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371B1 -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371B1
KR102012371B1 KR1020130081067A KR20130081067A KR102012371B1 KR 102012371 B1 KR102012371 B1 KR 102012371B1 KR 1020130081067 A KR1020130081067 A KR 1020130081067A KR 20130081067 A KR20130081067 A KR 20130081067A KR 102012371 B1 KR102012371 B1 KR 10201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ub
drive
driven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101A (ko
Inventor
공성규
석종명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3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 상기 풀리기구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 상기 구동 허브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 및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 및 종동 허브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로부터 종동 허브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파단부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Power interrupt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자동차 공조장치의 구동을 위한 압축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클러치 없이 차단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주로 사판식 압축기가 사용되는데, 클러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엔진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고정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와, 상기 전자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항상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있다.
이들 압축기는 자동차 엔진의 회전력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데, 고정 용량형은 전자 클러치가 구비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전자클러치가 구비된 경우, 압축기의 구동시 또는 정지시 차량의 RPM이 유동하여 안정적인 차량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클러치가 구비되지 않고, 엔진의 구동과 함께 항상 사판이 회전하되,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냉매의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주로 사용한다.
상기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전자클러치를 생략함으로써 전자클러치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쇼크에 의한 탑승자의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엔진의 동력을 항상 전달받으므로 압축기의 이상작동시 풀리에 과도한 토오크가 발생하게 되면 이와 연결된 엔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압축기에 갑작스런 로킹(locking)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풀리 또는 압축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가변용량형 압축기에서는 과도한 토크가 발생될 경우에 구동원으로부터 압축기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가령, 특허문헌 1의 도 1에 개시된 리미터(3) 및 특허문헌 2의 도 2에 개시된 리미터(2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소결되어 압축기에 설정치 이상의 토오크가 작용하게 되면 브릿지부(bridge portion)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되고, 그로 인해 구동원으로부터 압축기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구동원 및 압축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리미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리미터는 소결(sintering) 공정에 의해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파단이 일어나는 토크의 분포가 크고, 그로 인해 압축기가 미고착된 상태에서도 엔진의 급격한 토크 변동 등에 의해 파단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리미터는 압축기의 고착시 엔진의 회전력이 브릿지부에 토크를 가하는 경우에만 파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종래의 리미터는 판(disk) 형상으로 형성되어 높은 비틀림에 대한 내구 수준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7266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49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의 과출력에 의해 오작동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는,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 상기 풀리기구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 상기 구동 허브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 및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 및 종동 허브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로부터 종동 허브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파단부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는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의 파단부는 그 동력차단부재의 일측에 파단공이 천공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의 파단부는 그 동력차단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종동 허브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를 고정지지하는 종동 하우징, 및 상기 구동 허브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를 고정지지하는 구동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는 상기 종동 허브와 종동 하우징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와 구동 하우징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의 외주면에 돌기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동력차단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단 토크의 분포를 작게 함으로써 압축기의 고착시에만 작동하고 엔진의 과출력에 의해 오작동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차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차단부재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10), 상기 풀리기구(1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20), 상기 구동 허브(20)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30), 및 상기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20)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파단부(41)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기구(10)는 엔진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11)와, 상기 풀리(11)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도면 미도시)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11)는 압축기의 하우징 외주면에 베어링부재(1)에 의해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풀리(11)는 엔진측 구동풀리(도면 미도시)와 벨트(도면 미도시)로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에 의해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2)에는 구동 허브(20)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20)는 동력차단부재(40)에 의해 종동 허브(30)와 연동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동력전달경로를 설명하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상기 풀리(11)로 전달되고, 풀리(11)에서 동력전달부재(12)로, 다시 동력전달부재(12)에서 구동 허브(20)를 거쳐 동력차단부재(40)로 전달되며, 동력차단부재(40)의 동력은 종동 허브(30)를 통해 구동축으로 전달되어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 허브(20)는 상기 동력전달부재(12)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풀리(1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허브(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동력차단부재(40)가 끼워진다. 상기 구동 허브(20)는 압축기의 구동축과 동일한 축상에 구비된다.
