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466B1 - 채유기 - Google Patents

채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466B1
KR102007466B1 KR1020180113077A KR20180113077A KR102007466B1 KR 102007466 B1 KR102007466 B1 KR 102007466B1 KR 1020180113077 A KR1020180113077 A KR 1020180113077A KR 20180113077 A KR20180113077 A KR 20180113077A KR 102007466 B1 KR102007466 B1 KR 10200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crew
coupling
pipe
scre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8011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히터(113)가 내장되며, 하부에 채유공(115a)이 관통형성된 채유관(115)과 상기 채유관(115)의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스크류결합관(117)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채유공간이 관통 형성된 채유몸체(110)와; 상기 채유공간 내부를 회전하며 채유대상을 이송 및 압착하여 기름이 생성되게 하는 스크류부재(130)와; 상기 채유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채유공간을 향해 채유대상을 공급하는 호퍼(120)와; 상기 채유공(115a)에 대응되게 상기 채유관(115)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채유공(115a)을 통해 상기 채유관(115) 외부로 유출된 기름을 기름수집조로 안내하는 기름안내관(140)과; 상기 스크류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구동모터(15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50)의 상부에는 구동축(153)과, 상기 구동축(153)을 상기 스크류부재(130)와 결합시키는 하부커플링(155)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축(153)이 삽입되는 구동축삽입공(138)이 형성된 스크류본체(131)와;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외주연에 나선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채류대상을 하부방향으로 이송하는 나사산(133)과;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커플링(155)과 맞물리는 상부커플링(135)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몸체접촉단(137)이 일정 면적 형성되고, 상기 몸체접촉단(137)의 표면에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130)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결합관(117)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회전시 발생되는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압력해소홈(137a)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채유기{OIL EXTRACTOR}
본 발명은 채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스크류부재의 회전시 발생되는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하여 안정적인 채유를 가능하게 한 채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식용으로 사용하는 기름은 참깨 또는 들깨와 같이 기름이 많은 곡물로부터 채유된다. 이러한 기름은 곡물을 살짝 볶은 후 압력을 가함에 따라 기름을 짜내게 된다. 이와 같이, 곡물의 기름을 짜내기 위해서는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를 갖춰야 하므로, 방앗간과 같이 이러한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는 기름을 채유할 수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각종 수입품 및 저질 또는 가짜 기름이 유통되면서, 소비자들이 좋은 재료로부터 직접 기름을 채유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가정에서도 손쉽게 기름을 채유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 제10-1230799호 "채유기"를 출원한바 있다.
도 1은 상기 개시된 채유기의 스크류(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개시된 종래 채유기는 히터가 내장된 몸체(미도시) 내부에서 스크류(1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채유대상을 압착하여 채유관(미도시) 밖으로 채유된 기름을 배출하는 구조이다.
이 때, 스크류(10)는 스크류본체(11)에 나사산(13)이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된 상부커플링(15)이 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구동축의 하부커플링(미도시)과 맞물려 회전된다. 스크류(10)가 몸체(미도시) 내부에서 회전될 때, 스크류(10) 하부의 몸체결합면(17)은 몸체(미도시) 내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채유대상을 압착하게 된다.
