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87B1 - 달러북 - Google Patents

달러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87B1
KR102011287B1 KR1020190035096A KR20190035096A KR102011287B1 KR 102011287 B1 KR102011287 B1 KR 102011287B1 KR 1020190035096 A KR1020190035096 A KR 1020190035096A KR 20190035096 A KR20190035096 A KR 20190035096A KR 102011287 B1 KR102011287 B1 KR 10201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ook
dollar
banknot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철
Original Assignee
(주)퓨쳐셀뱅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쳐셀뱅킹 filed Critical (주)퓨쳐셀뱅킹
Priority to KR102019003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1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with at least two separate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 B42D3/045Protective cases for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러북에 관한 것으로, 다수장의 지폐가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지폐부; 및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덮개와, 상기 지폐부가 접합되는 받침부와, 상기 덮개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회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폐부가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지폐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달러북 {Dollar book}
본 발명은 달러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액권으로 이루어진 묶음 형태의 지폐가 필요할 때 마다 낱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접합된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의 지폐를 분리할 때 묶음 형태의 지폐를 지폐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인출함과 동시에 낱장씩 파지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달러북에 관한 것이다.
달러북 혹은 팁달러북은 보통 1달러나 2달러와 같은 소액의 지폐를 손상이 되지 않게 책의형태로 제본 한 후 하나씩 뜯어내어 팁의 용도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팁 문화가 발달되어 있는 해외여행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2873호(이하, 선행특허문헌1이라고 함.)에는, 실제 지폐를 책으로 만들어 상품화한 선물로서의 기능을 갖는 머니북을 제공하거나, 또는 실제 지폐로만 구성된 메인북과 각종정보 등이 인쇄된 보조북을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 제공하되, 지폐를 분리할 때 훼손되지 않도록 제본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폐가 새로운 선물상품으로 활용되며 필요시마다 지폐의 훼손없이 지폐를 책에서 분리해 사용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며 각종정보를 제공하여 문화활동과 여행은 물론 경제활동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지폐를 상품화한 머니 북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특허문헌1의 경우, 메인북이 지폐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어서 지폐가 항상 노출된 상태로 있을 수밖에 없고, 별도의 속표지가 구성된다 하더라도 이는 머니북을 개방하였을 때 단순히 지폐의 표면만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불과하여 지폐 노출에 대한 기능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사용자가 팁 등의 용도로 지폐를 사용하는 경우, 메인북을 개방해야만 하는데 상기 메인북의 개방시 보조북 및 겉표지를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개방이 이루어져야만 하고, 분리해야 할 지폐의 위치가 가장 먼저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지폐들 중 임의의 위치에 접합된 지폐가 노출됨에 따라 머니북의 개방후에도 분리할 지폐의 위치를 찾아서 분리를 해야 하므로, 사용시마다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287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소액권으로 이루어진 묶음 형태의 지폐가 필요할 때 마다 낱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접합된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의 지폐를 분리할 때 묶음 형태의 지폐를 지폐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인출함과 동시에 낱장씩 파지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달러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 및 지폐 프레임이 일정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지폐의 분리시 외면을 이루는 덮개만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최상부에 위치하는 지폐가 우선적으로 노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폐의 분리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달러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이 하드보드지와 같은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고, 지폐 프레임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지폐의 노출을 완전 방지함과 동시에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는 달러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장의 지폐가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지폐부; 및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덮개와, 상기 지폐부가 접합되는 받침부와, 상기 덮개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회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폐부가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지폐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을 이루는 종이재의 외피와, 상기 외피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고, 4mm~8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강도 보강재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부를 이루며, 상기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는 내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는, 반원형의 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개방시에만 상기 지폐부와 지폐 프레임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폐 프레임은, 상기 지폐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강도 보강재가 내장되고, 일면으로 상기 지폐부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폐부는, 바닥면의 중앙부만 상기 받침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달러북은, 상기 케이스부가 내장되도록 양측부가 모두 개방되게 구성되고, 내장된 케이스부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의 외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액권으로 이루어진 묶음 형태의 지폐가 필요할 때 마다 낱장씩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접합된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의 지폐를 분리할 때 묶음 형태의 지폐를 지폐 프레임으로부터 쉽게 인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면서 낱장씩 파지할 수 있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덮개 및 지폐 프레임이 일정 두께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지폐의 분리시 외면을 이루는 덮개만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최상부에 위치하는 지폐가 우선적으로 노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폐의 분리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이 하드보드지와 같은 일정 두께로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고, 지폐 프레임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지폐의 노출을 완전 방지함과 동시에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의 지폐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의 지폐 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러북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달러북은 소액의 지폐(230)가 다수장 분리 가능하게 접합되는 지폐부(200)와, 상기 지폐부(200)가 삽입되며, 삽입된 지폐부(200)가 접합에 의해 결합되고 지폐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케이스부(100)가 내장되는 보호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폐부(200)는 다수장의 지폐(230)와, 다수장의 지폐(230)의 일측면이 접합되며, 이 다수장의 지폐(230)를 감싸면서 지폐(230)의 전면부가 임의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스부(100)에 후면부가 삽입 및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겉 표지(210)와, 상기 겉 표지(210)의 내부 및 다수장의 지폐(230) 중 최 상단에 위치하는 지폐(230)의 전면부 사이에 위치하며, 겉 표지(210)의 개방시 지폐 보다 