이드대는 제1 기준구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패드원단을 감지하는 제1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패드원단이 감지되면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패드원단이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가 구동되어 패드원단을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모듈은 통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며 상면에 놓인 제2 가공띠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유도구와, 상기 유도구의 하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롤 형태로 감는 제3 풀리와, 상기 유도구의 상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롤 형태로 감는 제4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원단, 패드원단 및 제1 이형지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제1 가공모듈, 부착모듈, 제2 가공모듈 및 분리모듈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였는바, 지혈밴드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형지 분리모듈에 의해 제2 이형지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가공모듈 및 제1 가이드대를 통해 제1 가공띠가 형성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1 가이드대를 통해 롤 형태인 패드원단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2 가공모듈, 제2 가이드대 및 부착모듈을 통해 제2 가공띠가 형성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2 가이드대를 통해 롤 형태인 제1 이형지가 공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2 가공모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분리모듈을 통해 지혈밴드가 형성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지혈밴드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띠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과, 띠 형태를 이루며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원단이 전방에서 투입되며, 테이프원단의 상측에 위치하는 패드원단을 소정의 형태로 타발하여 형성된 패드를 접착면에 부착하여 제1 가공띠를 형성하는 제1 가공모듈; 상기 제1 가공띠를 전달받아 접착면에 띠 형태를 이루는 제1 이형지를 부착하여 제2 가공띠를 형성하는 부착모듈; 전방에서 투입되는 제2 가공띠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제2 가공띠의 하방에 구비된 칼날에 의해 테이프원단을 패드보다 큰 소정의 형태로 칼집내는 제2 가공모듈; 및 상기 제2 가공모듈로부터 제2 가공띠를 전달받아 제2 가공띠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분리시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형성하는 분리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모듈은 통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며 상면에 놓인 제2 가공띠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유도구와, 상기 유도구의 하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을 롤 형태로 감는 제3 풀리와, 상기 유도구의 상방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를 롤 형태로 감는 제4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공모듈(100), 부착모듈(200), 제2 가공모듈(300) 및 분리모듈(4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제1 가이드대(500), 제2 가이드대(600), 회수부(700), 이형지 분리모듈(8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원단(10)은 띠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접착면은 추후 지혈밴드(60)에서 인체에 부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테이프원단(10)은 긴 띠 형태 그대로 보관되었다가 제1 가공모듈(100)에 공급될 수 있으나, 보관의 편의와 위생적인 측면에서 접착면에 제2 이형지(11)가 부착되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형지(11)가 부착된 테이프원단(10)이 롤 형태로 마련되어 인출되어 제1 가공모듈(100)에 투입되기 전, 이형지 분리모듈(800)에 의해 제2 이형지(11)가 분리되어 제1 가공모듈(100)로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10)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리된 제2 이형지(11)는 이형지 분리모듈(800)의 상측에 구비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에 감길 수 있으며, 제1 가공모듈(100)에 공급되는 테이프원단(10)의 공급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모듈(8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롤러를 통해 제2 이형지(11)를 풀리에 이르기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10)과, 띠 형태를 이루며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원단(20)이 전방에서 투입된다. 이때, 패드원단(20)은 테이프원단(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공급되며, 제1 가공모듈(100)을 통해 소정의 형태로 타발되어 패드(21)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패드(21)는 제1 가공모듈(100)에 의해 테이프원단(10)의 접착면에 부착되어 제1 가공띠(30)를 형성한다.
