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875B1 -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 Google Patents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875B1
KR102007875B1 KR1020190028227A KR20190028227A KR102007875B1 KR 102007875 B1 KR102007875 B1 KR 102007875B1 KR 1020190028227 A KR1020190028227 A KR 1020190028227A KR 20190028227 A KR20190028227 A KR 20190028227A KR 102007875 B1 KR102007875 B1 KR 10200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buoyancy
tube
enclosure
balan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용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공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공영
Priority to KR102019002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out auxiliary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부력공간인 중공부내에 충진튜브를 이용하여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중공부 내부면으로 충진재의 완벽한 밀착충진이 가능하게 하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는 콘크리트 재질이며 사각체 형상의 함체(10)과, 상기 함체(10) 내부로 부력공간을 갖도록 복수개의 격벽(110) 사이로 형성되는 중공부(11)와, 상기 각 중공부(11)에 설치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충진재(S)에 의해 격벽(110)과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며 충진재(S)가 주입되는 주입구(120)와 주입구를 막는 마개(121)를 갖는 충진튜브(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Floating body for floating bridge}
본 발명은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부력공간인 중공부내에 충진튜브를 이용하여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중공부 내부면으로 충진재의 완벽한 밀착충진이 가능하게 하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浮棧橋)라 함은, 부두에 방주를 연결하여 띄워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람이나 차량 등 운송수단을 이용한 승하선 작업을 하는데 쓰인다. 또한, 배를 붙들어 매도록 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부잔교 함체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알루미늄, 스틸, PE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또는 다양한 형체의 구조물로서, 구조적 효율성을 위하여 내부 공간에는 통상 일정 간격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하게 되며, 중공부는 내부의 공기만으로도 부력이 발생하여 중공부를 빈공간으로 남겨두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함체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종종 균열이 발생하여 중공부 내로 물이 침투하여 함체가 침수되는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형성을 위한 중공부 내부에 경량의 물질로 이루어진 블록을 설치하여 함체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중공부 내로 설치되는 블록은 발포우레탄, 스티로폼 등으로 중공부의 형태와 크기에 맞게 성형되어 중공부 내에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블록은 중공부 내에 설치될 수 있게 성형시 중공부 보다 작게 성형되고 이로 인해 블록과 중공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시 중공부 내벽면이 매끄럽지 않고 불규칙한 단면으로 성형된 경우에도 중공부의 내벽면에 블록의 외측면이 밀착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시 중공부 내로 물이 다시 침투할 수 있게 되어 부력이 다소 감소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19197호(2012.02.15.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675507호(2016.11.07.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의 부력공간인 중공부내에 충진튜브를 이용하여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부력채움이 간편하고 중공부 내부면의 불규칙한 표면에 충진튜브가 밀착되면서 중공부와 충진재 사이의 이격틈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는 콘크리트 재질이며 사각체 형상의 함체(10)과, 상기 함체(10) 내부로 부력공간을 갖도록 복수개의 격벽(110) 사이로 형성되는 중공부(11)와, 상기 각 중공부(11)에 설치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충진재(S)에 의해 격벽(110)과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며 충진재(S)가 주입되는 주입구(120)와 주입구를 막는 마개(121)를 갖는 충진튜브(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함체의 중공부내에 부력채움이 손쉽고 용이하여 제작과정 간편해지고, 충진튜브가 중공부의 내면과 충진재 사이의 이격틈을 완벽하게 메워줌으로써 중공부내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진튜브의 탄성력에 의해 형태변형이 자유로워 중공부의 불규칙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한 부력채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균형수채움공으로 균형수가 자동 공급되어 함체의 전제적인 무게균형을 손쉽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 함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중공부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균형수유지장치 상세도.
