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545B1 -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545B1
KR102012545B1 KR1020160164868A KR20160164868A KR102012545B1 KR 102012545 B1 KR102012545 B1 KR 102012545B1 KR 1020160164868 A KR1020160164868 A KR 1020160164868A KR 20160164868 A KR20160164868 A KR 20160164868A KR 102012545 B1 KR102012545 B1 KR 10201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time
user
getting
traffic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699A (ko
Inventor
김응석
김희원
김경만
서혜준
Original Assignee
김응석
김희원
김경만
서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석, 김희원, 김경만, 서혜준 filed Critical 김응석
Priority to KR102016016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5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버스 등 교통카드로 결제 가능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차량 내의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차 처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여 실제 하차 시각에 가깝게 하차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일양상에 따르면,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은, 버스 내부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태그하는 교통카드로부터 버스 승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승차 단말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 하차 후 상기 이용자가 태그하는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버스 하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점을 결정하는 하차 단말기; 및 상기 승차 단말기 또는 상기 하차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버스 이용 정보를 제공받아, 이용요금 정산을 위한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가 탑승한 버스의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가 상기 하차 단말기에 태그한 정류장의 하차 시점으로 결정한다.

Description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Advanced Traffic Card System, Get off Terminal and the Method f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등 교통카드로 결제 가능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차량 내의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차 처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도록 하되,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한 실제 시각을 하차 시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 교통수단인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오랫동안 서민들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며, 도시의 발전과 함께 운행 횟수 및 노선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공해 문제와 기름값의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대중교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대중 교통의 이용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도시 중심가로 향하는 이동인구가 한꺼번에 몰리는 현상(rush hour)으로 인해 대중 교통 정거장의 혼잡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교통 혼잡도를 해소하기 위해서, 오래 전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의 승차 및 하차 시에 버스 내에 설치된 단말기에 태그를 함으로써, 교통요금을 결제하는 교통카드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카드 시스템의 경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버스로 환승하거나 버스에서 지하철 또는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에 요금을 할인해 주는 환승할인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대표적인 교통카드 시스템으로서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서울특별시에 구축한 T-money 교통카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용자가 버스 탑승 시점에 버스 내에 설치된 승차 단말기(통상적으로 버스의 승차문 부분에 설치됨)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버스 내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으로부터 버스의 승차 시점에 대한 승차 위치정보 및 승차 시각정보를 수신받아 이용자의 요금정보와 함께 승차 단말기에 기록한다. 이용자가 목적하는 정거장에서 하차하는 경우에 하차 단말기(통상적으로 버스의 하차문 부분에 설치됨)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이용자의 하차 시점에 대한 하차 위치정보와 하차 시각정보를 하차 단말기에 기록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교통카드에는 이용자의 하차 시각정보를 기록한다. 물론, 버스의 승차 단말기 및 하차 단말기에 기록되는 이용자의 버스 이용정보(승차 위치정보, 승차 시각정보, 하차 위치정보, 하차 시각정보)는 버스 운행을 관리하는 교통카드 관리 센터도 전송되어 보관된다.
이 때, 버스 이용자가 하차 후 다른 버스나 지하철 등으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환승 시점의 승차 시각과 교통카드에 저장된 이전의 하차 시각정보를 비교해서 환승 시간이 일정한 시간 이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환승할인을 제공한다. 서울특별시의 경우를 예로 들면, 하차 시각으로부터 30분 이내, 그리고 저녁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 사이에는 하차 시각으로부터 1시간 이내에 다른 대중교통으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환승할인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승할인을 위해서 버스 이용자는 하차 시에 반드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여야 하므로, 버스 하차 시점에 버스에 탑승해 있는 이용자와 하차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하차문에 밀집되어 하차 과정에서 많은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교통카드가 하차 단말기에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이용자의 하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버스 운전기사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하차문을 닫고 운행을 하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환승할인을 목적으로 버스 내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행위로 인해 버스 정차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교통운행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하차 단말기를 버스 정류장에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공개번호 10-2011-0119350호와, 공개번호 10-2013-0079737호, 공개번호 10-2014-0105065호는 모두 버스 정류장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는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버스 정류장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 버스 이용자는 버스에서 하차한 후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으므로 버스 하차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스 이용자가 버스 요금을 절감할 목적으로 하차 정류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미리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버스의 하차문 부근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고, 버스 정류장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부정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버스 정류장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 버스 이용자가 하차 후 바로 교통카드를 태그하도록 강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를 도2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버스 이용자가 T0 시점에 승차 정류장에서 버스에 탑승한 후 버스 내에 설치된 승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한 뒤, 원하는 목적지에서 하차하게 된다. 그리고,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한 버스 이용자는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부스(10) 내의 하차 단말기(20)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게 될 것이다. 