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691B1 -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 Google Patents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691B1
KR102007691B1 KR1020180160657A KR20180160657A KR102007691B1 KR 102007691 B1 KR102007691 B1 KR 102007691B1 KR 1020180160657 A KR1020180160657 A KR 1020180160657A KR 20180160657 A KR20180160657 A KR 20180160657A KR 102007691 B1 KR102007691 B1 KR 10200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ibration
transport vehicle
bracke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to KR102018016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5/23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한쌍의 조향바퀴(W1) 및 한쌍의 구동바퀴(W2)를 가지는 이송차량(10)과; 디지털 카메라(C)를 지지하는 로테이터장치(20)와; 이송차량(10)과 로테이터장치(2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30)와; 이송차량(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로테이터장치(20)로 전달되지 않도록 그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Non vibration VR photog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R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로 진동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품질의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이란, Web 3D, 시뮬레이션, 게임, 설계, 교육, 의료, 군사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는 기술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360ㅀ 방향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스티치 가공과정을 거쳐 이어 붙인뒤 구형, 또는 원통형 모양에 덮어씌우는 과정(mapping)을 거쳐, 촬영 지점(nodal point)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회전(rotate), 확대/축소(zoom in/zoom out), 이동(move)하면서 볼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VR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지면에 설치된 삼각대에 로테이터를 고정하고, 로테이터에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한 후 조리개 값, 셔터 스피드, ISO 등을 설정하고, 이후 로테이터가 노달포인트를 축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360ㅀ 회전시켜주면서 촬영을 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9-0118461호에 원샷 파노라마 VR 촬영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잇다.
한편. VR 촬영 기술의 대중화에 따라 촬영범위가 쇼핑몰, 부동산, 모델하우스등의 고정형 영상범위에서, 관광, 여행, 다큐멘터리등의 이동형 영상범위로 넓어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무인 또는 유인 이송차량의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대에 로테이터를 설치하고, 로테이터에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한 상태에서, 이송차량이 이동하면서 VR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는 이송차량의 상부측으로 연장된 지지대에 설치된 로테이터에 탑재되므로, 이송차량이 이동중에 지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은 지지대 및 로테이터를 거치면서 진동폭이 커진 상태로 디지털 카메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가 고품질의 VR 영상을 촬영하는데 장애가 발생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하면서 VR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에, 디지털 카메라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되게 함으로서 고품질의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수 또는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나, 초점거리가 다른 디지털 카메라도 범용적인 적용하여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는,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한쌍의 조향바퀴(W1) 및 한쌍의 구동바퀴(W2)를 가지는 이송차량(10)와; 디지털 카메라(C)를 지지하는 로테이터장치(20)와; 상기 이송차량(10)과 로테이터장치(2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30)와; 상기 이송차량(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로테이터장치(20)로 전달되지 않도록 그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50);를 포함하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50)는, 상기 이송차량(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차량(10)으로 전달되는 좌우측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1진동흡수부(60); 및 상기 지지대(30)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차량(10)의 주행중 인가되는 전후 방향방향의 진동을 동을 흡수하는 제2진동흡수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흡수부(60)는, 상기 이송차량(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테이블(61)과, 상기 지지대(30)를 지지하는 제2테이블(62)과, 상기 제1테이블(61)과 제2테이블(62) 사이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4 개의 댐퍼(63)를 포함하되, 상기 4 개의 댐퍼(63)가 한쌍의 조향바퀴(W1)와 한쌍의 구동바퀴(W2)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댐퍼(63)는, 상기 제1테이블(61)의 모서리측에 고정되는 제1지지단(64)과, 상기 제2테이블(62)의 모서리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단(65)과, 상기 제2지지단(65)에 고정되어 제1지지단(6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박스(66)와, 상기 승강박스(66)의 내측 천정과 제1지지단(64)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7)과, 상기 스프링(67)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단(64)에 지지되는 것으로 권회된 코일(68a) 내측에 코어(68b)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는 전자석(68)과, 상기 스프링(67) 