상기 패드원단(20)이 공급되는 구조의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패드원단(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공모듈(100)의 후단부 상측의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81)에 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의 전방에는 사다리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제1 가이드대(500)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대(500)는 수직으로 세워진 2개의 프레임에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510)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510) 각각의 전방과 후방을 번갈아 지나면서 패드원단(200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롤 형태로 마련된 패드원단(20)은 제1 가이드대(50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한바, 상기 패드원단(20)은 제1 풀리(81)에서 풀려 제1 가이드대(500)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1 가이드(5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가공모듈(100)로 투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대(500)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는 제1 기준구(520)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준구(520)는 제1 가공모듈(100)의 전단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드원단(20)은 제1 풀리(81)에서 풀려 제1 기준구(520)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1 가이드대(500)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대(5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구(520)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패드원단(20)을 감지하는 제1 센서(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530)에 의해 패드원단(20)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터(71)가 정지되어 패드원단(20)의 공급을 멈추고, 상기 제1 센서(530)에 의해 패드원단(2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71)가 구동되어 패드원단(20)을 풀어주게 된다. 이는 테이프원단(10)의 진행속도에 따른 패드원단(20)의 진행속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다만, 테이프원단(10)의 진행속도와 패드원단(20)의 진행속도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은 일 예로 3개의 가공판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중간에 위치한 가공판에 타발된 패드(21)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중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상측에 위치한 가공판에는 하방으로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공모듈(100)에 테이프원단(10)은 최하측에 위치한 가공판의 상면에 놓이도록 공급되고, 패드원단(20)은 중간에 위치한 가공판의 상면에 놓이도록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패드원단(20)은 최상측에 위치한 가공판이 하강하며 돌기에 의해 패드(21)가 펀칭되어 테이프원단(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의 상측 후방에는 타발된 패드원단(20)을 롤 형태로 감는 회수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7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타발된 패드원단(20)을 감을 수 있는 제5 풀리(75)와 상기 제5 풀리(85)를 회전시키는 모터(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원단(10)의 공급에 관여하는 모터(71)와, 타발된 패드원단(20)의 회수에 관여하는 모터(7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20)이 제1 가공모듈(100)에서 회수부(700)로 이동되는 속도가 테이프원단(10)이 제1 가공모듈(100)을 지나는 속도보다 느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원단(20)에서 타발된 부분 간의 간격은 제1 가공띠(30)의 패드(21) 간의 간격보다 촘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혈밴드(60)를 형성하는 패드(21) 간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면서 패드원단(20)의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을 통과하여 타발된 패드원단(20)이 회수부(700)로 이동되는 중간 지점, 즉 제1 가공모듈(100)의 후단부로부터 상측 후방에 돌출된 가이드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제1 가이드롤러(111)와 제2 가이드롤러(112)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20)은 제1 가공모듈(100)로부터 나와 제1 가이드롤러(111)와 제2 가이드롤러(112)의 사이를 지나며 안정적으로 회수부(70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공모듈(100)에 의해 형성된 제1 가공띠(30)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부착모듈(200)에 의해 제1 이형지(40)가 부착되어 제2 가공띠(5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이형지(40)는 제1 가공띠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나, 제1 가공띠보다 폭이 작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공띠(30)는 패드(2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접착면을 이루고 있는바, 상기 제1 이형지(40)는 제1 가공띠(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공급되어 부착모듈(200)에 의해 제1 가공띠(30)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모듈(200)은 제1 가공띠(30)에 제1 이형지(40)를 압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롤러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이형지(40)가 공급되는 구조의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이형지(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공모듈(300)의 후단부 상측의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72)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82)에 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의 