이 때, 버스 이용자가 버스 정류장에 하차한 시점을 T1이라고 하면, 버스 이용자는 T1의 시점에 정류장 부스(10)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20)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것이 정상적이지만, 버스 이용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T1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흐른 T2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이용자가 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은, 정상적인 태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T1 + 30분(저녁 9시 ~ 다음날 오전 7시의 경우에는 T1 + 1시간)이 되겠지만, 버스 이용자가 T2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경우에는 환승할인이 가능한 시간이 T2 + 30분(저녁 9시 ~ 다음날 오전 7시의 경우에는 T2 + 1시간)이 되어, T2 - T1의 시간만큼 환승할인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만약, 버스 이용자가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버스 하차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지 않고 개인 업무를 보고 나중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게 된다면 버스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요금 절약의 유혹을 느끼게 되고, 정상적으로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선량한 이용자는 상대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 등 교통카드로 결제 가능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차량 내의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차 처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도록 하되,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하차 시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통카드 시스템은 버스 내부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태그하는 교통카드로부터 버스 승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승차 단말기와,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버스 하차 후 상기 이용자가 태그하는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버스 하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점을 결정하는 하차 단말기, 및 상기 승차 단말기 또는 상기 하차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버스 이용 정보를 제공받아, 이용요금 정산을 위한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가 탑승한 버스의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가 상기 하차 단말기에 태그한 정류장의 하차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차 단말기는 버스의 운행 시간과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내의 승차 단말기에 의하여 승차 정보가 기록된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의 버스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도착 시각을 판단하여, 상기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결정하는 버스 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차 단말기는 상기 버스 정보 처리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정보를 상기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도착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차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부터 환승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환승할인 가능시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차 단말기는 버스의 운행 시간과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내의 승차 단말기에 의하여 승차 정보가 기록된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의 버스 정보, 승차 시각, 및 승차 위치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기와,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도착 시각을 판단하여, 상기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결정하는 버스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버스 이용자의 승차 시각과 승차 위치, 하차 시각과 버스 정류장의 위치를 이용하여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는 요금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차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 및 버스 이용요금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버스에서 하차하는 이용자의 교통카드로부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차 시각으로 결정된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교통카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환승할인이 가능한 잔여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버스에서 하차하는 이용자의 교통카드로부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정보, 승차 시각 및 승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버스 이용자의 승차 시각, 승차 위치, 하차 시각 및 버스 정류장의 위치를 이용하여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하차 시각으로 결정된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교통카드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 및 버스 이용요금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환승할인이 가능한 잔여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버스 등 교통카드로 결제 가능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차량 내의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하차 처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여 하차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이용자는 버스에서 하차한 후에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으므로 버스 하차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이용자가 버스 정류장의 하차 단말기에 태그하는 시점이 아니라, 버스 이용자가 탑승한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점을 하차 시각으로 결정함으로써, 실제 하차 시각에 가깝도록 환승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운행 체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교통 요금을 더욱 정확하게 정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카드 시스템 설명도,
도 2는 버스 정류장에 하차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교통카드 태그 시점에 따른 문제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을 통하여, 교통요금을 정산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승차 단말기와 교통카드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하차 단말기와 교통카드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을 통하여, 교통요금을 정산하는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버스 이용자가 버스를 승차하는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기 위하여,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승차 단말기(100)를 구비한다. 승차 단말기(100)는 현재 교통카드 요금 결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단말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버스 이용자가 하차 시점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기 위한 하차 단말기(300)는 버스 정류장(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교통카드 시스템은 버스 내부의 하차문 부근에 하차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를 철거하고 버스 정류장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버스 내부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를 철거하지 않고, 버스 내부와 버스 정류장에 중복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버스 이용자는 T0 시점에 버스에 승차하여 버스 내부에 설치된 승차 단말기(100)에 교통카드를 태그한 후, 목적지에 해당하는 하차 정류장(200)에서 T1 시점에 버스를 하차한 후, 하차 정류장(200)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300)에 교통카드를 태그함으로써, 하차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때, 버스 내에 설치된 승차 단말기(100) 및 하차 정류장(200)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30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과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 정보를 교환하게 될 것이다. 특히,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은 GPS를 이용하여 버스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관리하게 되므로, 운행 중인 버스의 위치와 시간 정보를 승차 단말기(100) 또는 하차 단말기(300)와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스 이용자가 하차(T1 시점) 후 하차 단말기(300)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시점을 지연함으로써(T2 시점) 환승할인을 악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버스 이용자의 교통카드 태그 시점이 아니라 버스 이용자가 탑승하였던 버스가 하차 정류장(200)에 도착한 시점(T1)을 하차 시점으로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교통요금의 정산이 가능해 진다.
