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35B1 -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 Google Patents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35B1
KR102011735B1 KR1020170122556A KR20170122556A KR102011735B1 KR 102011735 B1 KR102011735 B1 KR 102011735B1 KR 1020170122556 A KR1020170122556 A KR 1020170122556A KR 20170122556 A KR20170122556 A KR 20170122556A KR 102011735 B1 KR102011735 B1 KR 102011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t
rib
sl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869A (ko
Inventor
정성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통풍을 위한 방열슬릿(S)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상기 방열슬릿(S)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설치공간에 내장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판(80)과, 방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20)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되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방열슬릿(S)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에는 방열판(80)이 설치되고 방열판(80) 주변에는 방열슬릿(S)이 내외부로 뚫려있다. 방열판(80)은 블록 내부의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방열에 의해 자동차용 블록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Block for vehicle with radiant-heat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방열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고전압이 사용된다. 따라서,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고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차용 블럭이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는 자동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이외에도 다양한 전장품이 설치되므로, 이들에 제공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낮은 저전압도 필요하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에는 고전압과 저전압 부품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용 블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동차용 블록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에는 많은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록 중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는 메인 릴레이(main relay), 프리차지 릴레이(pre-charge relay) 및 프리차지 레지스터(Pre-charge resistor)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과 외부의 연결을 위한 버스바 및 안전을 위한 퓨즈 등 매우 많은 부품이 추가된다.
이처럼 좁은 공간에서 많은 부품이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록은 내부공간에서 높은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높은 발열은 제품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므로 적절한 방열구조를 두는 것이 중요한데, 방열구조를 위해서는 블록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해서 공기유동이 발생하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자동차용 블록에는 다수의 전장품이 적용되기 때문에 블록의 일부를 개방할 경우에는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쇼트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고, 또한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먼지 등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11-15113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에 방열판을 적용하여 블록 내부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되, 절연구조를 통해 방열판이 외부로 직접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블록의 커버에 뚫린 방열슬릿 사이를 방열판의 방열핀이 가로 막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통풍을 위한 방열슬릿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상기 방열슬릿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설치공간에 내장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되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방열슬릿을 형성하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방열핀은 각각 상기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 사이의 상기 방열슬릿이 형성되는 공간의 일부를 메우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방열리브는 상기 제2방열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방열판의 방열핀은 서로 인접한 두 제2방열리브 사이로 돌출되되 상기 두 제2방열리브 사이에 위치한 제1방열리브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방열리브와 상기 제2방열리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방열슬릿도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방열판의 방열핀은 상기 방열슬릿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방열판의 가장자리를 걸어 방열판을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외팔보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슬릿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슬릿과 상기 설치공간에 내장된 전장품 사이에 위치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에는 방열판이 설치되고 방열판 주변에는 방열슬릿이 내외부로 뚫려있다. 방열판은 블록 내부의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방열에 의해 자동차용 블록의 성능이 떨어지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록의 내구성 및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케이스에 뚫려 있는 방열슬릿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 사이사이에 형성되므로,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공간은 외부로 직접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록에 내장된 전장품들은 외부와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가지게 되고, 외부와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 사이의 공간, 즉 방열슬릿은 방열판에서 돌출된 방열핀이 메운다. 따라서 방열슬릿은 방열핀에 의해 빈공간 없이 메워지므로, 방열슬릿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방열판은 전장품의 외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케이스의 내면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방열판이 케이스에 고정되므로 방열판을 전장품, 예를 들어 회로기판 상부의 소자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패드가 필요없고, 따라서 방열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설치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케이스를 제1케이스로부터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을 추가로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케이스의 방열슬릿 부분을 자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열판이 방열슬릿 주변에 설치된 모습을 자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으로, 자동차용 블록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록은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아래에서는 그 중에서 내부에서 높은 열이 발생하는 전자식 릴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전자식 릴레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양한 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를 보면, 자동차용 블록의 외관 및 골격은 케이스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는 절연성 재질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그 내부에 다양한 전장품을 내장할 수 있는 설치공간이 있다. 설치공간은 케이스 내부에서 위치하지만 완전히 차폐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슬릿(S)을 통해서 통풍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로 구성되고,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가 조립되면 하나의 입체형상을 만든다. 도 1은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대략 육면체 입체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40)의 상부에는 커버(30)가 위치한다. 제1케이스(10)의 아래쪽에는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2)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보호펜스(13)가 있는데, 상기 보호펜스(13)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일측에 돌출된다. 상기 보호펜스(13)는 아래에서 설명될 출력단(O)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부에는 힌지(14)가 있는데, 상기 힌지(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커버(30)는 힌지(14)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퓨즈(F) 및 입력단(I)을 보호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5는 조립걸이로, 여기에는 제2케이스(40)의 조립후크(43,45)가 걸어져 두 케이스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는 퓨즈(F)가 드러난 상태인데, 퓨즈(F)의 양단(F1,F2)은 각각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면에는 체결후크(17)가 있다. 상기 체결후크(17)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면에 다수개가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후크(17)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판(80)의 가장자리를 걸어 방열판(8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후크(17)는 방열판(80)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후크(17)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내면으로부터 외팔보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판(80)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가능한 구조이다. 도 3에는 체결후크(17)에 의해 방열판(80)이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판(80)은 전장품인 소자(도시되지 않음)의 외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제1케이스(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방열판(80)이 제1케이스(10)에 고정되므로 방열판(80)을 전장품, 예를 들어 회로기판(50) 상부의 소자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패드가 필요없고, 따라서 방열판(8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9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로기판(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보스이다.