본 발명의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는 콘크리트 재질이며 사각체 형상의 함체(10)과, 상기 함체(10) 내부로 부력공간을 갖도록 복수개의 격벽(110) 사이로 형성되는 중공부(11)와, 상기 각 중공부(11)에 설치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충진재(S)에 의해 격벽(110)과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며 충진재(S)가 주입되는 주입구(120)와 주입구를 막는 마개(121)를 갖는 충진튜브(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중공부(1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방수판넬(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0)의 상측 테두리에는 메쉬구조의 보강틀(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0) 내측의 각 모서리에는 내부로 물이 채워지는 균형수채움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균형수채움공으로(13)에는 균형수채움공(13) 내의 균형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21)와, 상기 함체(10)의 외측에서 각 균형수채움공(1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수위센서(21)에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 온/오프 동작하는 전자밸브(23) 및 균형수를 끌어올리는 수중펌프(24)가 연결된 균형수이송관(22)과, 상기 수위센서(21), 전자밸브(23), 수중펌프(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균형수의 공급을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균형수유지장치(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10) 내측의 각 모서리에는 내부로 균형수가 채워지는 균형수채움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균형수채움공(13)에는 함체(10)의 외측에서 각 균형수채움공(1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수중펌프(23A)가 연결된 균형수이송관(21A)과,
균형수채움공(13)내의 균형수 수위에 따라 균형수이송관(21A) 상측에 설치된 볼탑밸브(24A)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볼탑(22A)을 갖는 균형수유지장치(20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 함체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중공부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의 균형수유지장치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는 함체(10), 중공부(11), 충진튜브(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10)은 콘크리트가 소정의 두께로 타설되며 장방형으로 연장된 사각체 형상으로 함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중공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1)는 상기 함체(10)의 내부로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함체(10)의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복수의 격벽(110)이 형성되어 각 격벽(110) 사이에 중공부(11)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중공부(11)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경량 물질로 채워진 블록을 설치하여 함체(10)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함체(10)을 성형시 함체(10)의 내벽면과 격벽(110)의 표면은 균일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요철이 생겨 성형되는 경우가 많아 중공부(11)에 설치되는 블록은 격벽(110)의 표면과 밀착되어 설치되지 못하므로 함체(10)에 균열 발생시 밀착되지 못한 격벽(110)과 블록의 사이로 물이 침투할수 밖에 없고 또한 중공부(11)에 설치되는 블록은 중공부(11)의 크기에 맞게 사전에 제작된 후 중공부(11)에 설치하게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충진튜브(12)는 중공부(11)에 일반적인 블록 설치시 발생하던 문제점을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으로서 각 상기 중공부(11) 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고무재질이고 내부로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게 상측으로 폭이 좁아진 주입구(120)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20)에는 충진이 완료된 충진튜브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마개(121)가 주입구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충진튜브(12)는 일반적인 고무풍선과 같은 형태이거나 중공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형태변형이 자유롭고 용이하여 중공부(11)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충진재(S)의 충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방형 또는 정방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태의 중공부(11) 공간에도 매우 유리한 부력채움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중공부(11)의 내부면인 격벽(110)의 불규칙한 표면에 충진튜브(12)가 밀착되면서 격벽(110)과 충진재 사이에 이격틈이 발생하지 않게 밀착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충진튜브(12)에 충진되는 충진재(S)로는 스티로폼, 발포우레탄, 유동성발포제 등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료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충진튜브(12)를 이용하여 중공부(11)내에 충진재(S)를 충진하는 과정은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함체(10)을 성형시 함체(10)의 바닥과 외측면 및 복수의 격벽(110)을 형성 후 각 격벽(110) 사이에 마련된 중공부(11)에 상기 충진튜브(12)를 이용한 충진재의 충진이 이루어지며, 각 중공부(11)내에 충진튜브(12)를 이용한 충진재(S)의 충진이 완료되면 각 중공부(11)의 상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가압하는 과정을 거쳐 함체(10)의 내측인 각 중공부(11)에 부력재인 충진재(S)의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중공부(11)의 내부면에는 PE재질이며 외표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방수판넬(14)이 중공부(11)의 사방면에 더 설치되어 중공부(11) 내로 해수가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10)은 성형과정에서 재료의 밀도차 등에 의해 무게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해상에서 부유시 좌,우 또는 전,후 균형이 맞지않게 되는 문제가 있어 전체적인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함체(10)의 내측 각 모서리에는 내부에 물(이하, '균형수'라함)이 채워지는 균형수채움공(13)이 형성되며, 상기 균형수채움공(13)에는 균형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균형수가 공급되어 균형수의 일정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센서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균형수유지장치(20) 또는 볼탑에 의해 작동되는 균형수유지장치(20A)가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형수유지장치(20)는 상기 균형수채움공(13) 내에 설치되어 균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센서(21)와, 상기 함체(10)의 외측에서 균형수채움공(1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며 하측으로는 주변의 균형수(해수)를 끌어올리도록 수중펌프(24)가 연결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수위센서(21)에서 감지된 수위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는 