보다 정확한 교통요금의 정산을 위하여, 버스 이용자의 하차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승차 단말기와 교통카드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버스 내에 설치되는 승차 단말기(100)에는 버스의 식별정보로서의 버스 ID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교통카드에는 교통카드의 식별정보로서의 교통카드 ID가 저장되어 있는데, 버스 이용자가 버스에 승차하여 승차 단말기(100)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승차 단말기(100)는 교통카드의 교통카드 ID를 인식하고, 태그 시점의 승차 시각과 승차위치, 교통카드에 해당하는 요금정보를 저장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전송될 것이다. 한편, 교통카드에는 승차 단말기(100)로부터 버스 ID 정보와 함께 승차 시각과 승차위치를 제공받아 저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버스 ID와 승차 시각, 승차위치 정보 등은 버스 이용자의 승차와 관련된 정보로서, 목적지에 도착하여 버스 정류장(200)에 하차하는 경우에 하차 단말기(30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버스 요금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하차 단말기와 교통카드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스 이용자는 목적지 하차 정류장(200)에서 버스를 하차하여 하차 정류장(200)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300)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게 된다. 이 때, 교통카드에는 교통카드 ID와 함께 승차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버스 ID, 승차 시각 및 승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하차 단말기(300)에 제공하여 버스 요금을 정산하게 된다. 하차 단말기(300)는 기본적으로 정류장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정류장 ID와 정류장 ID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하차 단말기(300)는 교통카드로부터 전달된 버스 ID와 승차위치 정보와, 버스 이용자가 하차한 정류장 ID에 해당하는 하차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이용자의 이용거리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른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게 된다.
이 때,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요금과 함께, 버스 이용자가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하차 시각을 결정하게 된다. 하차 시각은 버스 이용자가 교통카드를 버스 정류장(200)의 하차 단말기(300)에 태그하는 시점으로 하는 경우, 버스 이용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교통카드를 늦게 태그하는 경우를 양산하게 되므로, 버스 이용자가 버스 정류장(200)에 실제로 하차하는 시점으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하차 단말기(300)에서는 교통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버스 ID를 인식하고, 버스 ID에 해당하는 버스의 GPS 정보를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을 통하여 조회한다.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을 통하여 조회된 버스 정보는 버스 ID에 해당하는 버스의 운행정보에 대한 것으로서, 현재 위치, 버스의 운행 과정에서 각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과 특정 시각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200)에 해당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시각을 버스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하차 시각을 교통카드에 저장한다. 이로써, 버스 이용자가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하는 경우에는, 교통카드에 저장된 실제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환승할인 시간 내에 환승이 이루어지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개선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버스 정류장(200)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300)의 주요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차 단말기(300)는 메모리 시스템(350)과, 여기에 연결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320), 입력 장치로서의 카드 리더기(330) 및 출력 장치로서의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한다. CPU(32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321)와,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322) 및 하차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23)를 포함한다. CPU(32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50)은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테이프,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 시스템(350)이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하차 단말기(300)는 입력 장치로서 교통카드를 태그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330)와 관련 교통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차 단말기(300)는 교통카드의 태그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입력 장치로서 카드 리더기(330)의 경우만을 예시로 기재하였으나, 교통카드의 태그 이외에 버스 이용자들에게 버스 도착정보, 주변 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이나 버튼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40)는 교통카드를 통한 버스 이용정보, 예를 들어, 버스 이용요금, 잔액, 도착 시각, 환승할인 가능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주변 정보, 버스 도착정보 등의 교통정보도 표시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변환기(transduc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400)과의 정보 교환을 위하여 ISDN, 인터넷, 광케이블 등의 유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LTE, CDMA, WCDMA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300)는 OS(Operat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OS는 하차 단말기(300)의 동작 및 리소스의 지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OS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OS 및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 시스템(350)에 상주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의 경험에 따라, 다른 표현으로 기술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하차 단말기(3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및 동작에 대한 표현 기호에 따라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컴퓨터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OS 또는 적당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동작 및 기능은 전기 신호의 변환 또는 차단을 유발하는 데이터 비트 등의 전기 신호에 대한 CPU(320)의 처리와, 하차 단말기(300)의 동작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메모리 시스템(350) 내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비트 신호에 대한 관리를 포함한다. 데이터 비트 신호가 관리되는 메모리 영역은 데이터 비트에 해당하는 전기, 자기 또는 광학 특성을 갖는 물리 영역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하차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선된 교통카드 시스템에서 응용 모듈(380)은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381)과,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의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하는 버스 정보 모듈(382) 및 버스 이용자가 하차 단말기(300)에 태그하는 교통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381)은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을 식별하기 위한 정류장 ID를 바탕으로, 정류장의 명칭, 위치 및 운행하는 버스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버스 정보 처리 모듈(382)은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에 운행하는 버스 현황, 운행 버스의 도착 시각 및 도착 예정 시각, 버스의 운행요금 등을 관리하는 부분이 될 것이다.