내측에서 상기 전자석(68)의 상부측의 승강박스(66) 천정에 고정되는 자석(69)과, 상기 제1지지단(6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64a)과, 상기 승강박스(66)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턱(64a)에 걸어지는 걸침턱(66a)과, 상기 제2지지단(65)의 상부측에 형성된 볼부(65a)와, 상기 제2테이블(6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부(65a)가 끼어져 지지하는 홈부(6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장치(20)는,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C)가 지지하는 카메라브라켓(21)과; 상기 카메라브라켓(21)을 지지하는 L 브라켓(22)과; 상기 L 브라켓(22)과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되어 그 L 브라켓(22)을 회전시키는 로테이터(23)와; 상기 L 브라켓(22)의 상부측에 설치된 가이더블럭(24)과; 상기 가이더블럭(24)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블럭(25)과; 상기 슬라이더블럭(25)을 상기 가이더블럭(24)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노브(26);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흡수부(70)는,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축부(71)와, 상기 힌지축(H) 하부측에서 상기 축부(71)에 결합되는 추(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VR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에 이송차량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고품질의 VR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지면의 거친 정도에 따라 댐퍼의 댐핑 능력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지면 환경에서도 이송차량(10)이 이동중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진동흡수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진동흡수부를 구성하는 제1진동흡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진동흡수부를 구성하는 제2진동흡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는,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한쌍의 조향바퀴(W1) 및 한쌍의 구동바퀴(W2)를 가지는 이송차량(10)과; VR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C)를 지지하는 로테이터장치(20)와; 이송차량과 로테이터장치(2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30)와; 이송차량(10)에서 발생된 진동을 로테이터장치(20)로 전달되지 않도록 그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40)(50);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차량(10)은 납작한 형태를 가지며 전방측에 한쌍의 조향바퀴(W1)가 설치되고 후방측에 한쌍의 구동바퀴(W2)가 설치된다. 이송차량(10)은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에 의하여 전후좌우 이동이 제어되고, 내부에는 배터리 및 구동모터가 내장된다.
로테이터장치(20)는, VR 파노라마 영상을 얻기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C)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이때 로테이터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의 중앙 축거점을 노달포인트와 일치시킨다. 이러한 로테이터장치(20)는,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C)를 지지하는 카메라브라켓(21)과; 카메라브라켓(2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L" 형태를 가지는 L 브라켓(22)과; L 브라켓(22)을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되어 그 L 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로테이터(23);를 포함한다.
카메라브라켓(21)은 DSLR 급 고급 카메라를 거치하기 위한 복수의 거치고리(21a)가 설치된다. 거치고리(21a)에는 1 대의 디지털 카메라만 지지되고, 복수의 거치고리를 채용함으로써 카메라브라켓(21)은 는 전후좌우측으로 여러대의 디지털 카메라를 지지한다.
로테이터(23)는 L 브라켓(22)을 지지대(3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만약 카메라브라켓(21)에 전후방향만 촬영하는 2 대의 디지털 카메라만 설치될 경우, VR 영상 촬영을 위하여 L 브라켓(22)을 서서히 회전시킨다.
L 브라켓(22)은 로테이터(23)가 L 브라켓(22)을 회전시킬 때, 디지털 카메라(C)의 초점이 노달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L 브라켓(22)에는 관절축(22a)이 형성되어 카메라브라켓(21)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중앙 축거점을 노달포인트에 맞출 수 있다.
지지대(30)는 이송차량(10)과 로테이터장치(20) 사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상일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도 있다.
진동흡수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차량(10)에 설치되어 지지대(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지지대(30)가 끼어지고, 진동흡수부(40)의 내부에는 지지대(30)를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이송차량(10)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진동은 진동흡수부(40)에서 흡수됨으로서, 로테이터장치(20)에 지지되는 디지털 카메라가 선명한 VR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진동흡수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진동흡수부를 구성하는 제1진동흡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진동흡수부를 구성하는 제2진동흡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진동흡수부(50)의 다른 실시예는, 이송차량(10)에 설치되어 지지대(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차량(10)으로 전달되는 좌우측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1진동흡수부(60)와; 지지대(30)에 설치되어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송차량(10)의 주행중 인가되는 전후 방향방향의 진동을 동을 흡수하는 제2진동흡수부(70);를 포함한다.
제1진동흡수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차량(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테이블(61)과, 지지대(30)를 지지하는 제2테이블(62)과, 제1테이블(61)과 제2테이블(62) 사이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4 개의 댐퍼(63)를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댐퍼는 동일 구성을 가진다.
