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212B1 -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212B1
KR102009212B1 KR1020170018906A KR20170018906A KR102009212B1 KR 102009212 B1 KR102009212 B1 KR 102009212B1 KR 1020170018906 A KR1020170018906 A KR 1020170018906A KR 20170018906 A KR20170018906 A KR 20170018906A KR 102009212 B1 KR102009212 B1 KR 10200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ingot
acid
adhesive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756A (ko
Inventor
엄태일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이영희
엄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희, 엄태일 filed Critical 이영희
Priority to KR102017001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2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3/00Adhesives based on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및 변성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충진제를 포함하는 주제 혼합물; 머캅탄계 화합물 및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COMPOSITIONS FOR ING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잉곳을 지지수단에 가고정할 수 있는 잉곳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독한 냄새, 표면건조 현상(skinning) 및 저장안정성을 개선한 잉곳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리콘(silicone), 유리(glass), 세라믹(ceramic), 가돌리늄(gadolinium), 갈륨(gallium), 가넷(garnet), 비소, 인, 사파이어(sapphire) 및 수정 등의 덩어리형 무기원료(잉곳, 이하"잉곳"이라 통칭함)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잉곳을 빔(beam)이나 지그(zig)등과 같은 지지 수단에 고정 또는 가고정(假固定)한 후 가공하고, 가공된 완성품을 지지 수단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상기 잉곳을 균일하게 지지 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잉곳용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잉곳용 접착제는 비닐(vinyl)계 고분자 수지, 석유계 수지, 로진(rosin) 등의 천연수지,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등의 올리고머형 왁스 등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및 에폭시(epoxy)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경화제가 혼합되어 사용 되고 있다. 이러한 잉곳용 접착제는 잉곳을 가공한 후, 잉곳을 지지 수단으로부터 분리 시 잉곳이나 지지 수단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제로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저온속경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저장 중 냄새가 강하고, 표면이 건조되는 현상(skinning)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머캅탄계 화합물은 냄새가 생성되는 메카니즘과는 상관없이, 통상적으로 인체 흡입 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여 조작 및 실제 사용에 있어서 환경오염이나 위생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아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에 적용 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저장 중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되고, 표면이 건조되는 현상(skinning)을 개선하여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저장 중 냄새가 억제되고, 표면이 건조되는 현상(skinning)을 개선하여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및 변성 고무를 포함하는 주제 혼합물;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하여 잉곳을 지지수단에 견고하게 고정 후 상온 박리액 내지 중온수(50~75℃)에서 쉽게 박리시킬 뿐만 아니라 냄새 및 표면건조 현상을 개선한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및 변성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충진제를 포함하는 주제 혼합물; 머캅탄계 화합물 및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페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변성 고무는 카르복실기, 아민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이소노나노익산(Isononanoic acid), 올레산(Oleic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주제 혼합물은 수지 혼합물 50 내지 85중량% 및 충진제 15 내지 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변성 고무 1:1 내지 1:2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혼합물은 1차아민기를 2개 이상 갖는 아민계 화합물 및 아민기 함유 페놀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은 1:1 내지 3: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아 변성 아민 0.1 내지 10중량부, 지방산 0.1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a) 에폭시 수지 및 변성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열 후 충진제,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더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전체 수지 혼합물 중 1 내지 10중량%의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나머지 90 내지 99중량%의 수지 혼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산화방지제 및 향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독한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되고, 저장 중 겉표면의 건조되는 현상(skinning)을 개선하여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잉곳을 지지수단에 가고정 시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고정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온수 및 중온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쉽게 박리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 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및 변성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충진제를 포함하는 주제 혼합물; 머캅탄계 화합물 및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잉곳을 지지수단에 고정 또는 가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써, 고정 또는 가고정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온수 및 중온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쉽게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잉곳용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독한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되어 저장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저장 중 공기와 접촉되는 