도 1을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면에는 방열부(20)가 있다. 상기 방열부(20)는 케이스의 설치공간의 열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외부를 통풍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열부(20)의 크기와 방향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제1케이스(10)의 전면 중 일부영역에 형성되고, 그 주변에는 보강리브(도면부호 미부여)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방열부(20) 보다 돌출되어 방열부(20)의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방열부(20)에 대한 원활한 설명을 위해서 방열판(80)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방열판(80)은 제1케이스(10)의 내면에 설치되어 방열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열판(80)은 앞서 설명한 체결후크(17)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10) 내면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서 방열판(80)은 전장품의 외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제1케이스(10)의 내면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이처럼 방열판(80)이 제1케이스(10)에 고정되므로 방열판(80)을 전장품, 예를 들어 회로기판(50) 상부의 소자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패드가 필요없다. 또한, 방열판(8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방열판(80)의 유지보수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방열판(80)은 뒷면이 드러나 있는데, 방열판(80)에서 방열기능을 하는 방열핀(85)은 그 반대편에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방열판(80)의 뒷면은 열을 발생시키는 전장품인 소자를 향한 부분이고, 방열핀(85)은 방열슬릿(S)을 향한 그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방열판(80)의 뒷면은 소자와 마주보는 부분이므로 평판형상이다.
도 6에는 방열판(80)의 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는데, 방열판(80)은 방열몸체(81)와 방열몸체(81)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방열핀(85)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 방열몸체(81)의 저면 부분은 소자를 향한 부분으로, 소자의 열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방열핀(85)은 다수개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수개로 구성되는데, 따라서 그 사이사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생긴다. 이와 같이 방열핀(85)의 요철구조로 인해 방열판(80)은 외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방열기능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방열부(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방열부(20)에는 방열리브가 있다. 상기 방열리브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로 구성되고, 이들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그 사이사이에 방열슬릿(S)이 생긴다. 도 5를 보면, 상대적으로 돌출된 것이 제1방열리브(21)이고, 들어간 부분이 제2방열리브(23)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 사이에는 방열슬릿(S)이 뚫리게 된다.
상기 방열슬릿(S)을 통해서 내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데, 방열슬릿(S)의 빈공간은 방열핀(85)이 메운다. 즉, 상기 방열판(80)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방열핀(85)은 각각 상기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 사이공간을 메우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80)의 방열핀(85)은 서로 인접한 두 제2방열리브(23) 사이로 돌출되되 상기 두 제2방열리브(23) 사이에 위치한 제1방열리브(21)의 저면에 밀착된다.
높이를 기준으로 보면, 제1방열리브(21)가 가장 위에 있고, 다음으로 방열핀(85)의 상단이 위치하고 마지막으로 제2방열리브(23)가 있다. 따라서 방열핀(85)의 위쪽 부분의 양측면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만, 정면에서 보면(도 6을 기준으로 보면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 화살표 ①),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가 촘촘하게 배치되므로 내부의 설치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공간은 외부로 직접 드러나지 않는 것이고, 따라서 자동차용 블록에 내장된 전장품들은 외부와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가지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방열리브(21)의 폭이 제2방열리브(23)의 폭 보다 클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제1방열리브(21)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 부분이 인접한 제2방열리브(23) 위쪽 일부를 덮는 형태가 되므로, 외부와의 절연성이 더욱 확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열핀(85)의 위쪽 부분의 양측면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서 방열판(80)의 열이 외부를 향해(화살표 ②방향)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방열핀(85)의 상단과 상기 제1방열리브(21) 사이에 어느 정도 공간이 있다면 공기도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80)을 통한 방열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방열리브(21)와 상기 제2방열리브(23)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방열슬릿(S)도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방열판(80)의 방열핀(85)은 상기 방열슬릿(S)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물론 상기 제1방열리브(21)와 상기 제2방열리브(23) 그리고 방열슬릿(S)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방열리브(21)와 상기 제2방열리브(23) 다수개의 정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케이스(10)의 상부에는 커버(30)가 있고, 상기 커버(30)의 후방에는 힌지부(35)가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힌지(14)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제2케이스(40)가 조립된다. 상기 제2케이스(40)는 상기 조립후크(43,45)를 통해 상기 제1케이스(10)에 조립되는데, 상기 조립후크(43,45)는 상기 제2케이스(40)의 외면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40)는 제1케이스(10)와의 사이에 설치공간을 만들고, 설치공간이 상기 방열부(20)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2케이스(40)에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41)이 있다.