댐퍼(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테이블(61)과 제2테이블(62) 사이에서 4 곳을 지지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진동을 독립적으로 흡수한다. 이러한 4 개의 댐퍼(63)는, 한쌍의 조향바퀴(W1)와 한쌍의 구동바퀴(W2)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4 개의 바퀴(W1)(W2)에 의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독립적으로 흡수한다.
댐퍼(63)는, 제1테이블(61)의 모서리측에 고정되는 제1지지단(64)과, 제2테이블(62)의 모서리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단(65)과, 제2지지단(65)에 고정되어 제1지지단(6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박스(66)와, 승강박스(66)의 내측 천정과 제1지지단(64)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7)과, 스프링(67) 내측에서 제1지지단(64)에 지지되는 전자석(68)과, 스프링(67) 내측에서 전자석(68)의 상부측의 승강박스(66) 천정에 고정되는 자석(69)을 포함한다.
제1지지단(64)의 가장자리에는 단턱(64a)이 형성되고, 승강박스(66)의 하단에는 단턱(64a)에 걸어지는 걸침턱(66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박스(66)는 제1지지단(64)에 대하여 승강되나 분리되지 않는다.
제2지지단(65)의 상부측에는 볼부(65a)가 형성되어 있고, 제2테이블(62)에는 볼부(65a)가 끼어져 지지하는 홈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4 개의 댐퍼(63) 각각이 독립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승강박스(66)가 승강될 때, 각각의 승각박스(66)에 지지되는 제2지지단(65)의 볼부(65a)는 제2테이블(62)의 홈부(62a)에서 전후좌우측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제2테이블(62)의 4 모서리 각각이 진동을 독립적으로 흡수함으로서 이송차량(10)을 통하여 인가되는 좌우 진동은 물론 불특정 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스프링(67)은 승강박스(66)의 내측 천정과 제1지지단(64)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박스(66)를 제1지지단(64)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스프링(67)은 지지단(64)을 통하여 인가되는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여 승강박스(66)가 진동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스프링(67) 내측에서, 전자석(68)이 제1지지단(64)에 지지되고, 승강박스(66) 내측 천정에 자석(69)이 고정되며, 이때 평소 전자석(68)과 자석(69)은 상호 분리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자적(68)은 권회된 코일(68a) 내측에 코어(68b)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코일(68a)에 인가되는 전원 극성에 따라 코어(68b)에 N 극 또는 S 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자석(68)으로 인가되는 전원 극성에 의하여, 코어(68b)는 승강박스(66)에 고정된 자석(69)에 인력을 인가하여 흡착하거나, 척력을 인가하여 반발시키며, 이에 따라 전자석(68)과 자석(69)에 의하여 댐퍼(63)는 3 가지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석(68)의 코일(68a)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석(69)은 전자석(68)의 코어(68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댐퍼(63)는 보통의 댐핑 능력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차량(10)이 이동중에 인가되는 미세한 진동은 스프링(67)에 의하여 흡수된다.
전자석의 코일(68a)에 전원을 인가하여 인력을 발생하는 모드일 경우, 자석(69)은 스프링(67)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전자석의 코어(68b)에 부착되며, 댐퍼(63)는 댐핑 능력을 소실한다.
전자석의 코일(68a)에 반대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여 척력을 발생하는 모드일 경우, 자석(60)은 전자석의 코어(68b)와 반발하고, 또한 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하여 반발한다. 이에 따라 댐퍼(63)는 강한 댐핑 능력을 가지게 된다.
제2진동흡수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의 상단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축부(71)와, 힌지축(H) 하부측에서 상기 축부(71)에 결합되는 추(7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향바퀴(W1) 또는 구동바퀴(W2)가 돌출된 바닥을 지남에 따라 이송차량(1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진동방향), 중력 방향을 향하는 추(72)에 의하여 축부(71)는 수직 방향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로테이터장치(20)에 지지되는 디지털 카메라가 선명한 VR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한편, 로테이터장치(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카메라브라켓(21), L 브라켓(22)과, 로테이터(23)외에, L 브라켓(22)의 상부측에 설치된 가이더블럭(24)과; 가이더블럭(24)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블럭(25)과; 슬라이더블럭(25)을 상기 가이더블럭(24)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노브(2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블럭(25)을 가이더블럭(24)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노브(26)로 고정시키면, 디지털 카메라(C)의 회전축과 노달포인트를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디지털 카메라(C)의 개수가 단수 또는 복수이거나, 디지털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도, 슬라이더블럭(25)을 가이더블럭(24) 상에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어떠한 조건의 디지털 카메라(C)를 이용하여 VR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본원발명의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의 동작을 설명한다.