표면이 건조되어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에폭시 수지는 페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폐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노볼락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1420180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연결기 L은 C1 내지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형의 알킬렌기이며, n은 1 이상의 정수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 g/mol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에폭시 수지는 페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면, 공기 및 수분 등의 흡수성이 낮아 머캅탄계 화합물과의 혼화 시 머캅탄계 화합물이 공기 및 수분에 대한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독한 냄새를 중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잉곳을 지지수단에 고정 또는 가고정 시 접착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변성 고무는 카르복실기, 아민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능기는 아크릴계 고무의 주쇄 또는 측쇄의 말단에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변성 고무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ATBN(Amine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copolymer), CTBN(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copolymer) 및 HTBN(Hydr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copolymer)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TBN(Carboxyl Terminated Butadiene Acrylonitrile copolymer)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변성 고무는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와 함께 혼합 시 저온에서 균일하게 조합되어 에폭시 수지의 망상구조 내에 분산되어 있는 탄성영역이 크랙의 진행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장기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성 고무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기체 투과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 가스 등이 투과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변성 고무 1:1 내지 1:2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 시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기체 투과도를 낮추어 기체와 접촉하여 저장 중 발생하는 냄새 및 표면건조 현상을 개선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를 35 내지 50℃로 제조할 수 있어 잉곳을 고정 또는 가고정 후 지지수단에서 박리 시 저온박리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충진제는 일 양태에 따라 퓨즈드 실리카, 흄드 실리카, 결정질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클레이,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탈크,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게이트, 마그네슘 실리게이트, 황산바륨 및 경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퓨즈드 실리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진제는 접착제의 열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박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제는 평균입경이 1 내지 3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균입경의 충진제를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접착제를 도포 후 표면을 균일하게 하고, 잉곳과 지지수단 간의 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주제혼합물은 수지 혼합물 50 내지 85중량% 및 충진제 15 내지 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의 주제혼합물은 우수한 접착강도 및 밀착강도를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고, 기체투과도를 낮추어 공기 등과의 접촉이 적어 저장 중 발생하는 냄새 및 표면건조 현상을 개선하여 저장안정성 및 장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제혼합물은 수지혼합물 및 충진제의 혼합으로 계면 침투력 제어를 극대화함으로써 40℃ 이하 온도에서 가공처리 및 세척공정에 따른 접착력의 약화로 인하여 잉곳이 지지수단에서 떨어져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50℃ 이상의 실제 박리공정에서는 더욱 짧은 시간에 용이하게 박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경화제 혼합물은 접착강도, 충격강도, 온수 박리성, 반응경화성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머캅탄계 화합물 및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캅탄계 화합물은 3차 아민계 화합물과 혼합되었을 때, 더욱 우수한 접착강도와 반응경화성을 발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통상의 접착제는 경화 온도를 낮추게 되면 경화시간이 매우 증가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 경화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시간의 증가는 생산시간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경화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저온속경화형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저온속경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H기를 포함하는 머캅탄계 화합물을 경화제 혼합물에 포함하였다. 그러나 상기 -SH기는 특유의 냄새가 심하여 접착제로 적용 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조합에 따라 놀랍게도 독한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될 뿐만 아니라 저장 중 표면건조 현상이 감소하여 저장안정성 및 장기안정성이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경화제 혼합물은 머캅탄계 화합물 85 내지 99.9중량%와 3차아민계 화합물 0.1 내지 15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경화제 혼합물은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저온에서도 단시간 내에 경화가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머캅탄계 화합물은 폴리티올 또는 폴리머캅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메탄디티올, 프로판디티올, 시클로헥산디티올, 2-메르캅토에틸-2,3-디메르캅토-숙시네이트,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2-메르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2-메르캅토아세테이트), 1,2-디메르캅토프로필 메틸 에테르, 비스(2-메르캅토에틸)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티오글리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베타-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베타-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메르캅토벤젠, 트리-메르캅토벤젠, 테트라-메르캅토벤젠, 비스(메르캅토알킬)벤젠, 트리스(메르캅토알킬)벤젠, 테트라키스(메르캅토알킬)벤젠, 디메르캅토비페닐, 톨루엔디티올 및 나프탈렌디티올, 비스(메르캅토알킬티오)벤젠, 트리스(메르캅토알킬티오)벤젠, 