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591B1 -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 - Google Patents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591B1
KR102008591B1 KR1020177009283A KR20177009283A KR102008591B1 KR 102008591 B1 KR102008591 B1 KR 102008591B1 KR 1020177009283 A KR1020177009283 A KR 1020177009283A KR 20177009283 A KR20177009283 A KR 20177009283A KR 102008591 B1 KR102008591 B1 KR 102008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ound
region
aid structure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505A (ko
Inventor
마사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네오스타일 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스타일 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네오스타일 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 A61F13/0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53Wound bandages for red nails, in-grown nails or felons (inflamed digi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손발톱의 선단 부근의 함입조(陷入爪) 창상(創傷) 뿐만아니라, 손발톱의 근원 부근의 함입조 창상을 확실히 치료할 수 있고 또한, 함입조 창상의 아픔을 즉효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치료 기구를 제공한다.
측조갑연(側爪甲緣)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반창고(絆創膏) 구조체(1)에 있어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2), 및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3A)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3)을 가지고,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함입조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Description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ADHESIVE PLASTER STRUCTURE FOR TREATING WOUNDS CAUSED BY INGROWN NAILS}
본 발명은, 함입조(陷入爪)에 의한 창상(創傷)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絆創膏)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側爪甲緣, side line of the nail)을 따라서 손발가락(指)에 장착되는 반창고 구조체이며,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爪)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을 가지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해당 슬라이드홈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해당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면,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과의 연계에 의해, 함입조의 변형의 정도나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의 중증도에 상관없이, 손발톱의 선단 부근의 함입조 창상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효과적ㆍ효율적인 치료가 어려웠던, 손발톱의 근원 부근의 함입조 창상을 확실히 치료할 수 있으므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측조갑연(側爪甲緣, 손발톱의 측연부(側緣部))을 밀어 올리는 효과에 의해, 함입조를 교정하는 효과도 발휘하므로, 함입조의 교정을 보조하는 기능도 가진다.
손발톱(爪)의 변형증에는, 「권조(捲爪)」나 「함입조(陷入爪)」라고 칭해지는 것이 있어, 이들의 용어는 자주 구별 없이 이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횡방향에 손발톱(爪)이 감은 것처럼 되는 증상을 「권조」라고 칭하고, 강하게 만곡한 손발톱의 양단이 피부ㆍ육부(肉部, 연부 조직)에 파고든 상태가 되는 증상을 「함입조」라고 칭하는 것이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이상 환자의 손발가락에 창상이나 아픔을 가져오는 손발톱의 변형증의 총칭으로서 「함입조」란 용어를 사용한다. 함입조의 경우, 손발톱의 성장에 따라서, 손발톱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연부(側緣部)가 조구(爪溝) 내에 깊숙히 파고들어, 연부 조직(조구(爪溝) 또는 조상(爪床)의 살)에 박히고 염증을 일으켜, 동통(疼痛)이나 격통(激痛)을 일으킨다. 함입조는 중증화되면, 염증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으로 퍼져 가서, 아픔도 격렬해진다. 주된 발증 원인으로는 압박, 외상, 손발톱을 바싹 깊이 깎음(深爪), 선천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함입조는 다리 엄지에 특히 높은 빈도로 일어난다. 함입조를 고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조구(爪溝)에 함입한 조측연부(爪側緣部, lateral edges of the nail)를 외과적 수술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 및 교정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교정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057,055호 공보(특허 문헌 1), 특개평 8-215227호 공보(특허 문헌 2), 특개 2001-276104호 공보(특허 문헌 3), 특개 2011-104231호 공보(특허 문헌 4), 특개 2002-360619호 공보(특허 문헌 5), WO2008-142880(특허 문헌 6) 또는 특허 제5579913호 공보(특허문헌 7)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한 방법은 번잡하고, 또한, 수술에 의해 조갑폭(爪甲幅)이 항구적으로 좁아진다. 또한, 외과적 수술에 의한 방법에서는, 연부 조직에 먹혀든 손발톱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을 때는 수술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외과적 수술에 의해 손발톱을 부분적으로 절제하여 함입조를 일시적으로 고쳤다고 하여도, 손발톱 전체의 감기는 방향으로의 굴곡성이 교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함입조가 재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함입조를 고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외과적 수술에 의하지 않는 방법, 즉, 보존적 방법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일반적으로 되고 있다.
특허 문헌 1~7에 기재되는, 교정 도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중에는, 함입조(변형조) 자체는 꽤 잘 교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7 중 어느 방법의 경우도,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대해서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특허 문헌 1~7 중 어느 방법에서도,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또한,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반창고류를 해당 창상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이나, 함입조의 측연부(측조갑연)를 가늘고 긴 금속체나 수지체로 커버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반창고류를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개 2012-125527호 공보(특허 문헌 8)나 특개 2013-81723호 공보(특허 문헌 9)를 참조할 수 있다. 함입조의 측연부를 가늘고 긴 금속체나 수지체로 커버하는 것을 포함한 방법으로서는, 특개 2004-329646호 공보(특허 문헌 10)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2007/0287945a1호공보(특허 문헌 11)를 참조할 수 있다.
특허 문헌 8이나 특허 문헌 9에 기재된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반창고류는, 상처에 닿게 하는 패드(창상 피복용의 부분)의 위치가 일반 구급 반창고와 약간 다른 이외에는 통상의 구급 반창고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특허 문헌 8과 특허 문헌 9의 도면으로부터도 분명한 것처럼, 특허 문헌 8이나 특허 문헌 9에 기재의 방법을 이용하면, 함입조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의 창상의 치료는 가능하지만, 함입조의 근원에 가까운 부분의 창상의 치료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함입조는 중증화되면, 염증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으로 퍼져 가서, 아픔도 격렬해지므로, 따라서, 함입조의 근원 부근의 창상의 치료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은, 중증화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치료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허 문헌 8이나 특허 문헌 9에 기재의 방법에 의하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또한,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허 문헌 10(특개 2004-329646호 공보)에는,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 관체를 포함한 「함입조 치료도구」가 개시된다. 이 함입조 치료도구는, 함입조의 측연부(측조갑연)를 C자형 단면 형상의 간격부에 삽입하는 것으로써 손발가락에 장착한다. 이 함입조 치료도구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함입조의 측연부가 해당 관체로 피복되므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이 경도인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해당 창상의 아픔에 다소의 경감이 나타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0의 함입조 치료도구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대해서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고, 중증화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치료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0의 함입조 치료도구를 이용하여도,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또한,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허 문헌 11에 기재된 방법의 요지는, 함입조의 측연부에 밀착하는 측 조곽(爪郭)을 손발가락으로 옆으로 눌러 움직여서 함입조의 측연부와 창상 부위를 노출시킨 후, 함입조의 측연부를 U자 단면을 가지는 가늘고 긴 연질 수지편("protecting gutter"로 칭하는 부재)으로 커버하여, 이와 같이 함입조의 측연부와 창상 부위와의 사이를 서로 격리하고, 창상의 치유를 촉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우선, 중증의 함입조의 경우에는 중증의 염증에 의해 창상 부위 주변이 몹시 종창 하고 있는 매우 아픈 상태이기 때문에, 함입조의 측연부에 밀착ㆍ압박하는 측 조곽을 손발가락으로 옆에 눌러 움직이는 것은 큰 아픔을 수반하는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이 측조곽을 옆으로 무리하게 눌러 움직여도, 노출하는 공간은 매우 좁기 때문에 충분한 스페이스는 확보하기 어려운데다가, 고름이나 림프액 등의 체액이 삼출하여 시야가 확보할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함입조의 측연부의 전체 길이(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볼때)에 걸쳐서 상기 연질 수지편을 정확하게 확실히 씌우는 것은, 숙련 시술자라도 용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함입조는 중증화되면, 염증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으로 퍼져 가서, 아픔도 격렬해진다. 그리고, (함입조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은 후조곽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1에 기재의 방법에서는, 손발톱의 근원 부근에서는 함입조의 측연부를 해당 연질 수지편으로 확실히 커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따라서, 손발톱의 근원에 가까운 부분의 창상(중증화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치료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또한,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 4, 057, 055호 공보 일본 특개평 8-215227호 공보 일본 특개 2001-276104호 공보 일본 특개 2011-104231호 공보 일본 특개 2002-360619호 공보 WO2008-142880 공보 일본 특허 제 5579913호 공보 일본 특개 2012-125527호 공보 일본 특개 2013-81723호 공보 일본 특개 2004-329646호 공보 (특허 문헌 11)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US2007/0287945a1호 공보
전술한 것처럼, 교정도구나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공지 방법(함입조를 교정하는 방법)에서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대해서 직접적인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반창고류를 해당 창상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 공지 방법이나, 함입조의 측연부를 가늘고 긴 금속체나 수지체로 커버하는 것을 포함한 공지 방법에 의해서, 손발톱의 근원에 가까운 부분의 창상(중증화 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치료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따라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하고, 그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함입조의 변형의 정도나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의 중증도에 상관없이, 손발톱의 선단 부근의 함입조 창상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효과적ㆍ효율적인 치료가 어려웠던, 손발톱의 근원 부근의 함입조 창상을 확실히 치료할 수 있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치료 기구나 치료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간결하게 바꾸어 말하면, 함입조의 중증도에 관계없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이 손발톱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과 그 아픔의 확실한 즉효적 치료가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를 행한 결과,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爪)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을 가지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해당 슬라이드홈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해당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특히,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i)과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 (ii)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독자적인 구조에 의해, 함입조의 중증도에 관계없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이 손발톱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해당 창상의 위치까지 확실히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러한 지견(知見)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면, 함입조의 중증도에 관계없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이 손발톱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해당 창상의 위치까지 확실히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손발톱의 선단 부근의 함입조 창상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효과적ㆍ효율적인 치료의 어려웠던, 손발톱의 근원 부근의 함입조 창상을 확실히 치료할 수 있으므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할 수 있다. 즉, 함입조의 중증도에 관계없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이 손발톱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것에 관계없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과 그 아픔의 확실한 즉효적 치료가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창상의 격렬한 아픔에서도 거의 순간에 또는 몇 초 이내에 큰폭으로 완화해, 몇분부터 수십분 이내에는 아픔은 거의 완전하게 해소된다. 또한, 장착 후에 창상 치유가 급속히 진행되어, 통상, 장착으로부터 약 1주간~ 약 10일 이내의 극히 단기간으로 창상 치유가 완료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치료법에 있어서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의 즉효적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즉, 창상의 아픔이 즉석에서 소실하지 않는) 또한 중증의 창상의 경우는, 장기간(약 1개월~ 약 2개월 정도)을 걸쳐서 치료를 행하여도 창상의 충분한 치유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또한, 창상의 충분한 치유를 얻으려면 약 2개월~ 약 3개월의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당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면, 비록, 치료해야 할 창상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후조곽(後爪郭)에 의해 덮여 있어 시인할 수 없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도,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창상까지 확실히 가이드 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밀어 올리는 효과에 의해, 함입조를 교정하는 효과도 발휘하므로, 함입조의 교정을 보조하는 기능도 가진다.