몸체결합면(17)이 몸체(미도시) 내벽면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몸체결합면(17)에는 과도한 압력이 인가된다. 이렇게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면서 구조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져 구동축, 기어박스 등이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과도한 압력에 의해 스크류(10)가 원활히 회전하지 못해 정상적인 채유가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 하단의 몸체결합면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을 해소하여 구조적 안정화와 원활한 채유를 가능하게 한 채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유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유기는, 히터(113)가 내장되며, 하부에 채유공(115a)이 관통형성된 채유관(115)과 상기 채유관(115)의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스크류결합관(117)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채유공간이 관통 형성된 채유몸체(110)와; 상기 채유공간 내부를 회전하며 채유대상을 이송 및 압착하여 기름이 생성되게 하는 스크류부재(130)와; 상기 채유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채유공간을 향해 채유대상을 공급하는 호퍼(120)와; 상기 채유공(115a)에 대응되게 상기 채유관(115)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채유공(115a)을 통해 상기 채유관(115) 외부로 유출된 기름을 기름수집조로 안내하는 기름안내관(140)과; 상기 스크류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구동모터(15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50)의 상부에는 구동축(153)과, 상기 구동축(153)을 상기 스크류부재(130)와 결합시키는 하부커플링(155)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축(153)이 삽입되는 구동축삽입공(138)이 형성된 스크류본체(131)와;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외주연에 나선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채류대상을 하부방향으로 이송하는 나사산(133)과;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커플링(155)과 맞물리는 상부커플링(135)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몸체접촉단(137)이 일정 면적 형성되고, 상기 몸체접촉단(137)의 표면에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130)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결합관(117)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회전시 발생되는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압력해소홈(137a)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해소홈(137a)은 2~3mm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해소홈(137a)은 상기 몸체접촉단(137) 외경의 1/5~1/3 범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해소홈(137a)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는 스크류부재의 하단에 채유몸체의 스크류결합관과 접촉되며 회전될 때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압력해소홈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과도한 압력을 일시적으로 해소하여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기기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채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채유기의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의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채유기(100)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100)는 채유대상에 대한 채유가 진행되는 채유몸체(110)와, 채유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채유몸체(110) 내부로 채유대상을 공급하는 호퍼(120)와, 채유몸체(110)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며 채유대상을 이송 및 압착하여 채유대상으로부터 기름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류부재(130)와, 채유몸체(110)의 외부에 결합되어 스크류부재(130)에 의해 배출된 기름을 기름수집조(미도시)로 안내하는 기름안내관(140)과, 스크류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스크류구동모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채유대상은 참깨나 들깨 등 채유가 가능한 다양한 재료일 수 있다.
채유몸체(110)는 내부에 채유공간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채유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채유공간에 스크류부재(130)가 수직하게 결합된다.
채유몸체(110)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형성된 호퍼결합커버(111)가 구비된다. 호퍼결합커버(111)의 상부에는 호퍼(120)가 결합되고, 채유대상이 채유몸체(110) 내부의 채유공간으로만 공급되도록 한다.
채유몸체(110)를 형성하는 벽면 내부에는 히터(113)가 내장된다. 히터(113)는 열을 발생시켜 채유몸체(110)를 가열하여 채유공간으로 공급되는 채유대상을 가열하여, 채유대상이 고온에 볶여지는 효과를 낸다.
채유몸체(110)의 하부에는 채유관(115)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다. 채유관(115)의 외주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유공(115a)이 일정 면적 관통형성된다. 채유공(115a)을 통해 채유관(115) 내부에서 스크류부재(130)와의 압착에 의해 채유대상으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채유관(115)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채유관(115) 외부로 배출된 기름은 채유관(115)의 하부에 결합된 기름안내관(140)에 수용되고, 기름이동관(141)을 따라 기름수집조(미도시)에 수용된다.
채유관(115)의 하부에는 스크류결합관(117)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유관(115)은 채유몸체(110) 보다 일정길이 외경와 내경이 작게 형성되고, 스크류결합관(117)은 채유관(115) 보다 일정길이 외경과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즉, 채유몸체(110), 채유관(115), 스크류결합관(117)은 점차 외격이 작게 형성되어 각 경계영역에 단차가 구비된다.
스크류결합관(117)의 하부 내벽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17a)가 구비된다. 가압돌기(117a)는 스크류부재(130) 하단의 몸체접촉단(137)과 접촉되며 스크류부재(130)가 압력이 가해지게 하여, 이 사이에서 채유대상의 채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호퍼(120)는 채유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채유대상을 채유몸체(110) 내부의 스크류부재(130)로 공급한다. 호퍼(120)는 호퍼결합커버(1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는 스크류부재(13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재(130)는 채유몸체(110) 내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며, 스크류구동모터(1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채유대상을 압착한다. 스크류부재(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 스크류본체(131)와, 스크류본체(131)의 외주연에 나선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채유대상을 아래로 이송하는 나사산(133)과, 스크류본체(131)의 하부에 연장형성된 격자 형태의 상부커플링(135)과,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 일정면적 형성되어 스크류결합관(117)의 가압돌기(117a)와 접촉회전하는 몸체접촉단(137)을 포함한다.