테트라(메르캅토알킬티오)벤젠, 비스((메르캅토알킬티오)알칸, 트리스(메르캅토알킬티오)알칸, 테트라(메르캅토알킬티오)알칸, 비스(메르캅토알킬) 디술피드, 히드록시알킬술피드비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알킬술피드비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메르캅토에틸 에테르 비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메르캅토아세테이트), 티오디글리콜산 비스(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 비스(2-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4,4-티오부티르산 비스(2-메르캅토알킬 에스테르), 3,4-티오펜디티올, 비스무쓰티올 및 2,5-디메르캅토-1,3,4-티아디아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3차아민계 화합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스디에틸아미노메틸페놀,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디에틸아미노에탄올, 2-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및 2,4,6-트리스(디아미노메틸)페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경화제 혼합물은 1차아민기를 2개 이상 갖는 아민계 화합물 및 아민기 함유 페놀계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경화제 혼합물은 머캅탄계 화합물과 3차아민계 화합물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차아민기를 2개 이상 갖는 아민계 화합물와 아민기 함유 페놀계 수지의 혼합물을 5 내지 10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로 더 포함하였을 때, 주제 화합물의 화학적 결합력을 상승시켜 접착강도,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증가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1차아민기를 2개 이상 갖는 아민계 화합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1,3-비스(아미노메틸)벤젠, 디에틸렌트리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아민, 비스(4-아미노페닐)메탄 및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아민기 함유 페놀계 수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페놀류, 알데히드류 및 1차 아민류로부터 합성되는 페놀계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페놀류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n-프로필페놀, 이소프로필페놀, 부틸페놀, 제 3 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도데실페놀, 시클로헥실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레조르신,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 4'-티오디페놀, 디히드록시디페닐메탄, 나프톨, 테르펜페놀 및 페놀화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데히드류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등일 수 있다. 상기 1차 아민류는 관능기를 1개 이상을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1차 아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능기를 2개 이상을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1차 아민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를 위하여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은 1:1 내지 3: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은 1:1 내지 2: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되면 상온 또는 가열경화를 통하여 고정 또는 가고정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강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율은 주제 화합물과 경화제 화합물의 당량비를 계산하여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경화제 혼합물의 사용량은 경화제 내의 반응성 활성기가 상기 주제 혼합물의 에폭시 수지 내의 에폭시기 1 당량에 대해 0.5 내지 1.5 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2 당량이 되도록 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화속도가 적절하고, 전단강도가 우수한 물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아 변성 아민 0.1 내지 10중량부, 지방산 0.1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우레아 변성 아민과 지방산이 접착제 조성물에 혼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머캅탄계 화합물의 특유의 냄새 및 저장 중 표면건조 현상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우레아 변성 아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우레아,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우레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우레아 변성 아민은 주제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에 지방산과 함께 혼합될 경우 머캅탄계 화합물의 특유의 냄새 및 저장 중 표면건조 현상 개선 효과가 탁월하게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지방산은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5 내지 C2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일 수 있다.상기 지방산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이소노나노익산(Isononanoic acid), 올레산(Oleic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지방산은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에 우레아 변성아민과 함께 혼합될 경우 포함할 경우 머캅탄계 화합물의 특유의 냄새 및 저장 중 표면건조 현상 개선 효과가 탁월하게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혼합물,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아민 및 지방산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에 따라 놀랍게도 우수한 냄새제거 또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 조성물 저장 중 공기 및 수분 등으로 인하여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의 표면에 막이 형성되는 표면 건조현상(skinning)이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력의 향상을 위한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제(defoamers), 표면 평활성을 증가 시켜주기 위한 레벨링제(leveling agent) 및 유기용매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서 주지의 각종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a) 에폭시 수지 및 변성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열 후 충진제, 우레아 변성 아민 및 C4 내지 C30인 직쇄 또는 분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더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머캅탄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독한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되어 저장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저장 중 공기와 접촉되는 표면이 건조되어 저장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전체 수지 혼합물 중 1 내지 10중량%의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나머지 90 내지 99중량%의 