전방에는 사다리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제2 가이드대(600)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대(600)는 수직으로 세워진 2개의 프레임에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610)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롤러(610) 각각의 전방과 후방을 번갈아 지나면서 제1 이형지(40)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롤 형태로 마련된 제1 이형지(40)는 제2 가이드대(60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됨이 바람직한바, 상기 제1 이형지(40)는 제2 풀리(82)에서 풀려 제2 가이드대(600)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2 가이드대(6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부착모듈(200)을 거쳐 제2 가공모듈(300)로 투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대(600)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는 제2 기준구(620)의 양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준구(620)는 제2 가공모듈(300)의 전단부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형지(40)는 제2 풀리(82)에서 풀려 제2 기준구(620)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2 가이드대(600)의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준구(620)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제1 이형지(40)를 감지하는 제2 센서(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630)에 의해 제1 이형지(40)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모터(72)가 정지되어 제1 이형지(40)의 공급을 멈추고, 상기 제2 센서(630)에 의해 제1 이형지(40)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72)가 구동되어 제1 이형지(40)를 풀어주게 된다. 이는 제1 가공띠(30)의 진행속도에 따라 제1 이형지(40)의 진행속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다만, 제1 가공띠(30)의 진행속도와 제1 이형지(40)의 진행속도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형지(40)는 상대적으로 가벼운바, 제2 센서(630)에 의해 정확히 감지되어 공급속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90)를 제2 기준구(620)의 수평부 인근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90)는 제1 이형지(40)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제1 이형지(40)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도록 롤러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제1 이형지(40)가 과도하게 쳐지지 않도록 적절한 무게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모듈(200)에 의해 형성된 제2 가공띠(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공모듈(300)의 전방으로 투입되며, 제2 가공모듈(300)에 의해 상방에서 가압된다.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은 제2 가공띠(50)의 하방에 칼날(331)가 구비되어, 상기 제2 가공모듈(300)에 의한 가압시 제2 가공띠(50)를 이루는 테이프원단(10)에 칼집이 내어진다. 이때, 칼날(331)은 패드(21)보다 큰 소정의 형태로 구비되어 패드(21)를 중심으로 테이프원단(10)이 소정의 형태를 가지도록 절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50)의 상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제2 가공띠(50)를 가압할 수 있는 가공상판(310)과,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50)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면에 상기 칼날(331)을 포함하는 칼집형성부(330)가 구비된 가공하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331)에 의한 제2 가공띠(50)의 칼집 형성시 칼날(331)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테이프원단(10)에만 칼날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제2 가공띠(50)의 두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칼집형성부(330)는 칼날(331)의 내측과 외측에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스폰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폰지(332)는 칼날(331)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거나 칼날(331)의 상단보다 조금 높게 형성되어 제2 가공띠(50)를 가공상판(310)가 누를 시, 스폰지(332)가 함께 가압되면서 스폰지(332)가 압착된 높이까지만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폰지(332)가 압착될 시 칼날(331)은 스폰지(332)로부터 돌출되어 제1 이형지(40)를 제외한 제2 가공띠(50), 테이프원단(10)에 칼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하판(3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공하판(320) 전체가 인출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인 인출을 위해 가공하판(320)의 일부만이 인출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가공하판(320)이 2 개의 판이 적층된 형태를 이루고, 상측에 위치한 판은 하측에 위치한 판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공하판(320)이 인출됨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지혈밴드(60)의 종류, 크기 등에 맞도록 칼집형성부(230)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분리모듈(400)은 제2 가공모듈(300)로부터 칼집이 형성된 제2 가공띠(50)를 전달받아 제2 가공띠(50)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10)을 분리시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6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모듈(400)은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공띠(50)를 이송하는 유도구(410)와, 제2 가공띠(50)로부터 테이프원단(10)을 분리하는 구성, 제2 가공띠(50)로부터 지혈밴드(60)를 분리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도구(410)는 통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며 상면에 놓인 제2 가공띠(5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구(410)의 하방에 모터(73)에 의해 회전하는 제3 풀리(83)가 구비되어 상기 유도구(410)의 하방으로 이동된 제2 가공띠(50)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10)을 분리하여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구(410)의 상방에 모터(74)에 의해 회전하는 제4 풀리(84)가 구비되어 상기 유도구(410)의 하방으로 이동된 제2 가공띠(50)로부터 지혈밴드(60)를 분리하여 롤러를 통해 상방으로 가이드되면서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지혈밴드 제조시스템은 테이프원단(10), 패드원단(20) 및 제1 이형지(40)로 반제품 상태인 복수 개의 지혈밴드(60)를 제조하는 전 과정을 제1 가공모듈(100), 부착모듈(200), 제2 가공모듈(300) 및 분리모듈(400)을 이용하여 자동화하였는바, 지혈밴드(60)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테이프원단 11 : 제2 이형지