스크류본체(13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스크류본체(131)는 채유몸체(110)의 내벽면과는 일정 간격 이격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채유관(115)의 내벽면과는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몸체접촉단(137)과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채유몸체(110)와 스크류본체(131)의 이격공간 내부에서 채유대상은 히터(113)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상태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채유대상은 몸체접촉단(137)과 스크류결합관(117)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 그 사이에서 압착되고 기름이 채유대상으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채유대상으로부터 배출된 기름은 채유관(115)에 형성된 채유공(115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기름안내관(140)에 모이게 된다.
여기서, 스크류본체(131)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접촉단(137)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몸체접촉단(137)에는 압력해소홈(137a)이 형성된다. 몸체접촉단(137)이 스크류결합관(117)의 가압돌기(117a)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몸체접촉단(137)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된다. 이렇게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면, 구동축(153)과 스크류부재(130)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쳐 파손 위험이 있고, 원활한 채유도 막게 된다.
압력해소홈(137a)은 몸체접촉단(137)에 일정 넓이와 깊이로 형성되어 과도한 압력을 일정 부분 해소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원활한 채유가 가능하게 한다.
압력해소홈(137a)은 몸체접촉단(137)의 표면에 대해 2~3mm 깊이로 형성되어 가압돌기(117a)와 접촉되더라도 2~3mm 만큼 여유간격이 형성되게 한다. 이에 의해 압력집중을 일시적으로 해소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해지게 한다.
압력해소홈(137a)의 폭(W)은 몸체접촉단(137)의 전체 원주길이의 1/5~1/3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해소홈(137a)의 폭(W)이 원주길이의 1/5 이하이면 압력해소 효과가 미비하며, 원주길이의 1/3 이상이면 원활한 채유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즉, 압력해소홈(137a)의 폭이 1/3 이상이면 압력해소홈(137a)으로 채유대상이 빠지거나, 채유대상을 압착할 수 있을 만큼의 압력이 형성되지 않아 채유가 힘들어질 수 있다.
압력해소홈(137a)은 원주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120도 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되거나, 90도 간격으로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구동모터(150)는 스크류부재(130)가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을 형성하고, 구동축(153)은 스크류부재(130)의 구동축삽입공(138)에 삽입된다. 구동축(153)에는 상부커플링(135)에 대응되는 격자 형상의 하부커플링(155)이 구비된다. 상부커플링(135)과 하부커플링(155)은 서로 물리적으로 맞물리며 위치가 구속되어 스크류구동모터(150)의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스크류부재(130)로 전달되게 한다.
한편, 하부커플링(155)의 하부에는 찌꺼기배출관(160)이 구비되어 스크류결합관(117) 하부로 배출되는 채유되고 남은 찌꺼기가 낙하되어 수집된다.