수지 혼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체 수지 혼합물의 일부를 먼저 경화제 혼합물과 혼합함에 따라 충진제의 금속이온의 혼입을 방지하여 머캅탄계 화합물의 냄새가 억제 또는 약화되고, 저장 중 표면건조현상을 개선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산화방지제 및 향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산화방지제 및 향료를 더 포함할 경우 머캅탄계 화합물의 냄새 억제 및 표면건조 현상 개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힌더드 아민계 산화방지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눌산,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온산-n-옥타데실, 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온산-n-옥타데실,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2-t-부틸-4-메톡시페놀, 3-t-부틸-4-메톡시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사이클릭네오펜탄테트라일비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사이클릭네오펜탄테트라일비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사이클릭네오펜탄테트라일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사이클릭네오펜탄테트라일트리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10-(2,5-디히드록시페닐)-10H-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펜타에리스리톨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N-시클로헥실티오푸탈이미드 및 N-n-부틸벤젠술폰아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로리딘-2,5-디온, N-메틸-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로리딘-2,5-디온, N-아세틸-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로리딘-2,5-디온,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이미노-1,3,5-트리아딘-2,4-디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향료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데하이드, 알코올, 에스테르, 에테르, 케톤 및 하이드로카본의 합성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등의 에스테르; 벤질 에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 시트로넬랄(citronellal)등의 알데히드; α-아이소메틸리온(α-isomethylionone) 등의 케톤; 시트로넬랄, 유게놀( eugenol), 게라니올(geraniol) 및 리날롤(linalool) 등의 알코올; 리모넨(limonene) 및 피넨(pinene)등의 하이드로 카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외에도 파인 오일, 시트러스 오일, 라벤더 오일, 민트 오일 또는 오렌지껍질로부터 얻은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천연 향 혼합물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a)단계 이후 수분제거 및 산소차단 밀폐포장 등의 공정을 추가할 경우 냄새 제거 및 표면건조현상 개선에 더욱 효과적이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잉곳용 접착제의 가열은 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반응될 수 있다. 상기 잉곳용 접착제를 경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가해지는 온도에 좌우될 수 있다. 경화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을 완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짧고, 경화 온도가 낮을수록 반응을 완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다. 구체적으로, 경화 시간은 1 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분 내지 24 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12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이 조성된 잉곳용 접착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곳을 지지 수단에 가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가고정된 잉곳을 지지수단으로부터 상온 또는 저온에서도 쉽게 박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저유독성의 빠르고 효과적인 접착제 박리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만들어진 접착제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박리액은 산 또는 알카리와 물을 혼합하되, 박리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산 또는 알카리를 5 내지 20중량%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산은 황산, 질산, 염산, 유산, 술폰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알카리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 암모니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접착제 중 유리전이온도 50℃ 이상의 고 유리전이온도제품은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박리(de-bonding)가 거의 어렵고, 기존의 아세톤과 같은 유독성 박리액 또는 본 발명의 저유독성 박리액에서도 박리(de-bonding)가 어렵거나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일반적인 유리전이온도 35℃ 이하의 저 유리전이온도제품은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접착물의 연성화로 박리(de-bonding)가 가능하지만 박리속도가 느리다. 또한, 기존의 아세톤과 같은 유독성 박리액 또는 본 발명의 저유독성 박리액에서도 비교적 느리게 박리(de-bonding)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 35 내지 50℃로써, 35 내지 50℃의 저온에서도 박리가 용이하고, 계면 침투력 제어가 극대화됨으로써 40℃ 이하 온도에서 가공처리 및 세척공정에 따른 접착력의 약화로 인하여 잉곳이 지지수단에서 떨어져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0℃ 이상의 실제 박리공정에서는 더욱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물성측정방법]
1) 접착강도
KSM 3705 : 2015 에 따라 측정을 하였다.
25mm X 100mm X 1.6mm인 2개의 시편을 12.7mm 만큼 겹치게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25℃에서 24시간 경화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만능재료시험기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 속도는 1.3 mm/min을 적용하였다.
2) 경화시간 및 박리시간
경화온도는 상온(25℃)에서 실시하여 경화시간을 측정하였다. 박리액은 유산(lactic acid)과 물을 중량비율로 5 : 95로 혼합하였고, 박리 온도는 50℃에서 실시하였다.
3) 유리전이온도(Tg)
시차주사열량계(DSC, TA사 Q1000)로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으로는 질소 분위기에서 20 ℃/min.의 승온 속도로 200 ℃까지 승온하여 측정하였다.
4) 냄새 개선효과
상기에서 얻어진 각 조성물을 혼합 후 머캅탄 냄새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 극히 약한 정도의 머캅탄 냄새(미미한 인지 또는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
○: 약한 정도의 머캅탄 냄새(냄새 인지하는 정도의 약한 수준)
△: 보통 정도의 머캅탄 냄새(냄새 인지하고 불쾌감이 감도는 수준)
X: 강한 머캅탄 냄새(냄새 강하게 인지하고 불쾌감이 높은 수준)
5) 저장안정성 및 표면건조현상
상기에서 얻어진 각 조성물을 밀폐 용기에 충전한 후 질소 치환했다. 상온(25℃)의 분위기 하에서 6개월간 방치한 후, 점도를 측정하고, 초기 점도에 대한 증점 비율(%)와 표면건조현상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점도 증점율이 10% 미만, 표면건조현상 없음.
