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888B1 -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88B1
KR102008888B1 KR1020180161207A KR20180161207A KR102008888B1 KR 102008888 B1 KR102008888 B1 KR 102008888B1 KR 1020180161207 A KR1020180161207 A KR 1020180161207A KR 20180161207 A KR20180161207 A KR 20180161207A KR 102008888 B1 KR102008888 B1 KR 10200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upport member
assembly
support assembl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민
Original Assignee
김교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민 filed Critical 김교민
Priority to KR102018016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찬넬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잇도록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복수 개의 조립체 사이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앵글을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DRY SUPPORT ASSEMBLY FOR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찬넬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잇도록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복수 개의 조립체 사이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앵글을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학교, 빌딩, 공장 등에는 어려 개의 패널을 사용하여 물을 저장하기에 알맞은 구조를 갖는 통형상의 조립식 물탱크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조립식 물탱크는 각종 용수를 대량으로 저장하므로 물탱크 하방으로 큰 압력이 가해진다.
그런데 콘크리트 바닥면은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배드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물탱크를 배치하여 물탱크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물탱크의 하중이 크기 때문에 패드의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조금씩 미끄러져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경우 복수 개의 패드 위에 설치된 물탱크는 일부 패드의 상부가 하부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감으로써, 각 패드마다 높이가 달라져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9-0644141호에는 물탱크용 기초 패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공사시간의 단축 및 인력절감 등이 가능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지도록,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받침부재와, 상부받침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고 바닥면 위에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받침부재와, 상부받침부재와 하부받침부재를 연결하고 상부받침부재와 하부받침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위에서 지적한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패드 조립체를 복수 개로 하여 물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배열할 때, 안정적인 지지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9-0644141호(2006.11.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찬넬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잇도록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복수 개의 조립체 사이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앵글을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는,
하부 지지부재(10)와 상부 지지부재(20)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30)가 위치된 구조를 갖는 조립체를 이용하여 물탱크를 지지하되,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상측으로 제1 찬넬(40)이 제1 방향을 갖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 찬넬(40)의 상측으로, 단면형태가 '
Figure 112018125437780-pat00001
'의 형상으로 절곡된 내진스토퍼(50)가 상측으로 돌출된 영역 내측으로 상기 제1 찬넬(40)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내진스토퍼(50)의 상측으로 절곡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양측의 낮은 영역에는 볼트 및 너트(B/N)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낮은 영역에 상기 체결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에 제2 찬넬(60)이 제2 방향을 갖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찬넬(50)은,
그의 상측은 내진스토퍼(50)의 낮은 영역 상측에 위치되고, 그의 하측은 상부 지지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 및 너트(B/N)의 볼트에는 이격방지앵글(70)이 결합되되,
상기 조립체가 복수 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이 대각선 방향의 2개의 조립체 각각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조립체 간의 조립 후 이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은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체결공에는 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재(10)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패드(11)와,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구성되고, 하부패드(1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하부몸체(12)와,
상기 하부몸체(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체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재(10)는,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부터 하부몸체(1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하부브라켓(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지지부재(20)는,
제1 및 제2 찬넬(40, 60)이 위치되는 상부패드(21)와,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패드(2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상부몸체(2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22)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몸체(22)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며 하부체결부(1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홀(22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상부몸체(2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상부브라켓(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용 너트(30)는,
내측의 관통홀의 직경이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고, 관통홀의 내면에 하부체결부(1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13)에 결합되어, 상부 지지부재(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용 너트(30)는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가 배치되어 있어서, 상부 지지부재가 하부 지지부재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부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되는 물탱크가 초기에 배치되는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셋째, 스토퍼용 너트는 나사 결합으로 하부 지지부재에 결합되므로 착탈이 쉽고 간편하다.
넷째, 복수 개의 조립체를 찬넬을 통해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찬넬이 결합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다섯째, 복수 개의 조립체를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이격방지앵글을 통해 대각선 연결함으로써, 복수 개의 조립체 간에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가 조립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의 내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복수 개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복수 개 결합된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부재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가 결합된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찬넬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잇도록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립체를 복수 개 결합할 때, 복수 개의 조립체 사이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앵글을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하부 지지부재(10)와 상부 지지부재(20)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30)가 위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 찬넬(40)이 구성된다.
이때,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의의는, 하나는 종방향, 다른 하나는 횡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찬넬(40)의 상측으로는 내진스토퍼(50)가 위치되는데, 상기 내진스토퍼(50)는 단면형태가 '
Figure 112018125437780-pat00002
'의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영역 내측으로 상기 제1 찬넬(40)이 삽입 고정되도록 된다.
이러한 제1 찬넬(40)은, 후술될 제2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 찬넬(60)도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을 갖는 찬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진스토퍼(50)의 상측으로 절곡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양측의 낮은 영역에는 볼트 및 너트(B/N)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낮은 영역에 상기 체결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에 제2 찬넬(6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지지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된 제1 찬넬(40)의 상측에 내진스토퍼(50)가 위치되고, 제2 찬넬(60)이 볼트 및 너트(B/N)가 체결되기 전에 측방향으로 진입하면서 도 1의 'a'의 위치에 최종 결합되는 것이다.
