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469B1 - 채유기 - Google Patents

채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469B1
KR102066469B1 KR1020130067529A KR20130067529A KR102066469B1 KR 102066469 B1 KR102066469 B1 KR 102066469B1 KR 1020130067529 A KR1020130067529 A KR 1020130067529A KR 20130067529 A KR20130067529 A KR 20130067529A KR 102066469 B1 KR102066469 B1 KR 10206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il
slit
screw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297A (ko
Inventor
박창규
이양근
강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피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46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스크류(30c)의 스타트영역(31)은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의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깊도록 하고, 나아가 스크류 뭉치(30)는 스타트영역(31)으로부터 미들영역(32) 그리고 엔드영역(33)으로 갈수록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가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작아지도록 한 채유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채유기{EDIBLE OIL EXTRACTOR}
본 발명은 채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 및 채유 효율성을 함께 보장할 수 있으면서 참깨나 들깨와 같이 알갱이가 작은 곡물뿐만 아니라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채유할 수 있는 채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유기는 참깨, 들깨와 같은 곡물들을 파쇄 및 압착시키면서 열을 가해 기름을 추출하는 기기이다.
선행기술문헌(10-2006-0030873; 채유기)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가 식품 가공기에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가 구비된 식품 가공기(50)와 결합되어 식재료로부터 기름을 채유하는 것으로 식품 가공기(50)에 결합되고 재료의 투입구(72) 및 기름 배출구(85), 찌꺼기 배출구(74)가 형성된 케이스(71)와, 케이스(71)에 내장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투입구(72)로 투입된 재료를 가압하여 기름과 찌꺼기로 분리 배출하기 위한 채유샤프트(82) 및 채유샤프트(82)를 둘러싸는 실린더(86)가 구비되고, 실린더(86)는 채유샤프트(82)의 길이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케이스(71)에 일체로 결합되고, 실린더(86)의 내부는 채유샤프트(82)와 대향하는 면이 8면으로 이루어지되 8면 중 측면과 하측을 향하는 면들에 분리된 기름을 배출하기 위해 개방된 슬롯(87)이 형성되고, 이 슬롯(87)은 8면 중 측면과 하측을 향하는 5면에 각각 형성된 5개의 슬롯(87)으로 이루어지고, 찌꺼기 배출구(74)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75)를 포함하고, 찌꺼기 배출구(74)는 요철부(75)의 내측으로 채유샤프트(82)의 선단부가 삽입되며 다수의 절공(73)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는 비교적 작은 알갱이로 된 참깨나 들깨 등과 같은 곡물의 채유는 가능하나 땅콩이나 호두 등과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의 채유는 극히 어려운 한계를 안고 있다. 즉, 채유샤프트(82)의 블레이드(82a)들의 간격인 피치와 높이(산의 높이)가 처음부터 끝까지 크게 다르지 않아, 즉 알갱이가 작은 참깨나 들깨 등과 같은 곡물의 채유만을 가능하게 설계되어, 알갱이가 큰 곡물의 채유는 전혀 불가능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는 슬롯(87)이 실린더(86)에 단순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채유샤프트(82)의 회전에 의한 곡물의 파쇄압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린더(86)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곡물로부터 추출된 기름이 슬롯(87)을 빠르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곡물의 채유를 마치고 채유기를 사용치 않게 되면 슬롯(81)에 기름이 견고하게 응고되어 다음 곡물의 채유를 하고자 할 때 슬롯(87)이 막혀 기름이 추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반면 실린더(86)의 두께를 얇게 할 경우 채유샤프트(82)의 회전에 의한 곡물의 파쇄압력을 극복치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깨나 들깨와 같이 알갱이가 작은 곡물뿐만 아니라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받아들여 파쇄 및 압착시키면서 기름의 추출을 가능케 하는 채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채유 하우징을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의 겹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얇은 두께로서도 충분한 강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채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위에 탑재된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에 커플링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뭉치와, 상기 스크류 뭉치의 스타트영역을 내장하면서 곡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감속기에 고정되는 투입 하우징과, 상기 스크류 뭉치의 엔드영역을 내장하면서 열을 가해주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 하우징으로부터 이격 결합된 히팅 하우징과, 상기 투입 하우징 및 히팅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크류 뭉치의 미들영역을 내장하면서 곡물로부터 추출되는 기름을 낙하시키는 채유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위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 감속기, 투입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채유 하우징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채유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뭉치의 스타트영역은 상기 미들영역 및 엔드영역의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깊은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참깨나 들깨와 같이 알갱이가 작은 곡물뿐만 아니라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받아들여 파쇄 및 압착시키면서 기름의 추출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크류 뭉치는 감속기에 인접한 투입 하우징의 내경에 합치되는 원판을 지니도록 하여 곡물이 감속기를 향하여 역류될 수 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더 나아가 플라스틱 스크류의 산은 원판으로부터 시작되도록 하여 초기부터 곡물이 산과 산 사이의 골 속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크류 뭉치의 직경이 엔드영역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히팅 하우징과의 밀착력으로 곡물 중 찌꺼기만이 히팅 하우징의 끝단으로 배출되고 기름은 추출되어 채유 하우징을 통해 역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히팅 플랜지의 나사공에 결합되어 쓰루홀을 통과한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통해 투입 하우징 및 히팅 하우징을 길이방향으로 간단히 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채유 