먼저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속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장의 지폐(230)는 모두 동일한 금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1달러 내지 10달러의 범위 내에서 혼합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겉 표지(210) 및 속지(220)는 상기 다수장의 지폐(230)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상태로 케이스부(100)의 지폐 프레임(140)에 내장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겉 표지(210)의 일면에는 상기 다수장의 지폐(230)와 속지(220)가 접합되는 접합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212)는 통상의 본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속지(220)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겉 표지(210)의 개방시 지폐(230)의 금액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부(100)는 지폐부(200)의 외면을 밀폐시키거나, 지폐(230)의 사용을 위하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폐부(200)의 후면부가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다수장의 지폐(230)들이 직접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폐부(200)에 접합된 상태로 케이스부(100)와 접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지폐부(200)가 접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폐부(200)에 접합된 지폐(23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지폐부(200) 만을 케이스부(10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지폐(230)가 구비된 지폐부(200)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케이스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2), 강도 보강재(104) 및 내피(106)로 구성된다.
외피(102)는 케이스부(100)의 외면을 이루며,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태의 문양, 문자, 이미지 등이 표면에 인쇄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케이스부(100)의 외관을 미려하고 돋보이게 한다.
강도 보강재(104)는 외피(102)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고, 두꺼운 크래프트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mm~8mm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때, 강도 보강재(104)의 두께가 4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케이스부(100)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휨, 또는 접힘 등이 발생하면서 접합된 상태의 지폐(230)의 상태가 훼손될 수 있고, 8mm를 초과하는 경우, 케이스부(100)의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자의 포켓에 원활하게 삽입이 어려워 달러북(또는 머니북)으로서의 기능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범위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내피(106)는 외피(102)에 적층되게 구성되되, 케이스부(100)의 내면부를 이루는 외피(102)에 적층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내피(106)는 후술할 케이스부(100)의 덮개(110) 및 받침부(120)와 회동부(130)의 내면부에 모두 적층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피(106)의 상부면으로 지폐 프레임(140)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피(106)는 덮개(110)의 폐쇄 작동시 지폐 프레임(140)에 삽입된 지폐부(200)의 겉 표지(210)와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케이스부(100)는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덮개(110), 지폐부(200)가 접합되는 받침부(120), 덮개(110)가 받침부(120)로부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회동부(130) 및 받침부(120)에 결합되며, 지폐부(200)가 삽입되는 지폐 프레임(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110)는 회동부(130)를 중심으로 받침부(120)로부터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개폐 여부에 따라 지폐부(200)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110)는 지폐부(200)의 겉 표지(210)와 함께 지폐부(200)의 전면(또는 상부면)에 대한 이중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받침부(120)는 회동부(130)에 의해 덮개(110)와 연결 구성되고, 그 상부면으로 지폐부(200)가 삽입되는 지폐 프레임(140)이 접합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받침부(120)는 지폐부(200)의 삽입 시, 지폐부(200)의 겉 표지(210)가 접합되되, 바람직하게는 겉 표지(210)의 후면부가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회동부(130)는 덮개(110)와 받침부(120)를 연결하고, 덮개(110)의 회전 작동에 의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부(130)는 반원형의 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개방시에는 지폐부(200)와 지폐 프레임(14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폐쇄시에는 상기 단부를 감싸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스부(140)는 덮개(110), 받침부(120) 및 회동부(130)가 모두 일체로 구성된다.
지폐 프레임(140)은 받침부(120)의 상부면에 접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그 대략적인 형상이 "ㄷ" 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지폐 프레임(140)은 회동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일측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폐 프레임(140)은 그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며, 강도 보강재(120)가 내장되어 케이스부(100)로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쉽게 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폐 프레임(140)에는 삽입된 지폐부(200)의 겉 표지(210), 속지(220) 및 다수장의 지폐(230)들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홈(144)이 형성된다.
인출홈(14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면서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폐부(200)의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접촉된 지폐부(200)의 일면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서 겉 표지(210), 속지(220) 및 다수장의 지폐(230)들 순으로 지폐 프레임(140)으로부터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지폐(230)의 사용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지폐(230)가 우선적으로 노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접합된 지폐(230)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폐 프레임(140)은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지폐부(200)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삽입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지폐부(20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지폐부(200)의 삽입시 둘레면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지폐 프레임(140)에 의해 지폐부(200)의 둘레면이 덮개(110)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밀폐된 상태(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지폐부(200)는 지폐부(200)는 바닥면(후면부)이 받침부(120)와 접합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접합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바닥면 전체가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의 중앙부만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다수장의 지폐(230)를 모두 사용한 경우, 상기 지폐부(200)를 쉽게 받침부(1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150)는 케이스부(100)가 내장되도록 내부에 내장홈이 형성되고, 내장된 케이스부(100)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케이스부(100)의 외피(10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양측부가 모두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커버(150)는 일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인쇄부(16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형태의 메세지는 사용자의 이름, 회사, 또는 소속된 단체의 명칭이거나, 축하멘트와 같은 문자 메세지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로고와 같은 이미지나 숫자 메세지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달러북은 상기 지폐부(200)가 구비되는 케이스부(100)를 보호커버(150)에 내장한 채로 선물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150)는 케이스부(100)가 내장되는 경우, 개방된 양측부가 접착 테이프 등과 같은 수단으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부 110: 덮개
120: 받침부 130: 회동부
140; 지폐 프레임 150: 보호커버
160: 인쇄부 200: 지폐부
210: 겉 표지 220: 속지
230: 지폐