여기서, 스크류구동모터(150)에는 감속기(151)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는 스크류부재의 하단에 채유몸체의 스크류결합관과 접촉되며 회전될 때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압력해소홈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과도한 압력을 일시적으로 해소하여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기기들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채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채유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채유기 110 : 채유몸체
111 : 호퍼결합커버 113 : 히터
115 : 채유관 115a : 채유공
117 : 스크류결합관 117a : 가압돌기
120 : 호퍼 130 : 스크류부재
131 : 스크류본체 133 : 나사산
135 : 상부커플링 137 : 몸체접촉단
137a : 압력해소홈 138 : 구동축삽입공
140 : 기름안내관 141 : 기름이동관
150 : 스크류구동모터 151 : 감속기
153 : 구동축 155 : 하부커플링
160 : 찌거기배출관

Claims (4)

  1. 히터(113)가 내장되며, 하부에 채유공(115a)이 관통형성된 채유관(115)과 상기 채유관(115)의 하부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는 스크류결합관(117)이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채유공간이 관통 형성된 채유몸체(110)와;
    상기 채유공간 내부를 회전하며 채유대상을 이송 및 압착하여 기름이 생성되게 하는 스크류부재(130)와;
    상기 채유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채유공간을 향해 채유대상을 공급하는 호퍼(120)와;
    상기 채유공(115a)에 대응되게 상기 채유관(115)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채유공(115a)을 통해 상기 채유관(115) 외부로 유출된 기름을 기름수집조로 안내하는 기름안내관(140)과;
    상기 스크류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구동모터(15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50)의 상부에는 구동축(153)과, 상기 구동축(153)을 상기 스크류부재(130)와 결합시키는 하부커플링(155)이 구비되며,
    상기 채유관(115)은 상기 채유몸체(110)보다 일정길이 외경과 내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은 상기 채유관(115)보다 일정길이 외경과 내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의 하부 내벽면에는 내측을 향해 가압돌기(117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부재(1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축(153)이 삽입되는 구동축삽입공(138)이 형성된 스크류본체(131)와;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외주연에 나선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채류대상을 하부방향으로 이송하는 나사산(133)과;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하부커플링(155)과 맞물리는 상부커플링(135)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플링(155)의 하부에는 찌꺼기배출관(160)이 구비되어 스크류결합관(117) 하부로 배출되는 채유되고 남은 찌꺼기가 낙하되어 수집되고,
    상기 스크류본체(131)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결합관(117)의 가압돌기(117a)와 접촉회전하는 몸체접촉단(137)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접촉단(137)의 표면에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130)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결합관(117)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회전시 발생되는 압력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압력해소홈(137a)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해소홈(137a)는 2~3mm 깊이, 상기 몸체 접촉단(137) 외경의 1/5~1/3 범위의 폭으로 함몰형성되며, 상기 몸체접촉단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3077A 2018-09-20 2018-09-20 채유기 KR10200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77A KR102007466B1 (ko) 2018-09-20 2018-09-20 채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077A KR102007466B1 (ko) 2018-09-20 2018-09-20 채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466B1 true KR102007466B1 (ko) 2019-08-05

Family

ID=6761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077A KR102007466B1 (ko) 2018-09-20 2018-09-20 채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4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68B1 (ko) * 2002-05-09 2004-06-04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녹즙기
KR101230799B1 (ko) * 2011-04-06 2013-02-06 김형수 채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68B1 (ko) * 2002-05-09 2004-06-04 주식회사 동아오스카 맷돌형 녹즙기
KR101230799B1 (ko) * 2011-04-06 2013-02-06 김형수 채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047B1 (ko) 가압 스크류를 포함하는 전기 주방 기구
JP5827739B2 (ja) ジューサー用搾汁モジュール
JP5183809B2 (ja) ジューサモジュール及び垂直スクリュージューサ
KR102007466B1 (ko) 채유기
KR102058446B1 (ko) 곡물 착유기
KR20150013689A (ko) 회전식 작동장치 및 압착용 스크루를 포함하는 조리용 가전기기
US11234550B2 (en) Squeezing threaded rod, squeezing component, and food processor
CN210026416U (zh) 餐厨垃圾螺旋挤压脱水设备
EP3459400A1 (en) Food processor
KR100752957B1 (ko) 채유기
CN207563939U (zh) 一种激光打孔机放置板清理装置
KR200489360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N107581931B (zh) 挤压螺杆、挤压组件及食物料理机
CN107020768B (zh) 干法辊压式造粒机
CN105011726B (zh) 原汁机
CN205763477U (zh) 一种带材冲压废料的自动收集装置
DE60207153T2 (de) Dichtung für drehende Vakuumpumpe
CN114272990A (zh) 环模饲料机用环保型上料设备
KR102066469B1 (ko) 채유기
CN107553956B (zh) 一种全自动花生冷榨机
KR10027461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 픽업장치
CN216480172U (zh) 轴承清洗后注脂装置
CN104997386A (zh) 一种原汁机
CN104896076B (zh) 双离合自动变速器及汽车
CN201744826U (zh) 油管接头的装接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