전자밸브(23)가 연결된 균형수이송관(22)과, 상기 수위센서(21), 전자밸브(23), 수중펌프(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균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균형수채움공(13) 주변의 미세한 균열부위 또는 자연증발에 의해 균형수채움공(13) 내에 수용된 균형수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수위센서(21)에 의해 균형수의 수위가 자동 감지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수중펌프(24)가 가동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밸브(23)가 개방되어 균형수가 상기 균형수이송관(22)을 통해 균형수채움공(13)으로 설정된 수위까지 자동 공급되고, 설정된 수위까지 균형수가 채워진 후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해 전자밸브(23)가 폐방되고 수중펌프(24)의 가동이 중단되어 균형수의 공급이 자동 중단되게 함으로써 함체(10)의 전체적인 무게균형이 손쉽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균형수유지장치(20A)는 상기 함체(10)의 외측에서 균형수채움공(13)으로 관통되며 하측에 수중펌프(23A)가 연결된 균형수이송관(21A)과 상기 균형수채움공(13) 내에서 상기 균형수이송관(21A)의 상측으로 설치된 볼탑밸브(24A)와 연결되어 균형수의 수위에 따라 볼탑밸브(24A)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볼탑(22A)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균형수채움공(13)내에 채워진 균형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떨어질 경우 균형수에 의해 부유된 상태인 상기 볼탑(22A)이 균형수의 수위에 따라 하강하면서 상측에 연결된 볼탑밸브(24A)를 개방시켜 수중펌프(23A)에서 끌어올려진 균형수가 균형수이송관(21A)을 통해 균형수채움공(13)으로 자동 공급되고, 일정수위까지 균형수가 채워지면 볼탑(22A)이 균형수 수위에 따라 상승하면서 볼탑밸브(24A)를 폐방시켜 균형수의 공급이 자동 중단되게 함으로써 함체(10)의 전체적인 무게균형이 손쉽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 부력공간의 중공부(11)에는 충진튜브(12)에 의해 충진재가 충진되고, 균형수채움공(13) 내의 균형수에 의해 무게균형이 자동 유지되는 상기 함체(10)에는 소정두께를 갖으며 메쉬구조를 이루는 보강틀(15)이 상측의 테두리에 더 설치되어 선박 등의 접안시 받게되는 충격이 보강틀(15)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되면서 외부충격에 의해 함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함체
11-중공부
12-충진튜브
13-균형수채움공
14-방수판넬
15-보강틀
20,20A-균형수유지장치

Claims (5)

  1. 콘크리트 재질이며 사각체 형상의 함체(10)과,
    상기 함체(10) 내부로 부력공간을 갖도록 복수개의 격벽(110) 사이로 형성되는 중공부(11)와,
    상기 각 중공부(11)에 설치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충진재(S)에 의해 격벽(110)과 밀착되도록 고무재질이며 충진재(S)가 주입되는 주입구(120)와 주입구를 막는 마개(121)를 갖는 충진튜브(12)로 구성되되,
    상기 함체(10) 내측의 각 모서리에는 내부로 균형수가 채워지는 균형수채움공(13)이 형성되고, 상기 균형수채움공(13)에는 함체(10)의 외측에서 각 균형수채움공(13)으로 관통되어 설치되고 수중펌프(23A)가 연결된 균형수이송관(21A)과,
    균형수채움공(13)내의 균형수 수위에 따라 균형수이송관(21A) 상측에 설치된 볼탑밸브(24A)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볼탑(22A)을 갖는 균형수유지장치(20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중공부(1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방수판넬(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상측 테두리에는 메쉬구조의 보강틀(1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8227A 2019-03-12 2019-03-12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KR10200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27A KR102007875B1 (ko) 2019-03-12 2019-03-12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27A KR102007875B1 (ko) 2019-03-12 2019-03-12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875B1 true KR102007875B1 (ko) 2019-08-06

Family

ID=6761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27A KR102007875B1 (ko) 2019-03-12 2019-03-12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1A (ja) * 1995-06-20 1997-01-07 Yumi Tomiyama 産業廃棄プラスチックによる浮体構造の製造法
KR101119197B1 (ko) 2011-04-05 2012-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5507B1 (ko) 2016-02-24 2016-11-14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해상부유구조물용 부력체 및 그 제작방법
KR20170138795A (ko) * 2016-06-08 2017-12-18 엄영순 자동 급수 및 수위 조절장치
KR101875877B1 (ko) * 2017-07-04 2018-07-06 주식회사 해양산업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81A (ja) * 1995-06-20 1997-01-07 Yumi Tomiyama 産業廃棄プラスチックによる浮体構造の製造法
KR101119197B1 (ko) 2011-04-05 2012-03-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5507B1 (ko) 2016-02-24 2016-11-14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해상부유구조물용 부력체 및 그 제작방법
KR20170138795A (ko) * 2016-06-08 2017-12-18 엄영순 자동 급수 및 수위 조절장치
KR101875877B1 (ko) * 2017-07-04 2018-07-06 주식회사 해양산업 평형성 보강형 부잔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06B1 (ko) 2020-09-15 2021-03-08 주식회사 대원 해상 부유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556B1 (ko)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102007875B1 (ko) 튜브 부력채움을 이용한 부잔교 함체
KR20060136301A (ko)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101716339B1 (ko)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US3133518A (en) Dry dock lock
KR100939821B1 (ko)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력 유지방법
SE7713292L (sv) Flytbar dubbelveggig tank for forvaring av vetskor
KR101058393B1 (ko) 도크 겸용 작업선
KR20140048763A (ko) 푼툰
JPS6349595A (ja) 簡易浮きドツク
KR100958346B1 (ko) 항만용 스톱로그의 설치 및 제거장치
JPH0514076B2 (ko)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KR20140003793U (ko) 폰툰 조립체
JPH0434121A (ja) ケーソンの設置工法
KR100291982B1 (ko) 내파성 가두리양식장
KR100702676B1 (ko) 선박의 종,횡 접안이 가능한 물양장구조
JPS61162634A (ja) 鋼板セルの沈設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52191A (ja) 浮沈式フロート
US9051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f a mass of water
JP2018135727A (ja) 函体の水中への据付方法及びこの函体の揺動防止用タンク
EP2867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f a mass of water
JP2018201349A (ja) 液中観察装置
KR101716340B1 (ko)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JPS6118591A (ja) 水中作業機械の浮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