Claims (6)

  1. 다수장의 지폐가 분리 가능하게 접합된 지폐부; 및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덮개와, 상기 지폐부가 접합되는 받침부와, 상기 덮개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회동부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폐부가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지폐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 프레임은,
    상기 지폐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강도 보강재가 내장되고, 일면으로 상기 지폐부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러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외면을 이루는 종이재의 외피와,
    상기 외피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고, 4mm~8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강도 보강재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면부를 이루며, 상기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는 내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러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반원형의 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개방시에만 상기 지폐부와 지폐 프레임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러북.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부는, 바닥면의 중앙부만 상기 받침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러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러북은,
    상기 케이스부가 내장되도록 양측부가 모두 개방되게 구성되고, 내장된 케이스부의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케이스부의 외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러북.
KR1020190035096A 2019-03-27 2019-03-27 달러북 KR10201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96A KR102011287B1 (ko) 2019-03-27 2019-03-27 달러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096A KR102011287B1 (ko) 2019-03-27 2019-03-27 달러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287B1 true KR102011287B1 (ko) 2019-08-14

Family

ID=6762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096A KR102011287B1 (ko) 2019-03-27 2019-03-27 달러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873B1 (ko) 2011-07-05 2011-11-11 진영성 머니 북
KR101090922B1 (ko) * 2011-06-21 2011-12-08 (주)티앤아이미디어 달러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922B1 (ko) * 2011-06-21 2011-12-08 (주)티앤아이미디어 달러북
KR101082873B1 (ko) 2011-07-05 2011-11-11 진영성 머니 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287B1 (ko) 달러북
US8701315B2 (en) Reduced profile gift card holder
JPH1072039A (ja) 封筒一体型申込書
JP4940580B2 (ja) 封筒用帳票
US7913875B2 (en) Dispenser for folders
JP2007076737A (ja) 蓋の連結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ルゴール、電報、カード類、玩具及び書類
KR102257308B1 (ko) 클리어파일용 속지
KR101090922B1 (ko) 달러북
JP2608848B2 (ja) 折り畳みシートの製造装置
JP3004380U (ja) カード用包袋
JP3121002U7 (ko)
JP2022088991A (ja) 折畳財布
KR20200096167A (ko) 해외여행을 위한 머니북
JP2012200580A (ja) 二つ折り財布の札入れ部分の構造
JP3219167U (ja) 紙幣用袋
US20060144728A1 (en) Package
JP7175469B2 (ja) カードケース
KR20180097845A (ko) 머니 북
JP3121002U (ja) 紙類ホルダー
JP3124931U (ja) ファイリング仕分封筒
JPH0114452Y2 (ko)
JP3216868U (ja) 二つ折り財布
KR200383589Y1 (ko) 다단 포캣을 구비한 파일시트
GB2249475A (en) Envelope for containing a card
JP2007144796A (ja) 電子機器の取扱説明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