도 1a은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h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i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j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k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l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h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i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j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k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l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m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n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o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p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q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r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g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h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다른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또 다른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이다.
도 6는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의 단면 형상의 5개의 예(a)~(e)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창상 밀착부 영역을 위한 연질체로서 이용하는 튜브체의 측벽의 적어도 외측 표면을 다공질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a에 나타내는 창상 밀착부 영역(연질체)을 가이드부 영역(경질체)과 결합하여 형성한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c는 1개의 재료의 하층 부분만을 다공질화하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경질체)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얻은 구조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신장 부분을 가진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a는 손발톱의 양측의 측연부를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1조(組)의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신장 부분을 가진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내는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a는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4b는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5a는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5b는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6a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6b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7a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7b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8a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의 7일 후에 있어서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8b는 실시예 1의 제2 치료일의 7일 후에 있어서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9a는 실시예 2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19b는 실시예 2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0a는 실시예 2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0b는 실시예 2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1a는 실시예 2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1b는 실시예 2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2a는 실시예 2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2b는 실시예 2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3a는 실시예 3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3b는 실시예 3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4a는 실시예 3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4b는 실시예 3의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5a는 실시예 3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5b는 실시예 3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6a는 실시예 3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도 26b는 실시예 3의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입조(陷入爪)에 의한 창상(創傷)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側爪甲緣)을 따라서 손발가락(指)에 장착되는 반창고(絆創膏) 구조체에 있어서,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
을 가지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해당 슬라이드홈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만,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로, 손발가락의 근원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선단부라고 정의하고, 손발가락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후단부라고 정의하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해당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 및 바람직한 여러 형태를 열거한다.
1.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
을 가지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해당 슬라이드홈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만,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로, 손발가락의 근원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선단부라고 정의하고, 손발가락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후단부라고 정의하고,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해당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2. 창상 밀착부 영역이 연질체로 되고, 가이드부 영역이 경질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에 기재된 구조체.
3. 창상 밀착부 영역을 위한 연질체가, 하이드로겔체, 거즈, 직포, 부직포, 탈지면체, 고무체, 발포 폴리우레탄체, 스펀지체, 섬유체,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 및 다공질 구조 및/또는 요철 구조에 의해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재료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가이드부 영역을 위한 경질체가, 가요성이 낮은 수지체, 가요성이 낮은 금속체, 경질 펄프체, 유리체, 석재체, 및 세라믹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2에 기재된 구조체.
4. 창상 밀착부 영역이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조체.
5.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손발가락에의 장착을 용이하게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조체.
6.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로부터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 부분을 더 가지고, 해당 신장 부분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했을 때에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항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조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반창고 구조체이며,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
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창고 구조체」란 용어는, 함입조에 의한 손발가락의 창상에 밀착해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구조 영역과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함입조 창상에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 영역을 가지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창고 구조체」란 용어는, 예를 들어, 「의료용 패드 구조체」등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창상」이란 용어는, 체표 조직 및/또는 그 주변 조직의 손상 및/또는 병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창상」은, 염증 및/또는 체액 삼출을 수반하는 것 이거나, 그렇지 않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한 체표 조직 및/또는 그 주변 조직의 손상(예를 들어, 화상, 화상, 타박상, 찰과상)이나 병변의 치료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그 어떠한 부분(본체 부분, 및/또는, 본체 부분으로부터의 확장 부분)에 대해서도, 반창고 구조체를 환자의 손발가락이나 손발톱에 유지하기 위한 점착성 표면을 가져도 상관없고, 가지지 않아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와 그것과 인접하는 창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이 손발톱의 측연부를 수용한 상태이며, 또는, 창상 밀착부 영역 (i)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창상 부위에 밀착한 상태로 안정되므로, 해당 구조체를 환자의 손발가락이나 손발톱에 유지하기 위한 점착성 표면을 가져도 가지지 않아도,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환자의 손발가락에 안정하게 보지(保持)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이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를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즉, 측조갑연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써, 및/또는,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이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를 수용하고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써, 창상 밀착부 영역 (i)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창상 부위에 확실히 가이드 하는 기능을 가진다.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은, 그 기능의 관점으로부터, 「가이드홈」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 (i)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은,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의 기능에 의해, 함입조에 의한 창상 부위까지 확실히 가이드 되어 창상 부위에 밀착해 안정하게 보지(保持)되어 창상에의 치유 촉진 효과나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 (i)과 가이드부 영역 (ii)과의 연계에 의해 뛰어난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해당 슬라이드홈은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해당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만, 해당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로, 손발가락의 근원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선단부라고 정의하고, 손발가락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의 단부를 그 후단부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기본적인 여러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본체 부분은, 대체로, 대략 로드(rod) 모양(즉, 로드(rod) 모양, 원기둥 모양, 원뿔 모양, 각기둥 모양, 각뿔 모양이나 그것들에 유사한 형상)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함입조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기구이므로, 치료 기구로서의 성능과 안전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실시형태의 형상으로서는, 특정의 형상에는 특별히 구애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반창고 구조체를 적용하는 개개의 증례에 따라서, 성능과 안전성의 관점, 및, 경제성의 관점으로부터, 가장 적합한 형상으로 제작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 (i)과 가이드부 영역 (ii)의 상호의 위치 관계는, 치료해야 할 창상의 위치나 상태나 치료의 요구 사항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 사항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 (i)과 가이드부 영역 (ii)의 상호의 위치 관계의 대표 예의 개략 측면도를 도 1a~도 1l에 나타낸다. 도 1a~도 1l 에 있어서, 참조 번호 1은 반창고 구조체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A는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B는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2는 창상 밀착부 영역 (i)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3은 가이드부 영역 (ii)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3A는 가이드부 영역 (ii)의 슬라이드홈(파선으로 표시)을 나타낸다.
도 1a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1b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거의 전부(선단부(1A)측 말단 부분과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1c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을 제외한 부분(선단부(1A)부근의 영역과 후단부(1B)부근의 영역)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c에 나타나듯이, 가이드부 영역(3)은 단속적으로 존재하여도 무방하다(즉, 복수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도 1d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e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선단부(1A)측의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f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후단부(1B)측의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g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측의 영역이 가이드부 영역(3)만으로 구성되고 반창고 구조체(1)의 후단부(1B)측의 영역이 창상 밀착부 영역(2)만으로 구성되고 있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선단부(1A)측의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h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후단부(1B)측의 영역이 가이드부 영역(3)만으로 구성되고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측의 영역이 창상 밀착부 영역(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후단부(1B)측의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i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이 가이드부 영역(3)만으로 구성되고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부근의 영역과 후단부(1B)부근의 영역이 창상 밀착부 영역(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해당 중간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j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거의 전부(선단부(1A)측 말단 부분과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1k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을 제외한 부분(선단부(1A)부근의 영역과 후단부(1B)부근의 영역)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거의 전부(선단부(1A)측 말단 부분과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1l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연장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에만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도 1a~도 1l에 예시되듯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의 자유도가 높고, 치료해야 할 창상의 위치나 상태나 치료의 요구 사항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조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ㆍ즉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는 도 1a~도 1l에 예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가능한 한, 보다 다양한 위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지(指)에 장착한 후의 시점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각각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상태인 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손발가락(指)에의 장착 전과 후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에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이 변화해도 상관없고, 변화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의 기능에 의해, 해당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된다. 본 발명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손발가락에의 장착 방법은, 함입조 상태나, 함입조에 의한 창상 상태, 환자의 손발가락이나 손발톱(爪)의 형태 등, 개개의 증례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를 손발가락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따라서 삽입하고, 슬라이드홈(3A)을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근본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방법의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3A)을 손발가락의 측연부측으로부터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으로 끼워 넣도록 삽입하고(이 때, 슬라이드홈(3A)이, 슬라이드홈(3A)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슬라이드 한다), 그리고 소망에 의해 더욱, 슬라이드홈(3A)을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근본 방향이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에 할 수 있는 주된 동작의 예로서는, (1) 슬라이드홈(3A)을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근본 방향 또는 손발톱의 선단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동작, (2) 슬라이드홈(3A)을, 슬라이드홈(3A)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동작, 및, (3) 슬라이드홈(3A)을 손발톱의 두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동작의 3 종류의 동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필요에 따라서, 또는, 소망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 장착 후, 또는 떼어낼 때, 필요에 따라서, 또는, 소망에 의해,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 및/또는 손발톱의 3 차원의 어느 방향으로 작동시켜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와 그것과 인접하는 창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이 손발톱의 측연부를 수용한 상태이며, 또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창상 부위에 밀착한 상태로 안정하게 보지(保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2), 및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3A)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3)을 가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는 대략 로드(rod) 모양의 전체적인 형상과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드홈(3A)(C자형의 안쪽 공간)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의 사이의 거리의 전부에 걸쳐서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로, 손발가락의 근원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1)의 단부를 그 선단부라고 정의하고, 손발가락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해당 구조체(1)의 단부를 그 후단부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만일, 예를 들어, 도 2의 우측에 위치하는 반창고 구조체(1)의 단부를 손발가락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에 따라서 삽입하고 손발톱의 근원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경우, 해당 단부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 간주되고, 다른 단부가 후단부(1B)로 간주된다. 물론, 도 2의 좌측에 위치하는 반창고 구조체(1)의 단부를 손발가락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따라서 삽입하고 손발톱의 근원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경우, 해당 단부가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로 간주되고, 다른 단부가 후단부(1B)로 간주된다. 반창고 구조체(1)의 양단부의 어느 것을 선단부(1A) 또는 후단부(1B)로 할지는,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여러 가지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단면에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나타나는 경우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의 대표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도 3a~도 3r에 나타낸다.