상기 설치공간에는 다수개의 전장품이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회로기판(50)과, 상기 회로기판(5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버스바(71,75)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한쪽면이 상기 방열판(80)을 향하는데, 방열판(80)을 향한 쪽에는 소자가 있다. 상기 소자는 전장품 중에서 가장 발열이 많이 일어나는 부품이어서 방열 필요성이 가장 높다. 따라서 상기 소자와 마주보는 쪽에 방열판(80)이 위치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방열판(80)은 상기 방열슬릿(S)과 상기 설치공간에 내장된 소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구조로 인해 도 2에서는 방열판(80)의 위쪽 일부만이 드러나고, 회로기판(50)을 분리한 도 3에서 비로소 방열판(80)의 전체가 드러난다.
상기 버스바(71,75)는 제1버스바(71)와 제2버스바(75)로 구성되고, 제1버스바(71)의 양단(72,73)은 각각 외부 및 회로기판(50)과 연결된다. 제2버스바(75)도 제1버스바(71)와 마찬가지로 그 양단(76,77)이 각각 외부 및 회로기판(50)에 연결된다. 제1버스바(71)의 한쪽(72)은 출력단(O)에 연결되고, 제2버스바(75)의 한쪽(76)은 퓨즈(F)에 연결된 센서(60)에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W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의 열배출과정을 보면, 회로기판(50)의 소자에서 발생한 열은 먼저 방열판(80)에 전달된다. 상기 방열판(80)은 소자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고, 특히 소자와 아주 가까운 위치에 있거나 밀착되어 있어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방열판(80)의 한쪽면은 평판구조이므로 소자의 열을 잘 전달받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방열판(80)의 열은 방열핀(8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방열핀(85)의 위쪽 부분의 양측면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므로, 노출된 부분을 통해서 방열판(80)의 열이 외부를 향해(화살표 ②방향)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방열슬릿(S)의 빈공간을 방열핀(85)이 메우기 때문인데, 즉 상기 방열판(80)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방열핀(85)은 각각 상기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 사이공간을 메우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슬릿(S)과 방열핀(85)의 맞물림 구조를 통해 방열성이 높아지는 것과 동시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방열리브(21)와 제2방열리브(23) 사이사이에 형성되므로, 자동차용 블록의 내부공간은 외부로 직접 드러나지 않아 외부와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방열슬릿(S)은 방열핀(85)에 의해 빈공간 없이 메워지므로, 방열슬릿(S)을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스 17: 체결후크
20: 방열부 21: 제1방열리브
23: 제2방열리브 30: 커버
40: 제2케이스 50: 회로기판
71: 제1버스바 75: 제2버스바
80: 방열판 81: 방열몸체
85: 방열핀 S: 방열슬릿

Claims (8)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통풍을 위한 방열슬릿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상기 방열슬릿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설치공간에 내장된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되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방열슬릿을 형성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방열핀은 각각 상기 제1방열리브와 제2방열리브 사이의 상기 방열슬릿이 형성되는 공간의 일부를 메우도록 설치되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리브는 상기 제2방열리브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방열판의 방열핀은 서로 인접한 두 제2방열리브 사이로 돌출되되 상기 두 제2방열리브 사이에 위치한 제1방열리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리브와 상기 제2방열리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방열슬릿도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방열판의 방열핀은 상기 방열슬릿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방열판의 가장자리를 걸어 방열판을 고정시키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외팔보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방열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가능한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슬릿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방열슬릿과 상기 설치공간에 내장된 전장품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주변에는 보강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방열부 보다 돌출된 구조를 갖는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KR1020170122556A 2017-09-22 2017-09-22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KR10201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56A KR102011735B1 (ko) 2017-09-22 2017-09-22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56A KR102011735B1 (ko) 2017-09-22 2017-09-22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69A KR20190033869A (ko) 2019-04-01
KR102011735B1 true KR102011735B1 (ko) 2019-08-19

Family

ID=6610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56A KR102011735B1 (ko) 2017-09-22 2017-09-22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8121A (ja) 2013-11-26 2017-06-15 台達電子企業管理(上海)有限公司 電子装置と自動車の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8458B2 (ja) 2010-01-20 2015-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8121A (ja) 2013-11-26 2017-06-15 台達電子企業管理(上海)有限公司 電子装置と自動車の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69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859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CN108496287B (zh) 母线模块
WO2020241310A1 (ja) 回路構成体
US20200122589A1 (en) Battery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9145099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2019176617A (ja) 導電路
WO2019239862A1 (ja) 導電路
EP1215087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for a vehicle
JP4587486B2 (ja) 電気接続箱
KR102011735B1 (ko) 방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블록
JP2022020761A (ja) パワーリレーアセンブリ
JP2006271132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20220263305A1 (en) Circuit structure
JP5382538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用接続箱
JP6345344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6948013B2 (ja) 電気接続箱
JP5781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101553701B1 (ko) 차량용 블럭
KR20190106514A (ko) 자동차용 블럭
WO2021177295A1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180032B1 (ko) 모터 구동 장치
WO2022168649A1 (ja) 電気接続箱
CN218316280U (zh) 电动车充电器及电动车
KR102515174B1 (ko) 전원 단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