(a) VR 영상을 촬영하는 장소의 지면이 일반적일 환경의 경우,
제1진동흡수부(60)의 전자석 코일(68a)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모드를 선택하여, 댐퍼(63)가 보통의 댐핑 능력을 가지게 한다. 이 경우 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하여 승강박스(66) 내측 천정의 자석(69)은 전자석(68)의 코어(68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송차량(10)이 이동중에 인가되는 미세 진동이 스프링(67)에 의하여 흡수되어 디지털 카메라(C)로 전달되지 않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VR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b) VR 영상을 촬영하는 장소의 지면이 진동을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매끄러운 환경의 경우,
제1진동흡수부(60)의 전자석 코일(68a)에 인력이 발생되는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 경우 자석(69)은 스프링(67)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전자석의 코어(68b)에 부착되고, 댐퍼(63)는 댐핑 능력을 소실하게 된다.
(c) VR 영상을 촬영하는 장소의 지면이 거칠어 많은 진동이 발생하는 환경의 경우,
제1진동흡수부(60)의 전자석의 코일(68a)에 반대 극성의 전원을 인가하여 척력을 발생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이 경우, 자석(60)과 전자석의 코어(68b) 사이에 척력에 의한 반발력과, 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이 더해지고, 댐퍼(63)는 강한 댐핑 능력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차량(10)으로 전달되는 강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VR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에, 이송차량(10)을 통하여 전달되는 좌우 방향에서의 진동은 제1진동흡수부(60)에 의하여 흡수되고, 조향바퀴(W1) 또는 구동바퀴(W2)가 돌출된 바닥을 지남에 따라 이송차량(1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중력 방향을 향하는 추(72)에 의하여 축부(71)는 수직 방향을 유지하며, 결과적으로 로테이터장치(20)로 좌우 방향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선명한 VR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특히, 지면의 거친 정도에 따라 댐퍼(63)의 댐핑 능력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지면 환경에서도 이송차량(10)이 이동중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이송차량 20 ... 로테이터장치
21 ... 카메라브라켓 21a ... 거치고리
22 ... L 브라켓 23 ... 로테이터
24 ... 가이더블럭 25 ... 슬라이더블럭
26 ... 고정노브 30 ... 지지대
40, 50 ... 진동흡수부
60 ... 진동흡수부의 제1실시예
61 ... 제1테이블 62 ... 제2테이블
62a ... 홈부 63 ... 댐퍼
64 ... 제1지지단 64a ... 단턱
65 ... 제2지지단 65a ... 볼부
66 ... 승강박스 66a ... 걸침턱
67 ... 스프링 68 ... 전자석
69 ... 자석
70 ... 진동흡수부의 제2실시예
71 ... 축부 72 ... 추

Claims (7)

  1.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한쌍의 조향바퀴(W1) 및 한쌍의 구동바퀴(W2)를 가지는 이송차량(10)와; 디지털 카메라(C)를 지지하는 로테이터장치(20)와; 상기 이송차량(10)과 로테이터장치(2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30)와; 상기 이송차량(10)에서 발생된 진동을 상기 로테이터장치(20)로 전달되지 않도록 그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부(50);를 포함하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50)는, 상기 이송차량(1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차량(10)으로 전달되는 좌우측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제1진동흡수부(60); 및 상기 지지대(30)에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차량(10)의 주행중 인가되는 전후 방향방향의 진동을 동을 흡수하는 제2진동흡수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흡수부(60)는, 상기 이송차량(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테이블(61)과, 상기 지지대(30)를 지지하는 제2테이블(62)과, 상기 제1테이블(61)과 제2테이블(62) 사이 모서리측에 설치되는 4 개의 댐퍼(63)를 포함하되, 상기 4 개의 댐퍼(63)가 한쌍의 조향바퀴(W1)와 한쌍의 구동바퀴(W2)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가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댐퍼(63)는, 상기 제1테이블(61)의 모서리측에 고정되는 제1지지단(64)과, 상기 제2테이블(62)의 모서리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단(65)과, 상기 제2지지단(65)에 고정되어 제1지지단(6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박스(66)와, 상기 승강박스(66)의 내측 천정과 