하우징을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의 겹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얇은 두께로서도 충분한 강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채유 하우징을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의 겹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 두께일지라도 훨씬 더 강도를 강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내측 슬릿은 소폭으로 외측 슬릿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뚫려지도록 하여 기름의 추출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내측 슬릿 및 외측 슬릿에 의한 강도를 더불어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내측 플레이트가 소두께일 경우 실제 채유슬릿의 두께, 즉 내측 슬릿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기름의 응고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외측 플레이트를 대두께로 함으로써 강도의 보강 및 보장을 더불어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크류 뭉치의 엔드영역의 끝단은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히팅 하우징의 다각통로의 끝단의 크기 역시 스크류 뭉치의 엔드영역의 끝단에 맞추어 작아지도록 하여, 곡물 찌꺼기가 빠져나갈 때 비산되지 않고 모여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가 식품 가공기에 결합된 정면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채유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의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의 끝단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면 중 부호 C는 커버(70) 위에 씌워지는 손잡이 홈(S)이 달리 캡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위에 탑재된 모터(2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1)에 커플링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뭉치(30)와,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을 내장하면서 곡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41)를 구비하여 감속기(21)에 고정되는 투입 하우징(40)과,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을 내장하면서 열을 가해주기 위한 히터(51)[히터(51)는 온도 설정을 위한 미 도시된 온도센서 또는 과승방지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를 구비하여 투입 하우징(40)으로부터 이격 결합된 히팅 하우징(50)과, 투입 하우징(40) 및 히팅 하우징(50) 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류 뭉치(30)의 미들영역(32)을 내장하면서 곡물로부터 추출되는 기름을 낙하시키는 채유 하우징(60)과, 베이스(10) 위에 결합되어 모터(20), 감속기(21), 투입 하우징(40), 히팅 하우징(50) 및 채유 하우징(60)을 보호하는 커버(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20)의 회전력이 감속기(21)를 거쳐 스크류 뭉치(30)에 전달되고, 스크류 뭉치(30)가 감속 회전할 때 투입구(41)로 곡물을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 하우징(40) 및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에 의해 곡물이 파쇄되면서 채유 하우징(60) 및 미들영역(32)에 의해 압착된 후 히팅 하우징(50) 및 엔드영역(33)에 의해 열압착되면서 기름이 추출되어 채유 하우징(60)을 통해 낙하됨과 동시에 곡물 찌꺼기만이 히팅 하우징(50)의 끝단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 채유 하우징, 히팅 하우징 및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스크류 뭉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 플라스틱 스크류(30c)의 스타트영역(31)은 도 5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의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깊도록 하고, 나아가 스크류 뭉치(30)는 스타트영역(31)으로부터 미들영역(32) 그리고 엔드영역(33)으로 갈수록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가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작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투입 하우징(40)은 초기 곡물을 유도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뭉치(30)의 회전방향을 따라 투입구(41)에 연속되는 볼록확장 유도곡면(41a)을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류 뭉치(30)의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은 곡물을 압착시키고 나아가 열을 가해 기름을 추출시키기 위한 구간이어서 채유 하우징(60) 및 히팅 하우징(50)에 밀착되면서 파쇄압력 및 압착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만 하므로 산 및 피치를 높지도 넓지도 않게 할 수 있어야만 하지만,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은 곡물을 초기에 파쇄시키는 구간이므로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의 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산과 넓은 피치를 가지도록 하여 참깨나 들깨와 같이 알갱이가 작은 곡물뿐만 아니라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 및 효과를 위하여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을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보다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깊도록 하고, 나아가 스타트영역(31)으로부터 미들영역(32) 그리고 엔드영역(33)으로 갈수록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가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투입 하우징(40)은 초기 곡물을 유도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뭉치(30)의 회전방향을 따라 투입구(41)에 연속되는 볼록확장 유도곡면(41a)을 더 포함토록 하여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받아들여 파쇄 및 압착시키면서 기름의 추출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결국,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에서 엔드영역(33)으로 갈수록 골의 직경을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하여 히팅 하우징(50)과의 밀착력으로 곡물 중 찌꺼기만이 히팅 하우징(50)의 끝단으로 배출되고 기름은 추출되어 채유 하우징(60)을 통해 역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투입 하우징(40)은 쓰루홀(42a)을 지닌 투입 플랜지(42)를 구비하고, 히팅 하우징(50)은 나사공(52a)을 지닌 히팅 플랜지(52)를 구비한다. 그리고, 히팅 플랜지(52)의 나사공(52a)에 결합되어 쓰루홀(42a)을 통과한 볼트(B)에 체결된 너트(N)를 통해 투입 하우징(40) 및 히팅 하우징(50)은 길이방향으로 간단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투입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초기 곡물을 유도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 뭉치(30)의 회전방향을 따라 투입구(41)에 연속되는 볼록확장 유도곡면(41a)을 투입 하우징(40)에 더 부여하여 땅콩이나 호두와 같이 알갱이가 큰 곡물까지도 모두 받아들여 파쇄 및 압착시키면서 기름의 추출을 가능케 함을 이해할 수 있도록 보여주고 있다.