즉, 제2 찬넬(60)은 상측 일면이 내진스토퍼(50)의 낮은 영역 상면에 올려지도록 위치되고, 하측 일면은 상부 지지부재(20)의 상측(상부패드(21)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찬넬(60)의 일단부는 상기 내진스토퍼(50)의 낮은 영역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측벽이 빈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1에 도시된 제2 찬넬(60)의 경우, 제1 찬넬(40)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제2 찬넬(60)이 내진스토퍼(50)와 상부패드(2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첫째 찬넬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둘째 제2 찬넬(60)의 조립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술된 기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내진스토퍼(50)-상부 지지부재(20)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체결된 볼트 및 너트(B/N)를 통해 각 찬넬(40, 60)과 내진스토퍼(50)를 고정하도록 하는데, 이때, 볼트 삽입 중 상기 내진스토퍼(50)와 상부 지지부재(20) 사이에 이격방지앵글(70)이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격방지앵글(70)은 첨부된 도면의 도 6과 같이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어느 2개의 조립체 각각의 볼트에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조립체(상부 지지부재, 하부 지지부재 및 스토퍼용 너트를 조립한 조립체)를 결합시킬 때, 인접한 조립체 간에 복수 개 결합 후 지지 하중 등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복수 개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복수 개 결합된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의하면, 이격방지앵글(70)이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조립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총 사각형태를 구성하는 4개의 조립체에 있어서 'X'자 방향으로 2개의 이격방지앵글(70)이 위치된다.
이때, 이격방지앵글(70)의 체결공에 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이격방지앵글(70)이 볼트 상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6의 경우와 같은 'X'자 교차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이격방지앵글(70)이 생략되도록 조립체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된 구조에 의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의 최종 형태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제1 및 제2 찬넬(40, 60)과 내진스토퍼(50)의 상측으로 물탱크를 위치시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하부 지지부재(10)와 상부 지지부재(20)에 각각 브라켓(14, 23)을 구성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과 같이 브라켓(14, 23)을 생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가 조립된 형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부 지지부재(20)와 하부 지지부재(10)의 조립 형태는 첨부된 도면의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가 조립된 형태의 내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10)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패드(11)와,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구성되고, 하부패드(1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하부몸체(12)와,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부터 하부몸체(1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하부브라켓(14)과, 상기 하부몸체(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체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재(20)는, 상술된 찬넬(40, 60)이 위치되는 상부패드(21)와,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패드(2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상부몸체(22)와,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상부몸체(2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상부브라켓(23)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22)의 하면에는 상부몸체(22)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고, 하부체결부(1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홀(22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토퍼용 너트(30)는, 너트로 구성되되, 내측의 관통홀의 직경이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고, 관통홀의 내면에 하부체결부(1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부 지지부재(10)의 하부체결부(13)에 스토퍼용 너트(30)가 결합되고, 상측으로 상부 지지부재(20)가 하부체결부(13)와 홀(22a)을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용 너트(3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상부 지지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스토퍼용 너트(30)의 개수를 추가하여 안정적인 지지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이격방지앵글(70)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8125437780-pat00003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방지앵글(70)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구조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격방지앵글(70)의 체결공은 '
Figure 112018125437780-pat00004
'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되, 직경이 좁은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에 금속 등의 재질을 갖는 보조체결공이 체결공에 형태는 동일하되, 다소 작게 구성되어, 체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보조체결공은 직경이 좁은 내면과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격방지앵글(70)의 단부 일면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홈부는 체결공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연통홀을 통해 체결공과 홈부가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연통홀이 형성된 영역의 체결공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도록 된다.