상기 종동 허브(30)는 상기 구동 허브(20)와 소정간격을 두고 압축기의 구동축과 동일한 축상에 구비되고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동되어 축회전한다.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는 압축기의 구동축과 동축상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축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서로 독립적인 축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동력차단부재(40)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동력차단부재(40)가 파단되면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는 개별적으로 거동하게 되고, 결국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의 외주면에 끼워진다.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내부에 동일한 유격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일측에 개방부(45)가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종동 허브(30) 및 구동 허브(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개방부(45)에 의해 벌어졌다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종동 허브(30) 및 구동 허브(20)의 외주면에 벌어진 상태로 끼우게 되면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종동 허브(30) 및 구동 허브(20)의 외주면에 달라붙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중앙에는 파단부(41)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파단부(41)가 상기 종동 허브(30) 및 구동 허브(20)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의 사이에 위치하게 결합된다.
상기 파단부(41)는 상기 구동 허브(20)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부분으로, 동력차단부재(40)의 일측에 파단공(42)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파단공(42)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천공되어 파단부(41)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파단공(42)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형성된 파단부(41)는 동력차단부재(40)의 다른 부분 보다 쉽게 파단이 일어나게 되고, 뒤틀림에 의해 파단되는 토크의 분포가 크지 않게 된다. 상기 파단부(41)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파단공(4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함으로써 토크에 의한 뒤틀림현상이 파단부(41) 전체에 걸쳐 균분되는 것이다. 따라서, 파단되는 토크량의 범위가 크지 않아 엔진의 순간적인 과출력에 의해 파단되는 경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뒤틀림에 의한 전단력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뒤틀림에 대한 전단 내구성도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높은 비틀림 내구성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관(tube) 형상으로 형성되어 비틀림에 의한 전단력이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분포되므로, 종래 판(disk)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미터에 비해 비틀림에 의한 전단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종래 리미터의 경우 판 형상이므로 전단력이 구동축의 반경방향으로 분포하게 된다.
상기 파단공(42)은 원형을 비롯하여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으며, 파단공(42)의 형상과 크기 및 갯수, 간격을 변경시켜 파단되는 토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20) 및 종동 허브(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 허브(2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구동 하우징(51), 및 상기 종동 허브(3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종동 하우징(5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하우징(51)은 상기 구동 허브(20)의 외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 하우징(5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경이 상기 구동 허브(2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 허브(2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구동 하우징(51)과 구동 허브(2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일측이 압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종동 하우징(52)은 상기 종동 허브(30)의 외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종동 하우징(5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경이 상기 종동 허브(3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종동 허브(3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종동 하우징(52)과 종동 허브(3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일측이 압입되어 결합된다.
결국,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일측이 상기 종동 허브(30)와 종동 하우징(52)의 사이 공간에 압입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구동 허브(20)와 구동 하우징(51)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어 각각 고정결합된다.
상기 구동 하우징(51)은 상기 구동 허브(20)와 일체로 거동하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구동 허브(20)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2)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종동 하우징(52)은 상기 종동 허브(30)와 일체로 거동하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종동 허브(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동축에 고정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상기 종동 허브(30)나 구동축 어느 것에도 고정결합되지 않고 단지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외측에 끼워지기만 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 하우징(51)과 종동 하우징(52)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모두 가능하다. 가령,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구동 허브(20)와 종동 허브(30)의 외측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나사는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외주면에는 돌기부(4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43)는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파단부(4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부(41)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43)는 상기 구동 하우징(51)의 내측벽이나 종동 하우징(52)의 내측벽에 접촉된다.
상기 돌기부(43)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외측에 구비되는 구동 하우징(51) 및 종동 하우징(52)의 내측벽과 마찰접촉하게 되고, 압입 공정을 통해 상기 동력차단부재(40)가 구동 하우징(51) 및 종동 하우징(52)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된다.