도 3a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b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대체로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가이드부 영역(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테두리 부분(3b)을 커버하는 2개의 테두리 부분(2B)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c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의 단면 형상이 2개의 대략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d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e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U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f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J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g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h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상하의 2점으로 결합하고 있지만, 상호간에 간격(G)을 가진다.
도 3i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상하의 2점으로 결합하고 있지만, 상호간에 간격(G)을 가진다.
도 3j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은 상하의 2점으로 결합하고 있지만, 상호간에 간격(G)을 가진다.
도 3k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l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m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의 단면 형상이 2개의 대략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n의 모양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쪽 모두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밀착하고 있다.
도 3o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하트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가이드부 영역(3)의 전체에 밀착해 덮고 있다.
도 3p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가이드부 영역(3)의 전체에 밀착해 덮고 있다.
도 3q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서로 밀착하고 있어,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일부가 가이드부 영역(3)의 개구부를 통하여 반대측(슬라이드홈(3A)의 측)에 돌출하고 있다.
도 3r의 모양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시그마(Σ) 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이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서로 밀착하고 있다.
상기 간격(G)은, 기밀 및/또는 액밀하게, 밀폐되고 있어도 상관없고, 밀폐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한, 간격(G)은, 유체(예를 들어, 물, 체액, 액상 약제, 공기, 불활성 가스 등), 젤리 형상 물질, 분립체, 및/또는,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연질체(軟質體)(후술)의 1종 또는 2종 이상 등을 수용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0.01~10.0 mm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05~5.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 mm의 범위내이다. 가이드부 영역(3)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0.01~8.0 mm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05~4.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 mm의 범위내이다. 간격(G)의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0.1~5.0 mm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2~3.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2.0 mm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같아도 무방하고, 달라도 무방하다.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다른 경우는, 예를 들어, 도 3a~도 3r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단면 형상 중 2개 이상의 조합을 가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도 3a~도 3r에 예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보다 다양한 단면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후의 시점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각각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상태인 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전과 후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에, 해당 단면에 있어서의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이 변화하여도 무방하고, 변화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여러 가지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의 대표 예의 개략 측면도를 도 4a~도 4h에 나타낸다.
도 4a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직경이 변화하지 않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도 4b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후단부(1B)로부터 선단부(1A)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후단부(1B)로부터 선단부(1A)를 향한 테이퍼(taper)를 가지는 형상이다.)
도 4c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선단부(1A)측 말단 부분이 선단을 향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직경이 감소하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선단부(1A)가 테이퍼(taper)를 가지는 형상이다.)
도 4d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를 향한 테이퍼(taper)를 가지는 형상이다.)
도 4e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이 선단으로 향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직경이 감소하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후단부(1B)가 테이퍼(taper)를 가지는 형상이다.)
도 4f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선단부(1A)측 말단 부분과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의 양쪽 모두가 각각의 선단을 향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직경이 감소하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선단부(1A)와 후단부(1B)의 양쪽 모두가 테이퍼(taper)를 가지는 형상이다.)
도 4g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선단부(1A)측 말단 부분과 후단부(1B)측 말단 부분의 양쪽 모두에 구형상의 부푼 부분을 가지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바꾸어 말하면, 덤벨 형상이다.)
도 4h의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형상은, 선단부(1A)와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에 구형상의 부푼 부분을 가지는 대략 로드(rod) 모양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용이성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가 테이퍼(taper)를 가지는 모양, 즉, 예를 들어, 도 4b, 도 4c, 도 4f에 나타나는 모양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장착 용이성은 반드시 선단부(1A)의 형상만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치료해야 할 창상의 위치(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의)나 상태, 반창고 구조체(1)에 이용되는 재료,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을 실시하는 시술자의 주관 등, 다양한 요인과도 관련한다. 따라서, 반창고 구조체(1)의 전체적인 형상은 종합적 판단에 근거하여 적당하게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반창고 구조체(1)가 어떠한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서도, 함입조의 치료에 관한 통상의 지식과 경험을 가지는 시술자라면, 환자의 손발가락으로 용이하고 올바르게 장착하여,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대한 즉효적 치료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4a~도 4h에 예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보다 다양한 전체적인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손발가락으로의 장착의 전후의 어느 쪽이라도, 평평한 형상이나 플레이트 형상이나 시트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을 도 5a에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내는 모양에서는, 함입조(N)를 가지는 손발가락(F)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Ns)을 따라서 장착한 반창고 구조체가, 손발톱의 측연부(Ns)와 그것과 인접하는 창상 부위(Fi)(2점쇄선으로 표시)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이 손발톱의 측연부(Ns)를 수용한 상태이고, 또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창상 부위(Fi)에 밀착한 상태로 안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다른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을 도 5b에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내는 모양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모양과 같은 구조에서 나아가,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창상 부위(Fi)의 영향으로 생긴 육아(肉芽)(Fg)를 가려 보호하기 위한 확장 부분(2C)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또 다른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개략 부분 단면을 도 5c에 나타낸다. 도 5c에 나타내는 모양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모양과 같은 구조에서 나아가,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유지하기 위한 확장 부분(1E)을 가지고 있다. 확장 부분(1E)은, 손발가락의 형상과 형상 변화에 추종 할 수 있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 부분(1E)는, 예를 들어, 손발가락에 밀착하기 위한 부분에 점착성 표면을 가지는 테이프나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a의 개략 부분 단면과 도 5b의 개략 부분 단면과 도 5c의 개략 부분 단면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방이 나타나 있지만,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치료해야 할 창상 부위(Fi)에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밀착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방이 나타나 있어도 되지만, 그 필요성은 없고, 어느 일방만 나타나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도 1a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방이 연장되어 있으므로, 도 1a에 나타내는 모양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모든 단면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양방이 나타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c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 사이의 중간 영역에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존재하지만, 가이드부 영역(3)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 1c에 나타내는 모양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해당 중간 영역에서의 단면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만이 나타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i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1A)로부터 후단부(1B)의 사이의 중간 영역에는 가이드부 영역(3)은 존재하지만, 창상 밀착부 영역(2)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 1i에 나타내는 모양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손발가락과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해당 중간 영역에서의 단면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만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연질체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 영역(3)이 경질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연질체의 예로서는, 하이드로겔체, 거즈, 직포, 부직포, 탈지면체, 고무체, 발포 폴리우레탄체, 스펀지체, 섬유체,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 및 다공질 구조 및/또는 요철 구조에 의해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재료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가이드부 영역(3)을 위한 경질체의 예로서는, 가요성이 낮은 수지체, 가요성이 낮은 금속체, 경질 펄프체, 유리체, 석재체, 및 세라믹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은 함입조에 의한 손발가락의 창상에 밀착하여 치유 촉진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연성 표면」은, 「치유 촉진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표면」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창상 밀착부 영역(2)을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의 반창고나 의료용 패드 등, 이른바 창상 피복재(드레싱재)와 적어도 동일한 정도의 가요성이나 유연성이나 연질성이나 쿠션성이나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액 흡수ㆍ저장성」이란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연질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질체」란, 가요성, 유연성, 연질성, 쿠션성, 및 체액 흡수ㆍ저장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질을 가지고, 함입조에 의한 손발가락의 창상에 밀착하여 치유 촉진 효과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재료체를 의미한다. 통상의 반창고나 의료용 패드 등, 이른바 창상 피복재(드레싱재)로서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체는,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질체」로서 사용 가능하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바람직한 연질체의 예로서는, 하이드로겔체, 거즈, 직포, 부직포, 탈지면체, 고무체(천연 고무체 및 합성고무체), 폴리우레탄체, 발포 폴리우레탄체, 스펀지체(천연 스펀지체 및 인공 스펀지체), 지체(식물 섬유나 그 외의 섬유를 교착시켜 제조한 가요성이 높은 시트체), 섬유체, 식물 섬유체, 수지 섬유체, 유리 섬유체, 탄소섬유체, 금속 섬유체,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 및 가요성의 높은 금속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연질체의 또 다른 예로서는,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에 근거하는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지는 재료체를 들 수 있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지는 이러한 재료체는, 통상, 모세관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체이다.
이러한 연질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무방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상기 연질체의 적어도 2 종류로부터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최외층이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제공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의 해당 적층 구조에 있어서의 각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0.01~10.0 mm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05~5.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 mm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무공(無孔)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고, 유공(有孔) 구조를 가져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 및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연질체는,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고. 또한,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에 근거하는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다공질 구조와 요철 구조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연질체는, 재료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연질체가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면, 창상과의 유연한 밀착성이 높아지고, 또한, 창상을 체액에 의해 습윤 환경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창상을 치유 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해당 연질체가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해당 연질체가 모세관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체이거나, 또는 흡수능이 높은 분자 구조를 가지는 재료체이면 상관없다.