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은 하차 단말기(300)에 태그되는 교통카드를 인식하여, 버스 이용자가 이용한 버스의 이용시간 및 이용거리,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버스 이용자가 해당 정류장에 하차한 시각(이용버스가 해당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시각)을 계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응용 모듈(380)을 포함하는 하차 단말기(300)는 다양한 OS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361)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하차 단말기(300)는 API(361)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38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를 포함한다. 응용모듈 제어부(37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38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는 API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380) 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38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38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따라서, 응용 모듈 제어부(370)는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381)과, 버스 정보 처리 모듈(382) 및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에 대한 매핑부(371, 373, 375)와 인터페이스부(372, 374, 376)를 각각 포함한다.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371)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에서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하이 레벨의 명령어를 제공받아,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381)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로 매핑하고,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72)를 통하여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381)로 제공한다. 버스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373) 및 버스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74)는 하차 단말기(300)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부분이다. 즉, 버스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373)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로부터 버스 정보 처리 모듈(382)을 이용하기 위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이를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키고, 버스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74)를 통하여 버스 정보 처리 모듈(382)로 제공한다.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은 버스 이용자가 하차 단말기(300)에 태그하는 교통카드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버스 이용자의 하차 시각, 운행요금, 환승할인 가능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375)는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 현황을 계산 및 제공하기 위하여,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362)를 통하여 인가된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받아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이 인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로 매핑시킨다. 디바이스 레벨의 명령어는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376)를 통하여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로 제공된다. 그에 따라,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383)이 실행되어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 현황 및 이용요금, 하차 시각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PI(361)에 대한 세부적인 멤버 함수를 좀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 API(Open API)는 버스 이용자의 버스 이용 현황 또는 버스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응용 모듈의 세션을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폐쇄 API(Close API)는 사용된 응용 모듈에 대한 세션을 종료하는데 사용된다. 검색 API(Retrieve API)는 하차 단말기(300)에서 호출 가능한 응용 모듈을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상태 API(Status API)는 각 응용 모듈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초기화 API(Initialize API)는 응용 모듈의 호출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리스트 API(List API)는 하차 단말기(300)에서 버스 이용자에게 제공가능한 버스 정보, 이용요금, 주변 정보 등의 리스트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기록 API(Register API)는 버스 이용자가 태그하는 교통카드로부터 제공된 정보 또는 버스 이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삭제 API(Unregister API)는 버스 이용자의 이용정보 등을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결국, 사용되는 응용 모듈이나 메시지 전송 형태에 따라 이와 같은 개별적인 API가 실행되고, 그에 따라 교통 정보 검색 및 제공을 위한 응용 모듈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10, 200: 버스 정류장
20, 300: 하차 단말기
100: 승차 단말기
400: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
310: 인터페이스
320: CPU
330: 카드 리더기
340: 디스플레이
350: 메모리 시스템
321: ALU
322: 레지스터
323: 컨트롤러
361: API
362: 하이레벨 명령어 처리부
370: 응용모듈 제어부
380: 응용모듈
371: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
372: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
373: 버스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
374: 버스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
375: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 매핑부
376: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 인터페이스부
381: 정류장 정보 처리 모듈
382: 버스 정보 처리 모듈
383: 교통카드 정보 처리 모듈

Claims (13)

  1. 버스 내부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태그하는 교통카드로부터 교통카드의 식별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교통 카드의 태그 시점의 승차 시각과 승차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교통 카드에 버스의 식별정보, 상기 승차 시각과 상기 승차 위치를 전송하는 승차 단말기;
    각 버스 정류장에 도착한 버스의 도착 시각을 버스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게 저장하고 있는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고 자신이 설치된 정류장 식별 번호와 상기 정류장 식별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이용자가 버스에서 하차 후 상기 이용자가 태그하는 상기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교통카드의 식별정보,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승차 위치를 전송받고, 상기 교통 카드가 태그될 때 상기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도착 시각을 전송받아, 자신이 설치된 상기 정류장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의 도착 시각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획득하고, 상기 정류장 식별번호에 대한 상기 위치 정보를 하차 위치로 획득하며, 상기 승차 위치와 상기 하차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해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하차 시각을 상기 교통카드에 저장하여 저장된 상기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환승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하차 단말기
    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시스템.