이때, 스크류 뭉치(30)는 감속기(21)에 인접한 투입 하우징(40)의 내경에 합치되는 원판(30d)을 지니도록 하여 곡물이 감속기(21)를 향하여 역류될 수 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고, 더 스크류 뭉치(30)의 산은 원판(30d)으로부터 시작되도록 하여 초기부터 곡물이 산과 산 사이의 골 속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채유 하우징의 내측 플레이트 및 외측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채유 하우징(60)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61) 및 외측 플레이트(62)의 겹침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채유슬릿(63)을 구비한다.
채유 하우징(60)을 내측 플레이트(61) 및 외측 플레이트(62)의 겹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얇은 두께로서도 충분한 강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채유슬릿(63)을 통해 기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동일 두께일 경우 책받침이 한 장으로 된 것보다 내측 및 외측이라는 두 겹의 책받침으로 된 것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강함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채유 하우징(60)을 내측 플레이트(61) 및 외측 플레이트(62)의 겹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 두께일지라도 훨씬 더 강도를 강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2 내지 3의 겹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채유 하우징(60)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6각 내지는 8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측 플레이트(61) 및 외측 플레이트(62)는 스폿 용접으로 상호 간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채유슬릿(63)은 내측 플레이트(61)에 뚫려진 소폭의 내측 슬릿(63a)과, 내측 슬릿(63a)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외측 플레이트(62)에 뚫려진 대폭의 외측 슬릿(63b)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일의 두께에 동일 폭으로 뚫려질 경우 발생되었던 선행기술처럼 기름의 견고한 응고를 피할 수 없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측 슬릿(63a)은 소폭으로 외측 슬릿(63b)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뚫려지도록 하여 기름의 추출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내측 슬릿(63a) 및 외측 슬릿(63b)에 의한 강도를 더불어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내측 슬릿(63a)의 폭은 0.3∼1㎜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0.5㎜이고, 외측 슬릿(63b)의 폭은 1.5∼2.5㎜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2㎜로 한다.
내측 슬릿(63a)의 폭이 0.5㎜일 경우 실제 채유슬릿(63)의 폭은 외측 슬릿(63b)의 폭과 상관없이 0.5㎜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측 플레이트(62)에 의한 강도 보강 속에 내측 슬릿(63a)의 폭을 최대한 좁게 하여 기름의 응고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채유기의 미사용 후 다시 사용코자 할 때 채유슬릿(63)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쉽게 막힘을 밀어내고 채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채유 하우징(60)은 소두께의 내측 플레이트(61)와, 내측 플레이트(61)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대두께의 외측 플레이트(62)로 한다.
내측 플레이트(61)가 소두께일 경우 실제 채유슬릿(63)의 두께, 즉 내측 슬릿(63a)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기름의 응고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외측 플레이트(62)를 대두께로 함으로써 강도의 보강 및 보장을 더불어 가능케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플레이트(61)의 두께는 0.1∼0.5㎜이며 바람직하게는 0.3㎜이고, 외측 플레이트(62)의 두께는 0.6∼1.5㎜이며 바람직하게는 0.9㎜으로 한다.