○: 점도 증점율이 10~20% 이하, 표면건조현상 일부(10%미만)발생.
△: 점도 증점율이 20~25% 이하, 표면건조현상 50%이상의 면적에서 보임.
X: 점도 증점율이 25% 초과, 표면 전면 건조현상 발생.
[실시예 1]
1. 주제혼합물 총 120.5g
: 페놀계 노볼락형 수지(Cas No. 9003-36-5) 50g, 카르복실기 말단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CTBN) 50g을 혼합한 수지혼합물 100g,
퓨즈드 실리카 20g, 이산화티타늄0.5g을 혼합한 충진제 20.5g
2. 경화제 혼합물 총 60g
폴리머캅탄(Toray, QM-340M, Thiol content 12 wt%)55g,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5g
3. 우레아 변성 아민
:1,3-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5g
4. 지방산
: 2-에틸헥사노익산 5g
상기 수지혼합물 5g과 경화제 혼합물 60g을 진공펌프와 교반기가 연결된 반응기에 첨가한 후 진공 하에 60 분 동안 800 rpm으로 교반 후 가열선반응하였다. 상기 선반응물에 수지혼합물 95g과 충진제 20.5g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1,3-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5g과 2-에틸헥사노익산 5g을 투입하여 진공 하에 1 분 동안 1,6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경화제 혼합물을 폴리머캅탄 110g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1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지혼합물을 페놀계 노볼락형 수지(Cas No. 9003-36-5) 34g, 카르복실기 말단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CTBN) 68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경화제 혼합물을 하기와 같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경화제 혼합물
: 폴리머캅탄(Toray, QM-340M, Thiol content 12 wt%) 30g,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5g
1,3-비스(아미노메틸)벤젠 15g,
페놀계 수지(Cas No. 57214-10-5)10g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산화방지제(트리페닐포스파이트)와 향료를 더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제 혼합물을 페놀계 노볼락형 수지40g, 카르복실기 말단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CTBN) 40g을 혼합한 수지혼합물 80g과 퓨즈드 실리카 40g, 이산화티타늄 0.5g을 혼합한 충진제 40.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페놀계 노볼락형 수지를 대신하여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모멘티브사, DGEBA, EPIKOTE 828, EEW 187 eq/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2-에틸헥사노익산을 대신하여 스테아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우레아변성아민 및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고, 주제혼합물 및 경화제혼합물을 반응기에 한번에 투입하여 가열선반응 없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제혼합물, 경화제혼합물, 우레아변성아민 및 지방산을 반응기에 한번에 투입하여 가열선반응 없이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우레아 변성아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지방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경화제 혼합물을 폴리머캅탄(Toray, QM-340M, Thiol content 12 wt%) 60g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지혼합물을 페놀계 노볼락형 수지 100g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을 측정하여 기재하였다.
냄새개선 저장
안정성
유리전이온도
(℃)
접착강도
(kg/㎠)
Glass+Si
기능적 경화시간
(25℃)
박리시간
(접착면적: 180x180um, 박리액: 55℃ 온수)
실시예 1 45 280 180분 10분
실시예 2 40 210 120분 5분
실시예 3 35 250 200분 6분
실시예 4 50 310 210분 25분
실시예 5 45 280 180분 10분
실시예 6 45 280 180분 8분
실시예 7 40 260 210분 6분
실시예 8 45 260 180분 10분
비교예 1 X X 45 260 180분 10분
비교예 2 45 270 180분 10분
비교예 3 40 200 160분 8분
비교예 4 45 260 180분 10분
비교예 5 30 60 840분 1분
비교예 6 75 220 150분 130분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우수한 냄새, 표면건조현상 및 저장안정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를 사용한 실시예의 경우 접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이 짧고, 중온수(50~60℃)에서도 단시간 내에 박리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의 경우 가열선반응 없이 조성물을 동시에 투입하고, 조성물의 우레아 변성아민 및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냄새가 강하게 발생하고, 저장안정성이 떨어져 표면건조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2의 경우 조성물을 동시에 투입하여 가열 선반응 없이 혼합함에 따라 머캅탄계 화합물의 냄새가 과하게 발생하고, 저장안정성이 떨어져 표면건조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내지 4의 경우 잉곳용 조성물의 우레아 변성아민 또는 지방산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냄새가 과하게 발생하고, 저장안정성이 떨어져 표면건조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5의 경우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접착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상온에서 경화시간이 증가하며 불완전 경화로 인해 유리전이온도가 현저히 낮아 너무 과하게 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의 경우 변성고무를 포함하지 않아 유리전이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중온수(50~60℃)에서는 박리가 어려워 박리시간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머캅탄계 화합물의 냄새개선이 우수하고, 저장 중 표면건조 현상 발생을 개선하여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온박리액 내지 중온수(50~60℃)에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박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에폭시 수지 및 변성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충진제를 포함하는 주제 혼합물;