  2.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 내의 승차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 승차 시각 및 승차 위치가 기록된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승차한 버스의 식별정보, 상기 승차 시각 및 상기 승차 위치를 판독하는 카드 리더기; 및
    상기 카드 리더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교통 카드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태그될 때,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도착 시각을 전송받아, 자신이 설치된 정류장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의 도착 시각을 추출하여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획득하고, 상기 정류장 식별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하차 위치로 획득하며, 상기 승차 위치와 상기 하차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해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하차 시각을 상기 교통카드에 저장하는 중앙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단말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부터 환승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 잔여시간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차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카드 리더기는 버스에서 하차하는 이용자의 교통카드로부터 상기 교통카드의 식별정보,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 승차 시각 및 승차 위치를 판독하는 단계;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교통 카드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태그될 때 교통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버스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도착 시각을 요청해 전송받는 단계;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자신이 설치된 정류장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버스 정류장에 상기 버스의 도착 시각을 추출하여 추출된 상기 도착 시각을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으로 획득하고, 상기 정류장 식별번호에 대한 위치 정보를 하차 위치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승차 위치와 상기 하차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산출해 버스 이용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하차 시각을 상기 교통카드에 저장하여 저장된 상기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환승 할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이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유닛은 상기 이용자의 하차 시각을 기준으로, 환승할인이 가능한 잔여시간을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관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64868A 2016-12-06 2016-12-06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KR10201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68A KR102012545B1 (ko) 2016-12-06 2016-12-06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68A KR102012545B1 (ko) 2016-12-06 2016-12-06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99A KR20180064699A (ko) 2018-06-15
KR102012545B1 true KR102012545B1 (ko) 2019-08-20

Family

ID=6262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68A KR102012545B1 (ko) 2016-12-06 2016-12-06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65B1 (ko) * 2018-12-27 2020-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 및 하차를 알리는 진동 알림 장치의 작동방법
KR102463810B1 (ko) * 2022-01-21 2022-11-03 주식회사 티머니 버스의 상태를 이용한 비콘 기반 결제 방식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457A (ja) 2001-03-22 2002-09-27 Csk Corp 交通機関の乗車料金計算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350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에이텍 정류장의 하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9737A (ko) * 2012-01-03 2013-07-11 김대웅 버스 정류장의 하차 시스템
KR20130140258A (ko) * 2012-06-14 2013-12-24 김보경 환승 잔여시간이 표시되는 교통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457A (ja) 2001-03-22 2002-09-27 Csk Corp 交通機関の乗車料金計算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99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5294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for locating a vehicular parking space and controlling access thereto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AU200926206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for transit application
US9003030B2 (en) Detecting relative crowd density via client devices
US20140074757A1 (en) Estimating taxi fare
US10621529B2 (en) Goal-based travel reconstruction
JP6939911B2 (ja) 適応的に車両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RU271897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ассивных платежей на основе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JP2019114179A (ja) 決済機関サーバ、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82392A1 (en) Geolocation-based payment platforms for ride-sharing transportation
US20190087670A1 (en) Management of parking spaces
KR102012545B1 (ko) 교통카드 시스템, 하차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방법
CN109509266A (zh) 停车计费方法及相关产品
JPWO2019123590A1 (ja) 端末装置、トランスポンダ、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及び課金プログラム
JP4403838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車両運行管理方法、および車両運行管理装置
WO2004051580A1 (en) Transportation payment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74359B1 (ko)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 열차 내부 혼잡도 산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7213207A (ja) 災害対策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4005499A (ja) 情報管理サーバ及び情報管理方法
KR20110006641A (ko) 버스 정보 알람 장치 및 그 방법
Iio et al. Bid-based priority signal control in a connected environment: Concept
CN106781470B (zh) 城市道路的运行速度的处理方法及装置
JP202106434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20190213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Flow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