내측 플레이트(61)의 두께가 0.3㎜일 경우 실제 채유슬릿(63)의 두께는 외측 플레이트(62)의 두께와 상관없이 0.3㎜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0.9㎜의 외측 플레이트(62)의 강도 보강 속에 내측 플레이트(61)의 두께를 작게 하여, 즉 내측 슬릿(63a)의 두께를 작게 하여 기름의 응고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채유기의 미사용 후 다시 사용코자 할 때 채유슬릿(63)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채유 하우징(60)은 히팅 하우징(50)에 맞닿는 끝단에 들쭉날쭉하게 컷팅된 보조 채유슬릿(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유슬릿(63)에 더하여 보조 채유슬릿(64)을 더 포함토록 함으로써 곡물로부터 추출되는 기름의 신속한 낙하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기름의 낙하시 기름컵(C1)으로 받아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보조 채유슬릿(64)은 내측 플레이트(61)의 끝단에 소폭 및 소길이로 컷팅된 내측 보조슬릿(64a)과, 이 내측 보조슬릿(64a)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외측 플레이트(62)의 끝단에 컷팅된 대폭 및 대길이의 외측 보조슬릿(6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보조슬릿(64a)이 소폭 및 소길이로 커팅될 경우 실제 보조 채유슬릿(64)의 폭 및 길이 역시 외측 보조슬릿(64b)의 폭과 길이에 관계없이 소폭 및 소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채유기의 미사용 후 다시 사용코자 할 때 보조 채유슬릿(64)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외측 보조슬릿(64b)의 상대적인 대폭 및 대길이에 의해 내측 보조슬릿(64a)의 소폭 및 소길이를 더불어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내측 보조슬릿(64a)의 폭은 3∼5㎜이며 바람직하게는 4㎜이고, 내측 보조슬릿(64a)의 길이는 0.3∼1㎜이며 바람직하게는 0.5㎜이고, 외측 보조슬릿(64b)의 폭은 5.5∼8㎜이며 바람직하게는 6㎜이고, 외측 보조슬릿(64b)의 길이는 1.2∼2㎜이며 바람직하게는 1.5㎜로 한다.
내측 보조슬릿(64a)이 4㎜의 폭과 0.5㎜의 길이로 커팅될 경우 실제 보조 채유슬릿(64)의 폭 및 길이 역시 외측 보조슬릿(64b)의 폭인 6㎜와 길이인 1.5㎜에 관계없이 4㎜의 폭 및 0.5㎜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채유기의 미사용 후 다시 사용코자 할 때 보조 채유슬릿(64)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투입 하우징(40)은 다각형으로 된 채유 하우징(60)을 받아들여 고정시키는 다각홈(44)을 구비하여 상호간은 끼움만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히팅 하우징(50)은 도 5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을 받아들이는 다각통로(53)를 구비하여 곡물의 압착 파쇄를 가능토록 한다.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채유기에 적용된 히팅 하우징의 끝단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의 끝단은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히팅 하우징(50)의 다각통로(53)의 끝단의 크기 역시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의 끝단에 맞추어 작아지도록 하여, 곡물 찌꺼기가 빠져나갈 때 비산되지 않고 모여지도록 하며, 곡물의 압착을 최대화시켜 기름의 추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스크류 뭉치(30)의 끝단에 임펠러(30e)를 더 고정시켜 곡물 찌꺼기가 말려가면서 연속하여 토출되지 않고 임펠러(30e)에 의해 부셔지면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찌꺼기컵(C2)으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참깨, 들깨, 땅콩, 호두와 같은 곡물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기 위한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베이스 20 : 모터
21 : 감속기 30 : 스크류 뭉치
30d : 원판 30e : 임펠러
31 : 스타트영역 32 : 미들영역
33 : 엔드영역 40 : 투입 하우징
41 : 투입구 41a : 볼록확장 유도곡면
42 : 투입 플랜지 42a : 쓰루홀
43 : 돌출라인 44 : 다각홈
50 : 히팅 하우징 51 : 히터
52 : 히팅 플랜지 52a : 나사공
53 : 다각통로 B : 볼트
N : 너트 60 : 채유 하우징
61 : 내측 플레이트 62 : 외측 플레이트
63 : 채유슬릿 63a : 내측 슬릿
63b : 외측 슬릿 64 : 보조 채유슬릿
64a : 내측 보조슬릿 64b : 외측 보조슬릿
70 : 커버 C1 : 기름컵
C2 : 찌꺼기컵 C : 캡
S : 손잡이 홈

Claims (9)

  1. 베이스(10) 위에 탑재된 모터(20)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1)에 커플링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뭉치(30)와,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을 내장하면서 곡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41)를 구비하여 상기 감속기(21)에 고정되는 투입 하우징(40)과,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을 내장하면서 열을 가해주기 위한 히터(51)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 하우징(40)으로부터 이격 결합된 히팅 하우징(50)과, 상기 투입 하우징(40) 및 히팅 하우징(5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미들영역(32)을 내장하면서 곡물로부터 추출되는 기름을 낙하시키는 채유 하우징(60)과, 상기 베이스(10) 위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20), 감속기(21), 투입 하우징(40), 히팅 하우징(50) 및 채유 하우징(60)을 보호하는 커버(70)를 포함하는 채유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스타트영역(31)은 상기 미들영역(32) 및 엔드영역(33)의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깊게 이루어지고,
    상기 채유 하우징(60)은 내측 플레이트(61) 및 외측 플레이트(62)의 겹침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채유슬릿(63)을 구비하고,