모세관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체의 예로서는, 다공질 구조체, 요철 구조체(예를 들어, 단수 또는 복수의 미세한 홈을 가지는 구조체), 섬유체, 섬유 집합체, 직포, 부직포, 및 메쉬체를 들 수 있다. 모세관 현상을 나타내는 재료체로서의 다공질 구조체의 예로서는 발포 폴리우레탄체를 들 수 있고, 발포 폴리우레탄체를 가지는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창상 피복재(드레싱재)의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폼ㆍ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영국의 Smith & Nephew 의 일본 법인인 스미스ㆍ앤드ㆍ네퓨운드마네지먼트 주식회사제의 「하이드로 사이트」(Hydrosite)(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와 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구조체(구체적으로는 메쉬 시트와 부직포 시트)를 포함한,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창상 피복재의 예로서 일본의 주식회사 타마미츠 메디칼제의 「프라스모이스트」(Plusmoist)(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흡수능이 높은 분자 구조를 가지는 재료체는 의료 업계에서 많이 알려져 있어 본 발명에서는, 편의적으로, 그것들을 총칭해 「하이드로겔체」라고 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체」란 용어는, 이른바 「습윤 요법」에 있어서 습윤 환경의 형성에 이용되는, 친수성 및/또는 흡수성을 나타내는 분자 구조를 가지는 모든 고분자체류를 총칭하는 것이다. 물이나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능력의 크기(즉, 보다 대량의 물이나 체액을, 보다 안정하게 흡수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능력)란 관점에서는 하이드로겔체가 바람직하다. 하이드로겔체는 물이나 체액에 의해 팽윤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이드로겔체는 팽윤율(%)이 매우 높은(약 110 ~ 약 1,000%)(상기 팽윤율은, (겔의 팽윤 후의 체적/겔의 팽윤 전의 체적)x100의 계산식에서 얻을 수 있는 값으로 해서 정의된다). 하이드로겔체의 팽윤율(%)은 매우 높기 때문에,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 팽윤하고 있지 않는 상태의 하이드로겔체를 이용하면,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시에 창상 밀착부 영역(2)의 두께가 작아도, 장착 후에 체액을 흡수해 팽윤하는 것으로써 체적이 큰폭으로 증가하고, 창상에의 밀착도가 높아지고, 또한,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밀어 올려 함입조를 교정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이상적인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창상 치유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재료로서 하이드로겔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재료로서 하이드로겔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의 방법이나 모양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전의 시점에서,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의 하이드로겔체는, 팽윤하고 있지 않는 상태라도 무방하고, 팽윤한 상태라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 하이드로겔체를 이용하는 경우,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상기 한 두께 범위는, 팽윤 후의 값을 가리킨다.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전의 시점에서,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의 하이드로겔체가 팽윤하고 있지 않는 상태인 경우, 그 시점에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으로서 기능하는 표면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그러한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후에 하이드로겔체가 체액을 흡수해 팽윤하는 것으로써,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충분히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은,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전의 시점에서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고,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후에 생성하여도 된다.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에의 장착 전의 시점과 후의 시점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창상 밀착부 영역(2)으로서의 하이드로겔체를 팽윤시키기 위해서는, 체액을 이용해도 무방하고, 체액 이외의 수성 액체를 이용해도 무방하고, 비수성 액체(예를 들어 에탄올)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하이드로겔체는, 통상의 반창고나 의료용 패드등의 창상 피복재(드레싱재)에 있어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체의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콜로이드ㆍ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아메리카 합중국의 ConvaTec Inc. 의 일본 법인인 콘바텍크재팬 주식회사제의 「듀오 액티브」(Duoactive)(등록상표), 덴마크국의 Coloplast A/S 의 일본 법인인 코로프라스트 주식회사제의 「컴필」(Comfeel)(등록상표), 아메리카 합중국의 3M Company 의 일본 법인인 스리엠 재팬 주식회사제의 「테가담」(Tegaderm)(등록상표), 및 일본의 닛토 메디칼 주식회사제의 「아브소큐아」(Absocure)(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체의 또 다른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폴리머·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아메리카 합중국의 Johnson & Johnson 의 일본 법인인 존슨ㆍ엔드ㆍ존슨 주식회사제의 「티에이르」(Tielle)(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체의 또 다른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섬유성 드레싱재」나 「하이드로 섬유 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영국의 Smith & Nephew 의 일본 법인인 스미스ㆍ앤드ㆍ네퓨운드마네지먼트 주식회사제의 「듀라파이바」(Durafiber)(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체의 또 다른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하이드로 젤·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영국의 Smith & Nephew 의 일본 법인인 스미스ㆍ앤드ㆍ네퓨운드마네지먼트 주식회사제의 「인트라사이트콘포마브르드렛싱」(Intrasite Conformable Dressing)(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매우 적합한 의료용 하이드로겔체의 또 다른 예로서는, 의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긴산염드레싱재」로서 주지의 제품, 예를 들어, 아메리카 합중국의 ConvaTec Inc. 의 일본 법인인 콘바텍크재팬 주식회사제의 「카르트스탓트」(Kaltostat)(등록상표), 및 일본의 알케아 주식회사제의 「소 부산」(Sorbsan)(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상기에 예시한 시판되는 의료용 하이드로겔체 가운데, 「인트라사이트콘포마브르드렛싱」(등록상표) 이외의 것은, 모두, 초기 상태에서는 팽윤되지 않고, 창상에의 적용 후에, 창상으로 삼출하는 체액으로 팽윤하는 타입이다. 「인트라사이트콘포마브르드렛싱」(등록상표)은, 물로 팽윤시킨 하이드로 겔(젤리 형상)을 부직포 거즈에 함침시켜서 되는 드레싱재이며, 즉, 초기 상태에서 팽윤하고 있는 타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a~도 3r에 나타나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후의 시점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이 각각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상태인 한, 예를 들어, 창상 밀착부 영역(2)이 가이드부 영역(3)의 전체를 가리고 있어도 무방하다(도 3o과 도 3p참조). 또한, 창상 밀착부 영역(2)은, 예를 들어, 가이드부 영역(3)에 있어서의 테두리 부분이나 각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 등,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가 손발가락에 장착 중이나 장착 후에 손발가락의 육부(肉部)(연부 조직)에 비교적 날카로운 각도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만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도 9 참조).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제작하는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하는 소재나 소망한 형상에 따른 공지의 가공 방법을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공지의 가공 방법의 예로서는,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성형(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 절곡,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세라믹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소망한 형상으로 소결 하는 방법,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공지의 방법(다이캐스트법, 프레스법, 사형주물법, 단조법,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 분말야금법 등)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3D 프린터에 의한 조형(적층 조형법)을 이용해도 무방하고, 3D 플로터에 의한 조형(절삭 조형법)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표면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표면 형상의 예로서는, 평면 형상, 곡면 형상, 구면 형상, 요철 형상, 규칙적 형상, 불규칙적 형상,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의 예로서는,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호형상, 규칙적 형상, 불규칙적 형상, 물결치는 형상, 지그재그 형상,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연질체로서의 금속 섬유체나 가요성의 높은 금속체의 금속의 예로서는, 생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면 특별하게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동, 금, 백금, 페러디엄, 인지움, 이리듐, 철, 주석, 코발트, 크롬, 니켈, 티탄,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합금의 예로서는, 은합금, 금은 페러디엄 합금, 금 합금, 도재 인화용 합금, 코발트 크롬 합금, 니켈 크롬 합금, 및 티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연질체로서의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의 예로서는, 합성 수지 재료(이하, 종종 「플라스틱 재료」라고 칭한다)로 이루어지는 튜브체나, 해당 튜브체의 측벽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C자형 모양이나 U자형 모양이나 원호 형상(반원호 형상 등)이나 대략 원호 형상(대략 반원호 형상 등)이나 L자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재료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발 과정에 있어서의 본 발명자의 의외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해당 튜브체나 그것을 상기와 같이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재료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단지 그 자체의 가요성을 발휘하는 것만이 아니고, 가이드부 영역(3)과의 사이의 물리적ㆍ역학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치료해야 할 창상에 대해서, 반창고 구조체 전체적으로는 창상 밀착부 영역(2) 그 자체에 내재된 것 보다도 뛰어난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ㆍ쿠션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 튜브체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우레탄계 수지, 나일론, 나일론 일래스터머, 폴리아미드, 초산 테니테(tenite acetate),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등), 아크릴계 수지, 폴리 에테르 술폰 수지(PES), 폴리페닐 술폰 수지(PPSU), 및 일반적으로 의료 분야에서 생체에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분자체 종류 전반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상관없고, 조합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미국 BASF Corporation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C)인 Styrolux(등록상표) 684d, 미국 Cyro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 베이스의 다중 폴리머인 Cryro(등록상표) R40(아크릴 베이스), 미국 SABIC Innovative Plastics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Lexan KR01, 미국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인 K-resin(등록상표), 일본국의 전기화학공업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메치르메타크리르산브타지엔스치렌타포리마인 TP-UXS(MMBS)(상품명), 한국 Samsung Cheil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인 Starex(등록상표) 5010, 캐나다국 NOVA Chemicals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 메틸 메타크릴산 폴리머(SMMS)인 Zylar(등록상표) 220및 Nas(등록상표) 30, 및 미국 Toray Resin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인 Toyolac 920(투명한 ABS)을 들 수 있다. 2 종류 이상의 수지를 혼합해 이용하는 예로서는, ABS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튜브체의 사이즈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외직경이 0.8~10 mm, 내직경이 0.5~5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체로서는, 의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의료용 링겔 튜브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의료용 링겔 튜브로서 매우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시판의 의료용 링겔 튜브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의 니프로 주식회사제의 「니프로 수액 세트」에 포함되는 튜브류, 일본의 데루모 주식회사제의 「펌프용 수액 세트」에 포함되는 튜브류, 및 일본의 주식회사 제이ㆍMㆍ에스제의 「엑기스 텐션 튜브」제품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판되어 있지 않은 특별 사양의 의료용 플라스틱 튜브를 입수하는 것을 소망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의료용 기구의 위탁 제조업자에게 의뢰할 수 있다. 