제1지지단(64)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7)과, 상기 스프링(67) 내측에서 상기 제1지지단(64)에 지지되는 것으로 권회된 코일(68a) 내측에 코어(68b)가 설치된 구조를 가지는 전자석(68)과, 상기 스프링(67) 내측에서 상기 전자석(68)의 상부측의 승강박스(66) 천정에 고정되는 자석(69)과, 상기 제1지지단(64)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64a)과, 상기 승강박스(66)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단턱(64a)에 걸어지는 걸침턱(66a)과, 상기 제2지지단(65)의 상부측에 형성된 볼부(65a)와, 상기 제2테이블(6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부(65a)가 끼어져 지지하는 홈부(6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장치(20)는,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C)가 지지하는 카메라브라켓(21)과;
    상기 카메라브라켓(21)을 지지하는 L 브라켓(22)과;
    상기 L 브라켓(22)과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설치되어 그 L 브라켓(22)을 회전시키는 로테이터(23)와;
    상기 L 브라켓(22)의 상부측에 설치된 가이더블럭(24)과;
    상기 가이더블럭(24)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되게 지지되는 슬라이더블럭(25)과;
    상기 슬라이더블럭(25)을 상기 가이더블럭(24)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노브(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흡수부(70)는,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힌지축(H)을 중심으로 축결합되어 상부측에서 상기 로테이터장치(20)를 지지하는 축부(71)와,
    상기 힌지축(H) 하부측에서 상기 축부(71)에 결합되는 추(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KR1020180160657A 2018-12-13 2018-12-13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KR10200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57A KR102007691B1 (ko) 2018-12-13 2018-12-13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57A KR102007691B1 (ko) 2018-12-13 2018-12-13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691B1 true KR102007691B1 (ko) 2019-08-06

Family

ID=6761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57A KR102007691B1 (ko) 2018-12-13 2018-12-13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815A (ja) * 1997-11-28 1999-06-18 Ricoh Co Ltd 2台のカメラによる立体写真撮影装置
JP2004297670A (ja) * 2003-03-28 2004-10-21 Hiroo Iwata 移動体用全方位カメラ装置の防振機構
JP2007298594A (ja) * 2006-04-28 2007-11-15 Pentax Corp カメラの防振防水ケー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815A (ja) * 1997-11-28 1999-06-18 Ricoh Co Ltd 2台のカメラによる立体写真撮影装置
JP2004297670A (ja) * 2003-03-28 2004-10-21 Hiroo Iwata 移動体用全方位カメラ装置の防振機構
JP2007298594A (ja) * 2006-04-28 2007-11-15 Pentax Corp カメラの防振防水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19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tabilization and vibration reduction
JP7048011B2 (ja) 撮像装置
CN102798959B (zh) 一种可实现镜头可控倾斜的音圈马达结构
JP2016095485A (ja) レンズ駆動装置、鏡面切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190003212A (ko) 이동형 무진동 vr 촬영장비
KR101919919B1 (ko) 영상 촬영을 위한 무진동 짐벌 장치
CN106210533B (zh) 双相机五视角倾斜摄影实现方法及倾斜摄影装置
CN105791688A (zh) 移动终端及成像方法
WO2020003942A1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CN105915772A (zh) 一种室内全景数据采集小车
CN111963847A (zh) 微型防抖云台
CN205792907U (zh) 一种室内全景数据采集小车
KR102007691B1 (ko) 무빙 무진동 vr 촬영장비
KR102381007B1 (ko) 이중 폴딩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JPS6399680A (ja) 撮影装置
CN213271668U (zh) 微型防抖云台
JP2019020536A (ja) 撮像装置
JP2004297670A (ja) 移動体用全方位カメラ装置の防振機構
CN112946858A (zh) 透镜驱动装置、照相装置及电子设备
JP2004120075A (ja) 撮像装置
KR102393309B1 (ko) 3d 체험교육용 vr 제작방법
CN210725068U (zh) 智能摄影系统
CN212408108U (zh) 微型防抖云台
US20120075487A1 (en) Image apparatus with motion control
KR20160089263A (ko) 자동 수평 유지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