    상기 채유슬릿(63)은 상기 내측 플레이트(61)에 뚫려진 소폭의 내측 슬릿(63a)과, 상기 내측 슬릿(63a)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상기 외측 플레이트(62)에 뚫려진 대폭의 외측 슬릿(6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뭉치(30)는 상기 스타트영역(31)으로부터 상기 미들영역(32) 그리고 엔드영역(33)으로 갈수록 산과 산 사이의 피치 넓이 및 골 깊이가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하우징(40)은 초기 곡물을 유도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투입구(41)에 연속되는 볼록확장 유도곡면(4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뭉치(30)는 상기 감속기(21)에 인접한 상기 투입 하우징(40)의 내경에 합치되는 원판(30d)을 지니고,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산은 상기 원판(30d)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유 하우징(60)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유 하우징(60)은 소두께의 상기 내측 플레이트(61)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61)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대두께의 상기 외측 플레이트(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의 끝단은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상기 히팅 하우징(50)의 다각통로(53)의 끝단은 크기가 상기 스크류 뭉치(30)의 엔드영역(33)의 끝단에 맞추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유기.
KR1020130067529A 2013-06-13 2013-06-13 채유기 KR10206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29A KR102066469B1 (ko) 2013-06-13 2013-06-13 채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29A KR102066469B1 (ko) 2013-06-13 2013-06-13 채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97A KR20140145297A (ko) 2014-12-23
KR102066469B1 true KR102066469B1 (ko) 2020-01-15

Family

ID=5267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29A KR102066469B1 (ko) 2013-06-13 2013-06-13 채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19U (ko)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휴롬 채유기
CN110604451A (zh) * 2019-11-07 2019-12-24 徐州齐聚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榨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57B1 (ko) 2006-04-05 2007-08-3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채유기
KR100866576B1 (ko) 2007-05-09 2008-11-04 김영기 채유장치
KR101230799B1 (ko) * 2011-04-06 2013-02-06 김형수 채유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6870B2 (en) 2001-12-27 2007-02-13 Renesas Technology Corp. Display drive control circuit
KR20100018133A (ko) * 2008-08-06 2010-02-17 이종갑 곡물 착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57B1 (ko) 2006-04-05 2007-08-3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채유기
KR100866576B1 (ko) 2007-05-09 2008-11-04 김영기 채유장치
KR101230799B1 (ko) * 2011-04-06 2013-02-06 김형수 채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97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798B (zh) 用於榨汁機的榨汁模組
KR101948370B1 (ko) 음료용 주스의 추출용 디바이스
AU2010100883A4 (en) Improved Juicer with Feedtube
US8794133B2 (en) Grating disc for a food processor
US20090272280A1 (en) Juicer
EP2731472B1 (en) A masticating separator for separating fruit or vegetable juice from fruit or vegetable pulp
KR102066469B1 (ko) 채유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BR112016003295B1 (pt) Extrator de suco
KR102032843B1 (ko) 채유기
KR101278889B1 (ko) 멀티 원액기
KR20180002167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0752957B1 (ko) 채유기
KR20150115259A (ko) 모재 통투입 및 역배출 방지 가능한 착즙 어셈블리
EP3169197B1 (fr) Dispositif de préparation d'aliments pour extraire des jus par pressage
KR20120039178A (ko) 착즙기
KR10122985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KR102287205B1 (ko) 결합력이 강화된 브러쉬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0635807B1 (ko) 다목적 녹즙기
KR20120111465A (ko)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RU2549661C1 (ru) Модуль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сока для соковыжималки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010912B1 (ko) 전기녹즙기
KR19990045841A (ko) 녹즙기의착즙장치
KR200199945Y1 (ko) 쥬서용 투입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