이에 따라, 이격방지앵글(70)을 통해 2개의 조립체를 연결하는 경우, 1개의 조립체와 다른 1개의 조립체가 위치한 지면의 높이 차이가 있어서, 이격방지앵글(70)의 어느 한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 경우에, 상기 홈부에 볼트를 삽입하여 볼트의 나사산이 보조체결공의 나사산에 맞물리면서, 보조체결공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 볼트에 의한 보조체결공의 회전이 쉽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공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측단부와 하측단부 일측에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B/N)의 볼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보조체결공이 체결공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볼트 및 너트(B/N)의 볼트 상에서 이격방지앵글(70)의 높이가 다소 조절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하부 지지부재
11 : 하부패드
12 : 하부몸체
13 : 하부체결부
14 : 하부브라켓
20 : 상부 지지부재
21 : 상부패드
22 : 상부몸체
22a : 홀
23 : 상부브라켓
30 : 스토퍼용 너트
40 : 제1 찬넬
50 : 내진스토퍼
60 : 제2 찬넬
70 : 이격방지앵글
B/N : 볼트 및 너트

Claims (10)

  1. 하부 지지부재(10)와 상부 지지부재(20) 사이에 스토퍼용 너트(30)가 위치된 구조를 갖는 조립체로 구성되어 물탱크를 지지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상측으로 제1 찬넬(40)이 제1 방향을 갖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1 찬넬(40)의 상측으로, 단면형태가 '
    Figure 112019036000340-pat00012
    '의 형상으로 절곡된 내진스토퍼(50)가 상측으로 돌출된 영역 내측으로 상기 제1 찬넬(40)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내진스토퍼(50)의 상측으로 절곡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양측의 낮은 영역에는 볼트 및 너트(B/N)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낮은 영역에 상기 체결공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에 제2 찬넬(60)이 제2 방향을 갖도록 위치되며,
    상기 볼트 및 너트(B/N)의 볼트에는 이격방지앵글(70)이 결합되되,
    상기 조립체가 복수 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이 대각선 방향의 2개의 조립체 각각에 각 단부가 결합되어, 조립체 간의 조립 후 이격을 방지하고,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은 볼트가 관통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체결공에는 볼트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체결공은 '
    Figure 112019036000340-pat00013
    '의 단면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되, 직경이 좁은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조체결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체결공의 직경이 좁은 내면과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이격방지앵글(70)의 단부 일면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상기 체결공에 인접하되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찬넬(50)은,
    그의 상측은 내진스토퍼(50)의 낮은 영역 상측에 위치되고, 그의 하측은 상부 지지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10)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패드(11)와,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구성되고, 하부패드(1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하부몸체(12)와,
    상기 하부몸체(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부체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10)는,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에서부터 하부몸체(1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하부브라켓(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부 지지부재(20)는,
    제1 및 제2 찬넬(40, 60)이 위치되는 상부패드(21)와,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패드(21)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 상부몸체(2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22)의 하면에는,
    상기 상부몸체(22)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며 하부체결부(1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면에 형성된 홀(22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21)의 하면에서부터 상기 상부몸체(22)의 측면까지 결합되어 지지력을 증진시키는 복수 개의 상부브라켓(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9. 청구항 5에 있어서.
    스토퍼용 너트(30)는,
    내측의 관통홀의 직경이 하부체결부(13)의 직경에 대응되고, 관통홀의 내면에 하부체결부(1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13)에 결합되어, 상부 지지부재(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용 너트(30)는 1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20180161207A 2018-12-13 2018-12-13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200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07A KR102008888B1 (ko) 2018-12-13 2018-12-13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07A KR102008888B1 (ko) 2018-12-13 2018-12-13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888B1 true KR102008888B1 (ko) 2019-08-08

Family

ID=6761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207A KR102008888B1 (ko) 2018-12-13 2018-12-13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8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096B1 (ko) 2020-05-11 2020-11-27 김교민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2250551B1 (ko) * 2020-10-08 2021-05-11 (주) 세진에스엠씨 내,외부 내진성과 실시간 수질자동 계측이 가능한 smc 물탱크
KR20210131662A (ko) * 2020-04-24 2021-11-03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365B2 (ja) * 1997-12-22 2004-02-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梁と根太の連結金物、連結構造および連結工法
KR200423535Y1 (ko) * 2006-05-18 2006-08-10 양병남 바닥판용 지지대
KR100644141B1 (ko) 2006-04-03 2006-1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
KR100808560B1 (ko) * 2007-11-22 2008-02-29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시공방법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365B2 (ja) * 1997-12-22 2004-02-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梁と根太の連結金物、連結構造および連結工法
KR100644141B1 (ko) 2006-04-03 2006-11-13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
KR200423535Y1 (ko) * 2006-05-18 2006-08-10 양병남 바닥판용 지지대
KR100808560B1 (ko) * 2007-11-22 2008-02-29 영성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시공방법
KR101482082B1 (ko) * 2014-11-12 2015-01-14 (주)우진테크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662A (ko) * 2020-04-24 2021-11-03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받침대
KR102419134B1 (ko) 2020-04-24 2022-07-08 이형기 조립식 물탱크용 받침대
KR102184096B1 (ko) 2020-05-11 2020-11-27 김교민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2250551B1 (ko) * 2020-10-08 2021-05-11 (주) 세진에스엠씨 내,외부 내진성과 실시간 수질자동 계측이 가능한 smc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888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US8549796B2 (en) Connector system for building modules
US3222030A (en) Floor structure elevating device
US4422270A (en) Modular, self supporting flight of stairs
US7861470B2 (en) Self centering shaft wall system
KR100843509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894669B1 (ko) 계단용 난간
KR102138472B1 (ko)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KR100878184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EP2322739B1 (en) Support for raised flooring elements, and raised flooring assembly comprising such support
CN207582664U (zh) 用于装配三维框架的组件
US9976296B2 (en) Modular deck system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200348706Y1 (ko) 마루판의 신축성 받침다리
DE202010005417U1 (de) Montage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Solarmoduls
KR20190140141A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JP6388568B2 (ja) 組立式階段
JP7348771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399730B1 (ko) 모듈러 건축물용 체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조립방법
KR200497272Y1 (ko) 난간용 서포터
KR102035227B1 (ko) 거푸집 이어치기 벽체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어치기 벽체 지지 구조
JP3909561B2 (ja) 住宅のピロティ壁
KR101782027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