그러한 의료용 기구의 위탁 제조업자의 예로서는, 일본의 주식회사 하기테크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체(또는 해당 튜브체의 측벽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C자형 모양이나 U자형 모양 등의 단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해당 재료체)를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연질체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되는 부분에 유연성과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한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공에 의해, 창상과의 유연한 밀착성이 높아지고, 또한, 창상을 체액에 의해 습윤 환경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창상을 치유 하는 효과가 높아진다. 유연성과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한 가공의 예로서는, 튜브체의 측벽의 적어도 외측 표면을 다공질화하는 것, 및 튜브체의 측벽의 적어도 외측 표면에, 단수 또는 복수의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다공질화하는 경우에는, 구멍의 깊이는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2~4.0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 mm의 범위이다. 구멍끼리의 간격은 0.1~2.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구멍의 배치는 규칙적이어도 무방하고, 랜덤이라도 상관없다. 튜브체의 측벽 내로 연장되는 구멍의 형상은 직선 모양이라도 상관없고, 곡선 모양이라도 상관없다. 구멍은 튜브체의 측벽을 관통해도 상관없고, 관통 하지 않아도 된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구멍의 자세한 것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구멍은 연속 기공이라도 상관없고, 비연속 기공(폐기공) 이라도 상관없고, 연속 기공과 비연속 기공의 조합이라도 상관없다. 미세한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홈의 깊이는 0.1 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02~4.0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 mm의 범위이다. 홈의 길이는 0.1~1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홈끼리의 간격은 0.1~2.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홈의 배치는 규칙적이어도 상관없고, 랜덤이라도 상관없다. 홈은 교차하여도 상관없고, 교차하지 않아도 된다. 홈은 직선이라도 상관없고, 곡선이라도 상관없다. 홈은 튜브체의 측벽을 관통해도 상관없고, 관통 하지 않아도 된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의 자세한 것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질화의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공지의 다공질화 방법의 예로서는, 상분리법, 추출법, 화학적 처리법, 연신법, 조사 에칭법(중성자 선이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다), 융착법, 발포법, 표면 처리, 침상체를 밀어넣는 것에 의한 천공,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성형에 의한 형성법, 레이저 광선에 의한 형성법, 나이프에 의한 형성법, 다이싱에 의한 형성법, 에칭에 의한 형성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창상 밀착부 영역(2)을 위한 연질체로서 이용하는 튜브체(또는 해당 튜브체의 측벽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C자형 모양이나 U자형 모양 등의 단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해당 재료체)의 측벽의 적어도 외측 표면을 다공질화한 상태의 개략 단면도를 도 7a에 나타낸다. 도 7a의 수직 방향이 튜브체의 측면벽의 두께 방향이다. 도 7a 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구멍 부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내는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을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에 결합하여 형성한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7c는, 1개의 재료의 하층 부분(수평에 연장되는 2점쇄선보다 아래의 부분)만을 다공질화하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을 일체로 형성하여 얻은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다공질화를,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연질체로서의, 다공질 구조 및/또는 요철 구조에 근거하는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지는 재료체에 대해서는, 그 재질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 재료체의 재질의 예로서는, 수지, 고무, 금속, 경질 펄프, 목재, 식물 섬유, 셀룰로오스, 유리, 석재, 세라믹 등, 주지의 여러 가지의 재질을 들 수 있다. 해당 다공질 구조의 경우, 구멍의 깊이는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2~4.0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 mm의 범위이다. 구멍끼리의 간격은 0.1~2.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구멍의 배치는 규칙적이어도 상관없고, 랜덤이라도 상관없다. 재료체 내에 연장되는 구멍의 형상은 직선 모양이라도 상관없고, 곡선 모양이라도 상관없다. 구멍은 재료체를 관통해도 상관없고, 관통 하지 않아도 된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구멍의 자세한 것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구멍은 연속 기공이라도 상관없고, 비연속 기공(폐기공) 이라도 상관없고, 연속 기공과 비연속 기공의 조합이라도 상관없다. 해당 요철 구조는, 예를 들어, 단수 또는 복수의 미세한 홈으로 상관없고, 홈의 깊이는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02~4.0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 m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 mm의 범위이다. 홈의 길이는 0.1~10.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홈끼리의 간격은 0.1~2.0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홈의 배치는 규칙적이어도 상관없고, 랜덤이라도 상관없다. 홈은 교차해도 상관없고, 교차하지 않아도 된다. 홈은 직선이라도 상관없고, 곡선이라도 상관없다. 홈은 재료체를 관통하여도 상관없고, 관통하지 않아도 된다.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발휘가능한 한, 홈 등의 요철 구조의 자세한 것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질화의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공지의 다공질화 방법의 예로서는, 상분리법, 추출법, 화학적 처리법, 연신법, 조사 에칭법(중성자 선이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한다), 융착법, 발포법, 표면 처리, 침상체를 밀어넣는 것에 의한 천공,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성형에 의한 형성법, 레이저 광선에 의한 형성법, 나이프에 의한 형성법, 다이싱에 의한 형성법, 에칭에 의한 형성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은, 예를 들어,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를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포함한 동작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창상 부위에 확실히 가이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부 영역(3)을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 목적에 맞는 견고성 및/또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가이드부 영역(3)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경질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질체」란, 저가요성, 저유연성 및 저연질성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성질을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창상 부위에 확실히 가이드 할 수 있는 견고성 및/또는 강성을 발휘하는 재료체를 의미한다. 가이드부 영역(3)을 위한 바람직한 경질체의 예로서는, 가요성이 낮은 수지체, 가요성이 낮은 금속체, 경질 펄프체, 목재체, 유리체, 석재체, 세라믹체, 유리 섬유체, 탄소섬유체, 및 금속 섬유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질체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상관없고, 복수 종류를 조합해 이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 영역(3)이 상기 경질체의 적어도 2 종류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최외층이 슬라이드홈(3A)을 제공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가이드부 영역(3)으로서의 해당 적층 구조에 있어서의 각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0.01~5.0 mm의 범위내이며, 바람직하게는 0.05~2.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mm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가이드부 영역(3)은, 무공(無孔) 구조를 가져도 상관없고, 유공(有孔) 구조를 가져도 상관없다. 가이드부 영역(3) 및 가이드부 영역(3)을 위한 경질체는,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를 가져도 상관없고, 또한,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에 근거하는 체액 흡수ㆍ저장성을 가져도 상관없다. 다공질 구조와 요철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창상 밀착부 영역(2)에 관련하여 상기했던 내용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바람직한 경질체로서의 가요성이 낮은 수지체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의 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플라스틱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우레탄계 수지, 나일론, 나일론 일래스터머, 폴리아미드, 초산 테니테(tenite acetate), 실리콘 고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등), 아크릴계 수지, 폴리 에테르 술폰 수지(PES), 폴리페닐 술폰 수지(PPSU), 및 일반적으로 의료 분야에서 생체에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분자체 종류 전반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상관없고, 조합하여 이용해도 상관없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미국 BASF Corporation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BC)인 Styrolux(등록상표) 684d, 미국 Cyro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 베이스의 다중 폴리머인 Cryro(등록상표) R40(아크릴 베이스), 미국 SABIC Innovative Plastics로부터 입수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인 Lexan KR01, 미국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인 K-resin(등록상표), 일본의 덴키화학공업 주식회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메치르메타크리르산브타지엔스치렌타포리마인 TP-UXS(MMBS)(상품명), 한국 Samsung Cheil Industries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ABS)인 Starex(등록상표) 5010, 캐나다국 NOVA Chemicals로부터 입수 가능한 스틸렌 메틸 메타크릴산 폴리머(SMMS)인 Zylar(등록상표) 220및 Nas(등록상표) 30, 및 미국 Toray Resin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인 Toyolac 920(투명한 ABS)을 들 수 있다. 2종류 이상의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예로서는, ABS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경질체로서의 가요성이 낮은 수지체의 예로서는, 바람직한 연질체로서의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의 예로서 상기한 것과 같은 재료체, 즉,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체나, 해당 튜브체의 측벽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C자형 모양이나 U자형 모양이나 원호형상(반원호 형상 등)이나 대략 원호 형상(대략 반원호 형상 등)이나 L자형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재료체를 들 수 있다. 이 튜브체의 재질이나 사이즈, 및 바람직한 시판품의 예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연질체로서의 가요성이 높은 수지체의 예로서 상기한 튜브체에 관련해 상술한 것과 같다.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의 양방을 같은 종류의 재료체로 구성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개발 과정에 있어서의 본 발명자의 의외의 지견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해당 튜브체나 그것을 상기와 같이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재료체로 이루어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2)은, 단지 그 자체의 가요성을 발휘하는 것 만이 아니고, 가이드부 영역(3)과의 사이의 물리적ㆍ역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치료해야 할 창상에 대해서, 반창고 구조체 전체적으로는 창상 밀착부 영역(2) 그 자체에 내재된 것보다도 뛰어난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ㆍ쿠션성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의 양방을 동일한 종류의 재료체로 구성하여도, 치료해야 할 창상에 대해서, 반창고 구조체 전체적으로는 창상 밀착부 영역(2) 그 자체에 내재된 것보다도 뛰어난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ㆍ쿠션성을 발휘한다.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ㆍ쿠션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의 양방을 동일한 종류의 재료체로 구성하는 경우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는, 예를 들어 도 3h와 도 3i, 도 3j에 나타나듯이, 상호의 사이에 간격(G)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G)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상기한 대로이다.