20 : 패드원단 21 : 패드
30 : 제1 가공띠 40 : 제1 이형지
50 : 제2 가공띠 60 : 지혈밴드
71 : 모터 72 : 모터
73 : 모터 74 : 모터
75 : 모터 81 : 제1 풀리
82 : 제2 풀리 83 : 제3 풀리
84 : 제4 풀리 85 : 제5 풀리
90 : 무게추
100 : 제1 가공모듈 110 : 가이드부
111 : 제1 가이드롤러 112 : 제2 가이드롤러
200 : 부착모듈
300 : 제2 가공모듈 310 : 가공상판
320 : 가공하판 330 : 칼집형성부
331 : 칼날 332 : 스폰지
400 : 분리모듈 410 : 유도구
500 : 제1 가이드대 510 : 롤러
520 : 제1 기준구 530 : 제1 센서
600 : 제2 가이드대 610 : 롤러
620 : 제2 기준구 630 : 제2 센서
700 : 회수부 800 : 이형지 분리모듈

Claims (10)

  1. 띠 형태를 이루며 상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테이프원단(10)과, 띠 형태를 이루며 혈액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패드원단(20)이 전방에서 투입되며, 테이프원단(10)의 상측에 위치하는 패드원단(20)을 소정의 형태로 타발하여 형성된 패드(21)를 접착면에 부착하여 제1 가공띠(30)를 형성하는 제1 가공모듈(100);
    상기 제1 가공띠(30)를 전달받아 접착면에 띠 형태를 이루는 제1 이형지(40)를 부착하여 제2 가공띠(50)를 형성하는 부착모듈(200);
    전방에서 투입되는 제2 가공띠(50)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제2 가공띠(50)의 하방에 구비된 칼날(331)에 의해 테이프원단(10)을 패드(21)보다 큰 소정의 형태로 칼집내는 제2 가공모듈(300); 및
    상기 제2 가공모듈(300)로부터 제2 가공띠(50)를 전달받아 제2 가공띠(50)로부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10)을 분리시켜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60)를 형성하는 분리모듈(4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모듈(400)은 통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하며 상면에 놓인 제2 가공띠(5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유도구(410)와, 상기 유도구(410)의 하방에 구비되어 모터(73)에 의해 회전하며 칼집 외측의 테이프원단(10)을 롤 형태로 감는 제3 풀리(83)와, 상기 유도구(410)의 상방에 구비되어 모터(74)에 의해 회전하며 반제품 상태인 지혈밴드(60)를 롤 형태로 감는 제4 풀리(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은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50)의 상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가공띠(50)를 가압하는 가공상판(310)과, 판 형태를 이루며 제2 가공띠(50)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면에 칼날(331)을 포함하는 칼집형성부(330)가 구비된 가공하판(320)을 포함하되,
    상기 칼집형성부(330)는 칼날(331)의 내측과 외측에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스폰지(332)를 포함하여, 상기 가공상판(310)에 의한 가압시 제1 이형지(40)를 제외한 제2 가공띠(50)에 칼집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하판(320)은 적어도 일측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칼집형성부(230)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의 후단부 상측에는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72)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풀리(82)에 제1 이형지(40)가 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가공모듈(300)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610)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제2 가이드대(600)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제1 이형지(40)가 제2 풀리(82)에서 풀려 제2 가이드대(600)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2 가이드대(6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 가공모듈(300)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대(600)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제2 가공모듈(300)의 전단부를 향하는 제2 기준구(620)의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이형지(40)가 제2 풀리(82)에서 풀려 제2 기준구(620)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2 가이드대(600)의 상단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2 가이드대(600)는 제2 기준구(620)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제1 이형지(40)를 감지하는 제2 센서(630)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센서(630)에 의해 제1 이형지(40)가 감지되면 모터(72)가 정지되고, 상기 제2 센서(630)에 의해 제1 이형지(40)가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72)가 구동되어 제1 이형지(40)를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의 상측 후방에 구비되어 타발된 패드원단(20)을 롤 형태로 감는 회수부(7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20)이 제1 가공모듈(100)에서 회수부(700)로 이동되는 속도가 테이프원단(10)이 제1 가공모듈(100)을 지나는 속도보다 느려, 패드원단(20)에서 타발된 부분 간의 간격이 제1 가공띠(30)의 패드(21) 간의 간격보다 촘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모듈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제1 가이드롤러(111)와 제2 