    머캅탄계 화합물 및 3차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 혼합물;
    우레아 변성 아민; 및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이소노나노익산(Isononanoic acid), 올레산(Oleic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지방산을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페놀계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고무는 카르복실기, 아민기 및 히드록시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고무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혼합물은 수지 혼합물 50 내지 85중량% 및 충진제 15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변성 고무 1:1 내지 1:2중량비로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혼합물은 1차아민기를 2개 이상 갖는 아민계 화합물 및 아민기 함유 페놀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은 1:1 내지 3: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우레아 변성 아민 0.1 내지 10중량부, 지방산 0.1 내지 10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10. a) 에폭시 수지 및 변성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열 후 충진제, 우레아 변성 아민 및 지방산을 더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방산은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이소노나노익산(Isononanoic acid), 올레산(Oleic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잉곳용 접착제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전체 수지 혼합물 중 1 내지 10중량%의 수지 혼합물과 경화제 혼합물을 혼합하여 가열한 후 나머지 90 내지 99중량%의 수지 혼합물을 더 혼합하는 것인 잉곳용 접착제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산화방지제 및 향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혼합하여 가열하는 것인 잉곳용 접착제 제조방법.
KR1020170018906A 2017-02-10 2017-02-10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06A KR102009212B1 (ko) 2017-02-10 2017-02-10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06A KR102009212B1 (ko) 2017-02-10 2017-02-10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56A KR20180092756A (ko) 2018-08-20
KR102009212B1 true KR102009212B1 (ko) 2019-08-09

Family

ID=6344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906A KR102009212B1 (ko) 2017-02-10 2017-02-10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2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0595A (en) * 1994-12-29 1998-05-12 Henkel Corporation Self-dispersing curable epoxy resin dispers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made therefrom
KR101664435B1 (ko) * 2012-03-28 2016-10-11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잉곳 마운팅 접착제 조성물
KR101636730B1 (ko) * 2014-10-02 2016-07-07 주식회사엠케미텍 상온 또는 저온에서 빠른 박리 또는 리싸이클링 가능한 잉곳접착제 조성물 및 박리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56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5647C (en) Low viscosity polythiol and method therefor
TWI608029B (zh) Resin hardener and one-component epoxy resin composition
JP5576496B2 (ja) 硬化性組成物
JP6555532B2 (ja) 耐熱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TW201531515A (zh) 柔軟性環氧樹脂組成物
SG18550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sterified substance
CA2940327A1 (en) Furan-based amines as curing agents for epoxy resins in low voc applications
TWI526466B (zh) 具有經改良低溫固化性質之環氧樹脂組成物及用於製造該組成物之方法及中間產物
US9371475B2 (en) Gel time controllable two part epoxy adhesive
US3465057A (en) Curable ester compositions
KR102009212B1 (ko) 잉곳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16098305A1 (ja)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硬化皮膜の形成方法
US6538052B2 (en) Curable compositions of glycidyl compounds, aminic hardeners and novel low viscosity curing accelerators
WO1994009051A1 (en) Tertiary amine derivatives as components of polymer forming systems
CN113336934B (zh) 一种自乳化型聚醚胺固化剂及其制备方法
US2972589A (en) Plasticized resin compositions
JP2015093887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物
JPH023671A (ja) エポキシ樹脂硬化剤用ポリチオール
JPS5830330B2 (ja) エポキシジユシルイノ カリユウホウホウ オヨビ カリユウザイ
JP2011057870A (ja) 樹脂組成物
JP2007056152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US2907748A (en) Curing epoxy resins
AU2017349047A1 (en) Rapid curing epoxy-resin composition for fiber-matrix semifinished products
JPH02132174A (ja) 粘着製品の製法
KR20240033208A (ko) 2-성분 경화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