바람직한 경질체로서의 금속 섬유체 및 가요성의 낮은 금속체의 금속의 예로서는, 생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면 특별하게 제한이 없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동, 금, 백금, 페러디엄, 인지움, 이리듐, 철, 주석, 코발트, 크롬, 니켈, 티탄, 및 그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합금의 예로서는, 은합금, 금은 페러디엄 합금, 금 합금, 도재 인화용 합금, 코발트 크롬 합금, 니켈 크롬 합금, 및 티탄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가이드부 영역(3)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a~도 3r에 나타나는 가이드부 영역(3)과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무방하다. 가이드부 영역(3)을 제작하는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용하는 소재나 소망한 형상에 따른 공지의 가공 방법을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공지의 가공 방법의 예로서는, 수지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성형(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 절곡,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세라믹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소망한 형상에 소결 하는 방법,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공지의 방법(다이캐스트법, 프레스법, 사형주물법, 단조법, 기계적 가공, 레이저 광선에 의한 가공, 분말야금법 등)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코팅법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3D프린터에 의한 조형(적층 조형법)을 이용해도 상관없고, 3D플로터에 의한 조형(절삭 조형법)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가이드부 영역(3)의 표면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 영역(3)의 표면 형상의 예로서는, 평면 형상, 곡면 형상, 구면 형상, 요철 형상, 규칙적 형상, 불규칙적 형상,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이드부 영역(3)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부 영역(3)의 가장자리 부분의 형상의 예로서는,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호형상, 규칙적 형상, 불규칙적 형상, 물결치는 형상, 지그재그 형상,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의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드홈(3A)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도 3a~도 3r에 나타나는 형상으로 상관없다. 또한, 슬라이드홈(3A)의 단면 형상의 또 다른 예로서는, 도 6의(a)~(e)에 나타나는 형상을 들 수 있다. 도 6의(e)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슬라이드홈(3A)의 저부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이 높은 가요성을 가지고, 가이드부 영역(3)이, 슬라이드홈(3A)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절곡(피봇, pivot)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소망에 의해, 가이드부 영역(3)이, 슬라이드홈(3A)의 길이 방향의 축을 횡단하는 방향의 축을 따라 절곡(피봇, pivot)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가이드부 영역(3)이 이와 같이 절곡 가능하면, 반창고 구조체(1)의 구조적 자유도가 증가하므로,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방법의 자유도나, 적용 가능한 증례의 폭이 더욱 커진다. 가이드부 영역(3)을 절곡(피봇, pivot)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는, 창상 밀착부 영역(2)도 그에 따라 절곡(피봇, pivot) 가능하게 구성한다.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이 연장되는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슬라이드홈(3A)이 연장되는 형상의 예로서는, 직선 형상, 곡선 형상, 원호형상, 규칙적 형상, 불규칙적 형상, 물결치는 형상, 지그재그 형상,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셀룰로오스는, 일반적인 셀룰로오스라도 상관없고, 나노 셀룰로오스라도 상관없고, 일반적인 셀룰로오스와 나노 셀룰로오스의 조합이라도 상관없다. 나노 셀룰로오스의 예로서는,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CNF)(폭:약 4~ 약 100 nm, 길이:약 5μm이상), 셀룰로오스 나노 크리스탈(CNC)(폭:약 10~ 약 50 nm, 길이:약 100~ 약 1000 nm), 및, 바크테리아르나노세르로스(BNC)(미생물에 의해 산 생되는 나노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을 서로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결합 방법의 예로서는, 접착, 용착, 용접, 감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c에 나타내듯이, 1개의 재료의 하층 부분(수평에 연장되는 2점쇄선보다 아래의 부분)만을 다공질화하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과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도 7a~도 7c에 나타내는 모양에 있어서는, 다공질화를, 미세한 홈 등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개의 재료의 전체에 다공질 구조 및/또는 (미세한 홈 등의)요철 구조를 주는(단, 해당 재료로서 다공질 구조 및/또는 요철 구조를 주어도 가이드부 영역(3)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견고성 및/또는 강성을 가지는 경질체를 이용한다) 것에 의해, 창상 밀착부 영역(2)(연질체)로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공질 구조와 요철 구조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에 관련해 상기했던 것이 적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창상 밀착부 영역(2)을 형성하는 재료가 액체(즉, 용액, 분산체, 용해체 등)로 제공되는 경우는, 해당 액체를 가이드부 영역(3)의 소망한 개소에 코팅하여 건조 또는 고체화시키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적어도 1개가, 상호의 결합에 유효한 점착성을 가지는 경우는, 그 점착성을 이용해 서로 결합해도 상관없다. 3D프린터에 의한 조형(적층 조형법) 및/또는 3D플로터에 의한 조형(절삭 조형법)을 이용하고,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을 일체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을 서로 접착할 때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접착제의 예로서는, 일본의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의 예로서는, 의료용의 접착제인 일본의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 A 「산쿄」(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인조 손발톱을 자조(自爪)에 접착할 때에 이용되는 소위 「네일 아교」라고 칭해지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일 아교와 함께, 접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액티베이터(경화촉진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네일 아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ibd 5second 네일 아교」(일본국의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고 액티베이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MITHOS 액티베이터」(일본국의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일 형태의 개략 사시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C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부 영역(3)의 양말단부의 외측 표면에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C)를 가져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다른 일 형태의 개략 사시도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는, 가이드부 영역(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테두리 부분과 그 양단의 각 부분에만(즉,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중이나 장착 후에 손발가락의 육부(연부 조직)에 비교적 날카로운 각도로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게만)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배치되어 있는 이외는 도 8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또 다른 일 형태의 개략 사시도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J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부 영역(3)의 1개소의 외측 표면에 창상 밀착부 영역(2)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반창고 구조체(1)도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C)를 가지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모양에서는, 손잡이(1C)가 본체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고, 양자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상술한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는 여러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가능한 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전과 후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에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양자의 형상이 변화하여도 상관없고, 변화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영역(3)이 개구부를 가지는 틀체 모양 구조를 가지고,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개구부를 가리도록 위치하고 있어,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할 때에 창상 밀착부 영역(2)의 해당 적어도 일부가 응력을 받아 해당 개구부를 통과해 반대 측으로 노출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는 손발가락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방법은, 함입조 상태나, 함입조에 의한 창상 상태, 환자의 손발가락이나 손발톱의 형태 등, 개개의 증례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선단부(1A)를 손발가락(F)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Ns)을 따라서 삽입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을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Ns)을 따라서 손발톱(N)의 근본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함입조에 의한 창상(Fi)의 위치까지 가이드 한다(도 5a, 도 5b, 도 5c를 참조).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이용하면, 비록, 치료해야 할 창상(Fi)이 손발톱의 근원 부분(후조곽에 의해 덮여 있어 시인할 수 없다)에 위치하고 있어도,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창상(Fi)까지 확실히 가이드 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밀어 올리는 효과에 의해, 함입조를 교정하는 효과도 발휘하므로, 함입조의 교정을 보조하는 기능도 가진다.
1개의 손발가락에 장착하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1개의 손발가락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2개 이상 동시에 이용해도 상관없고, 이 경우, 해당 2이상 동시에 이용되는 반창고 구조체(1)가 좌우 2개의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 중 한쪽에만 존재해도 상관없고, 2개의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에 나누어 존재해도 상관없다. 1개의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에 존재하는 반창고 구조체(1)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1개의 손발가락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2개 이상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2이상의 반창고 구조체(1) 중 적어도 2개를 서로 접합해도 상관없다. 해당 적어도 2개의 반창고 구조체(1)를 서로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별도의 다리걸이용 부재 등을 개입시켜 접착제 등으로 서로 접합해도 상관없고, 다리걸이용 부재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접합해도 상관없다.
반창고 구조체(1)의 일례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후, 소망에 의해,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톱에 접착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후, 소망에 의해, 손잡이(1C)를 절단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손발톱의 폭방향(즉 손발톱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만곡의 곡율보다 작은 곡율의 만곡 형상을 손잡이(1C)에 갖게 하거나, 또는, 손잡이(1C)를 평판 형상으로 해두어,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후에 손잡이(1C)를 손발톱의 위쪽 표면에 접착하면, 손잡이(1C)가 판용수철과 같이 기능하고,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끌어올리는 응력을 주므로, 함입조를 교정하는 기능을 크게 발휘한다.
함입조가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가 아닌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에 생기고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따라서 장착하여도 상관없다. 함입조가 손발톱의 측연부(측조갑연)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의 양쪽 모두에 생기고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1)의 적어도 2개를 손발톱의 측연부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의 양방을 따라서 장착해도 상관없다.
반창고 구조체(1)의 손발가락으로의 장착 후에,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톱에 접착할 때나, 손잡이(1C)를 손발톱의 위쪽 표면에 접착할 때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접착제의 예로서는, 일본의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등록상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의 예로서는, 의료용의 접착제인 일본의 동아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 A 「산쿄」(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인조손발톱을 자연손발톱에 접착할 때에 이용되는 소위 「네일 아교」라고 칭해지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일 아교와 함께, 접착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activator-(경화촉진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네일 아교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ibd 5second 네일 아교」(일본의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고 activator-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MITHOS activator-」(일본의 주식회사 신와 코퍼레이션제) 등을 들 수 있다.
반창고 구조체(1)가, 도 1d, 도 1f, 도 1h, 도 1i, 도 1l에 나타나는, 선단부(1A)측의 비교적 큰 영역이 창상 밀착부 영역(2)(예를 들어 탈지면체나 스펀지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양의 경우는, 선단부(1A)측의 부위의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의 반창고 구조체(1)의 장착 시에는, 예를 들어, 우선 선단부(1A)측(예를 들어 탈지면체나 스펀지체)을 손발가락(F)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Ns)을 따라서 밀어 넣듯이 삽입하고(도 5a등을 참조), 그 뒤에서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으로 선단부(1A)측을 손발톱의 근원 방향으로 더욱 밀어넣도록 하여 장착한다.
반창고 구조체(1)가, 도 1d, 도 1e, 도 1g, 도 1i, 도 1l에 나타나는, 후단부(1B)측의 비교적 큰 영역이 창상 밀착부 영역(2)(예를 들어 탈지면체나 스펀지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모양의 경우는, 후단부(1B)측의 부위의 가요성ㆍ유연성ㆍ연질성이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의 반창고 구조체(1)의 장착 시에는,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이 후단부(1B)측(예를 들어 탈지면체나 스펀지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을 손발가락(F)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Ns)에 따라서 먼저 삽입하고(도 5a등을 참조), 이 가이드부 영역(3)(경질체)으로 후단부(1B)측(예를 들어 탈지면체나 스펀지체)을 손발톱의 근원 방향으로 견인하듯이 하여 장착한다.
도 12a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반창고 구조체(1)의 후단부(1B)로부터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 부분(1D)을 더 가지고, 해당 신장 부분(1D)은,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했을 때에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홈(미도시)을 가진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손잡이(1C)를 가져도 상관없고, 도 12a에 있어서는 손잡이(1C)를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신장 부분(1D)을 가지는 이 형태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도를 도 12b에 나타낸다. 신장 부분(1D)의 구조나 기능에는 특별하게 한정이 없고, 본체 부분과 같은 구조나 기능을 가져도 상관없고, 갖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신장 부분(1D)이 창상 밀착부 영역(2)을 가져도 상관없고, 갖지 않아도 상관없다. 신장 부분(1D)의 홈은 단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받아 들일 만한 기능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상관없다. 어쨌든, 신장 부분(1D)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받아 들이므로, 손발가락에 장착한 반창고 구조체(1)가 보다 안정하게 보지(保持)된다.