가이드롤러(112)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가이드부(110)가 후단부로부터 상측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타발된 패드원단(20)이 제1 가공모듈(100)로부터 나와 제1 가이드롤러(111)와 제2 가이드롤러(112)의 사이를 지나며 회수부(700)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의 후단부 상측에는 소정의 높이에서 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81)에 패드원단(20)이 롤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가공모듈(100)은 양단이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복수 개의 롤러(510)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제1 가이드대(500)가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패드원단(20)이 제1 풀리(81)에서 풀려 제1 가이드대(500)의 상단으로 이동된 후, 제1 가이드대(50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1 가공모듈(100)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대(500)는 상단에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제1 가공모듈(100)의 전단부를 향하는 제1 기준구(520)의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패드원단(20)이 제1 풀리(81)에서 풀려 제1 기준구(520)의 수평부를 감싸면서 제1 가이드대(500)의 상단으로 이동되되,
    상기 제1 가이드대(500)는 제1 기준구(520)의 수평부와 대응되는 높이보다 낮은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패드원단(20)을 감지하는 제1 센서(530)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센서(530)에 의해 패드원단(20)이 감지되면 모터(71)가 정지되고, 상기 제1 센서(530)에 의해 패드원단(20)이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71)가 구동되어 패드원단(20)을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10. 삭제
KR1020190010535A 2019-01-28 2019-01-28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KR10201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35A KR102012619B1 (ko) 2019-01-28 2019-01-28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535A KR102012619B1 (ko) 2019-01-28 2019-01-28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619B1 true KR102012619B1 (ko) 2019-08-20

Family

ID=6780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535A KR102012619B1 (ko) 2019-01-28 2019-01-28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61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56A (ko) * 1998-06-16 2000-01-15 조민호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862788B1 (ko) 2007-09-04 2008-10-13 전두한 압박테이프 제조장치
KR20090004822A (ko) * 2008-12-01 2009-01-12 염태수 집단제한절단기로 제작된 집단 제한절단스티커
KR100884033B1 (ko) * 2008-02-04 2009-02-17 임병진 피부점착부재 제조장치
KR100997772B1 (ko) *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JP2011136477A (ja) * 2009-12-28 2011-07-14 Ikeda Kikai Sangyo Kk 包装体の製造装置
KR101268901B1 (ko) * 2012-12-24 2013-05-29 유현석 이형성이 좋은 약제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064B1 (ko) * 2011-07-08 2014-01-16 아이큐어 주식회사 패치 제조 방법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785425B1 (ko) * 2017-06-15 2017-10-16 주식회사 케이엠티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056A (ko) * 1998-06-16 2000-01-15 조민호 약물 경피투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862788B1 (ko) 2007-09-04 2008-10-13 전두한 압박테이프 제조장치
KR100884033B1 (ko) * 2008-02-04 2009-02-17 임병진 피부점착부재 제조장치
KR20090004822A (ko) * 2008-12-01 2009-01-12 염태수 집단제한절단기로 제작된 집단 제한절단스티커
JP2011136477A (ja) * 2009-12-28 2011-07-14 Ikeda Kikai Sangyo Kk 包装体の製造装置
KR100997772B1 (ko) * 2010-06-23 2010-12-01 (주)금강이엔지 패치 자동 제조장치
KR101351064B1 (ko) * 2011-07-08 2014-01-16 아이큐어 주식회사 패치 제조 방법
KR101268901B1 (ko) * 2012-12-24 2013-05-29 유현석 이형성이 좋은 약제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785425B1 (ko) * 2017-06-15 2017-10-16 주식회사 케이엠티 약제용 패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14798B (zh) 一种竹篾帘切割、搭接和收卷的一体化装置
EP0320814B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and packaging adhesive plasters
CN209127711U (zh) 一种胶带复合分切机
CN107512614A (zh) 料带自动裁切机
CN109552934A (zh) 一种模切提废装置
CN106904484A (zh) 全自动胶带分切机构
CN112794132A (zh) 一种无纺布加工设备
KR102012619B1 (ko) 지혈밴드 제조 시스템
CN111955833A (zh) 一种内置鼻梁条的口罩打片机
CN204417520U (zh) 皮带打孔机
CN211437677U (zh) 一种片材冲切成型装置
CN115959324A (zh) 一种医用棉签自动化包装机的包装机构
CN216330700U (zh) 一种复合机
EP3088169B1 (en) Bleeder cord affixing device and affixing method
KR102258076B1 (ko) 습윤 밴드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습윤 밴드 제조 방법
CN210362707U (zh) 滤芯成型机
CN103350920A (zh) 金属针布自动垫纸机
CN103241579B (zh) 一种筒形布卷裁剪分卷装置
EP2390211B1 (en) An apparatus for unwinding and slitting a material web
CN219296730U (zh) 一种胶带生产用复卷分切机
CN110665996A (zh) 一种铜箔胶带生产用铜箔切片装置
CN217263690U (zh) 半自动卷绕机
CN210308005U (zh) 一种切卷机
CN211640171U (zh) 一种切丝机
JP7101226B2 (ja) 不織布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不織布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