상기 동력차단부재(40)가 상기 구동 하우징(51)과 구동 허브(20)의 사이에 압입되어 끼워지면,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저면은 상기 구동 허브(20)의 외주면과 마찰접촉하여 고정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일측이 상기 구동 하우징(51)과 구동 허브(20)의 사이에 압입되어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타측이 상기 종동 하우징(52)과 종동 허브(30)의 사이에 압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상기 파단부(41)가 파단되어 동력차단부재(40)가 두 부분으로 분리되지 않는 한 상기 종동 허브(30)와 구동 허브(20)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기에서 이상 과다 토크가 발생하거나 압축기가 고착되면, 구동축과 직결된 상기 종동 허브(30)가 정지되어 엔진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차단부재(40)에 토크를 가하게 된다. 상기 종동 허브(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허브(20)에 엔진의 회전력이 걸리게 되므로 동력차단부재(40)에 뒤틀림에 의한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동력차단부재(40)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인 파단부(41)가 찢어져 절단된다. 그로 인해 상기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어 엔진 및 압축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풀리기구 11 : 풀리
12 : 동력전달부재 20 : 구동 허브
30 : 종동 허브 40 : 동력차단부재
41 : 파단부 42 : 파단공
43 : 돌기부 45 : 개방부
51 : 구동 하우징 52 : 종동 하우징

Claims (12)

  1.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10);
    상기 풀리기구(1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20);
    상기 구동 허브(20)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30); 및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20) 및 종동 허브(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20)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파단부(41)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부(45)가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2.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10);
    상기 풀리기구(1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20);
    상기 구동 허브(20)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30); 및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20) 및 종동 허브(3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20)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는 파단부(41)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 허브(2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구동 하우징(51); 및
    상기 종동 허브(3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종동 하우징(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3.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풀리기구(10);
    상기 풀리기구(1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허브(20);
    상기 구동 허브(20)와 동일한 축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축과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 허브(30); 및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 허브(20) 및 종동 허브(30)의 일측을 감싸며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20)로부터 종동 허브(30)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허브(20)에 가해지는 토크량(torgue)에 따라 파단되고 상기 구동 허브(20)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종동 허브(30)를 감싸는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파단부(41)를 구비한 동력차단부재(40)를 포함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4. 제2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일측에 개방부(45)가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파단부(41)는 그 동력차단부재(40)의 일측에 파단공(42)이 천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파단부(41)는 그 동력차단부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8.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동 허브(2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구동 하우징(51); 및
    상기 종동 허브(30)와 함께 상기 동력차단부재(40)를 고정지지하는 종동 하우징(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상기 종동 허브(30)와 종동 하우징(52)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어 고정결합되고, 상기 구동 허브(20)와 구동 하우징(51)의 사이 공간에 압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외주면에 돌기부(4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3)는 상기 동력차단부재(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부재(4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KR1020130081067A 2013-07-10 2013-07-10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KR102012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067A KR102012371B1 (ko) 2013-07-10 2013-07-10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067A KR102012371B1 (ko) 2013-07-10 2013-07-10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01A KR20150007101A (ko) 2015-01-20
KR102012371B1 true KR102012371B1 (ko) 2019-08-20

Family

ID=5257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067A KR102012371B1 (ko) 2013-07-10 2013-07-10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257B1 (ko) 2015-07-07 2016-10-12 박승병 밴드스프링 기반의 오버토크 방지장치
KR101636214B1 (ko) 2015-07-07 2016-07-05 박승병 허브방식의 오버토크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661A (ja) * 2001-02-08 2002-08-23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JP2005226451A (ja) * 2004-02-10 2005-08-25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のトルク伝達装置
JP2008223945A (ja) * 2007-03-14 2008-09-25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0468B2 (ja) 2005-07-28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要求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要求方法
TWI491110B (zh) 2011-07-29 2015-07-01 Wistron Neweb Corp 非對稱偶極天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661A (ja) * 2001-02-08 2002-08-23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JP2005226451A (ja) * 2004-02-10 2005-08-25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のトルク伝達装置
JP2008223945A (ja) * 2007-03-14 2008-09-25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01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804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012371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KR101175268B1 (ko)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JP3906744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206217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구조
US20060257270A1 (en) Clutchless compressor
KR20080010726A (ko) 압축기의 동력전달구조
US7666100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49716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차단장치
KR10179359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793599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210105566A (ko) 동력전달장치
KR102146308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72323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378021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210131117A (ko) 동력전달장치
JP6606972B2 (ja) 動力伝達装置
KR20070024903A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WO2012008136A1 (ja) 動力伝達装置
KR101902772B1 (ko) 동력전달장치
JP3948356B2 (ja) 動力伝達装置
KR10206713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 장치
KR102010774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01082502A (ja) カップリング
KR101111951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