도 13a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손발톱의 양측의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따라서 손발가락에 장착되는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에 있어서, 해당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의 각각의 후단부(1B)의 사이를 다리걸이 하도록 해당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을 더 가지고, 해당 신장 부분(1Da)은, 해당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했을 때에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홈(미도시)을 가진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1Ca)(해당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의 사이를 다리걸이 하는 형상의 것)를 가져도 상관없고, 도 13a에 있어서는 손잡이(1Ca)를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을 가지는 이 모양의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의 개략도를 도 13b에 나타낸다.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의 구조나 기능에는 특별하게 한정이 없고, 본체 부분과 같은 구조나 기능을 가져도 상관없고, 갖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이 창상 밀착부 영역(2)을 가져도 상관없고, 갖지 않아도 상관없다.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의 홈은 단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할 만한 기능을 가지는 것만으로도 상관없다. 어쨌든, 다리걸이 신장 부분(1Da)은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므로, 손발가락에 장착한 1조(組)의 반창고 구조체(1)가 보다 안정하게 보지(保持)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사이즈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즈는, 치료해야 할 창상이 있는 손발가락의 사이즈, 손발톱의 사이즈(특히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의 길이), 치료해야 할 창상의 위치나 상태나 치료의 요구 사항 등에 기초를 두어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측정되는 사이즈는, 0.5~120 mm의 범위내이며, 반창고 구조체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0~6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 mm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에 따라서 측정되는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0.5~120 mm의 범위내이며, 반창고 구조체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2.0~6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20 mm의 범위내이다. (상기 사이즈는 모두, 손잡이(1C)나 신장 부분(1D)을 제외한 본체 부분의 사이즈이다. 다만,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모양과 같이, 손잡이(1C)가 본체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양자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손잡이(1C)를 포함한 사이즈라고 생각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두께(즉,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과 해당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의 양쪽 모두에 직각인 방향에 따라서 측정되는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0.1~30 mm의 범위내이며, 반창고 구조체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1.0~20 mm의 범위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5 mm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두께는, 균일해도 상관없고, 불균일해도 상관없다.
소망에 의해,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의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에 창상의 치유에 기여하는 약제를 적용하여도 상관없다. 적용 방법으로서는, 도포나 함침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약제의 예로서는, 무기계 항균제(술파다이아진은(silver sulfadiazine, SSD) 등), 항생제, 손발톱의 영양제(예를 들어, 수용성 각질, 비타민 H)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약제를 병용 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ㆍ즉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창상의 격렬한 아픔에서도 거의 순간에 또는 몇초 이내에 큰폭으로 완화하여, 몇분에서 수십분 이내에는 아픔은 거의 완전하게 해소한다. 또한, 장착 후에 창상 치유가 급속히 진행되어, 통상, 장착으로부터 약 1주간~ 약 10일 이내의 극히 단기간으로 창상 치유가 완료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치료법에 있어서는,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의 즉효적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즉, 창상의 아픔이 즉석에서 소실하지 않는다) 또한, 중증의 창상의 경우는, 장기간(약 1개월~ 약 2개월 정도)에 걸쳐서 치료를 행하여도 창상의 충분한 치유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또한, 창상의 충분한 치유를 얻으려면 약 2개월~ 약 3개월의 치료 기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당업계에서는 주지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한층 더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0에 나타내는 형상을 가지는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고, 24세의 여성 환자(왼쪽 제일 발가락에 함입조를 가진다)에 대해서 함입조 창상의 치료를 행했다.
1. 반창고 구조체의 재질과 치수
반창고 구조체의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재질로서는 하이드로 겔 시트(일본의 콘바텍크쟈판 주식회사제의 「듀오 액티브 ET」(등록상표))(팽윤전의 두께:0.7 mm)를 이용하고, 가이드부 영역(3)의 재질로서는 ABS 수지를 이용했다. 가이드부 영역(3)의 두께:0.5mm.(이용한 하이드로 겔 시트는, 초기 상태에서는 팽윤 있지 않고, 창상에의 적용 후에, 창상으로 삼출하는 체액으로 팽윤하는 타입이다.)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의 상호의 접착에는, 의료용의 접착제인 일본의 동아합성 주식회사제의 아론 알파 A 「산쿄」(등록상표)를 이용했다.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사이즈는, 10 mm 였다.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서 측정되는 사이즈(손잡이(1C)를 포함한다)는, 14 mm이며, 이 중, 창상 밀착부 영역(2)이 존재하는 부분의 사이즈는 8 mm 였다.
2. 치료 방법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를 손발톱의 선단측으로부터 측조갑연을 따라서 삽입하고, 슬라이드홈(3A)을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근본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을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했다. 반창고 구조체의 전체가 발가락단(free edge)보다 내측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넣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 영역(3) 및 손잡이(1C)와 손발톱의 상측 표면과의 사이에 접착제(일본의 토아 합성 주식회사제 「아론 알파」A 「산쿄」(등록상표))를 흘려 넣어,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톱의 상측 표면에 접착 ㆍ고정했다.
상기 장착 조작을 제1 치료일에 행하였다. 제1 치료일의 7일 후(제2 치료일)에 반창고 구조체를 빼고, 재차 상기와 같은 장착 조작을 행하고, 반창고 구조체를 교환했다. 제2 치료일의 6일 후에, 환자의 입욕중에 반창고 구조체가 자연스럽게 빠지고, 그 다음날(제2 치료일의 7일 후)에 본 발명자가 발가락을 관찰하고, 완치를 확인했다.
3. 치유의 경과의 상세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낸다. 큰 육아(肉芽) 형성, 발적, 종창, 및 동통이 인정되었다. 보행이 곤란했다.
제1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5a와 도 15b에 나타낸다. 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직후에 동통이 소실하고, 보행이 개선했다.
제2 치료일(제1 치료일의 7일 후)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교환)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6a와 도 16b에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약 80%정도의 치유가 인정되었다. 동통은 없고, 보행도 정상적이었다.
제2 치료일(제1 치료일의 7일 후)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교환)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7a와 도 17b에 나타낸다.
제2 치료일의 7일 후에 있어서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다. 약간의 종창이 남는 것 외에는 완치하고 있었다. 제2 치료일의 2~3일 후(즉, 제1 치료일의 9~10일 후)에는 완치하고 있던 것이라고 추정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여, 20세의 여성 환자(왼쪽 제1 발가락에 함입조를 가진다)에 대해서,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과 같은 조작에 의해 함입조 창상의 치료를 행했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본 발명자가 발가락을 관찰하고, 완치를 확인했다.
(치유의 경과의 상세)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19a와 도 19b에 나타낸다. 현저한 동통, 내출혈, 염증, 및 육아(肉芽) 형성이 인정되었다. 보행 곤란했다.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0a와 도 20b에 나타낸다. 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직후에 동통이 소실하여, 보행이 개선했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1a와 도 21b에 나타낸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2a와 도 22b에 나타낸다. 완치하고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여, 27세의 여성 환자(왼쪽 제1 발가락에 함입조를 가진다)에 대해서,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과 같은 조작에 의해 함입조 창상의 치료를 행했다. 단, 실시예 3의 환자는 왼쪽 제1 발가락의 양측의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에 의해 손발가락의 양측으로 창상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서로 선대칭의 형상(바꾸어 말하면 서로 거울 대칭 관계에 있는 형상)을 가지는 2개(1쌍)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했다. 해당 1쌍의 반창고 구조체를 1개씩 손발가락의 양측으로 장착하고, 접착제로 손발톱의 상측 표면에 접착ㆍ 고정하고, 그 때, 양자의 손잡이(1C)를 손발톱의 위쪽 표면에서 서로 포개고, 접착제로 서로 접착ㆍ 고정했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본 발명자가 발가락을 관찰하고, 거의 완치를 확인했다.
(치유의 경과의 상세)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3a와 도 23b에 나타낸다. 손발톱의 결손, 현저한 동통, 내출혈, 염증, 종창, 및 육아(肉芽) 형성이 인정되었다. 보행 곤란했다.
치료일에 있어서의 치료 처치(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4a와 도 24b에 나타낸다. 반창고 구조체의 장착 직후에 동통이 소실하여, 보행이 개선했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내기 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5a와 도 25b에 나타낸다.
치료일의 7일 후에 반창고 구조체를 떼어낸 후의 발가락의 사진을 도 26a와 도 26b에 나타낸다. 거의 완치하고 있었다. 염증 소견이 거의 소실하여, 육아(肉芽) 부분의 표피화가 거의 완성하고 있었다. 다음은 몇일 이내에 자연치유에 의해 완치하는 것이 분명했다.
<비교예 1>
창상 밀착부 영역(2)을 가지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의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기구를 이용하여, 45세의 남성 환자(왼쪽 제1 발가락에 함입조를 가진다)에 대해서, 실시예 1의 제1 치료일과 같은 조작에 의해 함입조 창상의 치료를 행했다. 치료 전의 함입조 창상 상태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였다. 정기적(약 1주간마다)으로 기구의 교환과 환부의 소독을 행하여, 약 2개월 사이에 걸쳐서 치료를 계속했다.
(치유의 경과의 상세)
치료 개시부터 약 2개월 후의 시점에서의 치유의 정도는 약 50%정도였다. 아직 보행이 곤란했다. 기구의 최초의 장착(치료 개시)으로부터 약 1주일 후에는 동통이 약간 완화했지만, 동통은 소실하지 않고, 약 2개월 후의 시점에서도 동통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가이드부 영역(3)의 슬라이드홈(3A)의 기능에 의해, 창상 밀착부 영역(2)의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2A)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확실히 가이드 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를 이용하면, 창상 밀착부 영역(2)과 가이드부 영역(3)과의 연계에 의해, 함입조의 변형의 정도나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의 중증도에 관계없고, 손발톱의 선단 부근의 함입조 창상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효과적ㆍ효율적인 치료의 어려웠던, 손발톱의 근원 부근의 함입조 창상을 확실히 치료할 수 있으므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효과적ㆍ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또한,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아픔을 급속ㆍ큰폭으로 완화하는 것(즉, 즉효적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반창고 구조체는, 측조갑연(손발톱의 측연부)을 밀어 올리는 효과에 의해, 함입조를 교정하는 효과도 발휘하므로, 함입조의 교정을 보조하는 기능도 가진다.
1 반창고 구조체
1A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
1B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
1C 반창고 구조체의 손잡이의 일례(一例)
1Ca 반창고 구조체의 손잡이의 다른 일례
1D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 부분의 일례
1Da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 부분의 다른 일례
1E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보지(保持)하기 위한 확장 부분
2 창상 밀착부 영역
2A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
2B 창상 밀착부 영역이 가이드부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테두리 부분을 커버하는 2개의 테두리 부분
2C 육아(肉芽)를 가려 보호하기 위한 확장 부분
3 가이드부 영역
3A 슬라이드홈
3B 가이드부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테두리 부분
F 환자의 손발가락
Fi 함입조에 의한 창상
Fg 창상의 영향으로 생긴 육아(肉芽)
G 창상 밀착부 영역과 가이드부 영역과의 사이의 간격
N 손발톱
Ns 측조갑연(側爪甲緣, 손발톱의 측연부(側緣部))

Claims (6)

  1. 함입조(陷入爪)에 의한 창상(創傷)을 치료하기 위해서 측조갑연(側爪甲緣)을 따라서 손발가락(指)에 장착되는 반창고(絆創膏) 구조체에 있어서,
    (i) 함입조에 의한 창상에 밀착하기 위한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을 가지는 창상 밀착부 영역, 및
    (ii) 측조갑연을 수용하고 측조갑연을 따라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가이드부 영역
    을 가지고,
    상기 반창고 구조체는 로드(rod)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반창고 구조체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만, 상기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한 상태로, 손발가락의 근원 측에 위치하는 상기 구조체의 단부를 그 선단부라고 정의하고, 손발가락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구조체의 단부를 그 후단부라고 정의하고,
    상기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하면, 상기 창상 밀착용의 유연성 표면이 함입조에 의한 창상의 위치까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이 연질체(軟質體)로 되고, 가이드부 영역이 경질체(硬質體)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을 위한 연질체가, 하이드로겔체, 거즈, 직포, 부직포, 탈지면체, 고무체, 발포 폴리우레탄체, 스펀지체, 섬유체, 수지체, 및 다공질 구조 및/또는 요철 구조에 의해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재료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가이드부 영역을 위한 경질체가, 수지체, 금속체, 경질 펄프체, 유리체, 석재체, 및 세라믹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창상 밀착부 영역이 체액을 흡수하거나 저장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창고 구조체의 손발가락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창고 구조체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반창고 구조체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장 부분을 더 가지고, 상기 신장 부분은, 상기 반창고 구조체를 손발가락에 장착했을 때에 손발톱의 선단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 구조체.
KR1020177009283A 2014-11-10 2015-11-09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 KR102008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8328 2014-11-10
JPJP-P-2014-228328 2014-11-10
JPPCT/JP2015/070539 2015-07-17
PCT/JP2015/070539 WO2016075962A1 (ja) 2014-11-10 2015-07-17 陥入爪による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絆創膏構造体
PCT/JP2015/081434 WO2016076248A1 (ja) 2014-11-10 2015-11-09 陥入爪による創傷を治療するための絆創膏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505A KR20170055505A (ko) 2017-05-19
KR102008591B1 true KR102008591B1 (ko) 2019-08-07

Family

ID=5595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283A KR102008591B1 (ko) 2014-11-10 2015-11-09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419749B2 (ko)
EP (1) EP3219296B1 (ko)
JP (1) JP5992128B1 (ko)
KR (1) KR102008591B1 (ko)
CN (1) CN107205838B (ko)
AU (1) AU2015347807B2 (ko)
BR (1) BR112017009815A2 (ko)
CA (1) CA2964726C (ko)
DK (1) DK3219296T3 (ko)
MX (1) MX2017006154A (ko)
RU (1) RU2717937C2 (ko)
SG (1) SG11201703519RA (ko)
WO (2) WO2016075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3547A (zh) * 2017-02-16 2017-07-28 金华市德仁假肢矫形康复器材有限公司 一种嵌甲矫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154B2 (ja) 2003-05-09 2008-07-02 英一 町田 陥入爪治療具
CN101873840B (zh) 2007-11-23 2012-09-05 波恩德·施托尔茨 用于进行指甲矫正的装置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JP5579913B1 (ja) 2013-11-29 2014-08-27 原田 正則 変形爪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6532A (en) * 1925-05-25 1926-08-17 Haener Frank Ingrowing-toenail appliance
US2499851A (en) * 1947-02-06 1950-03-07 Fredrik N Cronholm Apparatus for curing ingrowing nails and infections caused by said ingrowing nails
US2542324A (en) * 1949-04-15 1951-02-20 Scott W Gibbons Device for relieving and correcting ingrown toenails
US2920621A (en) * 1958-08-06 1960-01-12 Robert F Fettig Means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s
GB928885A (en) * 1959-12-01 1963-06-19 Alexander Ross Fraser A protective toe-nail groove shield
US4057055A (en) 1975-08-22 1977-11-08 Clark John H Toenail appliance and method
JPS5579913A (en) 1978-12-12 1980-06-16 Zink Co John Combustible liquid combustion method
GB8326376D0 (en) * 1983-10-01 1983-11-02 Johnston J G Treating ingrowing toenails
JP2648735B2 (ja) 1995-02-08 1997-09-03 英一 町田 陥入爪矯正具
US5613503A (en) * 1996-02-22 1997-03-25 Penner; Abe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ingrowing toe nails
JP2001161742A (ja) * 1999-12-10 2001-06-19 Cloth Kogyo Kk 創傷保護材
JP3393865B2 (ja) * 2001-06-08 2003-04-07 株式会社ビッグバン 陥入爪の矯正具
IL160552A0 (en) * 2001-09-04 2004-07-25 Trommsdorff Gmbh & Co Kg Plaster for the treatment of dysfunctions and disorders of nails, comprising sertaconazole
US20060189909A1 (en) * 2005-02-24 2006-08-24 Hurley Timothy B Load relieving wound dressing
EP1850819A2 (en) * 2005-02-24 2007-11-07 Diapedia, L.L.C. Load relieving wound dressing and wound healing system
US20070287945A1 (en) 2006-06-07 2007-12-13 Byung Kwon Cha Ingrown toenail treatment method
US8337443B2 (en) 2007-05-11 2012-12-25 Masanori Harada Apparatus for correcting an ingrown nail
EP2221029B1 (en) * 2007-12-05 2016-04-06 Bigbang Co., Ltd. Pincer nail correction tool
US8435200B2 (en) * 2008-12-22 2013-05-07 Masanori Yoshikawa Ingrown nail correcting device
RU88961U1 (ru) * 2009-08-11 2009-11-27 Яко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Герасименко Перевязочный материал
JP2011104231A (ja) 2009-11-20 2011-06-02 Hideo Togawa 陥入爪治療用の溝付プレート装具
JP5776027B2 (ja) 2010-12-13 2015-09-09 英夫 澤木 巻き爪パッド
JP5009434B1 (ja) * 2011-01-31 2012-08-22 株式会社アクトメント 爪矯正具および爪矯正治療セット
JP2013081723A (ja) 2011-10-06 2013-05-09 Tatsu Fujiwara 巻き爪用絆創膏
CN202446313U (zh) 2012-02-09 2012-09-26 烟台扶生堂保健品有限公司 一种嵌甲矫治器
CN203790112U (zh) 2014-01-14 2014-08-2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嵌甲甲沟矫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154B2 (ja) 2003-05-09 2008-07-02 英一 町田 陥入爪治療具
CN101873840B (zh) 2007-11-23 2012-09-05 波恩德·施托尔茨 用于进行指甲矫正的装置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JP5579913B1 (ja) 2013-11-29 2014-08-27 原田 正則 変形爪矯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9815A2 (pt) 2018-05-15
WO2016075962A1 (ja) 2016-05-19
RU2017110682A3 (ko) 2018-10-10
RU2717937C2 (ru) 2020-03-26
CA2964726C (en) 2017-08-15
MX2017006154A (es) 2017-10-24
WO2016076248A1 (ja) 2016-05-19
JP5992128B1 (ja) 2016-09-14
RU2017110682A (ru) 2018-10-10
KR20170055505A (ko) 2017-05-19
DK3219296T3 (da) 2020-06-02
EP3219296B1 (en) 2020-04-01
AU2015347807B2 (en) 2017-11-16
AU2015347807A1 (en) 2017-04-27
SG11201703519RA (en) 2017-06-29
JPWO2016076248A1 (ja) 2017-04-27
EP3219296A1 (en) 2017-09-20
US20170216079A1 (en) 2017-08-03
EP3219296A4 (en) 2018-09-26
CN107205838B (zh) 2021-05-14
US11419749B2 (en) 2022-08-23
CN107205838A (zh) 2017-09-26
CA2964726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2806T3 (es) Dispositivo de terapia de heridas mediante presión negativa
CN106068102B (zh) 支撑设备以及制作和使用支撑设备的方法
US20090099496A1 (en) Pressure bandage with medication delivery system
US10517767B2 (en) Application of kinesiology tape bandage
US20140358058A1 (en) Wound dressing formed with a two-sided adhesive band
JPH06285145A (ja) ヒドロゲルガーゼ
CN106572921B (zh) 两段式伤口敷料组件
US20150305914A1 (en) Multi-layer cast systems and methods
JPH06125974A (ja) ロープ状の創傷装着用品
KR102008591B1 (ko) 함입조에 의한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반창고 구조체
US20140018717A1 (en) Novel medical countermeasure for first responder use in mass casualty thermal and/or radiological burn injury event
TWI590809B (zh) Wound adhesive structure for the treatment of trauma caused by invagination
KR20190020357A (ko) 상처 치료용 패드
CN113164263A (zh) 改进的皮肤替代物的粘附性、可拉伸性和皮肤替代物的顺应性
CA2973527C (en) Kinesiology tape bandage
TWM479720U (zh) 負壓治療水凝膠貼片
AU2013200814B2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US20030199797A1 (en) Plaster cast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